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739B1 - 수지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수지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739B1
KR101982739B1 KR1020120056812A KR20120056812A KR101982739B1 KR 101982739 B1 KR101982739 B1 KR 101982739B1 KR 1020120056812 A KR1020120056812 A KR 1020120056812A KR 20120056812 A KR20120056812 A KR 20120056812A KR 101982739 B1 KR101982739 B1 KR 10198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ube
housing
resi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505A (ko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5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7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는, 노즐의 세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수지도포장치 {RESIN A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패키지의 제조공정에서 리드프레임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반도체는 제품에 장착되기 이전에 리드프레임상에 반도체칩이 실장된 패키지의 형태로 제조된다. 반도체패키지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리드프레임에 반도체칩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리드프레임상에 반도체칩을 실장하는 공정과, 반도체칩이 실장된 리드프레임상의 도포영역에 형광체가 포함된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과, 리드프레임상의 도포영역에 도포된 수지를 경화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리드프레임상의 도포영역에 수지를 도포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는 시린지와, 시린지와 연결되는 노즐과, 노즐에 대하여 왕복적으로 이동되면서 노즐을 개폐하는 니들과,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이 구비되는 수지도포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수지도포장치는, 노즐에 대하여 니들을 왕복적으로 이동시켜 노즐이 개폐되도록 하고, 노즐이 개방될 때 시린지의 내부에 작용되는 압력에 의하여 수지가 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하면서 리드프레임상의 도포영역에 수지를 도포한다.
수지를 리드프레임상에 도포하는 공정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노즐의 토출구의 주변에 수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노즐의 토출구가 폐색되어 수지의 토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거나 노즐에 부착된 수지가 리드프레임상으로 떨어지면서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 양으로 리드프레임상에 수지가 도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노즐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노즐을 닦으면서 노즐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였으므로, 노즐을 세정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에 따라,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세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리드프레임상으로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노즐에 흡입력을 작용시켜 상기 노즐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노즐세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세정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 대응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튜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리드프레임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노즐의 토출구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의 다른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노즐세정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반도체칩이 실장된 리드프레임의 도포영역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수지도포장치는, 리드프레임(LF)을 이송하는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과,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에 의하여 이송되는 리드프레임(LF)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지지대(20)와, 헤드지지대(20)에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31)이 구비되는 헤드유닛(30)과, 수지의 도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과, 노즐(31)이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며, 노즐(31)에 대하여 흡입력을 작용시켜 노즐(31)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노즐세정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은, 리드프레임(LF)을 도 1의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으로는, 예를 들면, 리드프레임(LF)이 지지되는 벨트와, 벨트와 연결되어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와, 복수의 풀리 중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으로는, 볼스크류장치 또는 리니어모터 등 리드프레임(LF)을 직선형으로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직선이송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헤드지지대(20)는 리드프레임(LF)이 이동되는 방향(Y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지지대(20)에는 헤드유닛(3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이동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헤드이동장치(50)로는, 예를 들면, 리니어모터나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송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헤드유닛(30)은, 헤드지지대(20)에 X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헤드이동장치(50)와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32)와, 제1지지부재(32)에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33)와,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는 시린지(34)와, 노즐(31)이 일체로 장착되고 시린지(34)와 연통되며 시린지(34)로부터 공급되는 수지가 노즐(31)을 통하여 간헐적으로 배출되도록 노즐(31)을 개폐하는 밸브장치(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32)와 제2지지부재(33)의 사이에는 제2지지부재(33)를 제1지지부재(32)에 대하여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60)로는,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송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노즐(31)은 밸브장치(35)를 통하여 제2지지부재(3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장치(60)의 구동에 의하여 노즐(31)이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시린지(34)에는 정압원(36)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정압원(36)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에 의하여 시린지(32)의 내부에 수용된 수지가 노즐(31)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반도체칩이 발광다이오드가 되는 경우, 시린지(34)에 수용되는 수지에는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밸브장치(35)는, 예를 들면, 내부에 노즐(31)에 인접되는 방향 및 노즐(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니들이 구비되고, 니들의 왕복적인 이동에 의하여 노즐(31)이 개폐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리드프레임(LF)상에는 복수의 도포영역이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배열되는데,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의 구동에 의한 리드프레임(LF)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리드프레임(LF)상에 Y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도포영역에 수지가 도포될 수 있으며, 헤드이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한 헤드유닛(30)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리드프레임(LF)상에 X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도포영역에 수지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60)의 구동에 의하여 노즐(31)이 리드프레임(LF)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리드프레임(LF)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노즐(31)이 리드프레임(LF)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하강한 때에 리드프레임(LF)상으로 수지를 토출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리드프레임(LF)과 노즐(31)이 최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리드프레임(LF)상에 수지가 정량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노즐(31)이 리드프레임(LF)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승한 때에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이 구동되면서 리드프레임(LF)이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헤드이동장치(50)가 구동되면서 노즐(31)이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31)과 리드프레임(LF)이 이동될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노즐(31)이 수평방향(X축방향) 및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리드프레임(LF)이 수평방향(Y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리드프레임(LF)상에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도포영역에 수지가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세정유닛(70)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노즐(31)의 토출구(311)에 대응되는 흡입구(721)를 가지는 튜브(72)와,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71)은 튜브(72)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노즐(31)로부터 제거된 후 튜브(72)로 유입된 수지를 흡입장치(73)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71)에는, 튜브(72)가 삽입되는 삽입구(711)가 관통될 수 있고, 내부공간으로부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712)가 관통될 수 있다.
튜브(72)는 하우징(71)의 배출구(712)에 끼워지는 것을 통하여 하우징(7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튜브(72)가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하우징(71)에 장착될 수 있다. 튜브(72)는 노즐(31)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노즐(31)과 인접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노즐(31)의 토출구(321) 부위에 흡입력이 적절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튜브(72)는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71) 및 튜브(72)는, 노즐(31)이 헤드지지대(20)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튜브(72)의 흡입구(721)에 인접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71) 및 튜브(72)는 리드프레임이송유닛(10)의 X축방향으로의 폭 방향 양측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토출구(311)와 튜브(72)의 흡입구(721)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의 토출구(311)와 튜브(72)의 흡입구(721)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유동하는 공기가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이 부착된 수지에 충돌하면서 수지가 노즐(31)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흡입장치(73)는 연결통로(74)를 통하여 하우징(71)의 배출구(712)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통로(74)에는 배출구(7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지를 여과하는 필터장치(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입장치(73)로는 진공펌프 또는 송풍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는, 헤드이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한 헤드유닛(30)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노즐(31)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흡입장치(73)의 구동에 의하여 하우징(71)의 내부공간 및 튜브(72)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되면,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위에 흡입력이 작용되면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노즐(31)로부터 박리되고, 노즐(31)로부터 박리된 수지가 튜브(72)의 흡입구(721)로 흡입되어 노즐(31)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을 통하여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31)의 세정과정은, 리드프레임(LF)의 도포영역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 중 미리 설정된 주기적인 시간간격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리드프레임(LF)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노즐(31)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되면서 노즐(31)로부터 수지를 제거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 노즐(31)은 헤드이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리드프레임(LF)상에 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리드프레임(LF)의 도포영역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노즐세정유닛(70)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노즐(31)을 세정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 노즐세정유닛(70)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71)에 길이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72)와,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71)에는 튜브(7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7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71)과 튜브(72)의 사이에 지지부재(76)가 개재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하우징(71)의 삽입구(711)에는 지지부재(76)가 수용되는 수용홈(713)이 형성되고, 튜브(72)에는 튜브(7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재(76)는 하우징(71)의 수용홈(713)의 일면과 튜브(72)의 연장부(723)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튜브(72)의 길이방향(Z축방향)으로의 탄성력을 튜브(72)에 작용시킨다. 지지부재(76)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튜브(72)의 흡입구(721)는, 노즐(31)의 토출구(311)의 내경에 비하여 큰 내경을 가지며, 노즐(31)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는,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튜브(72)는 하우징(71)의 삽입구(711)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튜브(72)의 외주면과 삽입구(71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튜브(72)의 외주면과 삽입구(711)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삽입구(711)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77)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77)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는, 헤드이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한 헤드유닛(30)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노즐(31)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60)의 구동에 의하여 노즐(31)이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장치(73)의 구동에 의하여 하우징(71)의 내부공간 및 튜브(72)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되고,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위에 흡입력이 작용되면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노즐(31)로부터 박리되고, 노즐(31)로부터 박리된 수지가 튜브(72)의 흡입구(721)로 흡입되어 노즐(3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은 외부로부터 밀폐되므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는 보다 큰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노즐(3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7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관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7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우징(71)의 내부에 작용되는 부압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노즐(31)의 일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노즐(31)로부터 수지를 제거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 노즐(31)은, 승강장치(60)의 구동에 의하여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상승되어 튜브(72)로부터 이격되고, 헤드이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리드프레임(LF)상에 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지지부재(76)는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로 삽입될 때 노즐(31)이 튜브(72)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 노즐(31) 및 튜브(7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부재(76)는 노즐(31)이 상승하여 튜브(72)로부터 이격될 때 튜브(72)에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튜브(7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노즐세정유닛(70)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일부를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하여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흡입력이 작용시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 노즐세정유닛(70)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71)에 길이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72)와,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73)와,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와 마찬가지로, 노즐(31)의 토출구(311)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며,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장치(78)는 노즐(31)이 튜브(72)의 내부에 삽입될 때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78)는, 튜브(72)의 연장부(723) 및 하우징(71)의 수용홈(713)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부재(781) 및 감지센서(7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장치(78)는 접촉부재(781)가 감지센서(782)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감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1)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 튜브(72)가 이동함에 따라 접촉부재(781)과 감지센서(782)가 서로 접촉할 때, 감지장치(78)는, 접촉부재(781)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감지센서(782)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튜브(72)가 이동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782)로는 접촉부재(781)가 가하는 미세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782)로 로드셀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감지장치(78)는 튜브(72)의 미세이동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장치(78)의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78)는, 튜브(72)의 연장부(723) 및 하우징(71)의 수용홈(713)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광센서(783) 및 반사부(7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장치(78)는, 광센서(783)에서 발광되어 반사부(784)에서 반사된 후 광센서(783)로 되돌아 오는 시간이나 광센서(783)에 맺히는 위치를 검출하여 광센서(783)와 반사부(784) 사이의 간격을 계측한다. 따라서, 감지장치(78)를 이용하여, 노즐(31)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 튜브(72)가 이동할 때, 튜브(72)가 어느 정도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40)은, 감지장치(78)에서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하여 승강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장치(78)에서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제어유닛(40)는 노즐(31)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때의 노즐(31)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때 튜브(72)의 이동변위가 감지장치(78)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계측된 노즐(31)의 실제이동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에 일치할 때, 제어유닛(40)은 노즐(31)이 정지될 수 있도록 승강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유닛(40)는 감지장치(78)에 의하여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에 근거하여 노즐(31)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될 때, 노즐(31)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에 일치하는 이동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에 미달하는 이동량으로 이동하여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아,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흡입력이 적절하게 작용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31)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을 초과하는 이동량으로 이동함에 따라 노즐(31)이 튜브(72)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노즐(31) 또는 튜브(72)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40)은, 감지장치(78)에서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하여 흡입장치(7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장치(78)에서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제어유닛(40)는 노즐(31)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때의 노즐(31)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1)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때 튜브(72)의 이동변위가 감지장치(78)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계측된 노즐(31)의 실제이동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에 일치할 때, 제어유닛(40)은 하우징(71) 및 튜브(72)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될 수 있도록 흡입장치(73)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될 때, 노즐(31)이 미리 설정된 기준이동량에 일치하는 이동량으로 이동된 경우에 한하여, 흡입장치(73)가 동작하여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위에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장치(73)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노즐(31)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 튜브(72)가 이동될 때,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78)를 구비하고, 감지장치(78)에서 감지된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근거로 하여 승강장치(60) 또는 흡입장치(7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 노즐세정유닛(70)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71)에 길이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72)와,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73)와, 하우징(71)을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이동장치(7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와 마찬가지로, 노즐(31)의 토출구(311)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토출구(311)가 튜브(72)의 흡입구(721)에 접촉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로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와 마찬가지로, 노즐(31)의 토출구(311)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며, 노즐(31)의 외주면이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이동장치(79)는,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액추에이터(791)와, 액추에이터(791)의 동력을 하우징(71)으로 전달하는 연결로드(7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우징이동장치(79)로 리니어모터나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송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노즐(31)의 토출구(311)가 튜브(72)의 흡입구(721)에 접촉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로 인접되거나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동장치(79)의 구동에 의하여 하우징(71)이 수직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노즐(31)의 토출구(311)가 튜브(72)의 흡입구(721)에 접촉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로 인접되는 동작이나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작은, 노즐(31)의 하강이동 없이 하우징(71)의 상승이동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으며, 노즐(31)의 하강이동 및 하우징(71)의 상승이동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노즐(31)의 하강이동 및 하우징(71)의 상승이동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노즐(31)의 토출구(311)가 튜브(72)의 흡입구(721)에 접촉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로 인접되는 동작이나 노즐(31)의 일부가 튜브(72)의 흡입구(721)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에서, 노즐세정유닛(70)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하우징(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노즐(31)의 토출구(311)에 대응되는 흡입구(721)를 가지는 튜브(72)와, 하우징(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72)는 하우징(7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72)는 하우징(71)에 길이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71)에는 튜브(7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7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72)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78)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71)의 내부에는 노즐(31)로부터 제거된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용기(715)가 배치될 수 있다. 노즐(31)로부터 제거된 수지가 수용용기(715)의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튜브(72)의 하단 일부는 수용용기(715)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72)의 하단과 수용용기(715)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유동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튜브(72)의 하단의 외경은 수용용기(715)의 내경에 비하여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흡입장치(73)의 구동에 의하여 하우징(71)의 내부공간 및 튜브(72)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되면,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위에 흡입력이 작용되면서 노즐(31)의 토출구(311)의 주변에 부착된 수지가 노즐(31)로부터 박리되고, 박리된 수지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유동하면서 수용용기(715)의 내부에 수용된다. 수용용기(715)는 작업자에 의하여 소정의 주기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수용용기(715)의 내부에 수용된 수지는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하우징(71)의 내부공간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우징(71)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우징(71)의 적어도 일면에는 작업자가 내부공간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창(71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투명창(714)을 통하여 수용용기(715)의 내부에 수용된 수지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용기(715)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노즐(31)로부터 제거된 수지가 수용용기(71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연결통로(74)에는 수지를 여과하는 필터장치(75)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는, 노즐세정유닛(70)의 하우징(71)의 내부에 노즐(31)로부터 제거된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용기(715)가 배치되므로, 노즐(31)로부터 제거된 수지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수지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성들은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30: 헤드유닛 31: 노즐
70: 노즐세정유닛 71: 하우징
72: 튜브 73: 흡입장치
77: 실링부재 78: 감지장치
79: 하우징이동장치 LF: 리드프레임

Claims (6)

  1. 리드프레임상으로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유닛; 및
    상기 노즐에 흡입력을 작용시켜 상기 노즐에 부착된 수지를 제거하는 노즐세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세정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 대응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튜브;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튜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세정유닛은,
    상기 튜브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노즐의 일부가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튜브의 이동변위에 근거하여 상기 노즐이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노즐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세정유닛은,
    상기 튜브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노즐의 일부가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튜브의 이동변위에 근거하여 상기 흡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세정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하우징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제거된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수지의 양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6. 삭제
KR1020120056812A 2012-05-29 2012-05-29 수지도포장치 KR10198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12A KR101982739B1 (ko) 2012-05-29 2012-05-29 수지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12A KR101982739B1 (ko) 2012-05-29 2012-05-29 수지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05A KR20130133505A (ko) 2013-12-09
KR101982739B1 true KR101982739B1 (ko) 2019-05-28

Family

ID=4998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812A KR101982739B1 (ko) 2012-05-29 2012-05-29 수지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1732B (zh) * 2020-08-28 2022-10-21 日商Towa股份有限公司 樹脂成型裝置及樹脂成型品之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6Y1 (ko) * 2000-05-26 2000-10-16 태석기계주식회사 정량 토출 장치의 노즐 세척장치
JP2012075976A (ja) * 2010-09-30 2012-04-19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6Y1 (ko) * 2000-05-26 2000-10-16 태석기계주식회사 정량 토출 장치의 노즐 세척장치
JP2012075976A (ja) * 2010-09-30 2012-04-19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1732B (zh) * 2020-08-28 2022-10-21 日商Towa股份有限公司 樹脂成型裝置及樹脂成型品之製造方法
US11999083B2 (en) 2020-08-28 2024-06-04 Towa Corporation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05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7817B2 (en) Contact lens transfer and material removal system
CN110756465B (zh) Pcb板检测擦拭一体机
KR101956797B1 (ko) 웨이퍼 용기의 가스공급장치
KR101635113B1 (ko) 반도체 스트립 그라인더
KR101982739B1 (ko) 수지도포장치
KR101544048B1 (ko) 필터 자동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KR101684803B1 (ko) 반도체 패키지들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 테이블
KR101489373B1 (ko) 반도체 장치용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이물질 제거장치
US20120037183A1 (en) Absorbent process for removing extraneous liquid from contact lens packaging prior to sealing
KR20110006008U (ko) 반도체 부품들을 위한 먼지 제거 장치
KR102664133B1 (ko) 반도체 소자 세정 장치
KR101848700B1 (ko) 자동 풉 세정장치
KR101207844B1 (ko) 진공 밸브
CN112706342B (zh) 树脂供给机构、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CN112750723B (zh) 清洗模块、切割装置以及切割品的制造方法
CN114160378A (zh) 一种点胶设备
CN112750740B (zh) 输送模块、切割装置以及切割品的制造方法
KR20220088280A (ko) Led용 렌즈 공급기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부착방법
KR102628648B1 (ko) 반도체 패키지 세정 장치
KR100806378B1 (ko) 트레이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트레이 세정 방법
KR101883636B1 (ko) 인 사이드 스프레이 장치
KR100555361B1 (ko) 화장품용기의 피스톤 조립장치
KR101852073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KR20060124412A (ko) 기판의 디스펜서 장치
KR20130119092A (ko) 전자부품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