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44B1 -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44B1
KR101535444B1 KR1020150011038A KR20150011038A KR101535444B1 KR 101535444 B1 KR101535444 B1 KR 101535444B1 KR 1020150011038 A KR1020150011038 A KR 1020150011038A KR 20150011038 A KR20150011038 A KR 20150011038A KR 101535444 B1 KR101535444 B1 KR 10153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body
unit
insertion portion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to KR102015001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가스, 악취, 먼지 등을 걸러낸 후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오염된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외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드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팬; 상기 외기 유입구와 흡입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알림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소배기장치{Local ventilator}
본 발명은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가스, 악취, 먼지 등을 걸러낸 후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오염된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소배기장치는 청정한 대기 조건이 요구되는 연구실이나 공장 내부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부분적인 오염원이 배기구와 멀리 떨어진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경우나 다른 설치물에 의해 배기구가 오염원 근처에 설치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순간적인 오염원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3511호에는 종래의 국소배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흡입되는 오염물질이 본체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플렉시블암(21)과, 플렉시블암의 내부에 적어도 둘 이상 설치되어 플렉시블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관절로 구성되며, 탄성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동 아암(20)과; 회동 아암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오염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30)와; 본체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40); 및 송풍팬과 배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며, 송풍팬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필터(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필터의 청소 및 교환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필터에 오염물질이 적체되어 필터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고 곰팡이 및 세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오히려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필터의 청소 및 교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 수 없고, 사용자가 임의로 판단하여 필터를 교체함으로써 필터의 적절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소배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필터의 교체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적절한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외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드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블로어; 상기 외기 유입구와 블로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블로어에 포함되어 있는 흡입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알림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블로어가 장착되어 있는 제1 본체와, 상기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본체로 전달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로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본체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걸러내는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는 카본필터와, 상기 카본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걸러내는 미디엄필터와, 상기 미디엄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0.3㎛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염물을 걸러내는 헤파필터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드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인입부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의 삽입부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의 인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입부에 삽입된 삽입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인입부와 삽입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연결부재의 결합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고리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블로어에 포함되어 있는 흡입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흡입팬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어부에 의해 알림부가 작동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적절한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 본체로 전달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제1 본체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와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정체를 최소화하여 외부 공기가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의 후드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수를 조절하여 후드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기 용이하고, 각각의 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하여 후드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결합되어 있는 후드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다수의 연결부재 중 일부만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돔후드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돔후드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블로어(200), 필터부(300), 제어부(미도시), 알림부(미도시) 및 후드부(4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제1 본체(110)에는 블로어(200)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본체(120)는 제1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본체(120)에는 필터부(3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본체(120)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21) 및 외기 유입구(12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 본체(110)로 전달하는 유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22)는 외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의 면적이 제1 본체(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본체(120)의 상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외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정체를 최소화하여 외부 공기가 본체(10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본체(120)에는 필터부(300)를 교체하기 위한 개폐도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국소배기장치의 작동상태 및 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정보의 입력 및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식 모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테이블 위나 기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에 바퀴(미도시)를 장착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블로어(200)는 본체(100)에 장착되어 후드부(40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블로어(200)는 흡입팬(210) 및 흡입팬(21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 그리고 흡입팬(210)의 상부에서 필터부(300)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흡입팬(210)으로 유도하는 벨마우스(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모터는 BLDC모터이고, 벨마우스(220)는 필터부(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흡입팬(210)이 위치한 방향인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300)는 외기 유입구(121)와 흡입팬(210)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300)는 프리필터(310)(PRE filter), 카본필터(320), 미디엄필터(330)(Medium filter} 및 헤파필터(340)(HEPA filter)가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프리필터(310)는 유로(122)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을 1차로 걸러낸다. 카본필터(320)는 프리필터(31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한다. 미디엄필터(330)는 카본필터(320)를 통과한 공기가 헤파필터(340)를 통과하기 전에 공기에 잔류하고 있는 비교적 큰 입자의 오염물을 먼저 걸러낸다. 그리고 헤파필터(340)는 미디엄필터(33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0.3㎛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염물을 걸러내어 최종적으로 공기를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필터부(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는 흡입팬(210)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흡입팬(210)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알림부를 작동시킨다. 국소배기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필터부(300)에는 오염물이 적체된다. 이와 같이 필터에 오염물이 적체되면 흡입팬(210)의 회전수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에 오염물이 적체되었을 때의 흡입팬(210)의 회전수를 제어부에 미리 저장한 후, 실제 국소배기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흡입팬(210)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어부에 의해 알림부가 작동되도록 한다.
알림부는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필터부(300)의 교체시기를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알림부는 스피커, 비상등, 필터부(300)의 교체가 필요함을 표시하는 모니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림부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필터부(300)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다.
후드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재(410)와 돔후드(420)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연결부재(410)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410)는 삽입부(411)와 인입부(412)로 이루어진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412)는 삽입부(411)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11)의 길이는 인입부(4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인입부(412)의 후방 단부의 내경은 삽입부(411)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연결부재(410)는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삽입부(411)가 인입부(412)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고, 서로 결합된 연결부재(410)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인입부(412)의 내경이 최대인 지점으로부터 인입부(412)의 후방 단부까지의 길이(S)는 삽입부(411)의 외경이 최대인 지점으로부터 삽입부(411)의 후방 단부까지의 길이(L)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인입부(412)의 외주면에는 고리부(413)가 돌출 형성되고, 고리부(413)에는 결합공(4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부(411)의 외주면과 인입부(412)의 내주면은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부(412)에 삽입되는 삽입부(411)는 외주면이 인입부(41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삽입부(411)와 인입부(41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연결부재(410)의 결합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찰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된다.
돔후드(420)는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10) 중 최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10) 중 최후방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10)는 제2 본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외기 유입구(12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후드부(400)는 돔후드(420)를 포함하지 않고 연결부재(41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연결부재(410)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410)의 삽입부(411)가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410)의 인입부(4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재(410)를 제1 연결부재(410a)와 제2 연결부재(410b)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410a)는 제1 삽입부(411a)와 제1 인입부(412a)로 이루어지며, 제2 연결부재(410b)는 제2 삽입부(411b)와 제2 인입부(41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부(411b)는 제1 인입부(412a)에 삽입에 삽입되고, 제1 연결부재(410a)는 제2 삽입부(411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410a)는 제2 삽입부(411b)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410a)와 제2 연결부재(410b)의 결합각도를 변경하여 서로 결합된 연결부재(410a,410b)를 절곡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부(411b)를 중심으로 제1 연결부재(410a)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10a)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되거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 제1 연결부재(410a)와 제2 연결부재(410b)는 제1 인입부(412a)와 제2 삽입부(411b)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절곡 또는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410)를 절곡시키거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사용자가 연결부재(410)의 인입부(412)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413)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410)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키거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414)이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413)와 벽면 또는 구조물 등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B)을 결합시켜 연결부재(410)를 벽면이나 구조물 등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연결부재(410)에 결합되는 조명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500)는 고리부(41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414)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돔후드(420)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10)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연결부재(410)는 상호 결합되는 수를 조절하여 후드부(40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인 국소배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제1 본체, 120 : 제2 본체, 121 : 외기 유입구, 122 : 유로,
200 : 블로어, 210 : 흡입팬, 220 : 벨마우스,
300 : 필터부, 310 : 프리필터, 320 : 카본필터, 330 : 미디엄필터, 340 : 헤파필터,
400 : 후드부, 410 : 연결부재, 411 : 삽입부, 412 : 인입부, 413 : 고리부, 414 : 결합공, 420 : 돔후드,
500 : 조명부,

Claims (6)

  1.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외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드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블로어; 상기 외기 유입구와 블로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블로어에 포함된 흡입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알림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후드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후드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인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입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고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블로어가 장착되어 있는 제1 본체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본체로 전달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로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본체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걸러내는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는 카본필터와, 상기 카본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걸러내는 미디엄필터와, 상기 미디엄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0.3㎛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염물을 걸러내는 헤파필터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의 삽입부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의 인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입부에 삽입된 삽입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인입부와 삽입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연결부재의 결합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11038A 2015-01-23 2015-01-23 국소배기장치 KR10153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38A KR101535444B1 (ko) 2015-01-23 2015-01-23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38A KR101535444B1 (ko) 2015-01-23 2015-01-23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444B1 true KR101535444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38A KR101535444B1 (ko) 2015-01-23 2015-01-23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60B1 (ko) 2018-07-24 2019-04-02 (주)세안아이앤티 플렉시블 관절형 연결덕트의 처짐방지 구조
KR101982681B1 (ko) * 2018-07-24 2019-08-28 (주)세안아이앤티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728A (ja) * 1999-11-29 2001-06-05 Sharp Corp フィルター目詰まり検知装置
KR200331093Y1 (ko) * 2003-06-24 2003-10-22 주식회사 아이에스애드 광고판이 부설된 공기청정기
KR20040086224A (ko) * 2004-08-19 2004-10-08 코아텍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
US20120219462A1 (en) * 2009-11-04 2012-08-30 Atsuo Nozaki Cleaning filter, air cleaning device using same, and air cleaning maintena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728A (ja) * 1999-11-29 2001-06-05 Sharp Corp フィルター目詰まり検知装置
KR200331093Y1 (ko) * 2003-06-24 2003-10-22 주식회사 아이에스애드 광고판이 부설된 공기청정기
KR20040086224A (ko) * 2004-08-19 2004-10-08 코아텍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
US20120219462A1 (en) * 2009-11-04 2012-08-30 Atsuo Nozaki Cleaning filter, air cleaning device using same, and air cleaning maintenanc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60B1 (ko) 2018-07-24 2019-04-02 (주)세안아이앤티 플렉시블 관절형 연결덕트의 처짐방지 구조
KR101982681B1 (ko) * 2018-07-24 2019-08-28 (주)세안아이앤티 천정매립형 국소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2016B (zh) 个性化空气净化装置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US11555604B2 (en) Airflow-channeling surgical light system and method
JP5377902B2 (ja) 個別換気飼育ケージ・ユニット
KR101535444B1 (ko) 국소배기장치
KR20190009578A (ko) 임펠러회전형 황사유입방지장치
WO2016024351A1 (ja) 空気清浄機
US20170065921A1 (en) Air purifier
KR102258030B1 (ko) 집진 기류 유인팬
JP2008241143A (ja) 空気調和機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JP2011031019A (ja) 感染防止装置および感染防止システム
JP2010075664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空気清浄装置
KR101916881B1 (ko) 공기 누설 방지 구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2006271614A (ja) 空気清浄機
KR101535443B1 (ko) 국소배기장치용 후드 조립체
JP2008517740A (ja) ファンユニット
KR20180056988A (ko) 공기청정기
JP2008107056A (ja) 床下利用空気清浄化システム
JP5372647B2 (ja) 感染防止装置および感染防止システム
KR20160027292A (ko) 공기청정기
EP3895780A1 (en) Negative air filtration system
WO2020079789A1 (ja) 空気清浄装置
JP2005201488A (ja) ゾーン浄化システム
JP2022511946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