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842B1 - 신축암 - Google Patents

신축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842B1
KR101979842B1 KR1020170092397A KR20170092397A KR101979842B1 KR 101979842 B1 KR101979842 B1 KR 101979842B1 KR 1020170092397 A KR1020170092397 A KR 1020170092397A KR 20170092397 A KR20170092397 A KR 20170092397A KR 101979842 B1 KR101979842 B1 KR 10197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arm
fixed body
excavato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105A (ko
Inventor
안주신
Original Assignee
안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주신 filed Critical 안주신
Priority to KR102017009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도구의 작업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굴삭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며, 일부위에 굴삭기용 작업도구를 고정하도록 된 신축암에 있어서; 일부위에 상기 아암과 푸시링크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고정공들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아암과 푸시링크에 의한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하부에 굴삭기용 작업도구의 고정부위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회동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상기 회동본체를 회동시키도록 된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고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고정되며 피스톤로드의 종단에 상기 회동본체의 일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이 축결합된 회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축암{Stretch arm}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링크에 버킷 등과 같은 작업도구를 장착 및 탈거하며 신축하도록 된 신축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도구의 작업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굴삭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된 신축암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는, 버킷(bucker) 등과 같은 작업장치들을 기계적인 힘으로 구동하여 건설 및 토목 공사 현장에서 기초공사작업을 수행하는 중장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굴삭기는, 작업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종류의 작업장치(작업공구)들을 교체하도록 되어 있으며, 주로 굴삭기의 아암이나 붐에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근자에는, 굴삭기의 아암이나 붐에 별도로 장착되는 신축암을 통해 상기한 작업장치들을 손쉽게 연결하고 신축하여 작업효율을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신축암의 하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10167호에 기재된 것이 있으며, 공보에서와 같이, 커플러 몸체의 앞뒤 쪽에 형성되어 있는 핀 홀을 이용하여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 링크에 각각 핀으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신축암에는, 몸체의 하부에 고정후크와 이동형의 유동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이때의 고정후크와 유동후크에 작업 장치의 전면핀과 후면핀이 각각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함에 따라, 작업 장치는 신축암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01259호(명칭: 중장비용 신축암/2006.10.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암핀과 링크핀을 통해 굴삭기의 암과 링크 실린더의 푸시 링크에 각각 체결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어태치먼트의 정면핀 및 후면핀을 각각 걸어서 고정시켜 주는 고정형의 훅 및 히치핀을 통해 회동가능한 히치를 포함하는 신축암에 있어서, 한쪽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상기 히치의 일측에 고정되어 히치를 탄력적으로 밀어줌으로써 히치에 후면핀의 고정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신축암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0245호(명칭: 굴삭기의 신축암/2009.05.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 선단 및 가동링크 선단 각각에 전,후방 브라켓핀에 의해 연결 조립되는 좌,우측 메인바디와, 상기 좌,우측 메인바디의 하단 후측 끝부분에 고정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좌,우측 메인바디 사이의 중간부위에 위치하여 실린더몸체의 끝단이 후측 히치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바디 사이의 전방부위에 위치하여 전측 히치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동후크와, 상기 고정후크와 가동후크 각각을 버켓, 브레이커, 크러셔, 쉐어 중 어느 하나의 장비 상단에 형성된 양측 결합핀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굴삭기의 작업 도중에 일측 결합핀에서 상기 가동후크가 이완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서 되는 굴삭기의 신축암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가동후크의 좌,우측 브라켓 각각의 전방측 중간부위를 연결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실린더몸체와 상기 우측브라켓의 외측을 향해 실린더몸체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된 자동 잠금 실린더와; 상기 자동 잠금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출현작동시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닿게 되는 우측 메인바디의 내면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출현작동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전측 히치핀을 회전기점으로 하는 가동후크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축암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14013호(명칭: 건설기계용 신축암/2014.02.0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건설기계용 신축암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커플러몸체;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후크; 상기 제1결합핀과 대향되는 제2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후크;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어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시킨 후, 상기 제2후크를 상기 제2결합핀에 로킹시키기 위해 신장구동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신축암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49780호(명칭: 개선된 구조를 가진 중장비용 안전신축암/2016.04.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장비에 붐대끝 아암선단에 매달려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측 프레임의 내부중앙에 유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있고 유압실린더의 좌우측에 가동히치와 고정히치가 구비되어있어, 유압실린더의 신장 및 수축작용에 따라 가동히치의 가동히치힌지축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가동히치축을 중심으로 가동히치가 회전함으로서 버켓등 각종 어태치먼트의 체결핀을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어태치먼트를 체결하기 위해 하단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된 회전키를 구비하고 있는 신축암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타원형의 축공이 형성된 축부를 구비하고 그 단부에는 축부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공은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된 실린더축에 끼워져 있어 좌우로 유동가능하도록 된 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키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먼지나 작은 돌멩이가 끼지 않토록 중앙 회전키프레임를 가운데에 두고 앞뒤로 회전키 앞판과 뒷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횡으로 관통하도록 된 수직홈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 탄성부재인 수직홈핀스프링이 개재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수직홈핀이 구비된 회전키; 상기 회전키의 내부하단에 위치한것으로 회전키하단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하단스프링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하단스프링은 우측벽에 기대어 상기 수직홈핀에 대해 하단에서 시계방향의 상승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회전키하단스프링; 상기 축부고리는 회전키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상기 회전키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부고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축암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01259호(2006.10.18.)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0245호(2009.05.08.)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14013호(2014.02.07.)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49780호(2016.04.2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암들은, 작어도구들을 작업회동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굴삭작업효율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도구의 작업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굴삭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된 신축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축암은,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며, 일부위에 굴삭기용 작업도구를 고정하도록 된 신축암에 있어서; 일부위에 상기 아암과 푸시링크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고정공들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아암과 푸시링크에 의한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하부에 굴삭기용 작업도구의 고정부위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회동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상기 회동본체를 회동시키도록 된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고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고정되며 피스톤로드의 종단에 상기 회동본체의 일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이 축결합된 회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암은, 작업도구를 회동실린더를 통해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링크에 의한 작업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작업도구의 각도조절을 통해 굴삭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에 적용되는 회동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에 적용되는 제동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에 적용되는 제동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은, 굴삭기의 아암(100)과 푸시링크(200)에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며, 일부위에 굴삭기용 작업도구(300)를 고정하여, 상기 푸시링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작업도구(300)를 회동시켜 굴삭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은, 일부위에 상기 아암(100)과 푸시링크(200)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고정공들이 상부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고정몸체(2)와; 상기 고정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아암(100)과 푸시링크(200)에 의한 상기 고정몸체(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하부에 굴삭기용 작업도구(300)의 고정부위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회동본체(3)와; 상기 고정몸체(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회동본체(3)를 회동시키도록 된 가동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수단(4)의 구동을 통해 상기 회동본체(3)가 상기 고정몸체(2)에서 회전운동하여 상기 회동몸체(3)의 하부에 고정된 작업도구(300)의 배치각도를 가변시키게 되어, 작업도구(300)의 각도조절을 통해 굴삭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푸시링크(2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몸체(2)가 상기 아암(100)이 체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도구(300)에 의해 굴삭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에서, 상기 가동수단(4)은, 상기 고정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고정되며 피스톤로드의 종단에 상기 회동본체(3)의 일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31)이 축결합된 회동실린더(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회동실린더(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본체(3)가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그 배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본체(3)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아 같이, 상기 작업도구(300)의 전면핀과 후면핀들이 각각 수용되면서 결합하는 고정후크(32)와 이동형의 유동후크(33)가 마련되어 있고, 이때의 고정후크(32)와 유동후크(33)에 작업도구의 전면핀과 후면핀이 각각 걸어지는 형태로 결합함에 따라, 작업도구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32)에는, 걸림고정된 전면핀이 무단으로 부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4)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스토퍼(34)는, 상기 회동본체(3)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지지링크(341)와, 상기 지지링크(341)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동본체(3)에 회전ㄱ사능하게 결합된 지지실린더(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아암(100)과 푸시링크(200)에 상기 고정몸체(2)의 고정공들이 축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푸시링크(2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2)가 작업회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굴삭기에 상기 고정몸체(2)가 고정된 상태에서, 원하는 굴삭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작업도구(300)를 상기 회동본체(3)의 고정후크(32)와 유동후크(33)에 전면핀 및 후면핀을 각각 체결하여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본체(3)에 작업도구(300)가 연결되면, 굴삭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회동실린더(41)의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회동본체(3)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의 작업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 배치각도를 가변시키고, 상기 푸시링크(200)를 구동하여 상기 고정몸체(2)를 작업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정밀한 굴삭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에서 회동본체(3)의 회동은, 45°각도로 정역회전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1)에 적용되는 제동수단(5)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신축암(5)은,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한 상기 회동본체(3)의 무단회동을 제한하는 제동수단(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동수단(5)을 통해 상기 회동본체(3)가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무단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도구(300)의 무단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굴삭작업의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동수단(5)은, 상기 고정몸체(2)의 저면과 상기 회동본체(3)의 사이공간으로 상기 회동본체(3)에서 연장형성된 제동판(51)과, 상기 고정몸체(2)에 구비되며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기 제동판을 고정하도록 된 제동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동부재(5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동판(51)이 고정되어 무단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동본체(3)가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무단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동부재(52)는, 상기 제동판(5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 및 이격되는 가압판(53)들과 상기 고정몸체(2)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들을 상기 제동판(51)측 방향으로 직성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제동실린더(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동실린더(5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압판(53)이 상기 제동판(51)측 방향으로 진퇴운동을 하게 상기 제동판(51)의 양측면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제동상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신축암 100 : 아암
200 : 푸시링크 300 : 작업도구
2 : 고정몸체 3 : 회동본체
31 : 결합편 32 : 고정후크
33 : 유동후크 34 : 스토퍼
341 : 지지링크 342 : 지지실린더
4 : 가동수단 41 : 회동실린더
5 : 제동수단 51 : 제동판
52 : 제동부재 53 : 가압판
54 : 제동실린더

Claims (1)

  1. 굴삭기의 아암(100)과 푸시링크(200)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고정공들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고정몸체(2)와; 상기 고정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아암(100)과 푸시링크(200)에 의한 상기 고정몸체(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하부에 굴삭기용 작업도구(300)의 고정부위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회동본체(3)와; 상기 고정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고정되며 피스톤로드의 종단에 상기 회동본체(3)의 일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31)이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회동본체(3)를 회동시키도록 된 가동수단(4)과; 상기 고정몸체(2)의 저면과 상기 회동본체(3)의 사이공간으로 상기 회동본체(3)에서 연장형성된 제동판(51)과, 상기 고정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판을 고정하도록 된 제동부재(52)를 가지어,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한 상기 회동본체(3)의 무단회동을 제한하는 제동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암(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52)는,
    상기 제동판(5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 및 이격되는 가압판(53)들과 상기 고정몸체(2)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들을 상기 제동판(51)측 방향으로 직성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제동실린더(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암.
KR1020170092397A 2017-07-21 2017-07-21 신축암 KR10197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7A KR101979842B1 (ko) 2017-07-21 2017-07-21 신축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7A KR101979842B1 (ko) 2017-07-21 2017-07-21 신축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05A KR20190010105A (ko) 2019-01-30
KR101979842B1 true KR101979842B1 (ko) 2019-05-17

Family

ID=6527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97A KR101979842B1 (ko) 2017-07-21 2017-07-21 신축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8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59B1 (ko) 2009-03-13 2009-12-1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515560B1 (ko)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퀵 커플러의 틸팅 구조
KR101515562B1 (ko) *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924A (ja) 2005-03-15 2006-09-28 Omron Corp 被写体認証装置、携帯電話、被写体認証ユニット、被写体認証方法、及び被写体認証プログラム
JP5231563B2 (ja) 2007-10-19 2013-07-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立体映像データを記録する方法
JP6108225B2 (ja) 2012-07-27 2017-04-05 新東工業株式会社 スラリの濃度測定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スラリの濃度の測定方法
KR20140021084A (ko) * 2012-08-06 2014-02-20 강완배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KR101582957B1 (ko) * 2014-06-20 2016-01-19 배정희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
KR101805556B1 (ko) 2014-10-28 2017-12-07 성재덕 차량용 광모듈 조립체
KR101672893B1 (ko) * 2015-02-12 2016-1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59B1 (ko) 2009-03-13 2009-12-1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515560B1 (ko)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퀵 커플러의 틸팅 구조
KR101515562B1 (ko) *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05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EP3241949B1 (en) Integrated excavator pin grabber quick coupler
JP2005504198A (ja) 重機用アタッチメントカップリング装置
US7832127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work tool to a loader
JPH1131555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迅速接続装置
WO2006003839A1 (ja) シリンダの保護装置
KR101979842B1 (ko) 신축암
JP5898896B2 (ja) 作業機械の軸部シール構造
KR101935761B1 (ko) 퀵커플러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JP6756239B2 (ja) ジブ係留装置
EP3543410B1 (en) Apparatus for retaining upper pivoting body of construction machine
WO2001081682A1 (fr) Dispositif d'accouplement pour equipement
KR101752597B1 (ko) 버킷 연결체
KR20160067458A (ko) 굴삭기 작업공구용 2중 안전장치 부착형 퀵커플러
JP3602770B2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KR101579168B1 (ko) 건설장비의 선회장치 로킹 시스템
CN210636497U (zh) 一种侧移架
JP2006097348A (ja) 作業具装着装置
JP2023071474A (ja) ブレード構造
JP2021155971A (ja) 建設機械
JPH04353127A (ja) ローダ,トラクタ等の排土用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US10167893B2 (en) Stopper assembly for an implement of a machine
KR200292650Y1 (ko) 휠로다 링케이지 연결부 보호 커버
JP2021104071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