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81B1 -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81B1
KR101982681B1 KR1020180085958A KR20180085958A KR101982681B1 KR 101982681 B1 KR101982681 B1 KR 101982681B1 KR 1020180085958 A KR1020180085958 A KR 1020180085958A KR 20180085958 A KR20180085958 A KR 20180085958A KR 101982681 B1 KR101982681 B1 KR 10198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ct
hood
joint member
s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수
Original Assignee
(주)세안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안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세안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18008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08B15/005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comprising a stationary main duct with one or more branch units, the branch units being freely movable along a sealed longitudinal slit in the main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 내부 오염발생원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후드와, 일측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타측으로 반송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외기로 방출하기 전에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와, 상기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와, 일측이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천정에는 상기 국소배기장치가 매립설치될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천정면에는 상기 후드와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는 다수개의 관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흡입덕트의 관절을 접어 상기 천정 내측 설치공간내에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후드가 수납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흡입덕트의 관절을 회동시켜 개구를 통해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펼쳐져 상기 후드가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국소배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천정에서 흡입덕트를 펼쳐 국소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장 내부에서 흡입덕트와 후드에 의한 간섭을 줄이고, 작업장 내부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정면에서 작업장 내로 펼쳐지는 흡입덕트가 복수개의 직선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흡입덕트와, 다관절로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도록 후드에 결합되는 제2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제1 흡입덕트를 펼쳐 오염발생원과의 대략적인 위치를 맞춘 다음, 작업자가 제2 흡입덕트의 관절부재에 힘을 가하여 후드의 입구를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함에 의해, 국소배기가 필요할 때마다 작업자가 흡입덕트를 펼치더라도 후드의 정위치 선정 작업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으며, 오염발생원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제2 흡입덕트를 회동시켜 간단하게 후드의 입구 위치를 재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흡입덕트를 이루는 각 관절부재의 중앙부분에 연장관부가 더 형성되어, 각 관절부재의 최대굽힘 각도를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동일 길이에서 관절부재의 갯수를 줄여 제2 흡입덕트의 전체하중을 경감시켜, 제2 흡입덕트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제2 흡입덕트 내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을 삽입시켜 후드의 하중에 의해 제2 흡입덕트가 쳐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후드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국소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Built-in Ceiling type local exhaust ventilator}
본 발명은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소배기장치를 천정에 매립시키고, 국소배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흡입덕트를 작업장 내로 펼쳐서 국소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근로자가 작업하고 있는 옥내 직장영역 안에 유해한 분진, 가스, 증기 등의 발생원이 존재하고 있을 때, 이것을 실내에 확산되지 않도록 발생원 근처에서 포집 제거하는 환기장치로서, 후드(hood)로 발생원을 둘러싸고, 그 유해오염물질을 그 발생원의 국부(局部)에서 포착하여, 이것을 덕트(duct)에 의해 공기정화기를 거쳐 송풍기(fan)로 이끌어 옥외로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국소배기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국소배기장치는 후드(1), 덕트(2), 공기정화기(3), 송풍기(4) 및 배기구(5)의 각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드(1)는 오염물이 발생하는 근원을 향하여 설치되며, 오염원을 포위할 수 없을 때는 되도록 발생하는 근원에 근접시켜서 설치된 개구에 흡입하는 기류를 일으켜서 오염공기를 후드 내측으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국소배기장치의 입구부분에 해당된다.
덕트(2)는 오염공기를 후드(1)로부터 공기정화기(3)를 통해 송풍기(4)까지 반송하는 흡입덕트(2a)와, 송풍기(4)에서 배기구(5)까지 반송하는 배기덕트(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덕트(2)내에 분진이 퇴적하지 않도록 최소풍속(반송속도)을 얻기 위한 단면적의 크기와 압력손실을 증대시키지 않기 위한 공작방법이 필요로 하게 된다.
공기정화기(3)는 후드(1), 흡입덕트(2a)에서 수집한 오염공기를 외기에 방출하기 전에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공기정화기(3)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장치와 가스, 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배기가스 처리장치로 구분된다.
송풍기(4)는 오염된 공기를 덕트(2)를 통해서 배기하기 위한 장치로, 소요의 베풍량, 압력손실에 알맞는 것을 선택해야 하며, 그 형식은 원심식과 축류식 등으로 구분된다.
배기구(5)는 덕트(2) 안의 공기를 대기로 방출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배기구(5)는 통상 비나 이슬이 침입하기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국소배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오염 발생원을 향하여 흡입덕트(2a)와 후드(1)가 작업장 내에 고정설치되어, 만일 작업장 내에서 오염 발생원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흡입덕트를 분리하여 다시 재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 1156595호에서는 흡입덕트를 관절형태로 구성하여 오염발생원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흡입덕트를 회동시켜 정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국소배기장치는 흡입덕트와 후드가 실내에 상시 배치되는 구조로, 작업장 내부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해 규모가 큰 장비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흡입덕트와 후드에 간섭되어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아울러, 작업장 내에서 오염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도, 이러한 국소배기장치가 작업장 내부에 불필요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장 내부를 이동하면서 부딪히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국소배기장치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작업장 내부에 오염원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국소배기장치를 천정에 매립시켜 작업장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천정 매립형 국소배기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1565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소배기장치를 천정에 매립시켜,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만 흡입덕트와 후드를 펼쳐 국소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발생원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후드가 배치되도록, 제1 흡입덕트 단부에 다관절 형태로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한 제2 흡입덕트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제2 흡입덕트를 구부리면서 간편하게 후드의 배치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 흡입덕트의 내측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을 삽입시켜, 후드의 하중을 지지하여 장시간 동안 사용하여도 후드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업장 내부 오염발생원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후드와, 일측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타측으로 반송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외기로 방출하기 전에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와, 상기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와, 일측이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천정에는 상기 국소배기장치가 매립설치될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천정면에는 상기 후드와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는 다수개의 관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흡입덕트의 관절을 접어 상기 천정 내측 설치공간내에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후드가 수납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흡입덕트의 관절을 회동시켜 개구를 통해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펼쳐져 상기 후드가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공기정화기와 연결되되, 일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흡입관과, 양측으로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흡입관을 회동시키는 회동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흡입덕트와, 상기 제1 흡입덕트와 상기 후드간을 연결시키되, 다수개의 관절을 이루도록 관절부재가 상호 억지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마찰력에 의해 특정 형상이 유지되는 제2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 상기 흡입관을 회동시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작업장 내측으로 제1 흡입덕트가 펼쳐지도록 하며, 작업자가 상기 관절부재가 억지끼움결합되는 마찰력 이상으로 관절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흡입덕트를 특정 형상으로 변형시켜 상기 후드가 상기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관절부재는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볼록한 형태의 삽입면이 형성되는 삽입관부와, 상기 삽입관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마찰면이 형성되는 인입관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입관부의 후방 단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관부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부와 상기 인입관부 사이에 연결되어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연장관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관부의 내측면은 상기 관절부재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절부재의 연결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흡입덕트의 내측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관절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 흡입덕트의 각 관절부재가 연결되는 간격과 상기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의 피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흡입덕트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국소배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천정에서 흡입덕트를 펼쳐 국소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장 내부에서 흡입덕트와 후드에 의한 간섭을 줄이고, 작업장 내부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정면에서 작업장 내로 펼쳐지는 흡입덕트가 복수개의 직선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흡입덕트와, 다관절로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도록 후드에 결합되는 제2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제1 흡입덕트를 펼쳐 오염발생원과의 대략적인 위치를 맞춘 다음, 작업자가 제2 흡입덕트의 관절부재에 힘을 가하여 후드의 입구를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함에 의해, 국소배기가 필요할 때마다 작업자가 흡입덕트를 펼치더라도 후드의 정위치 선정 작업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으며, 오염발생원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제2 흡입덕트를 회동시켜 간단하게 후드의 입구 위치를 재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흡입덕트를 이루는 각 관절부재의 중앙부분에 연장관부가 더 형성되어, 각 관절부재의 최대굽힘 각도를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동일 길이에서 관절부재의 갯수를 줄여 제2 흡입덕트의 전체하중을 경감시켜, 제2 흡입덕트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제2 흡입덕트 내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을 삽입시켜 후드의 하중에 의해 제2 흡입덕트가 쳐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후드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국소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국소배기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가 작업장 내 천정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국소배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를 천정에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흡입덕트가 후드에 고정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의 일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후드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에 의한 관의 최대굽힘 각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가 작업장 내 천정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국소배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를 천정에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는 작업장 내부 오염발생원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후드(100)와, 일측이 후드(100)에 연결되어 후드(100)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타측으로 반송시키고, 다수개의 관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덕트(200)와, 흡입덕트(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외기로 방출하기 전에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300)와, 공기정화기(300)에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400)와, 일측이 송풍기(400)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500)를 포함하여, 작업장 천정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000) 내에 상기와 같은 국소배기장치가 매립설치되되, 공기정화기(300) 및 송풍기(400)의 공기이동통로가 천정면과 동일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공간내에 설치되고, 천정면에는 상기 후드와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국소배기를 위해 후드(100)와 흡입덕트(200)를 작업장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개구(1100)가 작업장의 천정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는 평상시에 흡입덕트(200)의 관절을 접어 흡입덕트(200)와 후드(100)가 천정의 설치공간(1000) 내에 수납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만 흡입덕트(200)의 관절을 회동시켜 개구(1100)를 통해 흡입덕트(200)가 작업장 내부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장 내부에 국소배기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국소배기장치를 작업장 천정에 매립시켜 작업장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후드(100)와 연결된 흡입덕트(200)만을 작업장 내측으로 펼쳐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흡입덕트(200)는 천정면과 동일한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이 공기정화기(300)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회동기준축(202)이 결합되는 고정관(201)과, 일단이 회동기준축(202)에 축결합되되, 다수개의 관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관의 길이에 따라 일정 반경으로 회동되어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제1 흡입덕트(210)와, 후드(100)측에 연결되어 후드(100)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흡입덕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흡입덕트(210)는 직선형태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흡입관(211)과, 양측으로 흡입관(211)을 상호 연결시키는 회동조인트(212)를 포함하여, 회동조인트(212)를 중심으로 양측 흡입관(211)이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동조인트(212)는 톱니형태의 기어이가 원호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일측의 흡입관(211)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회동조인트(212)의 기어이에 고정시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내측에 모터를 설치하여 모터구동력에 의해 흡입관(211)이 자동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흡입덕트(220)는 제1 흡입덕트(210)와 후드(100)간을 연결시키고, 자유자재로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다수개의 관절로 각도조절이 되도록 하는 관절부재(221)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속체결되도록 하여, 상호 마찰력에 의해 제2 흡입덕트(220)가 특정 형상으로 유지된다. 아울러, 이러한 억지끼움을 위해 관절부재(221)는 탄성변화될 수 있도록 일정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흡입덕트(200)가 제1, 제2 흡입덕트(210, 220)로 구성되어 천정 내측으로 매립시킬 경우 신속하게 제1 흡입덕트(21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흡입덕트(200)가 수납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흡입관(211)을 회동기준축(20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켜 작업장 천정의 개구(1100)를 통해 흡입덕트(200)와 후드(100)가 작업장 내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제1 흡입덕트(210)의 각 흡입관(211)을 일정 반경으로 펼쳐 후드(100)가 오염발생원 근방에 대략적으로 위치되도록 회동각도를 조절한 다음, 제2 흡입덕트(220)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각 관절부재(221)가 억지끼움되는 마찰력 이상으로 관절부재(221)에 힘을 가하여 각 관절부재(221)를 필요 각도로 회동시켜 후드(100)의 입구부분이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흡입덕트가 후드에 고정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의 일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221)는 일정곡률로 전방에 배치된 관절부재(221)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관부(221a)와, 삽입관부(221a)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배치되는 다른 관절부재(221)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인입관부(221b)와, 삽입관부(221a)와 인입관부(221b) 사이에 연결되는 연장관부(2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관부(221a)는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볼록한 형태의 삽입면(221a')이 형성되어, 전방에 배치되는 인입관부(221b) 내측으로 삽입된다.
인입관부(221b)는 내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마찰면(221b')이 형성되어, 후방에 배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삽입관부(221a)가 인입관부(221b) 내측으로 삽입되어, 마찰면(221b')이 삽입면(221a')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마찰면(221b')과 삽입면(221a')이 이루는 곡률을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인입관부(221b)의 후방 단부의 내경을 삽입관부(221a)의 최대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관절부재(221)를 삽입시킬 경우, 전방에 배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인입관부(221b)가 탄성변화되면서 후방의 관절부재(221)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연장관부(221c)는 삽입관부(221a)와 인입관부(221b) 사이에 연결되어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슬라이딩면(221c')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관부(221c)는 전방에 설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인입관부(221b) 단부가 연장관부(221c)의 슬라이딩면(221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관절부재(221)의 결합각도가 변화된다.
이러한 연장관부(221c)는 외측면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지만, 연장관부(221c)의 내측면은 관절부재(221)의 중심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관절부재(221) 내측에서 기류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유연하게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연장관부(221c)가 추가적으로 더 형성된 본 발명의 관절부재(221)는 종래의 일반적인 관절부재(221)와 달리 관의 최대굽힘 각도를 훨씬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기류의 흐름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는, 도 7을 통해 종래 관절부재(221')와 비교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후드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에 의한 관의 최대굽힘 각도를 비교한 도면으로, 도 7a는 연장관부가 형성되지 않는 종래 관절부재로 이루어진 관의 굽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로 이루어진 관의 굽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관절부재(221')는 외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삽입관부(221a)와 연장관부(221c)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삽입관부(221a)와 연장관부(221c)의 사이 경계부분에서 오목부(a)가 발생되어, 관절부재(221')의 각도를 조절시키기 위해 관절부재(221')를 회동시키게 되면, 전방에 설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인입관부(221b) 단부면이 후방에 설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오목부(a)까지만 슬라이딩 될 수 있어, 관절부재(221')가 회동될 수 있는 각도가 크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221)는 도 7b에서와 같이, 전방에 결합되는 관절부재(221)의 인입관부(221b) 단부면이 후방에 결합되는 관절부재(221)의 연장관부(221c) 슬라이딩면(221c')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더 길게 회동가능하여 관절부재(221)가 회동될 수 있는 각도가 종래보다 더 커지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삽입관부(221a)와 연장관부(221c)를 동일한 규격으로 하여 종래 관절부재(221)와 비교한 결과, 종래 관절부재(221)는 최대굽힘 각도가 11°이며, 본 발명에서의 관절부재(221)는 연장관부(221c)의 길이 및 슬라이딩면(221c')의 각도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측정결과, 각 관절부재(221)마다 최대 15°까지 굽힐 수 있어, 동일한 간격에서 제2 흡입덕트(220)의 굽힘각을 더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관절부재(221)는 중간부분에 연장관부(221c)의 길이가 더 포함되어져, 종래 관절부재(221)보다 동일 길이에서 관절부재(221)의 갯수를 더 절감시킬 수 있어, 동일한 길이에서 종래보다 제2 흡입덕트(220)의 무게가 더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흡입덕트(220)의 무게를 감소시켜, 자중에 의한 제2 흡입덕트(220)의 처짐현상을 종래보다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종래 관절부재(221)의 내측면은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연속되며, 인입관부(221b)와 삽입관부(221a)가 연결되는 경계부분에 볼록부(b)가 형성되어 관절부재(221) 내측으로 오염공기가 이동되는 기류에 영향을 주게 되나, 본 발명은 연장관부(221c)의 내측면이 관절부재(221) 내측으로 이송되는 기류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져, 저항없이 기류가 유연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덕트내의 분진등이 퇴적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풍속을 설정하는데 더 유리하며, 압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 흡입덕트(220)의 단부에 후드(1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후드(100)의 하중에 의해 제2 흡입덕트(220)가 하방으로 쳐질수 있어,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흡입덕트(220) 내측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을 삽입시켜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흡입덕트 내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관절부재(221)의 연결방향을 따라 제2 흡입덕트(220)의 내측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이 삽입되어, 관절부재(22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은 제2 흡입덕트(220)의 각 관절부재(221)가 연결되는 간격과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의 피치가 동일하도록 제2 흡입덕트(220) 내측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의 일면이 관절부재(221)의 삽입관부(221a) 단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관절부재(221)의 내주연을 둘러가며 후방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관절부재(221)의 삽입관부(221a) 단부면에 동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각 관절부재(221)마다 동일한 탄성력으로 후드(100)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매립형 국소배기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매립형 국소배기장치는 작업장 천정 설치공간(1000) 내에 설치되되, 작업장 내부 국소배기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국소배기장치가 상시 천정 내부에 매립되어 작업장 영역 내에서는 간섭없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장 내에 오염공기가 발생될 경우, 천정면의 개구(1100)를 통해 설치공간(1000)에 매립되어 있던 흡입덕트(200)와 후드(100)가 오염발생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원격으로 리모컨을 통해 제1 흡입덕트(210)를 구동시켜 모터회전력에 의해 제1 흡입덕트(210)가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거나, 수작업으로 작업자가 흡입관(211)을 당겨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흡입관(211)이 펼쳐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제2 흡입덕트(2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관절부재(221)가 억지끼움결합되는 마찰력 이상으로 관절부재(221)에 힘을 가하여 후드(100)의 입구가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회동시킨다.
이때, 제2 흡입덕트(220) 내부에는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230)이 삽입되어, 장시간 동안 장비가 운용되어도 후드(100)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후드(100) 배치가 완료되면, 송풍기(400)를 가동시켜 오염공기가 후드(100)를 통해 흡입덕트(200)로 유입되도록 하며, 유입되는 오염공기는 공기정화기(300)에서 정화된 다음, 배기덕트(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절차를 통해 국소배기가 완료된 다음에는, 다시 제1 흡입덕트(210)를 접어 천정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여, 작업장 내부로 국소배기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후드
200 : 흡입덕트 201 : 고정관
202 : 회동기준축 210 : 제1 흡입덕트
211 : 흡입관 212 : 회동조인트
220 : 제2 흡입덕트 221 : 관절부재
221a : 삽입관부 221a' : 삽입면
221b : 인입관부 221b' : 마찰면
221c : 연장관부 221c' : 슬라이딩면
230 :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
300 : 공기정화기
400 : 송풍기
500 : 배기덕트
1000 : 설치공간 1100 : 개구

Claims (6)

  1. 작업장 내부 오염발생원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후드와, 일측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타측으로 반송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외기로 방출하기 전에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와, 상기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와, 일측이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천정에는 상기 국소배기장치가 매립설치될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정화기 및 송풍기의 공기이동통로가 천정면 연장 방향과 동일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설치공간내에 설치되고, 천정면에는 상기 후드와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는 다수개의 관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흡입덕트의 관절을 접어 상기 천정 내측 설치공간내에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후드가 수납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흡입덕트의 관절을 회동시켜 개구를 통해 흡입덕트가 작업장 내부로 펼쳐져 상기 후드가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천정면 연장 방향과 동일한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공기정화기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회동기준축이 결합되는 고정관과,
    상기 회동기준축에 축결합되되, 일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흡입관과, 양측으로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흡입관을 회동시키는 회동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흡입덕트와,
    상기 제1 흡입덕트와 상기 후드간을 연결시키되, 다수개의 관절을 이루도록 관절부재가 상호 억지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마찰력에 의해 특정 형상이 유지되는 제2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관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상기 설치공간 내측에 수납되도록 하며, 국소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을 상기 회동기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작업장 내측으로 제1 흡입덕트가 펼쳐지도록 하며, 작업자가 상기 관절부재가 억지끼움결합되는 마찰력 이상으로 관절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흡입덕트를 특정 형상으로 변형시켜 상기 후드가 상기 오염발생원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관절부재는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볼록한 형태의 삽입면이 형성되는 삽입관부와,
    상기 삽입관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마찰면이 형성되는 인입관부와,
    상기 인입관부의 후방 단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관부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부와 상기 인입관부 사이에 연결되어 외측면에 일정곡률로 오목한 형태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연장관부를 포함하여,
    전방에 결합되는 관절부재의 인입관부 단부면이 후방에 결합되는 관절부재의 연장관부 슬라이딩면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부의 내측면은 상기 관절부재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재의 연결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흡입덕트의 내측에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관절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 흡입덕트의 각 관절부재가 연결되는 간격과 상기 처짐방지용 코일 스프링의 피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흡입덕트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KR1020180085958A 2018-07-24 2018-07-24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KR10198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58A KR101982681B1 (ko) 2018-07-24 2018-07-24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58A KR101982681B1 (ko) 2018-07-24 2018-07-24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681B1 true KR101982681B1 (ko) 2019-08-28

Family

ID=6777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58A KR101982681B1 (ko) 2018-07-24 2018-07-24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36Y1 (ko) *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JP2005055126A (ja) * 2003-08-07 2005-03-03 Kanden Fudosan Kk レンジフード
KR20090019740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 장치
KR101156595B1 (ko) 2012-03-22 2012-06-20 전광수 관절형 국소배기장치
JP2012220019A (ja) * 2011-04-11 2012-11-12 Takayasu Okubo フレキシブルパイプ
KR101535444B1 (ko) * 2015-01-23 2015-07-14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국소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36Y1 (ko) *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JP2005055126A (ja) * 2003-08-07 2005-03-03 Kanden Fudosan Kk レンジフード
KR20090019740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 장치
JP2012220019A (ja) * 2011-04-11 2012-11-12 Takayasu Okubo フレキシブルパイプ
KR101156595B1 (ko) 2012-03-22 2012-06-20 전광수 관절형 국소배기장치
KR101535444B1 (ko) * 2015-01-23 2015-07-14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국소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754B2 (en) Conical air filter
US8038175B2 (en) HVAC duct assembly and support
EP1688676A3 (en) Ventilation system
KR101964960B1 (ko) 플렉시블 관절형 연결덕트의 처짐방지 구조
US20140202540A1 (en) Pliable air ducts with anti-condensation nozzles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982681B1 (ko)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KR101533645B1 (ko) 배기흡입 유속을 이용하는 무동력 스윌러 국소배기장치
KR101156595B1 (ko) 관절형 국소배기장치
US5472514A (en) Duct cleaning method
JP5570017B2 (ja) 空調システム
AU2010201469B2 (en) A damper assembly incorporating blade guard means
JP5108674B2 (ja) 空調装置
US7644956B2 (en) Flexible duct sleeve
US1228931A (en) Ventilating apparatus.
JP2006010103A (ja) ノズル空調吹出し装置
CN109163408B (zh) 换气装置
US201603130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irflow to a Room
KR101456681B1 (ko) 터널 환기용 제트 팬 연결 장치
JP2007192530A (ja) 大空間用送風ユニット
CN210463438U (zh) 一种厂房用净化通风系统
US8353745B1 (en) Polycarbonate support for ducts
JP2001330303A (ja) クリーンルーム設備
CA2583540A1 (en) An apparatus for duct cleaning
KR200164658Y1 (ko) 공조용 공기 토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