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229B1 -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229B1
KR101979229B1 KR1020180108875A KR20180108875A KR101979229B1 KR 101979229 B1 KR101979229 B1 KR 101979229B1 KR 1020180108875 A KR1020180108875 A KR 1020180108875A KR 20180108875 A KR20180108875 A KR 20180108875A KR 101979229 B1 KR101979229 B1 KR 10197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predetermined
packaging material
adhesive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헌
한우
Original Assignee
곽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노헌 filed Critical 곽노헌
Priority to KR102018010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층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재의 일정 지점에 다층을 이루는 각 층 상호 간이 연통되도록 특정 구조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식품의 숙성이나 발효에 의해 생성된 가스 등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는, 식품포장재는 그 표면을 구성하는 상지와, 저장된 소정 식품과 접촉되는 하지 및, 상기 상지와 하지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되되; 상호 맞닿는 상기 하지 및 중지의 일정 범위는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하지 일정 지점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지 배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비접착 범위의 중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하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지 및 중지의 비접착 범위와 대응되도록 상호 맞닿는 상기 중지 및 상지의 일정 범위도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상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중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AIR EXHAUSTING STRUCTURE OF FOOD PACKAGE USING MULTILAYER}
본 발명은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지와 중지, 하지 등을 포함하는 식품포장재의 일정 지점에 다층 상호 간이 연통되도록 특정 구조의 공기통로를 형성한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생산 후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사용되기까지 여러가지의 유통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식품의 유통 및 보관 중에는 온도나 습도, 열, 빛, 식품자체의 화학적 변화, 미생물 등을 비롯한 다양한 내.외부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식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식품으로서의 기능 및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소정 식품의 유통 및 보관 시에는 식품의 종류 및 형태,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을 갖는 포장재가 적용되는데, 포장재 내부와 외부 공기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는 밀봉 구조 또는 포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한 연통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식품포장재의 내부에 커피나 소정 발효식품 등이 저장된 경우, 외부 환경의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식품 자체의 숙성이나 발효 등과 같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가스발생에 따른 식품 포장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식품포장재가 임의로 파손되거나, 저장된 식품의 변질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최근 식품포장재에는 미세한 다공성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식품포장재의 일정 지점에 포장재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식품포장재의 공기배출구조에서, 미세한 다공성 구멍은 식품의 특성에 따라 미세 구멍이 쉽게 막히면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공기배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 별도의 부품 제작에 따른 비용 상승이 초래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7453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39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층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재의 일정 지점에 다층을 이루는 각 층 상호 간이 연통되도록 특정 구조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식품의 숙성이나 발효에 의해 생성된 가스 등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는, 식품포장재는 그 표면을 구성하는 상지와, 저장된 소정 식품과 접촉되는 하지 및, 상기 상지와 하지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되되; 상호 맞닿는 상기 하지 및 중지의 일정 범위는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하지 일정 지점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지 배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비접착 범위의 중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하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지 및 중지의 비접착 범위와 대응되도록 상호 맞닿는 상기 중지 및 상지의 일정 범위도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상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중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지 및 중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일정 직경의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지의 비접착 범위 중앙에는 한 개의 하지 배출구가 "+" 형상의 절개선 및 "×" 형상의 절개선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지 및 상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각 꼭지점 부분에 일정 길이의 연장부가 형성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지 배출구는 각 꼭지점과 인접한 지점에 홀형태로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상지 배출구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각 지점마다 절개선 형태로 절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지와 중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 및, 상기 중지와 상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하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상지의 접착 시 실리콘 도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식품포장재의 일정 지점에 다층을 이루는 각 층 상호 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특정 구조의 공기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해당 식품포장재에 내장된 특정 식품의 숙성이나 발효에 의해 생성된 가스 등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다층구조의 식품포장재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조는 별도의 부품 등이 추가되지 않으면서 식품포장재의 제조과정에서 간편하게 제작됨에 따라, 별도의 부품이 장착되는 종래의 식품포장재 공기배출구조에 비해 경제성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가 적용된 식품용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가 적용된 식품용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식품포장재에서 다층을 이루는 각 층 상호 간이 연통되도록 특정 구조의 공기통로가 구비되어, 식품의 숙성이나 발효에 의해 생성된 가스 등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가 적용되는 식품포장재는 그 외면에 소정 인쇄층이 형성된 상태로 식품포장재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지(30)와, 식품포장재에 내장되는 소정 식품과 직접 접촉되는 하지(10) 및, 상기 상지(30)와 하지(10)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지(20)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품포장재의 일예로, 상기 상지(30)는 일정 두께의 필름과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인쇄층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중지(20)는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층과 필름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지(10)는 일정 두께의 필름과 열접착이 용이한 합성수지 등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지(30)와 중지(20) 및 하지(10)는 소정 접착물질로 형성되는 접착층(60)을 매개로 일체로 적층 결합되어 소정 식품포장재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지(30)와 중지(20), 하지(10)를 구성하는 재질 및 두께 등은 식품포장재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에 따라, 소정 접착물질을 매개로 접착되는 상기 하지(10) 및 중지(20)의 일정 범위는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소정 접착물질을 매개로 접착되는 상기 중지(20) 및 상지(30)에도 상기 하지(10) 및 중지(20)의 비접착 범위와 대응되도록 일정 범위만큼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지(10)와 중지(20)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 및, 상기 중지(20)와 상지(30)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소정 접착물질을 매개로 접착되는 하지(10)와 중지(20) 또는 중지(20)와 상지(30)의 접착층(60)에 실리콘 도포층(40,50)이 추가로 형성되어 구성되되, 상기 실리콘 도포층(40,50)은 상기 중지(20)의 양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접착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하지(10)의 일정 지점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지 배출구(12)가 형성되고, 비접착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중지(20) 일정 지점에는 상기 하지 배출구(12)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지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비접착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상지(30)의 일정 지점에도 상기 중지 배출구(22)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지 배출구(32)가 형성되어,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식품포장재에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지(10) 및 중지(20)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일정 직경을 갖는 대략 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지 배출구(12)는 원형상의 중앙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지 배출구(12)는 대략 "+" 형상의 절개선 및 "×" 형상의 절개선이 상호 포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 형상 및 "×"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절개선이 모두 중첩되는 가운데 지점은 폐쇄된 상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중지(20) 및 상지(30)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그 폭 및 길이가 대략 1센티미터[cm] 내외의 치수를 갖도록 총 3개의 연장부(5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지(20)에 형성되는 중지 배출구(22)는 비접착 범위를 형성하는 대략 삼각형상의 각 꼭지점과 인접한 지점에 홀형태로 천공되어 총 3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지 배출구(32)는 상기 중지(20) 및 상지(30)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에 형성되는 총 3개의 연장부(5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 형상으로 절개되어 총 3개가 칼선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포장재의 상지(30)와 중지(20) 및 하지(10)에 각각 형성되는 배출구의 형상 및 크기, 개수 등은 해당 식품포장재가 적용되는 식품의 종류 및 포장재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설계 변경이 이루어질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상지(30)와 중지(20) 및 하지(1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도포되는 접착물질은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걸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도포층(40,50)도 상지(30)와 중지(20), 하지(10)와 중지(10) 상호 간이 마주보는 일면 또는 양면에 걸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가 적용되는 식품포장재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식품용 포장용기(200)의 덮개로 적용되거나, 그 내부가 밀봉되는 식품용 포장봉지(10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품포장재에 소정 식품이 저장된 상태에서, 다층구조의 식품포장재는 상기 상지(30)와 중지(20) 및 하지(10)가 소정 접착물질을 매개로 일체로 접착 구성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에 걸쳐서만 실리콘 도포층(40,50)을 통해 비접착 부분이 형성되되, 상기 비접착 부분에 형성되는 하지 배출구(12)와 중지 배출구(22) 및 상지 배출구(32)는 상호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비접착 부분 상호 간도 어느 정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누르거나 임의적인 압력을 가하면 배출구가 막혀 저장된 식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포장재에 저장된 소정 식품의 숙성이나 발효 과정에서 해당 식품포장재의 내부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그 내부의 가스나 공기 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상기 하지 배출구(12)와 중지 배출구(22) 및 상지 배출구(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해당 식품포장재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지 배출구(12) 및 상지 배출구(32)는 절개선(칼선) 형태로 미세하게 절개된 구조이므로,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일부가 함께 배출되거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됨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하지, 12: 하지 배출구,
20: 중지, 22: 중지 배출구,
30: 상지, 32: 상지 배출구,
40,50: 실리콘 도포층, 52: 연장부,
60: 접착층, 100: 식품용 포장봉지,
200: 식품용 포장용기.

Claims (5)

  1. 외면에 소정 인쇄층이 형성된 상태로 식품포장재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지와, 식품포장재에 내장되는 소정 식품과 직접 접촉되는 하지 및, 상기 상지와 하지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지가 소정 접착물질로 형성되는 접착층을 매개로 일체로 적층 결합되어 구성된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식품포장재의 공기배출구조에 있어서;
    상호 맞닿는 상기 하지 및 중지의 일정 범위는 상기 접착층에 실리콘 도포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하지 일정 지점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지 배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비접착 범위의 중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하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지 및 중지의 비접착 범위와 대응되도록 상호 맞닿는 상기 중지 및 상지의 일정 범위도 상기 접착층에 실리콘 도포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비접착 상태로 이루어지고, 비접착 범위의 상지 일정 지점에는 상기 중지 배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및 중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일정 직경의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지의 비접착 범위 중앙에는 한 개의 하지 배출구가 "+" 형상의 절개선 및 "×" 형상의 절개선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 및 상지 상호 간의 비접착 범위는 각 꼭지점 부분에 일정 길이의 연장부가 형성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지 배출구는 각 꼭지점과 인접한 지점에 홀형태로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배출구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각 지점마다 절개선 형태로 절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5. 삭제
KR1020180108875A 2018-09-12 2018-09-12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KR10197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75A KR101979229B1 (ko) 2018-09-12 2018-09-12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75A KR101979229B1 (ko) 2018-09-12 2018-09-12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229B1 true KR101979229B1 (ko) 2019-05-17

Family

ID=6667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875A KR101979229B1 (ko) 2018-09-12 2018-09-12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43B1 (ko) 2019-06-03 2019-11-04 소윤섭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53U (ko) 1998-03-06 1999-10-05 서승구 발효식품 포장용 기능성 배기 포장재
KR200263975Y1 (ko) 2001-11-22 2002-02-19 박찬호 식품용 포장용기
KR20110055085A (ko) * 2009-11-19 2011-05-25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130042396A (ko) * 2011-10-18 2013-04-26 (주)일성인더스트리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JP2016536530A (ja) * 2013-10-07 2016-11-24 アロマ システム エスアールエル 圧力逃し一方向弁、密封容器、および圧力逃し一方向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53U (ko) 1998-03-06 1999-10-05 서승구 발효식품 포장용 기능성 배기 포장재
KR200263975Y1 (ko) 2001-11-22 2002-02-19 박찬호 식품용 포장용기
KR20110055085A (ko) * 2009-11-19 2011-05-25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130042396A (ko) * 2011-10-18 2013-04-26 (주)일성인더스트리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JP2016536530A (ja) * 2013-10-07 2016-11-24 アロマ システム エスアールエル 圧力逃し一方向弁、密封容器、および圧力逃し一方向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43B1 (ko) 2019-06-03 2019-11-04 소윤섭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1234U (ja) 電子レンジで調理するための食品容器
US8414997B2 (en) Absorbent insert for foodstuff packaging
JP2006504586A (ja) 包装容器のための過圧弁
US8146781B2 (en) Dispenser for viscous condiments
CA2635094A1 (en) Valve for a reclosable container
JP7361799B2 (ja) 包装部材用のガス排出バルブ機構
KR101979229B1 (ko) 식품포장재의 다층구조를 이용한 공기배출구조
US20050103798A1 (en) One-way degassing valve for airtight containers for products that develop gas
KR101961678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RU2765910C2 (ru) Гибкий ламинат с улучшенным встроенным клапаном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CN110733752A (zh) 用于排出气体的包装片和包括其的食品容器
WO2015151299A1 (ja) キャップ、該キャップを備える注出容器及び該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6454688B2 (ja) 紙袋
JPH0891450A (ja) プラスチック袋や容器におけるガス抜き構造
JP5054302B2 (ja) 包装容器に用いられる過圧弁
JP2000309350A (ja) ブレンド機能パウチ
JP2008174279A (ja) 通気性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可能な内容物充填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0118539A (ja)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005883A (zh) 鮮度保持容器、鮮度保持容器構成用構件及其製造方法
JP201704795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H06255692A (ja) 納豆容器
JP7463497B2 (ja) 包装容器用の弁
JP7297450B2 (ja) ガス抜き機能付き蓋材および包装容器
JP4076066B2 (ja) 通気性袋
KR200386327Y1 (ko) 비닐팩 방향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