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439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439B1
KR101979439B1 KR1020170036711A KR20170036711A KR101979439B1 KR 101979439 B1 KR101979439 B1 KR 101979439B1 KR 1020170036711 A KR1020170036711 A KR 1020170036711A KR 20170036711 A KR20170036711 A KR 20170036711A KR 101979439 B1 KR101979439 B1 KR 10197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ase
frame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583A (ko
Inventor
정순기
하현필
문영철
박재균
배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175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57566B1/en
Priority to EP20199266.6A priority patent/EP3791948A3/en
Priority to CN201911251550.XA priority patent/CN110917742B/zh
Priority to CN201910654621.4A priority patent/CN110384988B/zh
Priority to CN201911252987.5A priority patent/CN110975454B/zh
Priority to US15/623,781 priority patent/US11364459B2/en
Priority to CN201710451602.2A priority patent/CN107519709B/zh
Publication of KR2017014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439B1/ko
Priority to US17/749,557 priority patent/US118905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을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향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부를 가지는 원통형 케이스가 포함되어, 360도 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개방되면,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원주방향으로부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유로와, 공기 청정기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중심으로 상방, 전방 및 좌우 방향을 향하여 토출기류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이 증가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이 용이한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차폐하는 케이스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필터의 정화능력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필터의 설치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가지는 원통형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이 포함되어, 360도 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개방되면,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하측에 구비되는 케이스지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지지부에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그릴삽입부가 포함되어,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지지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을 가지는 흡입그릴이 포함되고, 상기 그릴삽입부는 상기 다수의 흡입공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그릴삽입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부재;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편이 더 포함되어, 원통형 케이스의 본체부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 또는 상기 금속편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 개의 통공 중 상기 흡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의 크기는,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측에는, 제 1 필터부재 및 제 1 필터 프레임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측에는, 제 2 필터부재 및 제 2 필터 프레임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 1 팬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 2 팬이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고,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케이스의 구조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케이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에는, 제 1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 제 2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3 흡입부 및 베이스측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가 포함되어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기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흡입용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는 제 1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1,2 송풍장치의 사이에는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가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는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케이스를 분리하면 필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케이스와 공기청정 모듈의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의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와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에 결합될 수 있는 금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작동중에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본체부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자석과 금속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는 흡입 그릴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 그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그릴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 또는 금속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자석과 금속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당기면,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상기 흡입 그릴에 지지된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케이스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케이스를 힘들이지 않고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공기청정 모듈의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제 1 본체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제 1 본체부로부터 분리되고 제 1 필터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 필터부재 및 케이스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를 유동 조절모듈(3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본체부(100a, 도 3 참조)를 커버하는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본체부(100a) 및 상기 본체부(100a)를 커버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a)에는, 후술할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160), 제 1 팬하우징(150),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101a,1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101a,101b)에는, 제 1 파트(101a) 및 제 2 파트(1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101a,1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2 파트(101a,1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1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101c)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양측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101b)의 양측 단부를 형성된다. 상기 제 1,2 파트(101a,101b)는 후술할 흡입그릴(110)에 지지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101a) 또는 상기 제 2 파트(101b)는 공기 청정기(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본체부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2 파트(101a,10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다수 개의 통공 중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이하, 하부 통공)의 크기는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이하, 상부 통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팬(16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하부 통공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10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본체부를 커버하는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에는, 후술할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260), 제 2 팬하우징(250),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201a,2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201a,201b)에는, 제 1 파트(201a) 및 제 2 파트(2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201a,2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1,2 파트(201a,2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2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201c)는 상기 제 1 파트(201a)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201b)의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2 파트(201a,201b)는 레버 지지장치(560)에 지지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01a) 또는 상기 제 2 파트(201b)는 공기 청정기(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케이스(101)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본체부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1,2 파트(201a,20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다수 개의 통공 중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이하, 하부 통공)의 크기는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이하, 상부 통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팬(16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하부 통공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 중 어느 하나의 파트는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의 1/2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파트가 2개 결합되면, 원통형 또는 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의 제 1 케이스(101) 또는 제 2 케이스(20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장치(400)와 관련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공기청정 모듈의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제 1 본체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제 1 본체부로부터 분리되고 제 1 필터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1,201)에는, 지지장치 및 본체부 결합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케이스(101,20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101,20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지지장치 및 본체부 결합장치를 도시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그 하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그 상부가 외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또는 회전하면서) 제 1 본체부(10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본체부의 양측을 커버하는 제 1 파트(101a) 및 제 2 파트(1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101a) 및 상기 제 2 파트(101b)는 각각 상기 제 1 본체부(10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파트(101a,101b)가 상기 제 1 본체부(100a)에 지지 및 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파트(101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파트(101a)에는, 흡입그릴(110)에 지지되는 지지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에는, 상기 제 1 파트(101a)에 구비되며 흡입그릴(110)의 그릴삽입부(116)에 결합되는 지지돌기(104)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돌기(104)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돌기(104)에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연장부(104a) 및 상기 제 1 돌기연장부(104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돌기연장부(104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돌기연장부(104a,104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지지돌기(104)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릴삽입부(116)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테두리부(111a)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그릴삽입부(116)는 흡입그릴(110)의 흡입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12)에는 다수의 흡입공(112a)이 포함되며, 상기 그릴삽입부(116)는 상기 다수의 흡입공(112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릴삽입부(116)의 크기는 각 흡입공(112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04)가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04)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지지돌기(104)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지지돌기(10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파트(101a)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은 상기 케이스(101)를 지지하는 점에서, "케이스지지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제 1 필터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2 파트(101a,101b)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가 제 1 송풍장치(100)의 본체부(101a)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는, 다수의 필터부(121,125)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필터부(121,125)에는, 제 1 필터부(121) 및 제 2 필터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상기 제 1 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필터부(121,125)는 각각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121)는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을 필터링 하는 "이물제거 필터"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필터부(121)에는, 헤파필터(HEPA FILTE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공기 냄새입자를 필터링 하는 "탈취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101)에는, 제 1 송풍장치(100)의 본체부(100a)에 결합되는 본체부 결합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부 결합장치에는, 금속편(109)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편(109)에는, 자석에 결합될 수 있는 스틸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편(109)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금속편(109)은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편(109)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금속편(109)은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금속편(109)에는, 제 1 금속편(109a), 제 2 금속편(109b) 및 제 3 금속편(109c)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부(100a)의 외주면에는, 상기 금속부재(109)에 결합되는 자석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부재(50)는 상기 본체부(1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석부재(50)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5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자석부재(50)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자석부재(50)에는, 상기 제 1 금속편(109a)에 결합되는 제 1 자석(50a), 상기 제 2 금속편(109b)에 결합되는 제 2 자석(50b) 및 상기 제 3 금속편(109c)에 결합되는 제 3 자석(미도시)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금속편(109)과 다수 개의 자석부재(50)가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케이스(2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제 1 케이스(101)에 금속편이 구비되고, 본체부(100a)에 자석부재가 배치되어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자석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100a)에 금속편이 구비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케이스(101)의 착탈 및 제 1 필터부재(120)의 착탈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상기 본체부(100a)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부는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지지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지지돌기(104)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그릴삽입부(116)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편(109)은 상기 본체부(100a)의 자석부재(50)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본체부(100a)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상기 본체부(100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편(109)과 상기 자석부재(5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를 당겨 회전시킬 수 있다 (A 방향). 이 때,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부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상기 금속편(109)과 상기 자석부재(5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가 상기 본체부(100a)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지지돌기(104)가 상기 그릴삽입부(116)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B 방향).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상기 본체부(100a)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외부에 노출되며, 제 1 필터 프레임(130, 도 8 참조)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파지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잡아 당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C 방향).
이러한 제 1 케이스(101) 및 제 1 필터부재(12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개방 및 제 1 필터부재(12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1a)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111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111a)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a)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그릴본체(111)에는, 후술할 핸들(144)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1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홈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그릴본체(111)의 테두리부 중, 상기 흡입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1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1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 절개부(145)는 레버본체(14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상기 그릴본체(11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제 2 핸들(1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제 2 핸들(144)에 결합되는 제 1 핸들(1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113)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121,125) 및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1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1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본체(121,125)에는, 제 1 필터부(121) 및 상기 제 1 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2 필터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함몰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홈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와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걸림돌기(107)가 결합되는 걸림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b)는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부는 후술할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 1,2 핸들(141,144)이 조작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1,2 핸들(141,1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의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16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1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166)는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 및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18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와 결합되는 체결가이드(18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가이드(183)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183)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체결리브(17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178)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가이드(183)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가이드(183)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가이드(183) 및 상기 체결리브(178)는 3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벽지지부(18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벽지지부(187)에 의하여, 상기 제 1,2 가이드벽(181,182)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지지부(187)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벽지지부(187)에는, 4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벽지지부(187)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벽지지부(187)에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1 공간부(18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43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88)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상기 제 2 결합부(188)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449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88)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2 결합부(188)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결합부(188) 및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3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8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부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최외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절곡부(186)는 대략 ㄱ 형상 또는 처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곡부(186)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86a) 및 상기 제 1 연장부(186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86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장부(186a)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테두리부, 즉 절곡지지부(197)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2 연장부(186b)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흡입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대략 중앙부에 제 2 공간부(194)를 형성하는 제 1 토출본체(19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에는, 외주면을 형성하는 본체외벽(191a) 및 내주면을 형성하는 본체내벽(191b)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외벽(191a)은 상기 본체내벽(191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외벽(191a) 및 본체내벽(191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토출본체(191)는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는 상기 본체내벽(191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에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는 상기 제 1 공간부(184)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184)와 함께, 상기 PCB 장치(5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에는, 제 1 토출그릴(19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의 본체내벽(191b)으로부터 본체외벽(191a)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의 사이에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제 1 토출부(105)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2 공기유로(18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그릴(195)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로부터 상기 제 1 토출부(105)까지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지지장치의 하측에 제공되는 레버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 및 레버장치에 관한 설명은 상기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필터부재(220) 또는 레버장치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PCB 장치(50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제 3 공간부(564)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공간부(564)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를 구성하는 면은 경사면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과, 후술할 구획판(4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점에서, "차단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에 관한 설명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제 1 플레이트(440)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40)는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하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내벽(441) 및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외벽(443)이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중앙부에는, 제 4 공간부(449)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공간부(44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은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과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 사이의 공간을 규정하는 함몰부(44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442)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단부와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44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제 2 결합부(18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본체(4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안착부(4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455)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455)의 중앙부에는, 제 5 공간부(459)가 형성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제 4 공간부(564)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5 공간부(184,194,564,449,459)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PCB 장치(5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4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453)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 면을 가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 필터부재 및 케이스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터 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1)과,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32) 및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점에서 "지지 프레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위치되는 장착공간(130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30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절개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144)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핸들(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내벽(133)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13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외벽(134)은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측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하부로 연장되는 벽 연결부(134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하는 하우징안착부(13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안착부(133a)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인입부(130b)가 형성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되는 방향을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이라 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입되는 방향을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 중 어느 2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인입부(130b)가 형성된다. 상기 어느 2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제 1 프레임(135a,135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5,135b)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 2 프레임(135c,135d)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135a,135b) 사이 공간 중, 전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인입부(130b)가 형성되며, 후방공간에는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지지력을 고려할 때, 상기 인입부(130b)가 형성되는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측의 지지력은,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이 배치되는 후방부측의 지지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부측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이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원주방향 길이(L1)는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의 원주방향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지지력은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의 지지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측에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부족하게 되는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 상기 상부 프레임(132) 및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분리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파트(101a) 및 제 2 파트(101b)가 서로 분리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인입부(130b)를 통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리되거나, 상기 인입부(130b)를 통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이 구동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의 흡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로 유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원주방향에서, 즉 360도 방향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져, 공기 청정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가 구비되므로,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가 흡입되는 공기유동을 방해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해제위치, 일례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의 핸들(144)의 위치를 "제 1 위치" 또는 "해제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공간(130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공간을 형성한다.
도 13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인입부(130b)를 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44)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상부, 즉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44)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제 2 팬(260) 및 제 2 팬모터(265)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하우징(150), 제 1 팬(160) 및 제 1 팬모터(165)들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제 1 랙 및 축가이드 홈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제 3 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디스플레이 PCB(618)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618)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과 상기 제 3 팬(3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3 팬모터(165,265,365)는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 도 17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랙(374)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기어모터(367)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 결합되는 제 2 기어(365)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16 참조). 반면에,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누워져 있는 위치를 "제 1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조절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17와 같이 세워져 있는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86 : 절곡부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50 : 제 2 팬하우징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 조절장치 400 : 구획장치
430 : 구획판 440 : 제 1 플레이트
450 : 제 2 플레이트 560 : 레버 지지장치

Claims (21)

  1. 팬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흡입측에 구비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토출부가 포함되는 본체부;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케이스로서,
    반 원통형 또는 반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차폐하는 제 1 파트; 및
    반 원통형 또는 반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 다른 일부를 차폐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는 케이스;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는 상기 팬 하우징, 상기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각각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 1,2 파트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파트의 단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2 파트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파트의 상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상부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 1,2 파트는 상기 제 1 파트의 하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하부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공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통공;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통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부 통공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통공으로부터 상기 팬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부 통공으로부터 상기 팬까지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파트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2 파트의 양측 단부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분리부가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팬 하우징이 놓여지는 하우징 안착부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안착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릴이 제공되는 팬 유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그릴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기 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에는,
    원통 형상의 필터면을 가지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의 상단부에 개구되며, 상기 필터본체를 지난 공기가 유동하는 필터공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과, 상기 프레임 개구부 및 상기 그릴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공기 청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공기 중 먼지 또는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장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의하여 차폐되는 공기 청정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공기 청정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3개 이상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지지 프레임 중 2개의 지지 프레임 사이의, 상기 필터부재의 인출 방향의 전방 공간은 상기 필터부재의 인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지지 프레임 사이의 후방 공간에, 나머지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공기청정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공기청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지지돌기를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연결리브가 더 포함되는 공기청정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 1,2 파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부재;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 1,2 파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편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170036711A 2016-06-15 2017-03-23 공기 청정기 KR10197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5889.9A EP3257566B1 (en) 2016-06-15 2017-06-14 Air cleaner
EP20199266.6A EP3791948A3 (en) 2016-06-15 2017-06-14 Air cleaner
CN201911251550.XA CN110917742B (zh) 2016-06-15 2017-06-15 空气清洁器
CN201910654621.4A CN110384988B (zh) 2016-06-15 2017-06-15 空气清洁器
CN201911252987.5A CN110975454B (zh) 2016-06-15 2017-06-15 空气清洁器
US15/623,781 US11364459B2 (en) 2016-06-15 2017-06-15 Air cleaner
CN201710451602.2A CN107519709B (zh) 2016-06-15 2017-06-15 空气清洁器
US17/749,557 US11890569B2 (en) 2016-06-15 2022-05-20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60 2016-06-15
KR20160074360 2016-06-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60A Division KR101978504B1 (ko) 2016-06-15 2018-04-30 공기 청정기
KR1020190054584A Division KR101985537B1 (ko) 2016-06-15 2019-05-09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83A KR20170141583A (ko) 2017-12-26
KR101979439B1 true KR101979439B1 (ko) 2019-05-16

Family

ID=6093675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65A KR102011030B1 (ko) 2016-06-15 2016-12-19 공기 청정기
KR1020170036711A KR101979439B1 (ko) 2016-06-15 2017-03-23 공기 청정기
KR1020180050160A KR101978504B1 (ko) 2016-06-15 2018-04-30 공기 청정기
KR1020190054584A KR101985537B1 (ko) 2016-06-15 2019-05-09 공기 청정기
KR1020190096377A KR102615387B1 (ko) 2016-06-15 2019-08-07 공기 청정기
KR1020220185495A KR102572835B1 (ko) 2016-06-15 2022-12-27 공기 청정기
KR1020230111990A KR20230128256A (ko) 2016-06-15 2023-08-25 공기 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65A KR102011030B1 (ko) 2016-06-15 2016-12-19 공기 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60A KR101978504B1 (ko) 2016-06-15 2018-04-30 공기 청정기
KR1020190054584A KR101985537B1 (ko) 2016-06-15 2019-05-09 공기 청정기
KR1020190096377A KR102615387B1 (ko) 2016-06-15 2019-08-07 공기 청정기
KR1020220185495A KR102572835B1 (ko) 2016-06-15 2022-12-27 공기 청정기
KR1020230111990A KR20230128256A (ko) 2016-06-15 2023-08-25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011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97B1 (ko) * 2018-10-25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129528B1 (ko) * 2018-12-04 2020-07-08 주식회사 아지즈 공기 조절형 환기 청정기
KR102032401B1 (ko) * 2019-04-15 2019-10-15 이동엽 공기청정기
KR102546344B1 (ko) * 2019-04-15 2023-06-20 이동엽 공기청정기
KR200492808Y1 (ko) * 2019-06-05 2020-12-14 (주)벨레 공기 청정기
KR102216231B1 (ko) * 2019-06-25 2021-02-16 임미란 아로마와 가습기의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099043B1 (ko) * 2019-08-08 2020-04-10 김희성 차량용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65915B1 (ko) * 2019-08-09 2021-06-1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실내 천장용 공기청정기
WO2022045776A1 (ko) * 2020-08-27 2022-03-0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450694B1 (ko) * 2020-08-27 2022-10-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582123B1 (ko) * 2021-06-29 2023-09-2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457414B1 (ko) * 2020-05-04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92185B1 (ko) * 2020-05-07 2022-04-2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EP3919751B1 (en) 2020-06-02 2023-08-02 LG Electronics Inc.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KR102553490B1 (ko) * 2020-09-23 202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팬장치
KR102467323B1 (ko) * 2020-08-07 202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50239B1 (ko) * 2020-08-27 2022-10-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12138479B (zh) * 2020-09-30 2022-04-01 格鼎机电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可变风道除尘器
KR20220079186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위니아 공기청정기
KR102382238B1 (ko) * 2021-05-13 2022-04-12 주식회사 효선전기 자외선램프와 기능성 필터가 내장된 공기 살균정화기
KR102304142B1 (ko) * 2021-06-30 2021-09-17 서경아 원통형 공기 청정기
CN113384964B (zh) * 2021-07-01 2022-06-28 康斐尔过滤设备(太仓)有限公司 过滤器
KR102572846B1 (ko) * 2021-08-27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875A1 (en) * 2005-06-08 2006-12-14 Rps Products, Inc. Stackable air purifier system with expandable housing
US20150273381A1 (en) * 2014-02-14 2015-10-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87B1 (ko) * 1994-02-25 1998-06-01 박영길 에어크리너 필터 프레임
JP3697950B2 (ja) * 1999-06-11 2005-09-21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
KR2004005615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30036299A (ko) * 2003-02-26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0508312B1 (ko) * 2004-03-02 2005-08-1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공기정화기
KR20100056797A (ko)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936811B1 (ko) 2009-06-23 2010-01-15 플러스파운틴(주) 수중펌프 보호필터
KR102058064B1 (ko) * 2012-07-27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DE102013110631B4 (de) * 2013-09-26 2018-03-22 Haslach Luft und Schalltechnik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Raumluft
KR102220214B1 (ko) * 2014-07-25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60015084A (ko) * 2014-07-30 2016-02-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1647716B1 (ko) * 2014-10-24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663512B1 (ko) * 2014-11-05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60054731A (ko) * 2014-11-06 2016-05-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875A1 (en) * 2005-06-08 2006-12-14 Rps Products, Inc. Stackable air purifier system with expandable housing
US20150273381A1 (en) * 2014-02-14 2015-10-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83A (ko) 2017-12-26
KR20190051939A (ko) 2019-05-15
KR20190095240A (ko) 2019-08-14
KR20230007291A (ko) 2023-01-12
KR101985537B1 (ko) 2019-06-03
KR102615387B1 (ko) 2023-12-20
KR20170141577A (ko) 2017-12-26
KR20230128256A (ko) 2023-09-04
KR20180048540A (ko) 2018-05-10
KR102011030B1 (ko) 2019-08-14
KR102572835B1 (ko) 2023-08-31
KR101978504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37B1 (ko) 공기 청정기
KR101897353B1 (ko) 공기 청정기
CN110384988B (zh) 空气清洁器
CN111156623A (zh) 空气清洁器
KR102021391B1 (ko) 공기 청정기
KR101913470B1 (ko) 공기 청정기
CN111853993B (zh) 空气清洁器
KR101861012B1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70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40903A (ko) 공기 청정기
KR20180111320A (ko) 공기청정기
KR20190044044A (ko) 공기 청정기
KR20190100142A (ko) 공기 청정기
KR101855008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8B1 (ko) 공기 청정기
KR102247458B1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69B1 (ko) 공기 청정기
KR101795938B1 (ko) 공기 청정기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41058A (ko) 공기 청정기
KR102152658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111369A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