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77B1 -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 Google Patents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77B1
KR101982677B1 KR1020170045333A KR20170045333A KR101982677B1 KR 101982677 B1 KR101982677 B1 KR 101982677B1 KR 1020170045333 A KR1020170045333 A KR 1020170045333A KR 20170045333 A KR20170045333 A KR 20170045333A KR 101982677 B1 KR101982677 B1 KR 101982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activity
time interval
user
type
activ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91A (ko
Inventor
정해권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스왈라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왈라비(주) filed Critical 스왈라비(주)
Priority to KR102017004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가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a)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는 단계; (e)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METHOD AND APPARATUS FORPROVIDING PHYSICAL ACTIVITY INFROMATION OF USER BY COMMUNICATING WITH PLURALITY OF USER TERMINAL}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가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과 통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널리 확산되면서 헬스장, 수영장과 같이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장소 이외의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량을 사용자가 인지하고자 하는 니즈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니즈는, 특히, 정보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기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제공하는 신체활동량은, 하나의 기기에서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는데에 불과하다. 즉,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기기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신체활동량을 제공할 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과 웨어러블 기기를 번갈아가며 소지한 채 운동한 경우의 통합 신체활동량을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의미있는 신체활동량을 구분하여 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중에 측정된 신체활동량 정보와 일상 생활에서 측정된 신체활동량 정보를 구별하여 확인하고 싶은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초기화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신체활동 데이터를 수집되도록 해야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139922호(발명의 명칭: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중첩적으로 획득되는 신체활동량을 통합하면서도, 사용자의 연속성 있는 신체활동량을 식별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a)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는 단계; (e)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신체활동량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고,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하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경우라도 각 단말에서 통합된 신체활동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자신의 신체활동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연속적/비연속적 신체활동을 감지함으로써 연속적 신체활동에 따른 신체활동량을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신체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가 복수의 시간 구간을 그룹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로부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이, 해당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 일례이다.
도 6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가 제공한 신체활동 경로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이 신체활동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는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가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동기화된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시스템(10)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체활동량 제공 시스템(10)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에 기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0a)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200b)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a)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플릿 PC 등과 같은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b)는 예를 들어, HMD(Head Mounted Device) 기기, 스마트 밴드,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 벨트, 신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홈 기기는 스마트온도 조절 기기, 스마트 경보 시스템, 스마트 조명 시스템 등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기기(200b)는 휴대 단말기(200a)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두 장치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은, 웨어러블 기기(200b)가 휴대 단말기(200a)에 기 등록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200a)가 웨어러블 기기(200b)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에 접근하거나 사용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접근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아이디(ID),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에 접근한 사용자 단말(200)과 연계된 웨어러블 기기(200b) 또는 휴대 단말기(200a))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사용자가 이용중인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하나의 아이디에 등록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200b)를 착용한 채 운동을 한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한다. 종래의 신체활동 측정 방식은 각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에 불과했다. 이는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자신의 신체활동량을 인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통합적인 신체활동량을 파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신체활동의 유형,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연속적인 신체활동량을 그룹핑하고,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신체활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신체활동량을 인지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가 복수의 단말과 통신하여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20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 구간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간에 동기화된 시간 구간 또는 비동기화된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시간 구간이 비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간 구간이 동기화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기 설정된 시간 구간은 60 초일 수 있으며, 기준시를 기준으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간에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되는 신체활동 데이터는 각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사용자 단말(200)은 측정된 센서값이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 신체활동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임계시간보다 작은 시간 동안에서만 센서값이 측정된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 신체활동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임계값 이상 크기를 가지며,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의 센서값들의 집합을 수신함으로써, 의미있는 신체활동량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서버와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200)은 비활동 상태인 것으로 추정한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이를 위해, 먼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각 사용자 단말의 우선 순위 및 신체활동 데이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의 우선 순위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우선 순위가 휴대 단말기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사용자 단말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를 제공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이 서로 다른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를 제공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이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거나 사용자 단말(200)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즉,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는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에 비례하며,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인 경우에 다른 사용자 단말보다 더 큰 값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신체활동 데이터가 가장 높은 신체활동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한다. 즉,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 후, 가장 큰 크기의 신체활동 데이터를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로 결정한다.
한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GPS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측정되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각 사용자 단말(200)은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 장치가 접근하는 셀(cell)의 위치에 기반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각 시간 구간에 대해 사용자 단말(200) 별로 임시적으로 저장하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가 생성될 때,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외한 다른 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즉,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해당 시간 구간에 대해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로 결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합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각 사용자 단말(200)은 배터리 잔량에 따라,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및 측정/전송 주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배터리 잔량이 임계 배터리 잔량보다 높으면 GPS 좌표 정보를 측정하고, 배터리 잔량이 임계 배터리 잔량 이하이면 셀의 위치에 기반한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배터리 잔량에 반비례하여 위치 정보의 측정/전송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의 이전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현재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한다(S120). 예컨대, 사용자가 오전 시간에 걸어서 출근을 한 후, 점심 시간에 산책을 하며, 저녁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오전 시간에 출근 시간 동안의 신체운동량, 산책 시의 신체운동량 및 저녁 운동 수행에 따른 신체운동량을 구분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을 그룹핑함으로써, 연속적인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대응하는 신체활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활동 유형을 결정한다. 신체활동 유형은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 해당 시간 구간 내의 위치 변화를 기준으로 '빨리 걷기' 유형(또는 '파워워킹' 유형), '걷기' 유형 및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하나의 시간 구간 내에서의 위치 정보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최대 이동가능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교통수단을 탑승함에 따라 신체활동 데이터가 측정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이동가능 거리는,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사용자가 최대한 빠르게 움직일 경우,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 값으로서, 표준 사람을 기준으로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들의 변화량이 최대 이동가능 거리를 벗어나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해당 신체활동 데이터를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하며, 해당 신체활동 데이터를 '0'으로 변환한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하나의 시간 구간 내의 위치 변화가 기 설정된 최대 이동가능 거리 이내이면, 신체활동 데이터를 기 설정된 임계값들과 비교한다. 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가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빨리걷기' 유형(또는 '파워워킹' 유형)으로 구분하며(제1 임계값>제2 임계값), 제2 임계값 이하이고 제3 임계값 이상이면 '걷기' 유형으로 구분한다(제2 임계값>제3 임계값). 또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해당 시간 구간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체활동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0'으로 추정하여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한다. 한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된 시간 구간이 일정 개수 이상(예컨대, 10개, 20개 등)이면, '수면'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활동 유형은 상기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현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거나, 명명될 수 있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현재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유형이 비활동 유형 이외의 걷기 유형 또는 빠른걷기 유형인 경우, 해당 신체활동 유형과 동일한 신체활동 유형의 이전 시간 구간을 검색한다. 즉,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의 신체활동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신체활동의 연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현재 시간 구간과 검색된 시간 구간 사이에 비활동 유형의 비활동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이전 시간 구간, 비활동 시간 구간 및 현재 시간 구간을 그룹핑한다. 예를 들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제1 내지 제3 시간 구간에 대해, 제1 및 제3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유형이 '걷기' 유형이고, 제2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유형이 '비활동' 유형이면, 제1 내지 제3 시간 구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통합할 수 있다. 이때, '비활동' 유형에 대응하는 신체활동 데이터는 '0'이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신체활동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도 3 및 도 4 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복수의 시간 구간을 그룹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을 착용 및/또는 소지한 사용자가 '집'을 나서 'XX 편의점'을 들려 아침을 먹은 후 '회사'로 걸어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착용 및/또는 소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2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2)는 제1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1)와 동일 신체활동 유형(예컨대, 빨리걷기 유형 또는 걷기 유형)이므로, 제1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XX 편의점'에 들어감에 따라 제3 시간 구간 및 제4 시간 구간에서는 신체활동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3 및 제4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3, 304)를 '0'으로 추정하며,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한다. 또한, 제3 및 제4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3, 304)는 제2 그룹으로 그룹핑된다.
이후, 사용자가 'XX 편의점'을 나와 다시 걷기 시작함에 따라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5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5)를 생성한다.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제1 내지 제4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1 내지 304)를, 제5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305)와 비교한다. 제5 신체활동 데이터(305)와 제 3 및 4 신체활동 데이터(303, 304)는 상이한 신체활동 유형을 나타내므로, 제 5 시간 구간은 제2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5 신체활동 데이터(305)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제1 및 제 2 신체활동 데이터(301, 302)와 동일한 신체활동 유형을 나타내므로 제1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한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1, 제2 및 제 5 시간 구간이 그룹핑됨에 따라 제2 그룹을 제1 그룹으로 통합할 수 있다. 즉,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신체활동이 제1 그룹의 신체활동의 일부로 추정한 후, 하나의 연속적인 신체활동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회사에 도착할 때까지 생성되는 제6 및 제 7 시간 구간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1 내지 제 5 시간 구간과 함께 제1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사용자의 신체활동은 하나의 신체활동 그룹으로 그룹핑된다.
도 4에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을 착용 및/또는 소지한 사용자가 '집'을 나서 교통수단(예컨대, 버스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후 타고 '회사' 근처에 내려 회사로 걸어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2 시간 구간에서, 교통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2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2, 403)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제2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2, 403)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의 변화량은 기 설정된 최대 이동가능 거리를 벗어나므로,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3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에 대해서도 제2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활동' 유형으로 구분한 후, 제2 및 제3 시간 구간을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제4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4)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제1 내지 제3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1, 402, 403)와 비교한다. 제1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1)와 제4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404)는 동일한 '걷기' 유형을 나타내므로, 제2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4 시간 구간 사이의 제2 및 제3 시간 구간이 '비활동' 유형이므로, 제2 및 제3 시간 구간은 제1 및 제4 시간 구간과 함께 제2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사용자의 신체활동은 하나의 신체활동 그룹으로 그룹핑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한다(S130). 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그룹핑된 시간 구간 내의 하나 이상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합을 기초로 해당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신체활동량은 예를 들어, 걸음 수 등일 수 있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40). 도 5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부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 일례이다. 도 5의 501 내지 5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그룹핑된 시간 구간에서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에 대한 정보를 시간순으로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그룹핑된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511), 그룹핑된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신체활동량 정보(예컨대, 걸음 수)(512), 신체활동 유형 정보(513)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정보를 기초로 누적 신체활동량 정보(521)를 제공할 수 있으며, 누적 신체활동량 정보를 기초로 소모된 칼로리량(522) 및 이동 거리량에 관한 정보(523)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그룹핑된 시간 구간에서 수집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즉, 통합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신체활동 경로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제공한 신체활동 경로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200)이 신체활동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는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비동기화된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비동기화된 시간 구간에서 감지되는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200a)는 60초 간격으로 제1 신체활동 데이터(701)를 전송하고, 웨어러블 기기(200b)는 40초 간격으로 제2 신체활동 데이터(702)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으로 각 기기에서 획득된 제1 및 제2 신체활동 데이터(701, 702)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동적으로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신체활동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다른 신체활동 데이터가 수신되기 이전까지를 하나의 제1 시간 구간(711)으로 설정하며, 이후 웨어러블 기기(200b)로부터 신체활동 데이터가 획득되면 제1 시간 구간(711)을 종료한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200a) 및 웨어러블 기기(200b)로부터 제1 및 제2 신체활동 데이터가 획득되는 제2 시간 구간(712)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의 S110 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200a)로부터 제1 신체활동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제2 시간 구간(712)을 종료하고 제3 시간 구간(713)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일정 시간 내의 복수의 시간 구간을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의 S120 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걷기 유형의 제1 그룹(721)과 빠른걷기 유형의 제2 그룹(722)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신체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 유형을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200)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 및 해당 신체활동 데이터에 따른 신체활동 유형을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체활동 데이터 및 신체활동 유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 및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활동 유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신체활동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은 각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의 구성들은,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7 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여도, 도 1 내지 도 7에서 앞서 설명된 내용들은, 도 8 의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는 프로세서(processor)(810), 메모리(memory)(820) 및 통신부(communication circuit)(88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 및 통신부(8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RAM(Random Access Memory)(미도시), ROM(Read-Only Memory)(미도시), CPU(미도시), GPU(Graphic Processing Unit)(미도시) 및 버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RAM, ROM, CPU 및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결정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0)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고,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신체활동량은 사용자의 걸음 수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10)는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가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820)는 신체활동량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8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통신부(880)는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100)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또는 다른 서버 등과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880)는 이동통신 칩(미도시), 유선 통신 칩(미도시), 와이파이 칩(미도시), 무선 통신 칩(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신체활동량 제공 시스템
100: 신체활동량 제공 서버
200: 사용자 단말
200a : 휴대 단말기
200b: 웨어러블 기기

Claims (12)

  1. 서버가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상기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는 단계;
    (e) 상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신체활동 유형은,
    각 시간 구간의 위치 변화량 및 각 시간 구간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이고,
    비활동 유형, 걷기 유형 및 빠른 걷기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c) 단계는
    (c-1) 현재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신체활동 유형이 걷기 유형 또는 빠른 걷기 유형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 동일한 신체활동 유형의 이전 시간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 및
    (c-3) 상기 현재 시간 구간과 상기 검색된 이전 시간 구간 사이에 비활동 유형의 비활동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이전 시간 구간, 상기 비활동 시간 구간 및 현재 시간 구간을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 및 사용자 단말의 우선순위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c-2)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크기의 신체활동 데이터를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웨어러블 기기의 우선순위가 휴대 단말기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각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되는 방법 및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h) 상기 그룹핑된 시간 구간에서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신체활동 경로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값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따른 센서값이 임계값 이상이며,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수집된 것인, 신체활동량 제공 방법.
  11.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신체활동량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신체활동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이전 시간 구간들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신체활동 유형을 기초로, 상기 시간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결정하며,
    상기 그룹핑된 시간 구간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 및 신체활동 유형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신체활동 유형은,
    각 시간 구간의 위치 변화량 및 각 시간 구간의 통합 신체활동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이고,
    비활동 유형, 걷기 유형 및 빠른 걷기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 구간의 신체활동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신체활동 유형이 걷기 유형 또는 빠른 걷기 유형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 동일한 신체활동 유형의 이전 시간 구간을 검색하고,
    현재 시간 구간과 상기 검색된 이전 시간 구간 사이에 비활동 유형의 비활동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이전 시간 구간, 상기 비활동 시간 구간 및 현재 시간 구간을 그룹핑하는 것인 서버.
  12. 제 1 항,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45333A 2017-04-07 2017-04-07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98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33A KR101982677B1 (ko) 2017-04-07 2017-04-07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33A KR101982677B1 (ko) 2017-04-07 2017-04-07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91A KR20180113791A (ko) 2018-10-17
KR101982677B1 true KR101982677B1 (ko) 2019-09-10

Family

ID=6409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333A KR101982677B1 (ko) 2017-04-07 2017-04-07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944B1 (ko) * 2019-12-30 2021-07-16 스왈라비(주) 지역별 걷기 실천율 산출 서버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419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케이티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KR20100007467U (ko) * 2009-01-14 2010-07-22 지우솔루션주식회사 칼로리 계산이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KR101220179B1 (ko) * 2008-12-08 2013-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동량 측정 장치, 운동량 관리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
KR20150142332A (ko) * 2014-06-11 201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값을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609813B1 (ko) * 2014-08-14 2016-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환경에서 보행 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23382B1 (ko) 2015-05-29 2017-04-05 (주)이든이노베이션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008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활동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91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208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推奨方法、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Casilari et al. Analysis of a smartphone-based architecture with multiple mobility sensors for fall detection
US8438127B2 (en) Behaviour pattern analysis system, mobile terminal, behaviour pattern analysis method, and program
EP3275164B1 (en) Learning mode for context identification
CN108449707B (zh) 可穿戴设备及其定位方法
US201703297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9072486A (ja) 電子装置
US11039665B2 (en) Receiving feedback based on pressure sensor data and movement data
WO2016165606A1 (zh) 数据收集方法、设备和系统
JP5508941B2 (ja) 滞在目的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82677B1 (ko)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Fu et al. A novel mobile-cloud system for capturing and analyzing wheelchair maneuvering data: A pilot study
KR101996212B1 (ko) 배회 감지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배회 감지 방법
KR2020012010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16015650A (ja) センシング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CN107295105B (zh) 儿童行为的分析方法及终端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398743B2 (ja) 運動情報測定装置、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994388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010132B1 (ko) 사용자 능력을 증강시키는 증강 휴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059032A (ja) 推定装置
JP6055719B2 (ja) 行動目的推定装置、行動目的推定方法及び行動目的推定プログラム
US11076814B2 (en) Fitn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fitness tracking system
JP2016150095A (ja) 運動情報測定装置、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20161673A1 (en) A foot mounted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to operate the same
KR101831250B1 (ko) 고정단말과 이동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