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084A -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084A
KR20140021084A KR1020120085839A KR20120085839A KR20140021084A KR 20140021084 A KR20140021084 A KR 20140021084A KR 1020120085839 A KR1020120085839 A KR 1020120085839A KR 20120085839 A KR20120085839 A KR 20120085839A KR 20140021084 A KR20140021084 A KR 20140021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otating
bracket
excavator
brak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석
Original Assignee
강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완배 filed Critical 강완배
Priority to KR102012008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1084A/ko
Publication of KR2014002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8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using adapters, i.e. additional element to mount between the coupler and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장비인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암과 버킷의 연결부에 좌우회동체가 구성되어 상기 버킷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과 상기 버킷의 연결부에는 상기 버킷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는 좌우회동체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회동체는 상측이 상기 암에 부착되고 하측에 전후방향의 원통형 가이드브라켓이 형성되는 고정구조체(210)와, 상측에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브라켓가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버킷과 연결되는 회전구조체와, 상기 고정구조체와 회전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BUCKET ROTATING DEVICE OF EXCAVATOR}
본 발명은 건설장비인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암과 버킷의 연결부에 좌우회동체가 구성되어 상기 버킷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장비용 굴삭기는 구동수단 위에 탑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붐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며 암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암과, 상기 암의 단부에 연결되며 버킷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는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굴삭기의 이동 또는 선회동작이 어려운 공간 즉, 굴삭기의 작업 범위가 한정되는 공간에서 작업시 일방향에 대한 굴삭작업만 가능할뿐, 굴삭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굴삭기는 일방향에 대한 굴삭작업만 가능하므로, 경사면이나, 여러방향으로 굴삭방향을 변경하여 작업해야 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쉽게 적응할 수 없으며, 운전자의 피로감이 증대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의 암과 버킷의 연결부에 좌우회동체를 구성하여 굴삭기 본체의 이동 및 선회동작 없이 버킷의 좌우회동을 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암과 상기 버킷의 연결부에는 상기 버킷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는 좌우회동체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회동체는 상측이 상기 암에 부착되고 하측에 전후방향의 원통형 가이드브라켓이 형성되는 고정구조체와, 상측에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브라켓이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버킷과 연결되는 회전구조체와, 상기 고정구조체와 회전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브라켓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브레이브패드와, 상기 가이드브라켓 내부에서 상기 회동브라켓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와, 상기 회동브라켓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에 접촉되어 좌우회동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브레이크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고정구조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조체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와 제 2 브레이크패드는 접촉시 서로 맞물리는 요철구조 또는 방사형 기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에 따르면, 버킷의 좌우회동이 가능하여 본체의 이동 및 선회동작 없이 굴삭작업이 가능하며, 굴삭기의 이동이 제한되는 한정된 공간에서도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킷이 좌우회동을 하고 작업에 필요한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이 가능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여러차레 수행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좌우회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우회동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버킷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좌우회동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브레이크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좌우회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우회동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고,도 4는 버킷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좌우회동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브레이크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120)과 버킷(150)의 연결부에 좌우회동체(200)를 구성하여 굴삭기 본체(100)의 선회동작 없이 버킷(150)의 좌우회동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는 상기 암(120)과 상기 버킷(150)의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버킷(150)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는 상기 좌우회동체(200)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붐(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암 실린더(121)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좌우회동체(200)는 상기 암(120)과 상기 버킷(150)의 연결부에는 상기 버킷(150)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회동체(200)는 상측이 상기 암(120)에 부착되고 하측에 전후방향의 원통형 가이드브라켓(211)이 형성되는 고정구조체(210)와, 상측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11)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브라켓(221)이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버킷(150)과 연결되는 회전구조체(220)와, 상기 고정구조체(210)와 상기 회전구조체(2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조체(21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브라켓(211)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구조체(220)가 결합되면 상기 회전구조체(220)의 좌우회동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수단(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230)은 상기 회전구조체(220)를 소정의 각도로 조절 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레버를 돌려줌으로 회동을 제동하는 수동식 방식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작동편의성 및 신뢰성을 위하여 유압을 이용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상기 고정구조체(210)는 도 4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에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가이드브라켓(2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조체(210)의 상부에는 상기 암(120)과 결합 가능하도록 제 1 브라켓(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212)에 통공(213)이 형성되어 각각의 통공(213)은 암(120) 및 투쉬링크(130)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투쉬링크(130)의 타측은 버킷실린더(151)와 가이드링크(1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버킷실린더(15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링크(140)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투쉬링크(130)를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암(120)과 결합된 상기 통공(213)을 중심으로 상기 버킷실린더(15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구조체(21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회전구조체(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상기 회동브라켓(2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조체(21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브라켓(211)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버킷(150)과 결합하기 위한 제 2 브라켓(222)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버킷(150)은 상기 제 2 브라켓(2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조체(220)가 상기 고정구조체(210)에 결합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굴삭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버킷(150)이 좌우회동 되므로 굴삭 작업시 기존과 같이 굴삭기의 정면이 굴삭면을 마주보게 하지 않더라도 간단히 상기 버킷(150)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각도로 굴삭 작업이 이루어지며 특히 굴삭기 몸체(100)의 회전이 자유롭지 않는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굴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킷(15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굴삭 작업시 상기 버킷(150)과 굴삭면 사이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버킷(150)의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상기 고정수단(230)을 굴삭기에 구비된 유압시스템을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체(210)와 상기 회전구조체(220)의 맞닿는 부분에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각각 브레이크패드(231,232)를 구비하도록 하게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230)은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브레이브패드(231)와,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부에서 상기 회동브라켓(220)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240)와, 상기 회동브라켓(2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에 접촉되어 좌우회동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브레이크패드(232)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측에서 상기 회동브라켓(221)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240)는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부에서 상기 회동브라켓(221)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232)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241)를 사용하였다.
상기 유압실린더(241)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구조체(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형성되며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피스톤(242)과 상기 피스톤(242)에 결합되어 전후방향 움직이는 피스톤로드(24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243)는 상기 회동브라켓(221) 및 상기 제 2브레이크패드(232)를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구조체(220)를 관통한 상기 피스톤로드(243)의 끝단은 상기 고정구조체(210)의 타측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41)에 의해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232)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회전구조체(220)를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241)는 상기 암(120) 및 상기 붐(110)에 유압라인을 연결하여 운전석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좌우회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버킷(150)의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유압실린더(241)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구조체(220)가 후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232)가 떨어질 질 경우, 상기 회전구조체(220)의 좌우회동이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굴삭면에 버킷을 접촉시켜 원활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유입실린더(241)를 통해 상기 회전구조체(210)를 전측으로 수평시동시켜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232)를 밀착시키면 상기 회전구조체(210)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버킷(150)은 앞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한 채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킷(150)의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232)는 표면 연마 등을 통해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키거나,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패드와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버킷(150)이 굴삭작업에 필요한 좌우각도로 회전을 시키고 고정하여 좁은작업공간 및 넓은작업공간에서도 반복적인 작업을 여러차레 수행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버킷(150)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제 2 브레이크패드(232)는 접촉시 서로 맞물리는 요철구조(233) 또는 방사형 기어구조(234)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요철구조(233)는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에 요철돌기(233a) 또는 요철홈(233b)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제 2 브레이크패드에 요철돌기(223a) 또는 요철홈(233b)이 형성되어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방사형 기어구조(234)는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제 2 브레이크패드(232)에 서로 대응되는 방사형상으로 구비된 기어구조(234)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제 2 브레이크패드(232)는 상기 이동체(24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미끄러지거나 마모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를 이용한 회전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킷(150)은 좌우회동체(200)에 의해 좌우로 회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좌우회동체(200)에 형성된 이동체(24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230)을 풀어주면 상기 버킷(150)이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암(120) 또는 상기 붐(110)을 하강하여 지면의 경사각을 이용해서 상기 버킷(150)의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버킷(150)이 지면의 경사각에 의해 회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체(24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230)을 고정하여 상기 버킷(150)을 고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체 :100 붐 : 110
붐 실린더 : 111 암: 120
암 실린더 : 121 투쉬 링크 : 130
가이드 링크 :140 버킷 : 150
버킷 실린더 :151 좌우회동체 : 200
고정구조체 : 210 가이드브라켓 : 211
제 1 브라켓 : 212 통공 : 213
회동구조체 : 220 회동브라켓 : 221
제 2 브라켓 : 222 고정수단 : 230
제 1 브레이크패드 : 231 제 2 브레이크패드 : 232
요철구조 : 233 요철돌기 : 233a
요철홈 : 233b 기어구조 : 234
이동체 : 240 유압실린더 : 241
피스톤 : 242 피스톤로드 :243

Claims (4)

  1.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는 암 및 상기 암의 일단에 결합되는 버킷을 구비한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120)과 상기 버킷(150)의 연결부에는 상기 버킷(150)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는 좌우회동체(200)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회동체(200)는 상측이 상기 암(120)에 부착되고 하측에 전후방향의 원통형 가이드브라켓(211)이 형성되는 고정구조체(210)와,
    상측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11)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브라켓(211)이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버킷(150)과 연결되는 회전구조체(220)와,
    상기 고정구조체(210)와 회전구조체(2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30)은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브레이브패드(231)와, 상기 가이드브라켓(211) 내부에서 상기 회동브라켓(221)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240)와, 상기 회동브라켓(22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에 접촉되어 좌우회동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브레이크패드(2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40)는 상기 고정구조체(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조체(2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24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패드(231)와 제 2 브레이크패드(232)는 접촉시 서로 맞물리는 요철구조(233) 또는 방사형 기어구조(2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 회전장치.
KR1020120085839A 2012-08-06 2012-08-06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KR20140021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839A KR20140021084A (ko) 2012-08-06 2012-08-06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839A KR20140021084A (ko) 2012-08-06 2012-08-06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084A true KR20140021084A (ko) 2014-02-20

Family

ID=5026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839A KR20140021084A (ko) 2012-08-06 2012-08-06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10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62B1 (ko) *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KR20160028795A (ko) 2014-09-04 2016-03-14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20160043458A (ko) 2014-10-13 2016-04-21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668757B1 (ko) 2015-07-13 2016-10-24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20190010105A (ko) * 2017-07-21 2019-01-30 안주신 퀵커플러
KR20200096011A (ko) * 2019-02-01 2020-08-11 정경래 굴착기용 퀵커플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95A (ko) 2014-09-04 2016-03-14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20160043458A (ko) 2014-10-13 2016-04-21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515562B1 (ko) * 2014-12-09 2015-04-28 주식회사 도호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KR101668757B1 (ko) 2015-07-13 2016-10-24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20190010105A (ko) * 2017-07-21 2019-01-30 안주신 퀵커플러
KR20200096011A (ko) * 2019-02-01 2020-08-11 정경래 굴착기용 퀵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1084A (ko) 굴삭기의 버킷 회전장치
JP6286069B2 (ja) 回転装置を持つ掘削機用アーム
US20170254046A1 (en) Excavating equipment for excavating surfaces, in particular solid surfaces, and operat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excavating equipment
KR101640387B1 (ko)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638849B1 (ko)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
KR200404282Y1 (ko) 좌·우 회동이 가능한 버켓을 장착한 굴삭기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JP3330310B2 (ja) ショベル系掘削機及び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KR20090071205A (ko) 휠 타입 굴삭기의 접지위치 가변형 아웃트리거
CN107306494A (zh) 作业车辆
JP2011200150A (ja) 畦形成機
JP5191933B2 (ja) 作業機械
JP2008202325A (ja) 掘削機械のブームシリンダ支持構造及び運転方法
JP2005207183A (ja) 剥離装置
KR20150048950A (ko) 농기계 탈착용 그레이더
JP7217684B2 (ja) 作業車両
KR20120046940A (ko) 굴삭기 작업장치 모양의 조작 레버
KR200245906Y1 (ko) 굴삭기
JP5643594B2 (ja) 海底鉱床掘削機
JP2006097348A (ja) 作業具装着装置
JP2019002173A (ja) シリンダリンク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産業用機械
EP3341529B1 (en) A rotary actuator for an excavator and use of a rotary actuator
JP2017203304A (ja) 斫り・粉塵吸引システム
JP2004036308A (ja) 作業機械
KR100887564B1 (ko) 건설용 중장비의 작업기 선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