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055B1 -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 - Google Patents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055B1
KR101979055B1 KR1020147020731A KR20147020731A KR101979055B1 KR 101979055 B1 KR101979055 B1 KR 101979055B1 KR 1020147020731 A KR1020147020731 A KR 1020147020731A KR 20147020731 A KR20147020731 A KR 20147020731A KR 101979055 B1 KR101979055 B1 KR 10197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nish
low
security document
security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115A (ko
Inventor
레이날드 디멘지
패트릭 베야
알라인 메이어
피에르 데고트
Original Assignee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13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54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2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fluent-material releasing, generating or distributing means, e.g. fire-retardant or fire extinguish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4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means for masking or destroying the valuables, e.g. in case of theft
    • B42D2033/04
    • B42D2033/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 또는 절도와 같은 불법 행위에 대한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보호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학물질에 저항성이 있는 잉크 착색 문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보안 문서는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의 약 70%∼약 90%가 커버되고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약 10%∼약 30% 포함하며, 상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PERMANENT STAINING OF VARNISHED SECURITY DOCUMENTS}
본 발명은 강도 또는 절도와 같은 불법 행위에 대한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보호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화학물질에 저항성이 있는 잉크 착색 문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지폐 및 유사 문서들이 절도의 표적이 되기 때문에, 보호용 케이싱에 이들을 보관하도록 보호 저장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지폐의 착색(당업계에서 중화로도 지칭됨)은 미달현금(CIT; cash-in-transit) 수송차량, 현금 자동 인출기(ATM), 보안 케이스, 안전 금고에 장착된 도난 방지 디바이스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보안 수단이다. 예를 들면, 인클로져(enclosure)에 보관 또는 적층된 지폐들 또는 다발로 수송되는 지폐들을 특별한 잉크를 갖는 카트리지도 또한 함유하는 폐쇄 및 잠금장치된 컨테이너 내에 배치한다. 컨테이너를 열려고 하는 모든 미승인된 시도 또는 위반이 있을 시, 종종 착색 잉크(당업계에서 만년 잉크로도 지칭됨)로 불리는 특별한 잉크가 배출 또는 전달된다. 미승인 시도 또는 보안 위반의 경우, 착색 잉크를 지폐와 접촉시켜 인클로져에 보관 및 적층된 또는 포개진 지폐 상에 그리고 그들 사이에 잉크를 이동시켜 이들을 착색시키고 잘 보이는 또는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통상적인 변화를 얻도록 함으로써 지폐에 영구적이고 비가역적인 표시를 한다.
착색에 대한 현존하는 대안예는 예를 들어 지폐의 구멍 또는 훼손을 비롯한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방식을 포함한다. 하지만, 그러한 시스템은 복잡하며 복잡한 기계와 많은 양의 전력이 요구된다. 화학적 해법이 고안되었는데 이는 비제한적 예로서 연기 발생제(예, 연기 염료) 또는 강산, 예컨대 클로로설폰산을 포함한다. 하지만, 연기 염료는 그리 대단히 강력하지 않고 강산은 건강 및 환경을 해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착색 잉크가 강도 또는 절도에 대한 지폐의 보호용으로 흔하게 사용되며 도난당해서 유통에 사용할 수 없고 부적합한 지폐를 착색시킴으로써 영구적으로 손상 또는 훼손시켜 지폐를 무효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영구 잉크 착색된 보안 문서는 육안으로도 이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된다.
다른 한편, 내구성 및 청결도를 증가시켜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유통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 바니시처리된 문서를 제공하도록 보호용 바니시로 보안 문서를 보호하는 관례가 존재하였다. 오염물질 또는 화학물질 저항성을 통해 증가된 내구성 이외에, 지폐 표면의 보호는 동시에 노출(즉, 육안으로 보이는 것) 및 은폐(즉, 기구의 도움으로만 보이거나 검출되는 것) 보안 기능(security feature)의 내구성 및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유감스럽게도,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는 착색 잉크를 유지하는 능력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외부 조건에 노출시 발생하는 보호용 바니시의 작은 균열들, 핀홀 스팟 또는 흠(defect)으로 인해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가 소량의 착색 잉크를 유지하게 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지된 잉크의 양은 시각적 인간 인증으로 쉽게 감지할 정도로 충분히 많지 않으며, 정상 마모와 쉽게 혼동되고 이에 따라 부당하게 유통이 계속될 수 있다.
불법적 과정의 경우에 착색 잉크에 민감한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 특히 지폐를 제작하는 효과적이고 보편적인 기법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며, 상기 기법은 모든 도난 방지 기계 및 모든 착색 잉크에 적당하다. 따라서, 영구적으로 손상 또는 훼손되어 유통에 사용할 수 없고 부적합하도록 화학물질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유지하면서 만족스러운 착색 유지 및/또는 흡착을 제시하는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 특히 지폐가 필요한 실정이다.
놀랍게도, 상기 언급된 문제들은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의 약 70%∼약 90%가 커버되고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약 10%∼약 30% 포함하는 보안 문서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상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원에는 보안 문서, 특히 지폐 상에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오프셋, 그라비어 및 플렉소 인쇄, 바람직하게는 플렉소 인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공정에 의해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70%∼약 90%를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하도록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보호용 바니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술되고, 이때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은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약 10%∼약 30%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는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킴으로써 도난 후 보안 문서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의 용도가 기술된다.
또한, 본원에는 보안 문서의 착색 잉크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용도가 기술되며, 이때 저-바니시 영역은 상기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의 약 10%∼약 30%의 양으로 존재하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원에는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의 약 70%∼약 90%가 커버되고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의 인증 방법으로서,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보안 문서의 표면 상에서 착색 잉크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a 및 1b에는 기재(S), 보호용 바니시(P) 및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I)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I)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3에는 보안 문서의 엣지 및/또는 코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하기 정의는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청구범위에서 재인용된 용어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사용하고자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a"는 하나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도 나타내며 반드시 단수형에 대한 지시 명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약"은 해당 양 또는 값이 지정된 값 또는 거의 유사한 조금 다른 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제시된 값의 ±5%의 범위 내의 유사한 값이 본 발명에 따른 동등한 결과 또는 효과를 촉진한다는 것을 전달하고자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압입부"는 표면의 오목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오목부"는 용어 "압입부"와 상호 혼용될 수 있다.
용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저-바니시 영역"이란 저-바니시 영역이 상기 보안 문서 상에 도포된 보호용 바니시 층의 압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저-바니시 영역"은 또한 저-바니시 영역 내에, 하기 부분에서 정의되는, 보호용 바니시의 더 얇은 층이 존재하고, 상기 보호용 바니시의 더 얇은 층에 하나 이상의 압입부가 존재하는 구체예를 포괄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저-바니시"는 "보호용 바니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거나,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된 표면과 비교할 때 보호용 바니시가 30% 미만의 양, 바람직하게는 약 0%∼약 30%의 양,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약 20%의 양의 존재를 나타내며, %는 보호용 바니시 층의 평균 두께에 비해 층 두께%에 상응한다. 다시 말해, 그리고 도 1a 및 1b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I) 또는 저-바니시 영역은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된 표면의 보호용 바니시 두께(T)에 비해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약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약 20%인 보호용 바니시 두께(t)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보호용 바니시"는 인쇄된 문서를 보호하기 위해 인쇄 또는 코팅 공정에 의해 인쇄된 문서의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는 임의 유형의 바니시, 코팅 또는 유사 보호용 재료를 지칭한다.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바니시처리는, 특히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유통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보호용 바니시는 문서의 환경과 대면하는 층(들) 또는 코팅(들)으로 이루어진다. 지폐의 바니시처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하기 논문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Tom Buitelaar, De Nederlandsche Bank NV, Amsterdam, the Netherlands, "Effects of Banknote varnishing", Currency Conference CSI, Sydney 1999;
- Hans A. M. de Heij, De Nederlandsche Bank NV, Amsterdam, the Netherlands, "The design methodology of Dutch Banknote", IS&T/SPIE's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nic Imaging, 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II, San Jose, Calif., USA (Jan. 27-28, 2000), Proceedings of SPIE vol. 3973, pp. 2-22;
- Frank Wettstein, Cash Division, Swiss National Bank, Berne and Hubert Lieb, Environmental Unit, Swiss National Bank, Zurich, "Life cycle assessment (LCA) of Swiss Banknote", Quarterly Bulletin 3/2000 of the Swiss National Bank, September 2000;
- Tom Buitelaar, De Nederlandsche Bank NV, Amsterdam, the Netherlands, "Circulation Fitness Management", Banknote 2003 Conference, Washington D.C., Feb. 3, 2003.
지폐 및 보안 문서의 바니시처리에 관한 추가 정보는 유럽 특허 출원 공개 번호 EP 0 256 170, 및 국체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01/08899, WO 02/094577, WO 2004/072378 및 WO 2006/021856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용어 "보안 문서"란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에 의해 위조 또는 사기에 대해 통상적으로 보호되는 문서를 지칭한다. 보안 문서의 비제한적 예는 지폐, 신분 확인용 문서, 예컨대 여권, 신분증, 운전면허증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는 지폐이다.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오염에 의한 임의의 이른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는 적어도 한쪽 면 상에 약 70∼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5∼약 80%의 보호용 바니시가 커버되고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10∼30%,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25% 포함하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25%는 착색 잉크에 의해 영구적으로 그리고 비가역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는, 상기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킴으로써 도난 후 상기 보안 문서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문서의 선택된 영역(들) 상에, 특히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는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양쪽 면 상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안 문서는 각 면 상에 각 면을 위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약 70%∼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5%∼약 80%의 표면 양으로 커버되고, %는 보안 문서의 각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동일한 양, 유사한 양 또는 상이한 양의 보호용 바니시를 각 면 상에 사용할 수 있다. 지폐의 적어도 한쪽 면의 대부분이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되기 때문에,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는 오염물질 및/또는 얼룩에 대해 보호되고 이에 따라 적어도 한쪽 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보호용 바니시가 없는 문서와 비교하여 증가된 내구성 및 수명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는 착색 잉크와 접촉된 후 화학적 처리 후 이의 본래의 양상을 회복하지 못하는 기재를 포함한다.
보호용 바니시는 투명하거나 또는 약간 유색이거나 또는 색조가 있을 수 있고 대략 광택이 있을 수 있다. 보호용 바니시는 경화 후 고체 기재 상에 층 또는 코팅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 형태의 조성물 또는 페이스트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용어 "경화"란 도포된 표면으로부터 더 이상 제거할 수 없는 방식으로 도포된 조성물의 건조 또는 고형화, 반응 또는 중합을 비롯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보호용 바니시는 적외선 및/또는 열 방사선에 의해 건조되는 임의 유형의 수성 바니시 또는 용매계 바니시(수성 바니시 또는 용매계 바니시는 통상 바니시처리된 생성물 상에 잔류하는 35%∼50% 고체 함량 및 건조의 결과로 증발되는 수용액 또는 용매계 용액 50%∼65%로 이루어짐), 방사선-경화성 바니시(방사선-경화성 바니시는 통상 경화 후 바니시처리된 생성물 상에 잔류하는 100% 고체 함량으로 이루어짐)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수성 바니시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예,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알키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예, 카르복실화된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알키드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리레이트수지(UV-Vis 가교 결합성), 우레탄-아크릴산 수지, 폴리에테르우레탄 수지, 스티렌 아크리레이트수지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선-경화성 조성물이다. "방사선-경화성 조성물"은 UV-가시광선 방사선(이하, UV-Vis 경화성으로 지칭됨)에 의해 또는 E-빔 방사선(이하, EB로 지칭됨)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방사선 경화는 유리하게도 매우 신속한 경화 공정을 유도하여 보안 문서의 제조 시간을 과감하게 감소시킨다. UV-Vis 경화성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표준 교과서, 예컨대 SITA Technology Limited와 공동으로 John Wiley & Sons에 의해 1997∼1998년에 7권으로 발행된 "Chemistry & Technology of UV &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 Paints" 시리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UV-Vis 경화성 조성물은 a) 바람직하게는 라디칼로 경화성 화합물, 양이온으로 경화성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소중합체들(당업계에서 예비중합체로도 지칭됨)로 이루어진 결합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제 화합물은 소중합체 아크릴레이트, 비닐 및 프로페닐 에테르, 에폭시드, 옥세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락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소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제 화합물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화 오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성 아크릴레이트, 지환족 에폭시드, 비닐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 b) 경우에 따라, 단량체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리레이트(TMP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리레이트(PET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리레이트(TPGDA),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리레이트(DPGDA), 헥산디올 디아크리레이트(HDDA) 등 및 이의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등가물, 예컨대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리레이트 및 폴리에톡실레이트화된 헥산디올 디아크리레이트 등의 군에서 선택된 제2 결합제 화합물 및 경우에 따라 c)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에서 선택된다. UV-Vis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된 결합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중량 %는 UV-Vis 경화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단량체, 소중합체 또는 예비중합체의 UV-Vis 경화는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의 존재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수많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UV-Vis 경화는 자유 라디칼 메카니즘, 양이온성 메카니즘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UV-Vis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결합제 화합물(들)에 따라, 상이한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드, 옥세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락톤, 비닐 및 프로페닐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제 화합물은 통상 양이온성 메카니즘을 통해 경화되는 UV-Vis이다. UV-Vis 경화성 조성물이 지환족 에폭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UV-경화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옥세탄(TMPO)이 상기 조성물(들)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성 메카니즘은 산과 같은 양이온성 종을 유리시키고, 결국 결합제 화합물(들)의 중합을 개시하는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의 UV-Vis 에너지에 의한 활성화로 이루어진다. 양이온성 광개시제의 적당한 예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비제한적 예로서 오늄 염, 예컨대 유기 요오도늄 염(예, 디아릴 요오도늄 염), 옥소늄(예, 트리아릴옥소늄 염) 및 설포늄 염(예, 트리아릴설포늄 염)을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메카니즘은 자유 라디칼을 유리시키고 결국 결합제 화합물(들)의 중합을 개시하는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의 UV-Vis 에너지에 의한 활성화로 이루어진다. 자유 라디칼 광개시제의 적당한 예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비제한적 예로서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알파-아미노케톤, 알파-히드록시케톤, 포스핀 옥시드 및 포스핀 옥시드 유도체 및 벤질디메틸 케탈을 포함한다. 유용한 광개시제의 다른 예는 표준 교과서, 예컨대 SITA Technology Limited와 공동으로 John Wiley & Sons에 의해 1998년에 발행되고 G. Bradley에 의해 편집된 ["Chemistry & Technology of UV &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 Paints", Volume III, "Photoinitiators for Free Radical Cationic and Anionic Polymerization", 2nd edition, by J. V. Crivello & K. Dietliker]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경화를 실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와 함께 증감제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본원에 기술된 UV-Vis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중량 %는 UV-경화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보호용 바니시는 방사선-경화성 성분, 바람직하게는 UV-Vis 경화성 성분 및 물리적으로 건조시키는 성분을 조합하는 이중-경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수성 분산액 및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를 갖는 적당한 단량체 또는 반응성 소중합체, 특히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보호용 바니시는 바람직하게는 UV, 가시광선 또는 IR-흡수 재료, 발광 재료, 법의학적 마커, 타간트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는 미국 특허 번호 6,200,628 등에 개시된다.
본원에 개시된 보호용 바니시는 비제한적 예로서 물리적 및 화학적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합물 및 재료, 예컨대 pH값, 점도(예, 용매), 점조도(예, 충전제 및 가소화제), 발포 특성(예, 소포제), 윤활 특성(왁스), 표면 에너지 개질제(예, 평활제, 소유화제 및 소수화제), UV 안정성(광안정화제), 감광제, 가교결합제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보호용 바니시는 항균제, 살바이러스제, 살생물제, 살진균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첨가제는 입자의 치수 중 하나 이상이 1∼1000 nm 범위에 있는 소위 나노 재료의 형태인 것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양과 형태로 본원에 개시된 보호용 바니시에 존재할 수 있다.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에 도포되는 보호용 바니시의 전형적인 양은, 대략 1 m2 건조 중량 당 1.5∼3.0 g, 바람직하게는 1 m2 건조 중량 당 1.8∼2.5 g이고, 이때 함량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어디에 존재하든, 보호용 바니시는 바람직하게는 5 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약 3 미크론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를 포함하지 않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규정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약 0∼약 50%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기능 구역(예, 넘버링 인쇄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약 0∼약 50%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넘버링 구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기능 구역은 하나 이상의 넘버링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바니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란 각 영역에서 보호용 바니시의 두께(t)가 약 0%인 것을 의미한다.
보호용 바니시의 선택된 영역(들) 상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의 형태는 사전규정된 디자인을 갖고 제한되지 않지만; 그 형태는 둥근형 또는 구체형, 다각형일 수 있고; 선형 또는 꼬인형(guilloche) 또는 비제한적 예로서 심볼, 문양, 문자, 단어, 숫자, 로고 및 도면을 비롯한 임의의 바람직한 표지, 디자인 또는 표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호용 바니시의 선택된 영역(들) 상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비제한적 예로서 심볼, 문양, 문자, 단어, 숫자, 로고 및 도면을 비롯한 표시를 제시하는 패턴으로 디자인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표시(indicia)(즉, 독특한 또는 감별 마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이의 디자인에 따라 약 100∼약 1000 미크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약 500 미크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약 300 미크론의 선폭을 갖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 바람직하게는 20%∼약 25%는 저-바니시 영역이고 이에 따라 착색 잉크에 의해 영구적으로 그리고 비가역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특정 디자인, 예컨대 표시, 선형 또는 꼬인형 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경우, 잉크 착색된 보안 문서가 착색 과정 후 세척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보안 문서를 함유하는 컨테이너를 열거나 이를 가려내려는 미승인 시도 또는 위반으로부터 발생하는 잉크 착색 문서의 특정 디자인(예, 표시, 선형 또는 꼬인형 등)을 인식하기 위한 상기 보안 문서의 진위 또는 유효성을 점검하는 데 사용되는 현금 자동 인출기(ATM) 또는 자동 지폐 카운터가 고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는 섬유성 재료, 플라스틱, 중합체, 복합재, 금속 또는 금속화재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를 포함한다. 섬유성 재료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셀룰로스 및 종이 함유 재료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기재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폴리프로필렌(PP), 예컨대 이중-배향된 폴리프로필렌(BO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한다. 복합재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종이 함유 재료의 다층 구조 및 라미네이트 및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함유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기재는 셀룰로스 또는 종이 함유 재료를 포함한다. 보안 문서의 위조 및 불법 복제에 대한 보안 수준 및 저항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기재는 워터마크, 은선, 섬유, 플랑셰트(planchette), 발광 화합물, 윈도우, 호일, 데칼, 코팅, 하도제 및 이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착색을 최적화, 및 잉크 착색된 보안 문서 상의 착색의 유지를 위해,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존재하고, 상기 엣지 또는 코너는 보안 문서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구역은 (a)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의 폭(W)의 약 10%∼약 15%를 갖는 치수 및/또는 (b)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의 길이(L)의 약 15%∼약 25%의 치수로 형성되고, %는 경우에 따라 보안 문서의 길이 또는 폭을 기준으로 한다(도 3 참조).
보안 문서가 하나 이상의 음각(당업계에서 동판 음각 또는 조판 오목 회전 인쇄로도 지칭됨)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비음각-인쇄 영역 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추가 보호층, 희생 바니시 또는 희생 층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의 적어도 일부에, 보호용 바니시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및/또는 보안 문서의 전체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용어 "희생 바니시" 또는 "희생 층"은 보다 낮은 착색에 대한 저항을 갖는 바니시 또는 층, 예컨대 보호용 바니시에 비해 보다 낮은 가교결합 정도, 감소된 두께 및/또는 착색에 대해 보다 낮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저항을 갖는 바니시를 지칭한다.
보안 문서는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보안 기능"은 보안 문서의 진위 결정 및 이의 위조에 대한 보호를 위한 보안 문서 상의 임의의 요소를 지칭한다. 보안 기능의 전형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콜레스테릭 액정 중합체 및 안료, 무지개빛(iridescent) 안료, 얇은 필름 간섭 안료, 다층 얇은 필름 간섭 안료, 간섭-층 코팅된 입자, 홀로그래픽 필름 및 안료, 열변색 안료, 광변색 안료, 자외선 흡수 발광 화합물, 적외선 흡수 화합물, 자성 화합물, 법의학적 마커 및 타간트와 실올, 윈도우, 섬유, 플랑셰트, 호일, 및 데칼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은 기재에 또는 기재의 표면 상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존재할 수 있다. 기재의 표면 상에 존재할 경우,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이 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 예로서 조판 강판(당업계에는 음각으로도 지칭됨), 실크스크린, 오프셋, 활판인쇄, 스크린-, 플렉소, 그라비어, 잉크젯 인쇄, 롤-, 슬릿-, 스프레이- 및 파우더 코팅을 비롯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코팅 또는 인쇄 방법에 의해 도포 또는 첨가된다. 호일 또는 데칼을 도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지된 열-스탬프 또는 냉각-스탬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가 기재의 표면 상의 상기 기술된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면, 보호용 바니시는 상기 보안 기능의 내구성 및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 보호용 바니시는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과 직접 접촉 또는 기재와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 및 기재 둘다와 직접 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는 기재 재료의 시트 또는 롤로부터 제조된다. 배경, 패턴, 디자인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의 도포 또는 삽입의 하류에서, 보호용 바니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UV-Vis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가 실시된다. 보호용 바니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UV-Vis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는 넘버링 공정 전에 또는 넘버링 공정 후에 제공될 수 있다.
보호용 바니시는, 인쇄 방법에 의해 액체 또는 페이스트성 조성물 형태의 상기 조성물을 본원에 기술된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층을 경화하는 단계에 의해 고체 기재 상에 층 또는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UV-Vis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결합제 화합물의 존재 하에, 경우에 따라 제2 결합제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선택적 보안 기능 물질, 선택적 첨가제를 분산 또는 혼합하여, 이에 따라 액체 또는 페이스트성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UV-Vis 경화성 조성물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가 모든 다른 성분의 분산 또는 혼합 단계 동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나중 단계에서, 즉 액체 또는 페이스트성 조성물의 형성 후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바니시를 형성하도록 조성물을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인쇄 방법은 오프셋, 그라비어 및 플렉소 인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보호용 바니시 두께를 보장하도록 플렉소 인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쇄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플렉소 인쇄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챔버화 닥터 블레이드, 아닐록스 롤러 및 플레이트 실린더를 갖는 유닛을 사용한다. 아닐록스 롤러는 유리하게는 부피 및/또는 밀도가 보호용 바니시 도포 비율을 결정하는 소형 셀을 갖는다. 챔버화 닥터 블레이드는 아닐록스 롤러에 대향하게 놓여서, 셀을 충전하고 동시에 과잉 보호용 바니시를 긁어낸다. 아닐록스 롤러는 보호용 바니시를 플레이트 실린더로 이송하여 상기 실린더는 최종적으로 보호용 바니시를 지폐로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특정한 디자인은 디자인된 광중합체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플레이트 실린더는 중합체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는 주로 플레이트에서 광중합체로 그리고 때때로 슬리브 상에서 이음매없는 코팅으로서 사용된다. 광중합체 플레이트는 자외선(UV) 광에 의해 경화되는 감광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광중합체 플레이트를 필요한 크기로 컷팅하고 UV 광 노광 유닛에 배치한다. 플레이트의 한쪽 면을 UV 광에 완전하게 노광시켜 플레이트의 베이스를 굳히거나 또는 경화한다. 그리고나서 플레이트를 뒤집고, 과제의 음성부를 비경화된 면 상에 탑재하고 플레이트를 UV 광으로 더 노광시켰다. 이는 이미지 영역에서 플레이트를 경화시킨다. 그리고나서 비이미지 영역으로부터 비경화된 광중합체를 제거하도록 플레이트를 가공하고, 비이미지 영역에서 플레이트 표면을 낮추었다. 가공 후, 플레이트를 건조하고 노광후 용량의 UV 광을 제공하여 전체 플레이트를 경화시켰다. 플렉소그래피용 플레이트 실린더의 제조는 문헌[Printing Technology, J. M. Adams and P.A. Dolin, Delmar Thomson Learning, 5th Edition, pages 359-360]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는, 상기 보안 문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열려고 하는 미승인 시도 또는 위반의 경우 착색 잉크를 흡착시키고, 또한 도난되어 유통에 사용할 수 없고 부적합한 문서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전형적이고 잘 보이는 방식을 부여하도록 상기 잉크를 영구적으로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특히 효율적이다.
또한, 본원에는,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 상에 약 70∼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5%∼약 80%가 커버되고, 본원에 기술된 기재를 포함하며 착색 잉크와 접촉된 후 화학물질 처리 후 이의 본래의 양상을 회복하지 못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도난 후 유통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 문서의 제조 동안 보안 문서의 선택된 영역(들) 상에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또한, 본원에는,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킴으로써 도난 후 상기 보안 문서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보안 문서의 용도가 기술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25%의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적 처리의 전형예는 수용액, 유기 용매, 알칼리 및 산, 산화제 및 환원제 및 가정용품을 포함한다. "이의 본래의 양상을 회복하는 것"이란, 잉크 착색된 보안 문서가 상기 보안 문서와 육안으로 식별될 수 없으나 잉크 착색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는, 바람직하게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제작 동안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의 선택된 영역(들) 상에 본원에 기술된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혼입시킴으로써,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 상에 약 70%∼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5%∼약 80%가 커버되고 본원에 기술된 기재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착색 잉크 흡착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기술된다. 또한, 본원에는, 보안 문서의 착색 잉크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적어도 한쪽 면 상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용도가 기술되며, 이때 저-바니시 영역은 상기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의 약 10%∼약 30%의 양으로 존재하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25%의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는, 본원에 기술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 상에 약 70%∼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5%∼80%가 커버되고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약 10%∼약 30%를 포함하는, 잉크 착색된 보안 문서의 인증 방법으로서, 보안 문서, 특히 지폐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보안 문서의 표면 상에서 착색 잉크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도난 방지 디바이스, 예컨대 미달현금(CIT) 수송차량, 현금 자동 인출기(ATM) 또는 보안 케이스에 장착된 것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보안 문서, 특히 지폐의 착색은 유통에 사용할 수 없고 부적합하며 착색 잉크의 사용이 필요한 문서를 유도해야 한다. 본 발명에 적당한 착색 잉크의 조성물은 제한되지 않는다. 착색 잉크의 전형적인 조성물은 적당한 유기 용매 내의 염료, 안료, 분산제 및 첨가제(잉크의 안정성을 위한 것 및/또는 예를 들어 방식제, 발포제, 고정방지제 등과 같은 잉크의 기능성을 위한 것)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적당한 착색 잉크는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용어 "나노입자"란 입자의 치수 중 하나 이상이 약 1∼약 1000 n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약 300 nm의 범위에 있는 입자를 지칭한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 결부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착색 잉크에서 나노입자의 사용은 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용 바니시의 일부 작은 균열들, 핀홀 스팟 또는 흠을 포함하는 보호용 바니시 기재 상에서, 착색 잉크 내 나노입자의 첨가는 나노입자가 없는 착색 잉크와 비교할 때 착색 잉크의 기재에서의 향상된 침투를 유도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렇게 수득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착색 잉크와 접촉된 보호용 바니시 코팅된 기재는 심지어 세척 후에도 잘 보이는 착색을 제시하여, 기재에 대해 "마블 효과" 양상을 제공한다. 입자가 작을수록, 기재에의 침투가 더욱 양호해진다. 착색 잉크는 비제한적 예로서 발광 화합물, IR-흡수 재료, 법의학적 마커, 자성 화합물, 타간트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보안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보안 문서를 갖는 보관 유닛 및 보관 유닛의 미승인 개방의 시도가 이루어질 경우 보안 문서와 접촉하기 위한 착색 잉크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기술된다. 상기 시스템은 미달현금(CIT) 수송차량, 현금 자동 인출기(ATM) 또는 보안 케이스에 장착된 도난 방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폐쇄가능하고 잠금가능한 컨테이너일 수 있는 상기 보관 유닛에서, 보안 문서, 예컨대 지폐는 인클로져에 보관 또는 적층된다. 상기 보관 유닛 이외에, 시스템은 착색 잉크를 갖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보관 유닛을 열려고 하는 모든 미승인 시도 또는 위반시, 착색 잉크가 배출되거나 전달된다. 미승인 시도 또는 보안 위반의 경우, 착색 잉크는 보안 문서의 저-바니시 영역과 접촉하여, 보안 문서를 착색시키고 잘 보이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통상적인 변화를 수득함으로써 이를 영구적으로 그리고 비가역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비제한적 도면 및 비제한적 예시 구체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 및 1b에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안 문서의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보안 문서는 기재(S), 보안 문서의 한쪽 면 상의 보호용 바니시(P) 및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I)를 포함한다. 보호용 바니시(P)는 기재(S)의 상부 표면의 약 70%∼약 90%를 커버한다. 도 1a에는 보호용 바니시(P) 층에서 압입부(I) 형태의 하나의 저-바니시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압입부(I)는 보호용 바니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즉, 보호용 바니시의 두께(t)가 약 0%임). 도 1b에는, 보호용 바니시(P) 층에서 압입부(I) 형태의 하나의 저-바니시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압입부(I) 내에서, 보호용 바니시(P)의 두께(t)는 기재(S)의 표면 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바깥쪽에서 보호용 바니시(P)의 두께(T)의 30% 미만으로 감소된다.
도 2에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I)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의 구체예에서, 압입부는 표시, 즉 문자 A, B 및 C, 대각선 및 무늬를 형성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저-바니시 영역은 보안 문서의 엣지 및 코너 상에 존재한다. 이 구체예의 저-바니시 영역은 보호용 바니시가 커버된 문서의 중앙 부분 주변의 프레임 구역 내에 존재한다. 프레임 구역은 (a) 보안 문서의 폭(W)의 약 10%∼약 15%를 갖는 치수 및 (b) 보안 문서의 길이(L)의 약 15%∼약 25%의 치수로 형성되고, %는 보안 문서의 길이 또는 폭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하 비제한적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Figure 112014069371814-pct00001
우선 표 1의 처음 세가지 성분 및 소광제를 사전 혼합하고(1500 rpm에서 약 15분) 그리고나서 표 1의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고 이렇게 수득한 혼합물을 혼합(1000 rpm에서 추가 약 10분)시킴으로써 500 g의 보호용 바니시를 제조하였다. 혼합하고 약 24시간 후, 200∼300 mPa s의 점도를 얻도록 소광제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함으로써 점도를 조정하였다. 10.0 cm 분산 블레이드에 의해 실온에서 혼합을 수행하였다. 강철 혼합 컨테이너와의 수동 접촉에 의해 마찰로 인한 온도 상승이 뚜렷하지 않았다. 표 1에 제시된 점도를 25℃의 브룩필드 기계 상의 보호용 바니시 9 g 상에서 측정하였다(모델 "DV-I Prime", 소형 샘플 어댑터, 100 rpm에서 스핀들 SC4-21).
아닐록스(160 ℓ/cm, 8 cm3/m2) 및 65∼75 쇼어의 인쇄 실린더를 갖는 실험실 실험 플렉소 인쇄 유닛(N. Schlafli Maschinen)에 의해 두께가 2∼3 ㎛(미크론)인 습윤 코팅을 형성하도록 KBA NotaSys에 의해 공급된 견본 지폐에 보호용 바니시를 독립적으로 도포하였다. 인쇄 실린더는 전체 바니시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체 고무 인쇄 실린더 또는 저-바니시 오목부로 바니시처리를 실현하는 특정 디자인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Flint Nyloflex FAH 1.14 mm)였다. 다음과 같이 3종의 지폐 시리즈를 제조하였다:
- 시리즈 A: 4장의 견본 지폐는 고체 고무 인쇄 실린더로 양쪽 면이 완전히 바니시처리되었음(비교예);
- 시리즈 B: 4장의 견본 지폐는 특정한 디자인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로 양쪽 면이 바니시처리되었음, 그리고
- 시리즈 C: 4장의 견본 지폐는 고체 고무 인쇄 실린더로 한쪽 면이 완전히 바니시처리되고 특정한 디자인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로 다른쪽 면이 바니시처리되었음.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의 디자인은 제조되어 본 발명을 예시하며 5개의 다음 영역으로 나뉘는 17.0 x 10.1 cm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졌다:
- 900 ㎛(미크론) 폭의 음각 선과 교차하는 1000 ㎛(미크론) 폭의 양각 선을 갖는 10.1 x 5.1 cm의 직사각형, 모든 선들은 인쇄 실린더의 축에 대해 평행하고 60° 배향되어 있음.
- 양각 직사각형 10.1 x 0.9.
- 600 ㎛(미크론) 폭의 음각 선과 교차하는 600 ㎛(미크론) 폭의 양각 선을 갖는 10.1 x 5.0 cm의 직사각형, 모든 선들은 인쇄 실린더의 축에 대해 평행하고 135° 배향되어 있음;
- 양각 직사각형 10.1 x 0.9 cm;
- 300 ㎛(미크론) 폭의 음각 선과 교차하는 500 ㎛(미크론) 폭의 양각 선을 갖는 10.1 x 5.1 cm의 직사각형, 모든 선들은 인쇄 실린더의 축에 대해 평행하고 30° 배향되어 있음, 이때
디자인의 양각 부분은 바니시처리된 영역을 유도하는 반면 음각 부분은 저-바니시 영역을 유도하게 된다.
방사선 경화된 코팅을 형성하도록 보호용 바니시의 UV-경화는 100%(160 W/cm)의 전력 및 50 m/분의 컨베이어 속도에서 표준 수은 UV 램프(ref 14957)를 포함하는 온라인 UV 건조기(GEW에 의해 공급된 시스템 VPC-20)에 의해 수행되었다. 경화된 코팅은 완전히 바니시처리된 영역에서 또는 디자인의 양각 영역에서 2∼3 ㎛(미크론)의 두께 및 디자인의 음각 영역에서 약 0 ㎛(미크론)의 두께를 갖는다.
10분 동안 약 700 rpm에서 4 cm 분산 블레이드가 장착된 Dispermat F1 상에서 Pelikan 4001 잉크 100 g, 안료 바이올렛 23의 수성 예비-분산액 34 g(안료 함량 35%) 및 물 66 g을 혼합시킴으로써 200 g의 바이올렛 착색 잉크를 제조하였다.
견본 지폐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충분한 바이올렛 착색 잉크 내에 30초 동안 견본 지폐를 각자 침지함으로써 상이한 시리즈로부터의 견본 지폐의 착색을 수행하였다. 30초 후 견본 지폐를 착색 잉크 배쓰로부터 꺼내고 물로 견본 지폐를 씻어내어 과량의 바이올렛 착색 잉크를 제거하였다.
착색 결과는 상이한 견본 지폐의 시각적 분석으로 결정하였다. 시리즈 A의 경우, 견본 지폐는 견본 지폐 상에서 단지 몇개의 스팟으로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를 가졌다. 시리즈 B의 경우, 견본 지폐는 전체 표면 상에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과 교차하는 희미하거나 또는 무색조의 선을 갖는 줄무늬로서 나타났다. 줄무늬의 선 폭 및 배향은 바니시처리된 영역과 상응하는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이거나 바이올렛 색조가 없는 선, 및 저-바니시 영역에 상응하는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의 디자인에 상응하였다. 시리즈 C의 경우, 특정한 디자인으로 바니시처리된 면이 전체 표면 상에 진한 바이올렛 색조의 선과 교차하는 희미하거나 또는 무색의 선을 갖는 줄무늬로서 나타났다. 줄무늬의 선 폭 및 배향은 바니시처리된 영역과 상응하는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이거나 바이올렛 색조가 없는 선 및 바니시처리-불포함 영역과 상응하는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의 디자인에 상응하였다. 완전히 바니시처리된 면은 노트의 몇개의 스팟 상에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를 가졌다. 추가적으로, 대향 면 상의 디자인으로부터의 줄무늬는 견본 지폐 종이를 통과하였기 때문에 약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이어서 견본 지폐에 화학적 세척을 실시하였다. 2.5 %w/w 농도의 수성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표백제) 100 g 및 5% 염산 수용액 100 g의 실온 혼합물에서 각 시리즈 중 2장의 견본 지폐를 침지하였다. 1분 후 견본 지폐를 제거하고 2장의 종이 타월 사이에서 건조시켰다. 실온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배쓰에서 24시간 동안 각 시리즈 중 2장의 견본 지폐를 침지하였다. 노트를 제거하고 2장의 종이 타월 사이에서 건조시켰다.
화학적 세척의 결과는 표백제/염산 처리 및 DMF 처리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이한 견본 지폐의 시각적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시리즈 A의 경우, 견본 지폐는 본연의 외관을 거의 회복하고 견본 지폐 상에 단지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의 몇개의 스팟이 있는 거의 새로운 지폐처럼 보였다. 시리즈 B의 경우, 견본 지폐는 전체 표면 상에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과 교차하는 희미하거나 색조가 없는 선을 가진 줄무늬로서 나타났다. 줄무늬의 선 폭 및 배향은 바니시처리된 영역과 상응하는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이거나 바이올렛 색조가 없는 선 및 저-바니시 영역과 상응하는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의 디자인에 상응하였다. 시리즈 C의 경우, 특정한 디자인으로 바니시처리된 면이 전체 표면 상에 진한 바이올렛 색조의 선과 교차하는 희미하거나 또는 무색의 선을 갖는 줄무늬로서 나타났다. 줄무늬의 선 폭 및 배향은 바니시처리된 영역과 상응하는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이거나 바이올렛 색조가 없는 선 및 바니시처리-불포함 영역과 상응하는 진한 바이올렛 색조를 갖는 선을 갖는 플렉소그래픽 플레이트의 디자인에 상응하였다. 완전히 바니시처리된 면은 견본 지폐의 몇개의 스팟 상에 희미한 바이올렛 색조를 가졌다. 추가적으로, 대향 면 상의 디자인으로부터의 줄무늬는 견본 지폐 종이를 통과하였기 때문에 약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결과에 의해 확인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착색 잉크와 접촉된 후 화학적 처리 후 본래의 양상을 회복하지 못함으로써 도난되어 유통에 사용할 수 없고 부적합한 문서를 인식하는 쉬운 방식을 제공하는 보안 문서를 제공한다.

Claims (19)

  1. 보안 문서로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의 70%∼90%가 커버되고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10%∼30% 포함하며, 상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하고,
    저-바니시 영역에서 보호용 바니시는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된 표면과 비교할 때 30%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이때 30% 미만의 양에서의 %는 보호용 바니시 층의 평균 두께에 대한 층 두께 비율에 기초하며, 압입부는 보안 문서의 표면의 오목부인 보안 문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 및 0%∼50%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기능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보안 문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호용 바니시는 UV, 가시광선 또는 IR-흡수 재료, 발광 재료, 법의학적 마커, 타간트(taggant)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안 기능 물질(security feature substance)을 포함하는 것인 보안 문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호용 바니시는 보안 문서의 양쪽 면 상에 존재하는 것인 보안 문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기재의 하나 이상의 엣지 또는 코너 상에 존재하는 것인 보안 문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표시(indicia)를 형성하는 것인 보안 문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선형 또는 꼬인형(guilloche)의 형태를 갖는 것인 보안 문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는 100∼1000 미크론의 선폭을 갖는 것인 보안 문서.
  9. 보안 문서 상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호용 바니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70%∼90%를 커버하도록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보호용 바니시를 오프셋, 그라비어 및 플렉소 인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공정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10%∼30%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고, 저-바니시 영역에서 보호용 바니시는 보호용 바니시로 커버된 표면과 비교할 때 30%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이때 30% 미만의 양에서의 %는 보호용 바니시 층의 평균 두께에 대한 층 두께 비율에 기초하며, 압입부는 보안 문서의 표면의 오목부인 방법.
  10.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킴으로써 도난 후 보안 문서의 유통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안 문서.
  11. 보안 문서의 착색 잉크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압입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으로서, 상기 저-바니시 영역은 보안 문서의 적어도 한쪽 면의 10%∼30%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는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호용 바니시에 의해 적어도 한쪽 면의 70%∼90%가 커버되고 보안 문서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의 10%∼30%의 하나 이상의 저-바니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안 문서의 인증 방법으로서, 보안 문서를 착색 잉크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보안 문서의 표면 상에서 착색 잉크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보안 문서를 하나 이상 갖는 보관 유닛 및 상기 보관 유닛의 미승인 개방 시도가 이루어질 경우 보안 문서와 접촉시키기 위한 착색 잉크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7020731A 2012-02-29 2013-02-25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 KR101979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7511.2 2012-02-29
EP12157511 2012-02-29
PCT/EP2013/053653 WO2013127715A2 (en) 2012-02-29 2013-02-25 Permanent staining of varnished security docu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115A KR20140138115A (ko) 2014-12-03
KR101979055B1 true KR101979055B1 (ko) 2019-05-15

Family

ID=4775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731A KR101979055B1 (ko) 2012-02-29 2013-02-25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0391806B2 (ko)
EP (1) EP2819852B1 (ko)
JP (1) JP6149281B2 (ko)
KR (1) KR101979055B1 (ko)
CN (1) CN104144795B (ko)
AP (1) AP2014007865A0 (ko)
AR (1) AR090152A1 (ko)
AU (1) AU2013225159B2 (ko)
BR (1) BR112014017553B1 (ko)
CA (1) CA2860603C (ko)
CL (1) CL2014002256A1 (ko)
ES (1) ES2831599T3 (ko)
HK (1) HK1199428A1 (ko)
MA (1) MA35909B1 (ko)
MX (1) MX2014009983A (ko)
PH (1) PH12014501585A1 (ko)
RU (1) RU2587069C2 (ko)
TW (1) TW201343418A (ko)
WO (1) WO20131277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2666A1 (de) * 2016-03-24 2017-09-2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ruckprodukts
FR3050754B1 (fr) 2016-05-02 2022-01-14 Oberthur Cash Prot Dispositif d'attaque thermique
JP6710132B2 (ja) 2016-09-26 2020-06-17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物のニス膜厚測定方法及びニス膜厚測定装置
TW202104475A (zh) 2019-05-22 2021-02-01 瑞士商西克帕控股有限公司 安全文件及其製造方法
AU2021260107A1 (en) 2020-04-23 2022-12-22 Sicpa Holding Sa Process for producing dichroic security features for securing value documents
WO2022101224A1 (en) 2020-11-10 2022-05-19 Sicpa Holding Sa Uv-vis radiation curable security inks for producing dichroic security features
TW202225339A (zh) 2020-11-10 2022-07-01 瑞士商西克帕控股有限公司 用於製造二色性保密特徵的uv-vis輻射可固化保密墨水
AR125598A1 (es) 2021-04-01 2023-08-02 Sicpa Holding Sa Barnices protectores catiónicos curables por radiación uv-led para documentos de seguridad
DE102021002255A1 (de) 2021-04-28 2022-11-03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Banknote mit zweischichtigem antiviralem Schutzlac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nknote mit zweischichtigem antiviralem Schutzlack
AR126088A1 (es) 2021-06-08 2023-09-13 Sicpa Holding Sa Barnices protectores híbridos curables por radiación uv-led para documentos de seguridad
CA3238397A1 (en) 2021-11-18 2023-05-25 Herve PITTET Methods for producing overt security features exhibiting one or more indic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762A (ja) 2003-05-29 2004-12-16 Toppan Forms Co Ltd 情報記録媒体
JP2008137252A (ja) 2006-12-01 2008-06-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抽選券及び抽選券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5625C1 (de) * 1986-02-21 1987-02-26 Jung Gmbh Identitaetskarte
DE3668138D1 (de) 1986-08-19 1990-02-15 Enschede & Zonen Grafisch Mit tinte bedruckter und mit einer schutzschicht beschichteter papiergegenstand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DE69719343T2 (de) 1997-12-29 2003-10-30 Sicpa Holding Sa Überzugszusammensetzung, Verwendung von Teilchen, Verfahren zur Markierung und Identifizierung eines diese Überzugszusammensetzung enthaltenden Sicherheitsdokumentes
DE19935170A1 (de) 1999-07-28 2001-02-01 Koenig & Bauer Ag Verfahren zur Veredelung
FR2814476B1 (fr) * 2000-09-11 2003-04-11 Arjo Wiggins Sa Feuille de securite comportant une couche transparente ou translucide
DE10124630A1 (de) 2001-05-18 2002-11-21 Giesecke & Devrient Gmbh Wertpapi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327083A1 (de) 2003-02-11 2004-08-19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papi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AT501356A1 (de) * 2003-06-18 2006-08-15 Hueck Folien Gmbh Sicherheitselemente und sicherheitsmerkmale mit farbeffekten
JP2006039775A (ja) * 2004-07-23 2006-02-09 Yasushi Katabami 防犯装置
EP1629986A1 (fr) * 2004-08-24 2006-03-01 Kba-Giori S.A. Procédé d'impression de documents de sécurité ainsi qu'un document de sécurité
JP4662811B2 (ja) * 2005-06-01 2011-03-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収納装置
NL1031039C1 (nl) * 2006-01-31 2007-08-01 Petrus Adrianus Maria Lauwen Methode tot het ontwaarden van speciaal geprepareerde waardemiddelen door het besproeien met een vloeistof of gas.
EA018391B1 (ru) 2007-04-24 2013-07-30 Сикпа Холдинг Са Способ снабжения меткой документа или объект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омеч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или объекта и применение с этой целью поляризующих по кругу частиц
GB0711575D0 (en) * 2007-06-15 2007-07-25 Complicity Ltd Cash/valuable degradation system
DE102009052538A1 (de) 2009-11-11 2011-05-12 Giesecke & Devrient Gmbh Herstellung eines mit gefärbten Mikrovertiefungen versehenen Sicherheitselemen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762A (ja) 2003-05-29 2004-12-16 Toppan Forms Co Ltd 情報記録媒体
JP2008137252A (ja) 2006-12-01 2008-06-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抽選券及び抽選券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0603A1 (en) 2013-09-06
US20150072117A1 (en) 2015-03-12
JP2015513485A (ja) 2015-05-14
MX2014009983A (es) 2014-09-08
CN104144795B (zh) 2017-03-08
RU2587069C2 (ru) 2016-06-10
AU2013225159A1 (en) 2014-07-24
RU2014138928A (ru) 2016-04-20
KR20140138115A (ko) 2014-12-03
EP2819852B1 (en) 2020-09-30
MA35909B1 (fr) 2014-12-01
PH12014501585B1 (en) 2014-10-08
WO2013127715A3 (en) 2013-12-27
CL2014002256A1 (es) 2014-11-03
BR112014017553B1 (pt) 2021-07-20
JP6149281B2 (ja) 2017-06-21
US10391806B2 (en) 2019-08-27
CA2860603C (en) 2019-06-18
AP2014007865A0 (en) 2014-08-31
BR112014017553A2 (pt) 2017-06-13
AU2013225159B2 (en) 2015-09-24
AR090152A1 (es) 2014-10-22
HK1199428A1 (en) 2015-07-03
EP2819852A2 (en) 2015-01-07
BR112014017553A8 (pt) 2017-07-04
PH12014501585A1 (en) 2014-10-08
TW201343418A (zh) 2013-11-01
CN104144795A (zh) 2014-11-12
WO2013127715A2 (en) 2013-09-06
ES2831599T3 (es)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055B1 (ko) 바니시처리된 보안 문서의 영구 착색
AU2015287068B2 (en) Optically variable magnetic security threads and stripes
JP6209755B2 (ja) 触知可能なセキュリティ機能の印刷方法
US10166808B2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threads and stripes
AU2016273191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optical effects layers
RU2601471C2 (ru) Оптикопеременные защитные нити и полосы
US20160251806A1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threads and str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