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419A -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 Google Patents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419A
KR20090077419A KR1020080003373A KR20080003373A KR20090077419A KR 20090077419 A KR20090077419 A KR 20090077419A KR 1020080003373 A KR1020080003373 A KR 1020080003373A KR 20080003373 A KR20080003373 A KR 20080003373A KR 20090077419 A KR20090077419 A KR 2009007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대
소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0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7419A/ko
Publication of KR2009007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과정을 측정하여 체력 및 건강을 관리하고 적절한 운동 방법을 처방해주기 위한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된 운동 센터나 측정 기관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평상시에 일상적으로 운동하던 공간에서 계속적으로 운동하는 것만으로 운동량, 운동 방법에 대한 매일매일의 기록과 평가가 가능하고, 그에 맞는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지에서, 평상시와 같이 산책,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을 하는 것만으로도 각 개인별로 적절한 체력 관리 및 운동 처방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과거의 운동량과, 그날의 운동 목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노지의 코스별, 시간별, 강도별, 심박수별 달성치를 처방,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지에 접근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그에 적합한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노지에서 이동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적인 운동량,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정상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즉시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때그때 운동 과정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건강 관리, 체력 관리, 심박수, 노지, 공원, 운동장, 둔치

Description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 방법 {Healthcare method through surveying exercise process in the open place}
본 발명은 운동과정을 측정하여 체력 및 건강을 관리하고 적절한 운동 방법을 처방해주기 위한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된 운동 센터나 측정 기관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평상시에 일상적으로 운동하던 공간에서 계속적으로 운동하는 것만으로 운동량, 운동 방법에 대한 매일매일의 기록과 평가가 가능하고, 그에 맞는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 문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생활환경이 윤택해지고 편리해진 반면, 신체활동과 운동의 부족으로 인해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질환, 만성피로 등 여러 가지 성인병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은 자신 의 건강 및 체력 수준에 적합한 운동을 실시해야 각종 상해를 예방하고 건강증진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과학적으로 처방된 운동프로그램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즉, 사람의 성별, 몸무게, 나이, 숙련도, 체력수준 등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에 알맞게 운동량을 달리해야 하는데, 적절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반복횟수로 운동할 수 있게 그 사람에게 맞는 운동량을 처방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장하는 개인별 맞춤운동 처방이 필요하다. 만약 운동량이 그 사람의 체력수준과 비교하여 너무 가벼우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지나치면 과한 운동으로 근육이나 인대 등에 상해를 입거나,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력에 알맞은 맞춤운동을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맞춤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체력수준을 알 수 있는 검사가 필요한데, 그 사람이 발휘할 수 있는 체력수준을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검사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것은 많은 비용이 들고 전문 인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쉽지가 않다. 때문에 현장에서 손쉽게 정확히 체력을 측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운동을 지도하는 사람이나 운동을 하는 사람 모두에게 과학적인 운동 이론을 적용할 수 있어서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적절한 운동프로그램을 처방받기 위해서 고객은 직접 병원이나 전문 체력 센터를 찾아가야만 하는데, 병원이나 전문 체력 센터를 찾아갈 경우 일부러 그 장소까지 찾아가서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면이 있어서, 이러한 서비스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병원, 전문 체력 센터에서는 심폐기능을 개선하고 신체 부위별로 체력을 증가시키는 여러 가지 운동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장비들은 실내에서 반복적인 기능만을 사용자에게 가하게 되므로, 많은 인내를 요구하는 지루한 운동, 검사시간을 거치게 되어 있어 과학적인 운동방법의 현장 적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결국, 운동부족으로 건강생활을 위협받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체력수준에 따른 맞춤운동의 필요성은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 운동하고 있는 스포츠 센터, 헬스클럽 또는 병원, 전문 체력 센터에서는 운동, 검사 과정이 지루하고 지겨운 부담이 되어 들이는 노력에 비해서 운동효과가 떨어지는 등 적절한 맞춤운동이 되지 않고 있다. 결국 특정 위치,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의 운동은 접근 자체가 번거롭기도 하거니와, 흥미를 얻기도 쉽지 않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운동의 목표치 설정이나, 그때그때의 운동 상태에 따른 개인의 상태에 대해 즉시로 판단하고,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운동 처방 내지는 체력 증진의 장치가 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편으로는, 운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증가와 기반 시설의 확충으로 인해 공원, 둔치, 강변로 등에서 자전거, 산책, 경보, 달리기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실내보다는 외부 공기를 마시며, 자연 바람을 쐬며 운동을 하고자 하는 현대인의 욕구로 인한 결과라 할 것인데, 문제는 이러한 사람들이 적절한 운동 방법이 나 운동 강도에 대해서 처방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효율적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이 굳이 일부러 시간을 내어 특정 위치의 건물에 있는 실내 공간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아무때나 손쉽게 접근 가능하고, 평상시에 일상적으로 산책하고, 운동하는 개방된 공간, 예컨대, 공원, 운동장, 등산로, 강변로, 둔치, 광장 등의 공간을 찾아오는 것만으로도, 운동 처방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운동의 내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적절한 평가와 처방을 내려, 개인의 건강과 체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사회적 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원, 운동장, 강변, 둔치, 산책로, 등산로와 같은 노지에서, 평상시와 같이 산책,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을 하는 것만으로도 각 개인별로 적절한 체력 관리 및 운동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거의 운동량과, 그날의 운동 목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노지의 코스별, 시간별, 강도별, 심박수별 달성치를 처방,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지에 접근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노지 내에서의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지에서 이동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적인 운동량,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정상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즉시로 이를 알려 운동 과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산책로, 공원, 둔치, 운동장과 같이 지역 주민이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자주 이용하도록 개방된 노지에서 개인별 운동 중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체력 및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노지에 인접한 장소에 개인의 건강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건강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들이 구비된 건강증진센터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구비된 클라이 언트 단말기 및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및 운동상태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저장된 사용자가 확인되면 확인된 사용자의 정보 또는 이에 대응되는 개인식별 정보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한 RFID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전에 측정되어 입력된 사용자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적정한 수준에 해당하는 심박수, 운동시간, 이동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운동상태 측정장치에 다운로드 받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노지로 이동하여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가 신체의 심박수, 걸음수와 같은 운동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운동을 마친 사용자에 의해 반납된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에 의해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에 입력된 개인식별 정보와,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에서 측정, 저장된 운동정보 측정값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의 접촉에 따라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과거 운동량 정보, 오늘의 운동량 목표 정보, 적정 심박수 정보, 운동적정 시간 정보, 노지 지도 및 운동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어를 구비한 키오스크 단말장치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에서 분석된 운동 이력 데이터 또는 처방 내용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웹사이트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에서 제공되는 처방 내용은 다음 번에 수행할 유산소 운동량 및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처방 내용은 상기 서버에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사항, 신체사항 및 운동상태 데이터에 따라 운동프로그램 제시모듈에 의해 선택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서버에서 외부 의료기관으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처방 내용을 전송받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정보를 측정하던 중 사용자 신체의 심박수, 걸음수, 운동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저장된 적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가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지에서, 평상시와 같이 산책,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을 하는 것만으로도 각 개인별로 적절한 체력 관리 및 운동 처방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거의 운동량과, 그날의 운동 목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노지의 코스별, 시간별, 강도별, 심박수별 달성치를 처방,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지에 접근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그에 적합한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노지에서 이동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적인 운동량,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정상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즉시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때그때 운동 과정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체력 및 건강 검진 센터의 이용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주거 공간에서의 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체력 및 건강 검진 센터(H)는 주거공간(R)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상업지구 내의 건물에 설치된다. 이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과는 이격된 곳이므로, 체력, 건강에 대한 테스트, 관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일부러 센터(H)에 내방하여야만 하였다. 그리고 센터(H)에서 수행되는 각종 검진, 측정 내용은 런닝 머신이나, 자전거와 같이 실내에서 지루하게 반복할 수밖에 없는 단순 운동에 불과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도 2와 같이, 주거 공간(R)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쾌적한 강변 산책로(L)나 공원(P)에는 손쉽고, 자유롭게 접근하여, 주말은 물론 평일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걷고 뛰거나, 자전거를 타며 운동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변 산책로, 둔치, 공원, 운동장 등 많은 사람들이 편하게 접근하여, 산발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공간은 사람들의 건강을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좋은 장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부 내지는 지방 자치 단체 차원에서 사람들의 건강을 관리할 중요 포인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노지에서 신선한 공기를 맞으며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이 편한 것은 물론, 운동에 대한 흥미도 상승시킬 수 있는 공간이 바로 이 곳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지를 활용한 건강 관리 및 향상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국민의 차세대 건강 증진 방안의 중요한 기틀이 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체력 및 건강 검진 센터의 이용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노지 중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지나 다니는 지점에 본 발명의 방법과 그 운용 시스템이 설치되는 센터(C)가 설치된다. 사람들은 산책하러 강변로(L), 공원(P)을 들렀다가 해당 센터(C)에 잠시 방문한 후 산책을 계속하는 것만으로도 운동, 체력 관리를 받게 될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은 평소의 동선 축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거부감이나 번거로움 없이 건강검진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본 특허의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 이외에도, 상기 건강검진센터에서는 별도로 혈압 및 맥박, 전신 부위별 체성분 분석, 운동부하에 따른 심폐효율성 측정, 문진을 통한 개인별 건강체력을 측정하고, 자동으로 분석되어 결과표를 사전에 작성해 볼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분석된 개인별 건강체력 평가표에 근거하여 운동처방사와 상담을 통해 평가표의 세부설명 및 운동 가이드에 대하여 상담을 받아보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온라인에서의 서비스는 물론, 상호 보완적으로 상기와 같은 오프라인에서의 운동처방사의 상담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측정결과 및 운동 누적 결과, 운동 계획은 후술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집에서 별도의 홈페이지를 통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동한 결과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후에 운동할 계획을 자동으로 산정하여 운동플랜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실제 운동을 하다보면 운동을 해야하는 날인데도 불구하고 운동을 못할 수도 있으며, 또한 운동플랜에 따라 운동을 하였지만 소모해야 하는 칼로리보다 적게 운동을 한 경우에는 차후 운동 강도나 시간을 수정하여 자동적으로 관리해주는 인공지능형 시스템을 서버에 연결, 도입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해당 센터(C)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40)가 구비되고, RFID 사용자 단말장치(1)와 운동상태 측정장치(3)를 방문자에게 나눠주게 된다. 또한 센터(C) 내 또는 외부 기관에 서버(10)를 구비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사용자, 회원의 신상정보, 회원가입 내역 등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정보 내지는 ID, serial NO, 기타 코드 등, 개인 식별 정보를 발급하여 RFID 사용자 단말장치(1)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개인 식별 정보 등이 입력된 RFID 사용자 단말장치(1)는 사용자에게 발급되어, 휴대 또는 착용되도록 유도된다.
키오스크 단말장치(40)는 RFID 사용자 단말장치(1)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입력된 정보와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서버(10)와 DB(20)에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운동 이력, 그날의 운동 목표, 운동 코스 지도, 운동 처방 내용, 주의할 점, 체력 상태, 건강 상태를 디스플레이어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키오스크 단말장치(40)는 센터(C) 내에 설치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운동 코스의 중간 중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RFID 사용자 단말장치(1)는 비접촉 무선 방식을 사용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보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알람모듈(미도시)을 내부에 더 포함하여, 후술할 운동상태 측정장치(3)의 신호를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운동상태 측정장치(3)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상태 내역을 수신받아 계속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운동 후에 해당 내역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 또는 키오스크 단말장치(40)를 통해 업로드 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만보계, 심박수 측정장치, 운동시간 측정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가슴쪽에 밀착되도록 부착된다.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내부에 메모리를 포함하여, 시간에 따른 운동 상태, 누적 운동량, 심박수 변화량, 운동 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1)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내부에 알람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적정한 운동량, 심박수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40)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으며, DB(20)와 연결되어 회원정보(22) 및 회원건강정보(24)를 관리한다. 또한 내부에 자동 운동프로그램 제시모듈(14)을 구비하여, 서버(10) 쪽으로 업로드된 회원건강정보를 스스로 판단하여 이에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나 키오스크 단말장치(40) 쪽으로 송신하거나, 웹사이트(미도시)를 통해 언제나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의료기관(50)과 연결되어, 의료기관 서버(52) 측으로 회원정보, 건강정보 등을 송신하여, 의료기관 단말기(54)로 출력되도록 하고, 의료진의 단말기(54)을 통해 의사, 건강관리사 등이 제공하는 개별적인 건강 처방, 운동 처방을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나 키오스크 단말장치(40) 쪽으로 송신하거나, 웹사이트(미도시)를 통해 제공시킬 수도 있다.
도 5 내지 16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여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원, 둔치, 운동장으로 산책하러 나왔다가 근처의 센터(C)에 편하게 방문하게 되는데, 센터에서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에 맞는 개인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RFID 사용자 단말장치(1)로 다운로드 하여 등록한 후, 사용자에게 배부한다(도 5 참조).
사용자는 RFID 사용자 단말장치(1)를 착용한 후, 키오스크 단말장치(40)를 통해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시키면(도 6, 7 참조), 키오스크 단말장치(40)의 디스 플레이어에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과거의 운동 이력, 권장 운동 코스, 목표 운동량, 건강/ 체력 처방 내용을 표시한다(도 8 참조).
또한 센터(C)에서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를 배부하게 되며,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사용자에게 처방된 적합한 운동량, 운동시간, 심박수 등을 다운로드 받게 할 수 있다(도 9, 10, 11 참조).
사용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래 가려고 하던 강변로, 공원, 운동장 등의 노지로 나가게 되고(도 12 참조), 운동하던 중 운동량이 과다하거나, 심박수가 적정값 이상으로 증가 내지는 감소하는 것이 운동상태 측정장치(3)에서 감지되는 경우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도 13, 14 참조).
운동을 마친 후 사용자는 센터(C)로 되돌아와, RFID 사용자 단말장치(1)와 운동상태 측정장치(3)를 반납하게 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반납된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심박수 정보를 업로드 받아 서버(10)로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회원건강정보DB(24)에서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자동 운동프로그램 제시모듈(14)을 통한 운동프로그램도 함께 저장되어, 사용자의 다음번 방문시 키오스크 단말장치(40)를 통해 제공되거나, 웹사이트, SMS 등을 통하여 전달된다.
또는 업로드된 정보를 의료기관(50)으로 전송하여, 의료진의 단말기(54)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도 16 참조), 의료진의 처방을 제공,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서버(10) 및 DB(20)를통해 확인하고(S1 단계). 확인된 정보에 따라 개인 식별 정보가 저장된 RFID 사용자 단말장치(1)가 발급된다(S2 단계).
RFID 사용자 단말장치(1)가 키오스크 단말장치(40)에 의해 읽혀지는 경우, 서버(10)로부터 과거 운동 이력, 목표 운동량, 권장 운동코스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3 단계).
또한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운동량, 운동시간, 심박수 등에 대한 적정 운동 정보 값을 다운로드 받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운동시에 사용된다(S4, S5 단계).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측정값이 기 저장된 적정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킨다(S6, S7 단계).
사용자의 운동량 등의 정보를 모두 수집한 RFID 사용자 단말장치(1)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3)는 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 또는 키오스크 단말장치(40)를 통해 서버(10)로 업로드 시키게 된다(S8 단계).
업로드 된 정보는 서버(10)를 통해 통계, 처방 정보와 함께, DB(20)에 저장되며 차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9 단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일반적인 동선 내에서의 운동량을 측정, 관리하며,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체력 및 건강 검진 센터의 이용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주거 공간에서의 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체력 및 건강 검진 센터의 이용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16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여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RFID 사용자 단말장치 3 : 운동상태 측정장치
10 : 서버 12 : 의료기관 연결모듈
14 : 자동 운동프로그램 제시모듈 20 : DB
22 : 회원정보DB 24 : 회원건강정보DB
30 : 클라이언트 단말기 40 : 키오스크 단말장치
50 : 의료기관 52 : 의료기관 서버
54 : 의료기관 단말기
R : 주거공간 H : 종래의 체력 및 건강검진 센터
L : 둔치 P : 공원
C : 본 발명의 체력 및 건강검진 센터

Claims (4)

  1. 산책로, 공원, 둔치, 운동장과 같이 지역 주민이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자주 이용하도록 개방된 노지에서 개인별 운동 중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체력 및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노지에 인접한 장소에 개인의 건강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건강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들이 구비된 건강증진센터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및 운동상태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저장된 사용자가 확인되면 확인된 사용자의 정보 또는 이에 대응되는 개인식별 정보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한 RFID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전에 측정되어 입력된 사용자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적정한 수준에 해당하는 심박수, 운동시간, 이동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운동상태 측정장치에 다운로드 받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노지로 이동하여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가 신체의 심박수, 걸음수와 같은 운동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운동을 마친 사용자에 의해 반납된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운동 상태 측정장치에 의해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에 입력된 개인식별 정보와, 상기 운동상태 측정장치에서 측정, 저장된 운동정보 측정값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의 접촉에 따라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과거 운동량 정보, 오늘의 운동량 목표 정보, 적정 심박수 정보, 운동적정 시간 정보, 노지 지도 및 운동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어를 구비한 키오스크 단말장치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분석된 운동 이력 데이터 또는 처방 내용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웹사이트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처방 내용은 다음 번에 수행할 유산소 운동량 및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처방 내용은 상기 서버에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사항, 신체사항 및 운동상태 데이터에 따라 운동프로그램 제시모듈에 의해 선택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서버에서 외부 의료기관으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처방 내용을 전송받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를 측정하던 중 사용자 신체의 심박수, 걸음수, 운동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저장된 적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RFID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운동상태 측정장치가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 방법.
KR1020080003373A 2008-01-11 2008-01-11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KR20090077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73A KR20090077419A (ko) 2008-01-11 2008-01-11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73A KR20090077419A (ko) 2008-01-11 2008-01-11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19A true KR20090077419A (ko) 2009-07-15

Family

ID=4133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73A KR20090077419A (ko) 2008-01-11 2008-01-11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741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1353A2 (en) * 2010-01-25 2011-07-28 Contant Olivier M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uman health
KR101129329B1 (ko) * 2011-07-04 2012-03-27 주식회사 모투스 헬스클럽용 유비쿼터스 키오스크 시스템
KR20130120776A (ko) *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버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4051190A1 (ko) * 2012-09-28 2014-04-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WO2015160129A1 (ko) *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651429B1 (ko) * 2015-04-10 2016-08-29 (주)그린콤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13791A (ko) * 2017-04-07 2018-10-17 스왈라비(주)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90094785A (ko) 2018-02-06 2019-08-14 힐라리스 주식회사 건강관리용 검사장치
US10600330B2 (en) 2016-04-04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ardiopulmonary fitness
KR20220114885A (ko) * 2021-02-09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주도형 척추 안정화 운동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1353A2 (en) * 2010-01-25 2011-07-28 Contant Olivier M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uman health
WO2011091353A3 (en) * 2010-01-25 2011-10-06 Contant Olivier M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uman health
KR101129329B1 (ko) * 2011-07-04 2012-03-27 주식회사 모투스 헬스클럽용 유비쿼터스 키오스크 시스템
KR20130120776A (ko) *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버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4051190A1 (ko) * 2012-09-28 2014-04-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WO2015160129A1 (ko) *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651429B1 (ko) * 2015-04-10 2016-08-29 (주)그린콤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0600330B2 (en) 2016-04-04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ardiopulmonary fitness
KR20180113791A (ko) * 2017-04-07 2018-10-17 스왈라비(주)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90094785A (ko) 2018-02-06 2019-08-14 힐라리스 주식회사 건강관리용 검사장치
KR20220114885A (ko) * 2021-02-09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주도형 척추 안정화 운동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2173205A1 (ko) * 2021-02-09 2022-08-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주도형 운동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7419A (ko)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US20230116428A1 (en) Wellness and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JP5791726B2 (ja) 自動化された健康データ獲得、健康データ処理、および健康データ通信のシステム
Cindy Ng et al. Accuracy and responsiveness of the stepwatch activity monitor and ActivPAL in patients with COPD when walking with and without a rollator
CN105637513A (zh) 有活动提示的活动识别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US20090093341A1 (en) Music and Accelerometer Combination Device for Collecting, Converting, Displaying and Communicating Data
CN105684004A (zh) 会话和群组
BR112013029467A2 (pt) método implantado por computador para gerenciar os dados relacionados de saúde
CN102213957A (zh) 一种提供虚拟私人运动教练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系统
CA2587491A1 (en)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and for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Verhagen et al. Tennis-specific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onsensus statement: methods for recording and reporting of epidemiological data on injury and illness in sport 2020
KR20090132019A (ko) 운동 관리 및 운동 장려를 위한 유비쿼터스 스포츠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60000124A (ko)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190098870A (ko) 아동(kids) 성장발달을 위한 메디스포테인먼트(Medi-Sportainment) 체력측정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KR20210013419A (ko)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00025300A (ko)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체 정보 및 맞춤 처방 정보를 관리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router et al. Estimating physical activity in youth using an ankle accelerometer
KR101628713B1 (ko) 센서 정보와 헬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Brabazon Digital fitness: Self-monitored fitness and the commodification of movement
Lucernoni et al. ActivPAL accuracy in determining metabolic rate during walking, running and cycling
Lima e Silva et al. The haemodynamic demand an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displacement of the soccer referees in the moments of decision/intervention during the matches
Hinderer et al. Home care: A telematic rehabilitation exerciser
TWI501187B (zh) A sports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