KR200212042Y1 - 기능성 바지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042Y1
KR200212042Y1 KR2020000019516U KR20000019516U KR200212042Y1 KR 200212042 Y1 KR200212042 Y1 KR 200212042Y1 KR 2020000019516 U KR2020000019516 U KR 2020000019516U KR 20000019516 U KR20000019516 U KR 20000019516U KR 200212042 Y1 KR200212042 Y1 KR 200212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plate
along
back plate
r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순
Original Assignee
홍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순 filed Critical 홍성순
Priority to KR2020000019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042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둔부와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판과, 후면판과 내측선을 따라 봉재되고 후면판과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판 및 일측이 양쪽 외측선의 둔부에 대응하는 후면판에 봉재되고,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국부가림판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바지가 개시된다.
따라서, 바지를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시킬 수 있어 하반신이 불편하여 휠체어나 목발 등을 이용하는 환자나 장애인들이 앉은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바지를 입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바지{trousers}
본 고안은 하반신이 불편하여 휠체어나 목발 등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입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바지를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벗거나 입을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벗을 수 있도록 하여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는 신체의 하반신을 수용하는 의복으로서 활동이 편안하고 간편하기 때문에 남녀노소가 착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바지는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바지는 정상인들은 별다른 불편을 주지 않지만, 하반신 등이 불편하여 휠체어나 목발 등을 이용하는 환자나 장애인들에게 있어서는 상당히 큰 불편을 주게 된다.
이는 종래의 바지가 기본적으로 다리수용부가 폐쇄되어 있어 바지를 입을 때와 벗을 때 모두 다리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반신이 불편하여 휠체어나 목발 등을 이용하는 환자나 장애인들이 앉은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바지를 입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한 상태에서도 필요한 부분만을 벗을 수 있어 생리작용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한 상태에서 통상적인 바지와 구별되지 않는 외관을 제공함으로서 착용자의 심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의 착용시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의 전면판의 상부를 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의 전체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지퍼 2, 2a : 훅 단추
3 : 탄성부재 4 : 스냅 테이프
6 : 주머니 7 : 국부가림판
10 : 후면판 20 :전면판
본 고안에 따르면, 둔부와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판과, 후면판과 내측선을 따라 봉재되고 후면판과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판 및 일측이 양쪽 외측선의 둔부에 대응하는 후면판에 봉재되고,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국부가림판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바지가 개시된다.
전면판은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지퍼 등에 의해 후면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판의 상부 양 모서리는 후면판의 상부 양 모서리와 훅 단추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후면판과 한 쌍의 국부가림판의 상부 에지는 각각 동일한 레벨을 이루어 이를 따라 탄성을 구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일실시예로, 한 쌍의 국부가림판은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가 훅 단추로 결합되고, 대향하는 에지는 스냅 테이프에 의해 결합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능성 바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전면판의 상부가 앞으로 풀어진 상태를 보여주며, 도 3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20)은 인체의 둔부와 양쪽 다리 후방에 대향하고, 전면판(20)은 인체의 국부와 양쪽 다리 전방에 대향한다. 전면판(20)과 후면판(10)은 양쪽 다리 안쪽의 내측선을 따라 서로 봉재되어 결합되고, 외측선을 따라, 예를 들어, 지퍼(1)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매개되는 지퍼(1)는 둔부를 제외한 부분에 설치되며, 전면판(20)의 상부 양 모서리는 후면판(10)의 상부 양 모서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양 모서리가 훅 단추(2)에 의해 결합되는데, 매직 테이프나 단추 또는 똑딱이 단추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되는 부분은 대략 양쪽 허리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국부가림판(7)이 완전히 가리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후면판(10)과 전면판(20) 사이의 국부 부분에는 국부가림판(7)이 설치된다. 국부가림판(7)은 쌍을 이루어 일측이 후면판(10)의 외측선을 따라 봉재되고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후면판(10)의 외측선을 따라 봉재되는 부분은 지퍼(1)가 시작되는 위치보다 아래부분까지 연장된다. 이때, 국부가림판(7)의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훅 단추(2a)와, 서로 대향하는 에지를 따라 설치된 스냅 테이프(4; snap tape)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스냅 테이프(4)는 테이프 형상의 베이스에 복수개의 단추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후면판(10)과 국부가림판(7)의 상부 에지는 동일한 레벨을 이루며, 상부 에지를 따라 탄성을 구비한 탄성부재(3), 예를 들어, 고무줄 등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탄성부재(3)의 외측에 혁대가 끼워지는 혁대고리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전면판(20)의 내측에는 주머니(6)를 설치하여 지갑 등과 같은 필요한 용품을 넣어둘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기능성 바지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양쪽 외측선을 따라 설치된 지퍼(1)를 개방하고 상부 양모서리에 결합된 훅 단추(2)를 풀어 후면판(10)과 전면판(20)을 개방하며, 국부가림판(7)의 훅 단추(2a)와 스냅 테이프(4)를 풀어 국부가림판(7)을 서로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하반신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둔부와 다리를 각각 후면판(10) 위에 올려놓고 국부가림판(7)의 덮어 스냅 테이프(4)를 채우고 다시 훅 단추(2a)를 결합시킨다. 이때, 후면판(10)과 국부가림판(7)의 상부 에지를 따라 설치된 탄성부재(3)에 의해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게 된다.
이어 전면판(20)을 덮고 양쪽 외측선을 따라 설치된 지퍼(1)를 채우고 상부 양 모서리에 설치된 훅 단추(2)를 채우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판(20)은 국부가림판(7)을 완전하게 가릴 수 있어 통상적인 바지와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외관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바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소변 등과 같은 생리적인 작용을 해결하려고 할 때는 전면판(20)과 후면판(10)의 상부 모서리, 즉 양쪽 허리에 위치한 훅 단추(2)를 푼다.
도 2는 이 상태를 보여주는데, 이후에 국부가림판(7)의 스냅 테이프(4)만 풀게 되면 훅 단추(2a)에 의해 바지는 흘러내리지 않고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게되므로 생리작용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후면판(10)의 외측선을 따라 봉재되는 부분은 지퍼(1)가 시작되는 위치보다 아래부분까지 연장되므로 전면에서 보았을 때, 착용자의 양쪽 허벅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착용한 상태에서는 지퍼(1)가 시작되는 위치와 훅 단추(2)가 설치된 위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착용자는 이 틈새를 이용하여 주머니(6)에 필요한 용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바지를 벗고자 할 때에는 착용할 때와 반대의 수순을 따르면 되는데, 우선 양쪽 허리부분에 위치한 훅 단추(2)를 풀어 전면판(20)의 상부를 앞으로 내린 후, 국부가림판(7)의 훅 단추(2a)와 스냅 테이프(4)를 푼 다음, 양쪽 외측선을 따라 설치된 각각의 지퍼(1)를 내려 펼치면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앉은 자리에서도 둔부만 살짝 든 후 펼쳐진 바지를 잡아당기면 바지를 손쉽게 벗을 수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손쉽게 바지를 착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합수단으로 훅 단추, 지퍼, 똑딱이 단추 등을 예로 들고 있으나, 다른 결합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만, 국부가림판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쌍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바지를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시킬 수 있어 하반신이 불편하여 휠체어나 목발 등을 이용하는 환자나 장애인들이 앉은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바지를 입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용한 상태에서도 필요한 부분만을 벗을 수 있어 생리작용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용한 상태에서 통상적인 바지와 구별되지 않는 외관을 제공함으로서 착용자의 심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둔부와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내측선을 따라 봉재되고, 상기 후면판과 양쪽 외측선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판 및 일측이 상기 외측선을 따라 둔부에 대응하는 후면판에 봉재되고,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국부가림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상기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 1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후면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면판의 상부 양 모서리는 상기 후면판의 상부 양 모서리와 제 2 결합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수단은 지퍼이고,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훅 단추이며, 상기 지퍼가 시작되는 위치와 상기 훅 단추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가림판의 상기 후면판의 외측선을 따라 봉재되는 부분은 상기 지퍼가 시작되는 위치보다 아래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과 한 쌍의 국부가림판의 상부 에지를 따라 탄성을 구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국부가림판은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가 훅 단추로 결합되고, 대향하는 에지는 스냅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내측에는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KR2020000019516U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KR200212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16U KR200212042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16U KR200212042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042Y1 true KR200212042Y1 (ko) 2001-02-01

Family

ID=7305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516U KR200212042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0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643B2 (en) Women's easy-on one-piece bathing suit
US6662378B2 (en) Combined waist-worn men's clothes article
EP0853895B1 (en) Clothing capable of exposing inside thereof
JP3204008U (ja) 着脱容易な衣服
US3369256A (en) Hospital robe
US20060183968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a novel attachment means
KR200212042Y1 (ko) 기능성 바지
RU216345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ясной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мужчин
US20200029629A1 (en) Underpants garment
KR200395426Y1 (ko) 편리한 팬티
JP3142811U (ja) 介護用のパジャマ下衣
JP2001303302A (ja) 自津支援ならび看護用下ばき
CN212065714U (zh) 穿脱便利的轮椅使用者裤装
KR200212041Y1 (ko) 기능성 바지
JP3107693U (ja) パンツ
CN210445782U (zh) 一种满足下肢残障者穿脱便利性的舒适裤装
JP3226323U (ja) 介護用ズボン
KR200342646Y1 (ko) 개량바지
KR200354008Y1 (ko) 런닝팬티
KR200246017Y1 (ko) 환자용 옷
KR100214753B1 (ko) 둔부의 노출이 가능한 의복
JPH07243105A (ja) パジャマ
KR200212046Y1 (ko) 환자용 바지
KR200483195Y1 (ko) 힙시트 캐리어
GB2534570A (en)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