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840B1 -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840B1
KR101979840B1 KR1020170139468A KR20170139468A KR101979840B1 KR 101979840 B1 KR101979840 B1 KR 101979840B1 KR 1020170139468 A KR1020170139468 A KR 1020170139468A KR 20170139468 A KR20170139468 A KR 20170139468A KR 101979840 B1 KR101979840 B1 KR 10197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experience
frame
bottom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188A (ko
Inventor
허완규
이경숙
이유경
서상권
박상구
백두현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Priority to KR102017013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앙 바닥판의 좌우양측과 절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외측 바닥판을 갖추어 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 ; 상기 중앙 바닥판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한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제1,2수직고정프레임을 상기 중앙 바닥판의 양단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상부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한쌍의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수평고정프레임을 갖추어 상기 중앙 바닥판상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프레임부 ; 상기 한쌍의 수직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한쌍의 수평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갖추어 피교육생이 상기 프레임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켜 체험하는 체험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Evacuation Partition Experience Apparatus for Education}
본 발명은 교육적으로 대피 칸막이를 체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화재와 같은 긴급 재난발생시 비상 탈출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키면서 비상탈출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교육을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는 화재, 도둑 등의 외부인의 침입에 따른 비상사태발생시 인접하는 세대로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 벽체를 대신하는 경량 칸막이와 같은 비내력식 칸막이(이하, 대피 칸막이라함.)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 대피 칸막이는 베란다의 격벽을 이루어 인접하는 세대 간 공간을 구분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화재와 같은 위급한 긴급 상황 발생시에는 격벽을 이루는 경계벽인 대피 칸막이를 강제로 외력을 가하여 붕괴하여 비상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인접 세대간 비상탈출을 위한 비상탈출구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대피 칸막이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하니컴의 양면에 석고보드를 부착하여 양측 단면에 마감재를 설치하고, 일측의 마감재에는 연결홈을 형성하여 비상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파괴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비상시 탈출용의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시공되고 있다.
한편, 초고층 아파트의 등장으로 인하여 아파트에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해 피난하는 방식에는 큰 한계가 있고, 계단실에 설치되는 제연설비 등의 건물 내의 소방피난시설은 부실, 낙후되어 실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 발생시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허문헌 1) KR20-0391891 Y1
(특허문헌 2) KR10-1683245 B1
특허문헌 1에는 난열성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패널 재질로 이루어지고, 칸막이에 의해 복수의 실내공간으로 구획되며, 각 실내공간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실내공간 바닥면에는 배치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복수의 축광표시부와, 프레임의 천정 및 내측벽에 구비된 복수의 조명등과; 프레임의 각 실내공간 임의위치에 배치되어 각종 재난 상황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수의 스피커와, 프레임의 어느 일측 실내공간에 배관을 통해 연통되어 연기를 공급하는 포그머신을 포함하여 화재 등과 같은 재난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그 재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실전훈련을 교육시키는 피난 유도 체험장을 게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본체부와, 체험자가 밟고 이동하는 계단부와 연장프레임에 완강기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갖추어 체험자가 하강하게 되는 체험부를 갖추어 비상 탈출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완강기를 체험하는 교육을 실감적으로 수행하는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험장치는 학생이나 일반인과 같은 피교육생이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통로에 설치되는 대피 칸막이를 외력에 의해서 붕괴시키면서 인접하는 다른 세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탈출하는 체험을 실질적으로 집중하여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긴급 재난발생시 비상 탈출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키면서 비상탈출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교육을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앙 바닥판의 좌우양측과 절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외측 바닥판을 갖추어 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 ; 상기 중앙 바닥판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한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제1,2수직고정프레임을 상기 중앙 바닥판의 양단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상부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한쌍의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수평고정프레임을 갖추어 상기 중앙 바닥판상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프레임부 ; 상기 한쌍의 수직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한쌍의 수평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갖추어 피교육생이 상기 프레임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켜 체험하는 체험부 ; 를 포함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부는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외측테두리가 내측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사각지지틀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지지틀은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가 삽입되어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좌우양측변과 하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틀과, 상기 제1지지틀의 개방된 개구부에 조립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나머지 상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와 상기 프레임부사이를 지지하면서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보강바와,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보강바 및 상기 제1,2보강바의 각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양단에 갖추어 상기 제1,2보강바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보강바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2함몰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링크부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상기 제1,2함몰부에 매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안내 삽입하는 칸막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안내부는 상기 중앙 바닥판의 일측에 하부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작동판과,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와 나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대응하는 작동판의 일측면에 직교하도록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판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판은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접이되는 제1,2외측 바닥판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공과 대응하는 제1고정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2고정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바닥판은 하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수직바 외측테두리에는 걸림고리를 갖는 고정손잡이를 갖추고,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바닥판의 외측단 테두리에 구비된 제1결합구의 관통공과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양측테두리에 구비된 제2결합구의 관통공으로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는 합형시 사각판상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일한 일체형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분할편은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함몰 형성된 요홈과 대응결합되는 돌기를 돌출형성하거나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대응결합되는 요홈을 함몰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일체형 사각판재는 외부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함몰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중앙 바닥판의 외측으로 제1,2외측 바닥판을 펼쳐서 바닥부를 수평상태로 전환하고 중앙 바닥판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에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갖는 체험부를 교체가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피교육생이 프레임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체험용 대피 칸막이와 부딪혀 붕괴시킴과 동시에 프레임부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재난발생시 인접하는 다른 세대로 비상탈출하는 체험을 실감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2) 프레임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반복적으로 교체함으로써 대피 칸막이를 통하여 비상탈출하는 체험을 반복적이면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바닥부와 프레임부사이를 보강부에서 지지하면서 보강함으로써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키도록 프레임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구성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4) 중앙 바닥판에 대하여 제1,2외측 바닥판을 접이하여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4) 중앙 바닥판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칸막이 안내부에 의해서 프레임부에 체험부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교체장착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반복적인 대피 칸막이의 체험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 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b는 도 1의 B 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에 적용되는 체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에 적용되는 보강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를 접이보관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의 칸막이 안내부를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의 칸막이 안내부를 접이보관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에서 다른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 프레임부(120) 및 체험부(130)를 포함하여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시 바닥면에 간편하게 펼쳐서 설치하고, 피교육생이 설치된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키면서 통과하는 체험교육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 종료 후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110)는 중앙 바닥판(113)의 좌우양측과 경첩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절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외측 바닥판(111,112)을 갖추어 체험교육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대략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2외측 바닥판(111,112)의 각 일측단은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양측단과 경첩과 같은 절첩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2외측 바닥판(111,112)이 상기 프레임부(120)측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접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111,112)은 대략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개구부를 덮어 차단하면서 피교육생이 올라서거나 밟고 프레임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사각판체(111a,112a)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두께를 갖추어 상기 중앙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사각형 수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에는 대피 칸막이의 체험교육시 피교육생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사각판체의 하부면과 접하여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각 지지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격자형 보강틀을 각각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하부면에는 접이보관후 이동시 바닥면에서 자유로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휠(11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111,112)과 바닥면사이에 일정높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높이조절부재(118)를 각 모서리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 칸막이의 체험 교육시에는 상기 중앙 바닥판(113)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을 외측으로 펼침으로써 상기 중앙 바닥판과 더불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한 바닥부를 형성하는 한편, 체험교육 후에는 반대로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보관이 용이하도록 절첩되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과 상기 중앙 바닥판(113)사이에는 상기 중앙 바닥판(113)에 대하여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이 좌우양측으로 회동되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바닥판의 외측단 테두리에 구비된 제1결합구(117a)의 관통공과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양측테두리에 구비된 제2결합구(117b)의 관통공으로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결합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핀(117)은 체험 교육후 접이보관시 상기 제1,2결합구의 관통공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중앙 바닥판에 대한 제1,2 외측 바닥판의 선택적인 접이작동을 허락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한쌍의 수직바(121a,122a)로 이루어지는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을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양단에 서로 나란하도록 각각 수직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각 수직바의 상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쌍의 수평바(123a)로 이루어지는 수평고정프레임(123)을 갖춤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20)는 대략 사각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바닥판(113)상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한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하단에도 한쌍의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다른 수평고정프레임을 갖추어 프레임부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각 상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고정프레임(123)에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바사이의 간격을 덮을 수 있도록 덮개판(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각 수직바(121a,122a)의 외측테두리에는 걸림고리(125a)를 갖는 고정손잡이(125b)를 갖추고,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111,112)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연결되는 후크(125c)를 갖추어 체험교육후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접이보관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수직바와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은 상기 고정손잡이에 의해서 조작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후크간의 걸림작용에 의해서 접이보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와 걸림고리간의 걸림해제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접이되어 있던 제1,2 외측 바닥판을 외측으로 펼쳐서 체험교육이 가능하도록 수평상태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험부(130)는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121a,122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수평고정프레임(123)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평바(123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120)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를 갖춤으로써 피교육생이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에 의해서 차단된 프레임부(1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켜 대피 훈련을 실감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형시 사각판상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분할편(131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분할편(131a)은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함몰 형성된 요홈(131b)과 대응결합되는 돌기(131c)를 돌출형성하거나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돌출형성된 돌기(131c)와 대응결합되는 요홈(131b)을 함몰형성한다.
이러한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를 형성하도록 사각판상으로 합형조립되는 복수개의 분할편(131a)은 피교육생과의 접촉시 반발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하면서 낙하시 피교육생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수재소재의 경량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는 사각판상으로 합형되도록 복수개의 분할편(131a)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상의 석고보드, 판상의 스치로폼와 같은 단일한 일체형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가 단일한 일체형 사각판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일체형 사각판체의 외부표면에는 상기 프레임부를 통과하는 피교육생과의 충돌시 붕괴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13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중앙에 피교육생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개방영역을 관통형성하고, 대략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쌍의 수직바(121a,122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한쌍의 수평바(123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하여 삽입되는 칸막이판(132a)을 포함하고, 합형시 상기 개방영역을 임시적으로 차단하도록 조립되는 복수개의 내부 분할편(13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분할편(132b)은 인접하는 다른 내부 분할편과 퍼즐식으로 조립되도록 외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요부와 돌출형성되는 철부를 반복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개방영역의 내부테두리에도 상기 내부 분할편의 요부 및 철부와 퍼즐식으로 대응결합되어 조립되도록 다른 요부와 철부를 반복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칸막이판에 관통형되는 개방영역은 피교육생의 통과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판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대략 80 내지 90% 크기로 주앙영역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 분할편은 체험후 재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할조립갯수를 최소하고, 좌우 또는 상하대칭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험부(130)는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121a,122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수평고정프레임(123)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평바(123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한 삽입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132)의 외측테두리가 내측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사각지지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각지지틀(133)은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131,13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좌우양측변과 하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도록 대략 'ㄷ'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틀(133a)을 갖추고, 상기 제1지지틀(133b)의 개방된 개구부에 조립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132)의 나머지 상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도록 대략 'ㄷ'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자형 제2지지틀(13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와 프레임부(120)사이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험교육시 좌우양측으로 펼쳐져 수평하게 배치된 제1,2외측 바닥판(111,112)에 대하여 상기 중앙 바닥판(113)에 수직하게 설치된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40)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보강바(141)를 갖추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수직바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보강바(142)를 갖추며, 상기 제1,2보강바(141,142)의 각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43a)를 양단에 갖추어 상기 제1,2보강바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바(141)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함몰부(119)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링크부(119a)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의 접이보관시 상기 제1보강바(141)는 제1함몰부(119)에 매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바(142)는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의 수직바(121a,122a)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2함몰부(129)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링크부(129a)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의 접이보관시 상기 제2보강바(142)는 상기 제2함몰부(129)에 매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3)는 상기 제1,2보강바 중 어느 하나의 보강바에 연결되어 제1,2함몰부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2보강바중 어느 하나와 더불어 매입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43)는 상기 제1,2보강바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걸림연결되어 공회전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암나사부가 상기 제1,2보강바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좌우양측으로 펼쳐진 제1.2외측 바닥판은 상기 제1함몰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1보강바와 상기 제2함몰부롭루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2보강바사이를 연결부재로서 연결함으로써 수직한 프레임부의 제1,2수직고정프레임과 수평한 상기 제1,2외측 바닥판사이를 제1,2보강바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체험교육시 피교육생이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키면서 프레임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가 파손되거나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보장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의 중앙 바닥판 일측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험부(130)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131,132)를 상기 프레임부에 안내하여 삽입배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칸막이 안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 안내부(150)는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일측에 하부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작동판(151)을 갖추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121a)와 나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대응하는 작동판의 일측면에 직교하도록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판(151)의 하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브라켓은 상기 중앙 바닥판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브라켓과 핀부재(154)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판(151)은 체험교육시 상기 핀부재(154a)를 매개로 하여 상기 중앙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한쌍의 안내판사이의 통로와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121a)사이의 간격은 대략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험부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가 상기 한쌍의 안내판사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밀게 되면, 반복적인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시 작업자가 상기 체험부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121,122)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121a,122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수평고정프레임(123)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평바(123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해서 삽입하여 재배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시 상기 중앙 바닥판(113)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동되어 바닥면과 마주하는 작동판(151)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재(15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판의 외측면에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안내판이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작동판의 내측면과 상기 중앙 바닥판의 상부면을 대략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한쌍의 안내판상에 올려지는 체험부를 프레임부측으로 삽입배치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한쌍으로 구비되는 안내판의 외측면사이의 간격은 한쌍으로 구비되는 수직바의 내측면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한쌍의 안내판은 상기 한쌍의 수직바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칸막이 안내부의 접이보관시 상기 작동판(151)이 프레임부측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안내판이 제1,2수직고정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수직고정프레임에 한쌍으로 배치된 수직바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작동판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회동되어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작동판(151)은 상기 프레임부(120)측으로 접이되는 제1,2외측 바닥판(111,1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공(156)과 대응하는 제1고정공(155)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2고정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어 상기 칸막이 안내부의 작동판과 상기 바닥부의 제1,2외측 바닥판사이를 구속하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재(15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후 상기 프레임부(120)측으로 회동되어 접이되는 제1,2외측 바닥판(111,112)과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칸막이 안내부(150)의 작동판(151)은 상기 제1,2고정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접이보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고정부재(155a)의 분리해제에 의해서 상기 칸막이 안내부의 작동판과 상기 바닥부의 제1,2외측 바닥판간의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대피 칸막이 체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접이보관되어 있던 제1,2외측 바닥판을 외측으로 수평하게 펼쳐 바닥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험부를 프레임부에 반복적으로 안내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과 이에 구비된 안내판을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바닥부
111,112 : 제1,2외측 바닥판
113 : 중앙 바닥판
120 : 프레임부
121,122 : 제1,2수직고정프레임
123 : 수평고정프레임
130 : 체험부
131,132 : 체험용 대피 칸막이
131a : 분할편
132a : 칸막이판
132b : 내부분할편
133 : 사각지지틀
140 : 보강부
141,142 : 제1,2보강바
143 : 연결부재
150 : 칸막이 안내부
151 : 작동판
152 : 안내판

Claims (14)

  1. 중앙 바닥판의 좌우양측과 절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외측 바닥판을 갖추어 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 ;
    상기 중앙 바닥판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한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제1,2수직고정프레임을 상기 중앙 바닥판의 양단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상부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한쌍의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수평고정프레임을 갖추어 상기 중앙 바닥판상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프레임부 ;
    상기 한쌍의 수직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상기 한쌍의 수평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갖추어 피교육생이 상기 프레임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를 붕괴시켜 체험하는 체험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체험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안내 삽입하는 칸막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안내부는 상기 중앙 바닥판의 일측에 하부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작동판과,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바와 나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대응하는 작동판의 일측면에 직교하도록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판은 상기 프레임부측으로 접이되는 제1,2외측 바닥판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공과 대응하는 제1고정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2고정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부는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의 외측테두리가 내측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사각지지틀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지지틀은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가 삽입되어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좌우양측변과 하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틀과, 상기 제1지지틀의 개방된 개구부에 조립되면서 상기 체험용 대피칸막이의 나머지 상부변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프레임부사이를 지지하면서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보강바와,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보강바 및 상기 제1,2보강바의 각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양단에 갖추어 상기 제1,2보강바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보강바는 상기 제1,2외측 바닥판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2함몰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링크부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상기 제1,2함몰부에 매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닥판은 하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직고정프레임의 수직바 외측테두리에는 걸림고리를 갖는 고정손잡이를 갖추고,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닥판의 외측단 테두리에 구비된 제1결합구의 관통공과 상기 제1,2 외측 바닥판의 양측테두리에 구비된 제2결합구의 관통공으로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는 합형시 사각판상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일한 일체형 사각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할편은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함몰 형성된 요홈과 대응결합되는 돌기를 돌출형성하거나 인접하는 다른 분할편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대응결합되는 요홈을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사각판재는 외부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용 대피 칸막이는 몸체 중앙에 일정크기의 개방영역을 관통형성한 사각판상의 칸막이판과, 합형시 상기 개방영역을 임시적으로 차단하도록 조립되는 복수개의 내부 분할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KR1020170139468A 2017-10-25 2017-10-25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KR10197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68A KR101979840B1 (ko) 2017-10-25 2017-10-25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68A KR101979840B1 (ko) 2017-10-25 2017-10-25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88A KR20190046188A (ko) 2019-05-07
KR101979840B1 true KR101979840B1 (ko) 2019-05-17

Family

ID=6665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68A KR101979840B1 (ko) 2017-10-25 2017-10-25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8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55B1 (ko) *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1683245B1 (ko) * 2016-09-22 2016-12-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KR101722921B1 (ko) * 2016-07-05 2017-04-19 (주)하림기술단 방화 스크린 셔터를 구비한 화재 피난용 경량칸막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332B1 (ko) * 2015-09-01 2017-11-02 오현석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55B1 (ko) *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1722921B1 (ko) * 2016-07-05 2017-04-19 (주)하림기술단 방화 스크린 셔터를 구비한 화재 피난용 경량칸막이 구조
KR101683245B1 (ko) * 2016-09-22 2016-12-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88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258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
US20180038120A1 (en) Panel Fram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979840B1 (ko) 교육용 대피 칸막이 체험장치
KR101683245B1 (ko)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JP2005046443A (ja) 地震耐久ベッド
JP5543680B1 (ja) 段ボール製仕切り板キット
EP3008257B1 (en) Modular wall installation
JP2010255238A (ja) 段ボール間仕切り、段ボール間仕切り及び床材セット
JP2011120799A (ja) 体験型の組立式迷路遊戯具
KR102097895B1 (ko) 재난 대피용 쉼터
JP7342644B2 (ja) 簡易資材置場
JP2014030371A (ja) 猫用遊具
CN209907583U (zh) 一种用于消防科普体验的移动组合展厅
JP2016118715A (ja) 防災訓練設備
JP3156202U (ja) 避難所用折り畳み式パーティション
KR20160118908A (ko)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JP2006328834A (ja) 段ボール製間仕切構造
JP2006274740A (ja) 避難所用間仕切りユニット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避難所用間仕切り構造
JP2020043889A (ja) 簡易トイレ
JP3228278U (ja) 避難所用間仕切り
JP3229478U (ja) パーティション
JP3221562U (ja) 簡易ログモジュール
JP2006307566A (ja) 折り畳み型個室構成体
JP3119174U (ja) 消火器と消火バケツの収納容器
JP2021139261A (ja) 屋内空間部用の区画体、及び屋内空間部用の区画体の区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