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537B1 -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537B1
KR101979537B1 KR1020180014407A KR20180014407A KR101979537B1 KR 101979537 B1 KR101979537 B1 KR 101979537B1 KR 1020180014407 A KR1020180014407 A KR 1020180014407A KR 20180014407 A KR20180014407 A KR 20180014407A KR 101979537 B1 KR101979537 B1 KR 10197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button
elevator
controll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8001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537B1/ko
Priority to PCT/KR2018/001627 priority patent/WO2018147627A1/ko
Priority to CN201880010634.1A priority patent/CN110325469B/zh
Priority to JP2019563996A priority patent/JP670595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핀카메라들을 모니터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하고, 다수의 엘리베이터들의 동작과 유지보수를 제어하는 동작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핀카메라(P)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한 촬상을 하고, 모니터에 접근하는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동작을 모니터와 핀카메라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컨트롤러(C)가 감지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버튼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Elevators using a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핀카메라들을 모니터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하고, 다수의 엘리베이터들의 동작과 유지보수를 제어하는 동작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7년 2월 8자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0017351호는 핀카메라를 모니터의 상부에 배치해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런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나 케이지에 설치되는 모니터(M)는 아래위로 기다란 직사각형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런 형태로 인해, 모니터(M) 상부에 핀카메라를 배치할 경우, 모니터의 상부가 폭이 좁기 때문에 핀카메라를 여러대, 예컨대 3대 이상 설치하는데 제한이 있고, 모니터의 하단으로 갈수록 핀카메라의 조사범위가 파단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넓어져 광도가 줄어들어 승객의 손가락과 같은 작동자의 동작을 인식하는데 오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핀카메라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설치위치가 변할 경우, 작동자의 동작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 한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여러대, 예컨대 3대 있을 경우, 건물의 승객 탑승 상황에 맞게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성도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또, 작동자가 엘리베이터 모니터에 대해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런 움직임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핀카메라를 모니터 상부가 아닌 모니터 측면에 배치하여 핀카메라 설치 대수를 늘일 수 있고, 핀카메라가 커버하는 영역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핀카메라의 위치에 오차가 생길 경우, 이런 위치오차를 간단히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여러대 있을 경우, 건물의 상황에 맞게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조건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모니터에 대해 작동자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핀카메라(P)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한 촬상을 하고, 모니터에 접근하는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동작을 모니터와 핀카메라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컨트롤러(C)가 감지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버튼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를 제공하고, 이 방법은
상기 모니터(M)를 지지하도록 모니터와 동일 평면으로 모니터를 둘러싸는 측면부와, 모니터(M)의 좌측이나 우측 측면부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일체로 연결된 판형의 핀카메라 지지부(12)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 근처에 설치되며, 핀카메라 지지부(12)에 다수의 구멍(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 지지대(10); 및
핀카메라 지지부(12)의 다수의 구멍(14) 각각의 후방에 설치되어,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는 다수의 핀카메라들(P);을 포함하고,
핀카메라들(P)의 촬상범위내에서 움직이는 작동자의 동작을 상기 컨트롤러(C)가 감지하고, 작동자의 동작에 따라 모니터의 각종 버튼들 중 대응하는 버튼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니터 지지대(10)의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 모니터 지지대(10)가 수직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하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층선택모드 버튼(B3)을 선택하는 단계(S10);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20);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엘리베이터 선택버튼, 전층선택 버튼, 지정층선택 버튼, 짝수층선택 버튼, 홀수층선택 버튼, 사용정지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이런 버튼들 중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S30); 및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선택하는 단계(S100);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10);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핀카메라 세팅을 위한 좌표 버튼으로서 상기 층선택 버튼(B1)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트롤러(C)에 의해 층선택 버튼(B1) 중에서 선택된 기준좌표버튼이 깜박이고, 조작자가 기준좌표버튼을 누르면 깜박임이 정지되고 핀카메라를 위한 기준좌표가 활성화되는 단계(S120); 및
선택된 기준좌표가 활성화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상기 선택된 기준좌표가 핀카메라에 대해 설정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핀카메라(P) 각각이 모니터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이런 촬상에 의거하여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평한 x-z 평면,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직인 y-z 평면, 및 모니터(M)에 평행한 x-y 평면을 설정하는 단계(S'10);
상기 컨트롤러(C)가 상기 x-z 평면, y-z 평면, 및 x-y 평면에서의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를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컨트롤러(C)가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에 의한 꼭지점의 꼭지점 각도, 즉 x-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a), y-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b) 또는 x-y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c)가 소정 각도 이하일 때 이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버튼을 등록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핀카메라를 모니터 상부가 아닌 모니터 측면에 배치하여 핀카메라 설치 대수를 늘일 수 있고, 핀카메라가 커버하는 영역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여 정확한 감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 등으로 핀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핀카메라 정확한 좌표인식을 간단히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한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여러대 있을 경우, 건물의 상황에 맞게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조건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수명을 늘일 수 있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모니터에 대해 작동자가 수직방향이 아닌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기존의 엘리베이터에서 모니터의 측면부에 핀카메라를 배치할 때의 케이지 내부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모니터와 핀카메라가 설치되는 측면부를 일체로 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모듈형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3대의 엘리베이터를 예로 든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순서도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11A~B는 핀카메라가 정상인 상태와 충격에 의해 상단 핀카메라가 조준방향이 비스듬하게 틀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핀카메라의 좌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방법의 순서도;
도 13은 도 12의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14A는 x-z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 14B는 y-z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 14C는 x-y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5는 도 14에 따라 작동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의 순서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다수의 핀카메라, 예컨대 3대 정도의 핀카메라들을 모니터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해야 한다.
도 2는 이렇게 모니터(M)의 측면부에 핀카메라를 배치할 경우, 기존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경우, 도어(D) 옆의 케이지 벽면에 모니터(M)를 설치하고, 케이지의 측벽(3)에 다수의 구멍(5)을 뚫고 이 구멍 뒤에 핀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승강운동과 정지가 굉장히 자주 일어나 반복적인 진동이 생기므로, 케이지의 전면벽과 측벽(3)의 연결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M)와는 분리된 별도의 측벽(3)에 핀카메라들을 설치하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핀카메라가 엘리베이터의 이동과 정지로 인한 진동으로 인해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측정 정밀도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본 출원인은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모니터(M)와 일체를 이루는 측면부에 핀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을 주안점에 두고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도 3은 이렇게 모니터와 핀카메라가 설치되는 측면부를 일체로 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는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핀카메라(P)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한 촬상을 하고, 모니터에 접근하는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동작을 모니터와 핀카메라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컨트롤러(C)가 감지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버튼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모니터(M)는 모니터 지지대(10)에 지지되고, 모니터 지지대(10)는 모니터를 둘러싸고,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되며, 모니터(M)의 좌측이나 우측 측면부에 직각으로 형성된 판형의 핀카메라 지지부(12)를 갖고, 이 지지부(12)에 다수의 구멍(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핀카메라 지지부(12)의 다수의 구멍(14) 각각의 후방에 핀카메라(P)가 하나씩 설치되어,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도록 한다. 또, 핀카메라 지지부(12)는 상황에 따라 모니터 지지대(10)와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런 핀카메라들(P)의 촬상범위내에서 움직이는 작동자의 동작을 컨트롤러(C)가 감지하고, 작동자의 동작에 따라 모니터의 각종 버튼들 중 대응하는 버튼을 활성화시키면서 엘리베이터의 원하는 동작(예; 층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지지대(10)의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렇게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위치한 케이지 측벽을 모니터가 배치된 정면벽과 일체로 하면,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에서 생기는 진동으로부터 핀카메라들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보는 방향으로 모니터(M)의 우측에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위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M)의 좌측에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위치하고, 핀카메라 지지부(12)를 설치하기 위해 케이지의 정면벽에 일체로 기둥 타입의 측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모니터(M)와 모니터 지지대(10)와 핀카메라(P)를 하나의 모듈처럼 구성하고, 이런 모듈의 모니터 지지대(10)가 수직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평상시에는 도 7A와 같이 배치되었다가, 수리가 필요할 경우, 회전축(20)을 중심으로 모듈 전체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수리를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고층이나 초고층 건물의 경우, 건물 한동에 엘리베이터가 여러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엘리베이터가 3대일 경우, 1대는 홀수층만 운행하고, 다른 1대는 짝수층만 운행하며, 나머지 1대는 모든층이나 원하는 지정층(예컨대 1층과 10층)만 운행하도록 하여, 승객의 이동의 효율성과 이동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운행상황이 변하면 이런 운행조건을 변경해야할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조건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조작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 아주 편리할 것이다.
도 8은 이런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다수의 엘리베이터, 여기서는 1호기 내지 3호기의 3대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호기는 짝수층만 운행하고, 2호기는 홀수층만 운행하며, 3호기는 전층을 운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보여준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들을 간단히 조작하여 운행조건을 변경한 상태를 보여주는바, 예컨대 야간이나 휴일처럼 이용 승객이 극히 적을 경우 소비전력의 절감과 엘리베이터의 수명연장을 위해 1호기와 2호기는 운행을 정지하고 3호기만 전층을 운행하도록 한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이렇게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경우, 전술한 동작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먼저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층선택모드 버튼(B3)을 선택한다. 이어서, 보안과 안전을 위해 권한을 갖는 자만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20).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S30 단계에서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엘리베이터 선택버튼, 전층선택 버튼, 지정층선택 버튼, 짝수층선택 버튼, 홀수층선택 버튼, 사용정지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이런 버튼들 중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된다.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되면, S40 단계에서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작동이 개시되고, 과정을 종료한다.
도 10은 이런 방법의 각 단계에서 해당하는 모니터(M)의 디스플레이를 순서대로 보여준다. 즉, 도 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전술한 단계들이 실행되는데, 도 10A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의 초기상태로서 S10 단계에서 층선택모드(B3) 버튼을 누르면,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고 S20 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후, 도 10C와 같이 해당 호기에 대한 각종 선택모드가 디스플레이되고 S30 단계에서 원하는 선택버튼을 누르면 된다. 2호기와 짝수층을 선택하면 도 10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고, 3호기와 홀수층을 선택하면 도 10E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핀카메라(P)가 조준방향이 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핀카메라를 통해 정확한 좌표를 인식하기가 곤란하다. 도 11은 이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11A는 정상상태를 보여주고, 도 11B는 충격에 의해 상단 핀카메라(P)가 조준방향이 비스듬하게 틀어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B와 같은 경우, 상단 핀카메라(P)의 조준선이 원래 상태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좌표인식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런 핀카메라 오류상태를 간단히 수리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도 12는 핀카메라의 좌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선택한다(S100). 마찬가지로,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S110 단계에서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핀카메라 세팅을 위한 좌표 버튼으로서 층선택 버튼(B1)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트롤러(C)에 의해 층선택 버튼(B1) 중에서 선택된 기준좌표버튼이 깜박이고, 조작자가 기준좌표버튼을 누르면 깜박임이 정지되고 핀카메라를 위한 기준좌표가 활성화된다(S120).
선택된 기준좌표가 활성화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기준좌표가 핀카메라에 대해 설정된다(S130).
도 13은 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A는 핀카메라 세팅모드 선택버튼(B4)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고, S100 단계에서 이 버튼(B4)을 누르면 도 13B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 13C와 같이 핀카메라 세팅을 위한 좌표 버튼으로서 층선택 버튼(B1)과 안내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는 기준좌표버튼으로서 가장자리의 4개 버튼, 즉 B1층, B3층, 7층 및 9층 버튼이 깜박이고, 조작자기 이렇게 깜박이는 기준좌표버튼을 누르면 컨트롤러에 의해 이런 기준좌표버튼이 해당하는 층으로서 인식되어, 핀카메라가 올바른 좌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모니터에 대해 승객의 손가락과 같은 작동자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방법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핀카메라(P) 각각이 모니터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고, 컨트롤러(C)는 이런 촬상에 의거하여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평한 x-z 평면,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직인 y-z 평면, 및 모니터(M)에 평행한 x-y 평면을 설정한다. 도 14는 이런 평면들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이해하기 쉽도록 도 14C에 x, y, z 축의 좌표계를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고, 이런 좌표계에 따라 14A는 x-z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 14B는 y-z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 14C는 x-y 평면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도 14A~B에서 모니터 뒷쪽의 숫자는 층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각각의 평면에 대해 진입했다 후퇴하면서 꼭지점에서 이루는 꼭지점 각도 a, b, c가 형성되고, 컨트롤러(C)는 이런 꼭지점 각도를 인식하고 꼭지점 각도가 예컨대 30도 이하 또는 40도 이하일 경우 꼭지점에 해당하는 층수(도면에서는 6층)을 선택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5는 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10 단계에서, 컨트롤러(C)가 전술한 x-z 평면, y-z 평면 및 xy 평면을 설정한다.
S'20 단계에서는, 컨트롤러(C)가 도 14와 같이 x-z 평면, y-z 평면, 및 x-y 평면에서의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를 동작을 감지한다.
이어서, 컨트롤러(C)가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에 의한 꼭지점의 꼭지점 각도, 즉 x-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a), y-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b) 또는 x-y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c)가 소정 각도 이하일 때 이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버튼을 등록한다(S'30).
이상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핀카메라들은 모니터나 모니터 지지대와 일체인 구조에 설치될 수만 있으면 모니터의 측면이 아닌 상부나 하부를 포함해 모니터 주변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핀카메라(P)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한 촬상을 하고, 모니터에 접근하는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동작을 모니터와 핀카메라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컨트롤러(C)가 감지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버튼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M)를 지지하도록 모니터와 동일 평면으로 모니터를 둘러싸는 측면부와, 모니터(M)의 좌측이나 우측 측면부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일체로 연결된 판형의 핀카메라 지지부(12)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나 도어 근처에 설치되며, 핀카메라 지지부(12)에 다수의 구멍(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 지지대(10); 및
    상기 핀카메라 지지부(12)의 다수의 구멍(14) 각각의 후방에 설치되어, 모니터(M)의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는 다수의 핀카메라들(P);을 포함하고,
    상기 핀카메라들(P)의 촬상범위내에서 움직이는 작동자의 동작을 상기 컨트롤러(C)가 감지하고, 작동자의 동작에 따라 모니터의 각종 버튼들 중 대응하는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지지대(10)의 핀카메라 지지부(12)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카메라 지지부(12)를 포함한 모니터 지지대(10)가 수직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4.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층선택모드 버튼(B3)을 선택하는 단계(S10);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20);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엘리베이터 선택버튼, 전층선택 버튼, 지정층선택 버튼, 짝수층선택 버튼, 홀수층선택 버튼, 사용정지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이런 버튼들 중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S30); 및
    선택된 버튼이 활성화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
  5.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중의 어느 한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선택하는 단계(S100);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10);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모니터(M)에 핀카메라 세팅을 위한 좌표 버튼으로서 상기 층선택 버튼(B1)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트롤러(C)에 의해 층선택 버튼(B1) 중에서 선택된 기준좌표버튼이 깜박이고, 조작자가 기준좌표버튼을 누르면 깜박임이 정지되고 핀카메라를 위한 기준좌표가 활성화되는 단계(S120); 및
    선택된 기준좌표가 활성화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완료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조작자가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상기 선택된 기준좌표가 핀카메라에 대해 설정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
  6. 다수의 엘리베이터 각각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런 컨트롤러가 엘리베이터 각각의 케이지나 도어나 도어 근처에 설치된 모니터(M) 및 모니터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핀카메라(P)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층선택 버튼(B1), 도어 개폐버튼(B2), 층선택모드 버튼(B3), 핀카메라 세팅모드 버튼(B4)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핀카메라(P) 각각이 모니터 정면에 나란하게 촬상을 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이런 촬상에 의거하여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평한 x-z 평면, 모니터(M)에 직각이면서 수직인 y-z 평면, 및 모니터(M)에 평행한 x-y 평면을 설정하는 단계(S'10);
    상기 컨트롤러(C)가 상기 x-z 평면, y-z 평면, 및 x-y 평면에서의 승객의 손가락을 포함한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를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컨트롤러(C)가 작동자의 전진과 후퇴에 의한 꼭지점의 꼭지점 각도, 즉 x-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a), y-z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b) 또는 x-y 평면에서의 꼭지점 각도(c)가 소정 각도 이하일 때 이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버튼을 등록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방법.
KR1020180014407A 2017-02-08 2018-02-06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7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07A KR101979537B1 (ko) 2018-02-06 2018-02-06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PCT/KR2018/001627 WO2018147627A1 (ko) 2017-02-08 2018-02-07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CN201880010634.1A CN110325469B (zh) 2017-02-08 2018-02-07 利用显示器的电梯动作控制装置及方法
JP2019563996A JP6705950B2 (ja) 2017-02-08 2018-02-07 モニタ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動作制御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07A KR101979537B1 (ko) 2018-02-06 2018-02-06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537B1 true KR101979537B1 (ko) 2019-05-16

Family

ID=6667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07A KR101979537B1 (ko) 2017-02-08 2018-02-06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20A (ko)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대솔이엘 손의 움직임 감지를 통한 엘리베이터 동작 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51B1 (ko) * 2006-12-15 2008-02-28 윤일식 엘리베이터 천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42301B1 (ko) * 2012-05-22 2013-03-11 윤일식 엘리베이터용의 광센서형 층선택 스위치판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방법
KR101667510B1 (ko) * 2016-02-11 2016-10-1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JP6028589B2 (ja) * 2013-01-23 2016-11-16 富士通株式会社 入力プログラム、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101754987B1 (ko) * 2015-05-14 2017-07-06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운행층 정보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51B1 (ko) * 2006-12-15 2008-02-28 윤일식 엘리베이터 천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42301B1 (ko) * 2012-05-22 2013-03-11 윤일식 엘리베이터용의 광센서형 층선택 스위치판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방법
JP6028589B2 (ja) * 2013-01-23 2016-11-16 富士通株式会社 入力プログラム、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101754987B1 (ko) * 2015-05-14 2017-07-06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운행층 정보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장치
KR101667510B1 (ko) * 2016-02-11 2016-10-1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20A (ko)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대솔이엘 손의 움직임 감지를 통한 엘리베이터 동작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773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monitor
EP3299323B1 (en) Secondary car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s
JP6720414B2 (ja) 旅客搭乗橋
KR101667510B1 (ko)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US20150274176A1 (en) Moving amount derivation apparatus
CN108928720A (zh) 用于电梯轿厢的基于触摸的交互式操作面板系统
EP38483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abin operating panels in elevator cabs based on positions of passengers
KR101979537B1 (ko)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US20150197006A1 (en) Robot, robot system, robot control device and robot control method
JP201302844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カメラの点検方法
JP6705950B2 (ja) モニタ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動作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7167994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の内部を点検する機能を備えた点検装置および点検システム
US20190062119A1 (en) Elevator hidden-component inspection systems
JP6824702B2 (ja) 機械式駐車場
KR20210087620A (ko) 손의 움직임 감지를 통한 엘리베이터 동작 제어장치
JP6795266B1 (ja)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システム
JP201902646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24204A (ja) 乗りかご
WO2019171507A1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表示装置
JPH0419164Y2 (ko)
JP6091998B2 (ja) 作業機械
EP4378836A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boarding section of aircraft
CN115703606A (zh) 面板型输入装置以及使用该面板型输入装置的电梯
KR20230111629A (ko)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218339A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案内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