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01B1 -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 Google Patents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01B1
KR101979301B1 KR1020170091146A KR20170091146A KR101979301B1 KR 101979301 B1 KR101979301 B1 KR 101979301B1 KR 1020170091146 A KR1020170091146 A KR 1020170091146A KR 20170091146 A KR20170091146 A KR 20170091146A KR 101979301 B1 KR101979301 B1 KR 10197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ing
plate
beehiv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196A (ko
Inventor
김호겸
Original Assignee
김호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겸 filed Critical 김호겸
Priority to KR102017009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는 벌통본체에 개구 형성된 벌출입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벌출입구를 통하여 말벌이 벌통본체 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에 노출되어 말벌의 공격을 받는 꿀벌을 보호하는 말벌차단기구로서; 통로를 형성하며 일측 단부가 벌통본체에 결합되어 개구부가 벌출입구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차단본체와,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차단본체의 타측 개구부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단부는 단부가 차단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로 이루어진 제1 차단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단부는 단부가 차단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로 이루어진 제2 차단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본 발명은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구비하여 말벌이 벌출입구를 통하여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말벌은 7월경부터 꿀벌 벌통에 출현하여 꿀벌을 말벌들의 유충 먹이로 사용하는데, 8월경이 되면 상기 말벌의 유충들이 성장하여 집단을 이루게 되면, 상기 꿀벌통에 침입하여 대량 교살시켜 양봉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벌 차단 기구는 벌통(1)의 전면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는 철망프레임(5)과 상기 철망프레임(5)이 고정되는 말벌방어울타리체(3)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망프레임(5)에는 가로세로 약 1㎝의 메쉬로 되는 철망(6)이 고정구(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말벌방어울타리체(3)는 벌통부착용 가로판재(10)에 의해 벌통(1)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상기 말벌방어울타리체(3)는 상기 벌통부착용 가로판재(10)의 양측으로 직각삼각형인 좌판부재(9)와 우판부재(8)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판부재(9,8) 하단으로는 바닥판재(12)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재(12)의 전면으로는 말벌이 착륙될 말벌방어울타리착륙판재(13)가 더 구비된다.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는 철망의 메쉬 크기가 작아 벌통으로 꿀벌이 출입할 때 철망 앞에서 정지 비행을 하거나 철망에 착지하여 메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말벌에게 잡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0515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구비하여 말벌이 벌출입구를 통하여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에 노출되어 말벌의 공격을 받는 꿀벌을 보호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는 벌통본체에 개구 형성된 벌출입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벌출입구를 통하여 말벌이 벌통본체 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에 노출되어 말벌의 공격을 받는 꿀벌을 보호하는 말벌차단기구로서; 통로를 형성하며 일측 단부가 벌통본체에 결합되어 개구부가 벌출입구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차단본체와,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차단본체의 타측 개구부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단부는 단부가 차단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로 이루어진 제1 차단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단부는 단부가 차단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로 이루어진 제2 차단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는 상기 차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차단부는 제1 차단부와 벌통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차단부를 이루는 복수의 제1 창살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2 차단부를 이루는 복수의 제2 창살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 차단부를 이루는 제1 창살의 간격은 제2 차단부를 이루는 제2 창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본체는 본체상판과, 상기 본체상판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본체측판과, 상기 본체상판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본체상판과 마주하도록 양단이 본체측판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본체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차단부를 이루는 제2 창살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본체측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차단부를 이루는 제1 창살은 상단이 본체상판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상판은 본체하판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창살은 길이 방향으로 본체하판의 단부와 본체상판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상판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본체하판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창살과 본체하판의 단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측판은 본체하판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창살의 하단은 본체하판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본체의 전방 단부의 외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외측도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본체의 전방 단부 내면에는 슬립제가 도포된 내측도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가 서로 이격 구비되어 말벌이 벌출입구를 통하여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벌출입구에서 방어 꿀벌 등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말벌의 공격을 받는 꿀벌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의 철망스크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말벌 차단 기구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차단 기구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차단 기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제1 차단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 차단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차단 기구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차단 기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제1 차단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 차단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좌우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며, 도 6에서 통로의 연장 방향인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말벌 차단 기구(100)로부터 벌통본체(201)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차단 기구(100)는 벌통(20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벌통(200)은 벌통본체(201)와 벌통커버(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벌통본체(201)는 상향 개구된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벌통본체(201)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벌출입구(203)가 형성된다. 상기 벌출입구(203)는 꿀벌이 벌통본체(201) 내로 출입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벌통본체(201)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벌통커버(202)는 상기 벌통본체(201)의 상향 개구된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벌통커버(202)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말벌 차단 기구(100)는 상기 벌통본체(201)의 벌출입구(203)가 형성된 쪽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말벌 차단 기구(100)는 상기 벌출입구(203)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말벌 차단 기구(100)는 상기 벌출입구(203)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벌출입구(203)를 통하여 말벌이 벌통본체(201) 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말벌 차단 기구(100)는 차단본체(110)와, 제1 차단부(120)와, 제2 차단부(130)와, 외측도포부(140)와, 내측도포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하며 길이 방향 양측이 개구되어 구비된다. 상기 차단본체(110)의 일측 개구부는 상기 벌출입구(203)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본체(110)의 개구부는 상기 벌출입구(203)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본체(110)의 일측 개구부에는 상기 차단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외향 절곡된 플랜지(110a)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상기 플랜지(110a)가 벌통본체(201)에 나사 체결되며 결합된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본체상판(113)과, 본체측판(111)과, 본체하판(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상판(1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상판(113)은 상기 벌출입구(203)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측판(1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측판(111)은 상기 본체상판(113)의 가로 방향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측판(111)의 상단은 상기 본체상판(113)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본체측판(111)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본체측판(111)은 상기 벌출입구(203)의 가로 방향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하판(115)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하판(115)은 상기 본체상판(113)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본체상판(113)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하판(115)은 가로 방향 양단이 본체측판(111)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하판(115)은 상기 본체측판(111)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하판(115)은 상기 벌출입구(203)와 본체측판(111)의 하단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는 상기 본체상판(113) 및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는 상기 차단본체(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타측 개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는 상기 본체상판(113) 및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는 복수의 제1 창살(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창살(121)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상단이 상기 본체상판(11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상기 본체하판(115)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자유단부로 남는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21a는 제1 창살 결합부로서, 본체상판(113)에 세로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1 창살(121)의 상단을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1 창살(121)을 본체상판(113)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창살(121)은 길이 방향으로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와 본체상판(113)의 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상기 본체상판(113) 및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과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t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창살(121)과 본체하판(115)의 단부 사이의 간격(t2)은 예를 들어 1㎝만큼 이격 형성된다.
상기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은 꿀벌은 비행하여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비행하여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은 말벌 비행시 펼쳐진 날개의 길이보다 좁은 3∼5㎝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창살(121)에는 단부가 뾰족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돌기가 구비됨으로써 말벌의 날개가 상기 제1 창살(121)에 걸려 손상될 수 있어 말벌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차단부(130)는 상기 차단본체(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타측 개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부(130)는 상기 제1 차단부(12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부(130)는 복수의 제2 창살(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창살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창살(131)은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창살(131)은 양단이 본체측판(111)에 결합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31a는 제2 창살 결합부로서, 본체측판(111)에 가로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2 창살(131)의 단부를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2 창살(131)을 본체측판(111)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창살(131)은 상기 제1 차단부(120)와 벌통본체(20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창살(131)은 상기 본체상판(113)과 본체하판(11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창살(131)은 상기 제1 차단부(120)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과 제2 창살(131) 사이의 간격(t1)은 예를 들어 1㎝만큼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제2 창살(13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은 3∼5㎝ 범위이고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제2 창살(131) 사이의 간격은 1∼2.5㎝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창살(131)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꿀벌은 머뭇거림 없이 비행하여 제1 차단부(120)와 제2 차단부(130)를 통과하여 입구에서 정지 비행이나 착지 중 말벌에게 잡히는 것이 방지된다. 말벌은 제1 차단부(120)를 비행해서 통과할 수 없으므로 제2 차단부(130)를 잡아야 하나, 제2 차단부(130)가 제1 차단부(12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비행하면서 제2 차단부(130)를 잡을 수 없어 날개가 제1 차단부(120)에 걸려 손상될 수 있어 말벌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도포부(140)는 상기 차단본체(110)의 전방 단부의 외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도포부(140)는 본체상판(113)의 전방 단부의 외면,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의 외면,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외측도포부(140)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예를 들어 접착제로는 끈끈이 등이 사용된다.
상기 내측도포부(150)는 상기 차단본체(110)의 전방 단부 내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도포부(150)는 본체상판(113)과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내측도포부(150)는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측판(111)의 내측면(150a)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도포부(150)에는 슬립제가 도포된다. 예를 들어 슬립제로는 바셀린 등이 사용된다.
상기 차단본체(110)에 외측도포부(140)와 내측도포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차단본체(110)의 외면을 타고 침입하려는 말벌이 외측도포부(140)에 붙잡히거나 내측도포부(150)에서 미끄러지며 말벌 침입이 차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벌 차단 기구(100)의 차단본체(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본체(110)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본체(110)의 본체상판(113)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벌출입구(203)와 본체상판(113) 사이의 간격은 벌출입구(203)와 벌통본체(201)의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본체(110)가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운반시 복수의 차단본체(110)를 적층하여 동시에 여러개를 이동할 수 있어 용이하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차단부(120)는 제1 차단모듈 형태로 구비되고, 제2 차단부(130)는 제2 차단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본체(110)의 전방 단부에는 2개의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릿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릿 중 하나는 본체상판(113)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본체측판(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상판(113)에 형성된 슬릿이 본체측판(111)에 형성된 슬릿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슬릿이 본체측판(111)에 형성 경우, 슬릿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릿은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가 슬라이딩하여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차단모듈로 형성된 제1 차단부(120)는 상기 슬릿 중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한 슬릿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는 본체상판(113)의 상부에서 슬릿에 하향으로 슬라이딩 삽입하여 상기 본체상판(113)과 결합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는 제1 차단모듈본체(120-1)와 복수의 제1 창살(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단부(120)에는 제1 보조창살(121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모듈본체(120-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차단모듈본체(120-1)의 하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하향하는 제1 모듈턱부(120-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모듈턱부(120-1a)는 상기 슬릿에 걸리어 본체상판(113)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은 2개 구비되어 가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은 상단이 상기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의 하단은 상기 본체하판(115)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자유단부로 남는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의 하단은 제1 창살(121)과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은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세로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1 보조창살(121a)의 상단을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1 보조창살(121a)을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의 가로 방향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의 굵기는 상기 제1 보조창살(121a)의 굵기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창살(121)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은 말벌 비행시 펼쳐진 날개의 길이보다 좁은 3∼5㎝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상단이 상기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상기 본체하판(115)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자유단부로 남는다. 상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창살(121)은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세로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1 창살(121)의 상단을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1 창살(121)을 제1 차단모듈본체(120-1)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차단모듈로 형성된 제2 차단부(130)는 상기 슬릿 중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한 슬릿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부(130)는 본체상판(113)의 상부에서 슬릿에 하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본체상판(113)과 결합된다.
상기 제2 차단부(130)는 제2 차단모듈본체(130-1)와, 제2 보조창살(130-2)과, 복수의 제2 창살(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차단모듈본체(130-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차단모듈본체(130-1)의 하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하향하는 제2 모듈턱부(130-1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모듈턱부(130-1a)는 상기 슬릿에 걸리어 본체상판(113)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은 2개 구비되어 가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은 상단이 상기 제2 차단모듈본체(130-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의 하단은 상기 본체하판(115)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의 하단은 제2 창살(131)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자유단부로 남는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의 하단은 제2 창살(131)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은 제2 차단모듈본체(130-1)에 세로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2 보조창살(130-2)의 상단을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2 보조창살(130-2)을 제2 차단모듈본체(130-1)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창살(13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창살(131)의 굵기는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의 굵기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창살(131)은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2 창살(131) 사이의 간격은 1∼2.5㎝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창살(131)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보조창살(130-2)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슬릿이 본체측판(111)에 형성 경우, 상기 제1 차단부(120)가 본체측판(111)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측판(111)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 제1차단부(120)의 창살 사이의 간격은 본체상판(113)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 제1 차단부(120)의 창살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상판(113)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 제1 차단부(120)의 창살 사이의 간격은 3∼5㎝ 범위이고, 본체측판(111)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 제1차단부(120)의 창살 사이의 간격은 1∼2.5㎝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가 차단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벌꿀이 통과하기 용이하지 않게 됨으로써, 다른 벌통의 꿀벌이 꿀을 도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는 상기 차단본체(110)와 색상이 보색 대비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본체(110)의 색상이 노란색이면 상기 제1 차단부(120)와 제2 차단부(130)의 색상은 남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는 상기 차단본체(110)와 색상이 보색 대비를 이루면 꿀벌들이 제1 창살(121) 및 제2 창살(131)을 잘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말벌 차단 기구
110 : 차단본체 111 : 본체측판
113 : 본체상판 115 : 본체하판
120 : 제1 차단부 121 : 제1 창살
130 : 제2 차단부 131 : 제2 창살
140 : 외측도포부 150 : 내측도포부

Claims (6)

  1. 벌통본체(201)에 개구 형성된 벌출입구(203)를 덮도록 설치되어 벌출입구(203)를 통하여 말벌이 벌통본체(201) 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에 노출되어 말벌의 공격을 받는 꿀벌을 보호하는 말벌차단기구(100)로서; 통로를 형성하며 일측 단부가 벌통본체(201)에 결합되어 개구부가 벌출입구(203)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차단본체(110)와,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차단본체(110)의 타측 개구부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단부(120)는 차단본체(110)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을 포함하는 제1 차단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단부(130)는 차단본체(110)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살을 포함하는 제2 차단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복수의 제1 창살(12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복수의 제2 창살(13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복수의 제2 창살(131)은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복수의 제1 창살(121)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차단본체(110)는 차단본체(110)는 본체상판(113)과, 상기 본체상판(113)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본체측판(111)과, 상기 본체상판(113)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본체상판(113)과 마주하도록 양단이 본체측판(111)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본체하판(115)으로 이루어져 벌출입구(203)의 전방으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상판(113)은 본체하판(115)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창살(121)은 길이 방향으로 본체하판(115)의 단부와 본체상판(113)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상판(113)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창살(121)과 본체하판(115)의 단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t2)이 형성되며, 제1 창살(121)의 하단은 본체하판(115)을 지나 하향 연장되며;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창살(121) 사이의 간격은 꿀벌은 비행하여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비행하여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본체(110)의 전방 단부 외면에는 접착체가 도포되어 형성된 외측도포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도포부(140)는 본체상판(113)의 전방 단부의 외면, 본체측판(111)의 전방 단부의 외면, 본체하판(115)의 전방 단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차단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제1 창살(121)의 간격은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제2 창살(131)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130)를 이루는 제2 창살(131)은 가로 방향 양단이 본체측판(111)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차단부(120)를 이루는 제1 창살(121)은 상단이 본체상판(113)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120) 및 제2 차단부(130)는 차단본체(110)와 색상과 보색 대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KR1020170091146A 2017-07-18 2017-07-18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KR10197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46A KR101979301B1 (ko) 2017-07-18 2017-07-18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46A KR101979301B1 (ko) 2017-07-18 2017-07-18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96A KR20190009196A (ko) 2019-01-28
KR101979301B1 true KR101979301B1 (ko) 2019-05-16

Family

ID=6526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46A KR101979301B1 (ko) 2017-07-18 2017-07-18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8421B2 (ja) * 2019-05-11 2022-04-22 宗教法人立善寺 蜜蜂保護装置
KR102451477B1 (ko) * 2022-04-13 2022-10-06 권재석 토종벌 개량벌통용 양봉 및 말벌 진입 차단 장치
KR102451478B1 (ko) * 2022-05-05 2022-10-06 권재석 복수의 출입구를 가진 토종벌 개량벌통용 양봉 및 말벌 진입 차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5160339A (ja) * 2003-12-01 2005-06-23 Fujio Hisashi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159Y1 (ko) 2005-10-20 2006-01-11 공창수 말벌 방어 울타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5160339A (ja) * 2003-12-01 2005-06-23 Fujio Hisashi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96A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301B1 (ko)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KR102053409B1 (ko)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KR101966024B1 (ko) 말벌포획기
KR102019200B1 (ko)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KR101833247B1 (ko) 양봉용 말벌 침입 방지망
Kastberger et al. The predator-prey interaction between blue-bearded bee eaters (Nyctyornis athertoni Jardine and Selby 1830) and giant honeybees (Apis dorsata Fabricius 1798)
KR101829584B1 (ko) 말벌 차단 장치
KR101979305B1 (ko)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CN205547082U (zh) 具有捕捉马蜂功能的蜜蜂箱
KR20180130960A (ko)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
KR102288342B1 (ko) 도봉방지장치
US5351435A (en) Device to facilitate removal of juvenile and female crabs from the inside of crab trap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80005771A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KR20230137563A (ko)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KR102147287B1 (ko) 도봉 방지기구
JP3760320B2 (ja)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JP3203946U (ja) 防除器
EP3389375B1 (de) Verfahren zum schutz von honigbienen vor räuberischen insekten
KR102367609B1 (ko)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US20210100223A1 (en) Holmes Trap in
KR200372161Y1 (ko) 말벌 지킴이
KR102513825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