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023B1 -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023B1
KR101979023B1 KR1020170010033A KR20170010033A KR101979023B1 KR 101979023 B1 KR101979023 B1 KR 101979023B1 KR 1020170010033 A KR1020170010033 A KR 1020170010033A KR 20170010033 A KR20170010033 A KR 20170010033A KR 101979023 B1 KR101979023 B1 KR 101979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uid
flow path
fluid flow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075A (ko
Inventor
안지용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7001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023B1/ko
Priority to EP18742259.7A priority patent/EP3576076B1/en
Priority to PCT/KR2018/000851 priority patent/WO2018135879A1/ko
Priority to ES18742259T priority patent/ES2864171T3/es
Publication of KR2018008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023B1/ko
Priority to US16/516,810 priority patent/US201903712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03Anatomical models specially adapted to simulate circulation of bodily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은, 출혈 상태를 연출하도록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병변 표시부;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와, 상기 유체 유동로와 분리된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이격 공간부에 팽창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격 공간부로 주입되는 별도의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병변 표시부의 토출공을 폐쇄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MODULE FOR ENDOSCOPIC OPERATION SIMULATOR AND ENDOSCOPIC OPERATION SIMUL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변 상태를 연출하며 내시경 시술을 위한 최적의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시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각종 시술 도구를 삽입하여, 내시경을 통해 보이는 영상을 통해 환부를 살피면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시경 시술은 대부분 구강, 항문 등을 이용하므로, 개복 시술과 달리 절개 부위 및 흉터가 없고, 회복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내시경 및 도구의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서 이전에는 개복 시술이 필요한 질환 중 많은 부분에서 내시경 시술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되었으며, 다른 의료분야에서도 내시경 시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 예로, 내시경을 구강으로 삽입하여, 식도, 십이지장을 관찰하고, 필요시 소장으로 삽입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또는 항문을 통해 대장으로 삽입해가면서 내시경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각 장기의 내부를 관찰, 진단,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많은 경우에서, 내시경을 통해 장기의 내부에 발생한 여러 질환을 진단하고, 더 나아가서는 치료, 즉 출혈시 지혈 치료, 조기암이나 폴립 등의 절제, 누공 등의 문합 등의 처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내시경은 길이가 긴 튜브의 형상을 가진다. 내시경의 내부에는, 카메라가 삽입되는 카메라 채널과, 조직 검사용 겸자, 주사 바늘, 병변을 절개하기 위한 전기 메스 등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작업 채널과, 환부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석션 채널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내시경을 통한 처치 및 시술을 위해, 숙련되지 않은 자가 내시경을 장기의 내부로 이동 조작하며 시술하는 과정 중에, 익숙하지 않은 조작으로 인해 부정확한 진단, 지혈 치료의 실패, 적절한 종양 제거 실패, 출혈, 천공 등의 예기치 않은 문제들을 야기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장기의 내부에 내시경을 삽입 이동하며 조작함에 있어, 다양한 병변 현상에 대응하여 내시경의 조작 및 시술을 트레이닝하기 위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679535호(발명의 명칭: 대장 내시경 삽입 연습장치, 등록일: 2005.05.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병변 현상에 대응하여 내시경의 조작 및 시술을 반복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혈 상태를 연출하도록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병변 표시부;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와, 상기 유체 유동로와 분리된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이격 공간부에 팽창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격 공간부로 주입되는 별도의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병변 표시부의 토출공을 폐쇄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변 표시부의 토출공의 주변에는 상기 이격 공간부로 상기 별도의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이 통과하는 주사 바늘 통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막은 주사 바늘이 통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실시예로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을 형성하며 폴립을 연출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병변 표시부; 및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변 표시부와 상기 모듈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본체의 유체 유동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를 분배하는 분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폴립을 연출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전선이 통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전성(導電性) 소재로 이루어지는 병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장기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시경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삽입 공간부와, 표면에 상기 삽입 공간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장기 모형부; 및 상기 병변 표시부가 상기 삽입 공간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장기 모형부의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기 모형부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기 모형부를 둘러싸며 고정하는 고정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기 모형부는 실리콘,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병변 현상에 대응하여 내시경의 조작 및 시술을 반복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토출공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토출공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의 시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장기 모형부에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장기 모형부 내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a)은 병변 표시부(11a)와, 모듈 본체(21a)와, 격막(45)을 포함한다.
병변 표시부(11a)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병변 표시부(11a)의 중앙 영역에는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공(15a)을 통해 유체가 토출됨에 따라 병변 표시부(11a)는 출혈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병변 표시부(11a)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변 표시부(11a)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편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병변 표시부(11a)는 후술할 이격 공간부(41)로 별도의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이 통과하는 주사 바늘 통과부(17)를 더 포함한다. 주사 바늘 통과부(17)는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 주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주사 바늘 통과부(17)가 토출공(15a)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사 바늘 통과부(17)는 토출공(15a)의 둘레를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주사 바늘 통과부(17)는 주사 바늘이 통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모듈 본체(21a)는 원반 형상을 가진다. 모듈 본체(21a)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축경(縮徑)된 결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3a)는 후술할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 도 9 참조)의 결합공(117, 도 9 참조)에 암수 끼움 결합되며, 이에 모듈 본체(21a)를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에 결합한다.
모듈 본체(21a)의 내측에는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25a)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유동로(25a)는 구획판(35)에 의해 하부 유체 유동로(27)와 상부 유체 유동로(29)로 구획된다.
또한, 모듈 본체(21a)에는 하부 유체 유동로(27)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a)와, 하부 유체 유동로(27)를 유동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입구(31a)와 배출구(33a)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구획판(35)에는 하부 유체 유동로(27)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가 상부 유체 유동로(29)로 유입되는 상부 유입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체 유동로(29)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을 통해 토출되며, 이에 병변 표시부(11a)는 출혈 상태를 연출한다.
또한, 병변 표시부(11a)를 향하는 구획판(35)의 중앙영역의 판면에는,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이격 공간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격 공간부(41)는 주사 바늘 통과부(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막(45)은 판상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격막(45)은 상부 유체 유동로(29)와 분리되도록 모듈 본체(21a)의 이격 공간부(41)에 팽창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모듈 본체(21a)의 구획판(35)과 격막(45) 사이의 이격 공간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부 유체 유동로(29)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와 별도의 유체를 주사 바늘을 통해 병변 표시부(11a)의 주사 바늘 통과부(17)와 격막(45)을 거쳐 이격 공간부(41)에 주입하면, 이격 공간부(41)의 제한된 체적을 초과하는 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격막(45)은 병변 표시부(11a)를 향해 팽창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을 폐쇄하며, 출혈 부위가 지혈되는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여기서, 격막(45)은 주사 바늘이 통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b)은 병변 표시부(11b)와 모듈 본체(21b)를 포함한다.
병변 표시부(11b)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병변 표시부(11b)의 판면에는 복수의 돌기부(1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부(13b)에는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1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토출공(15b)을 통해 유체가 토출됨에 따라 병변 표시부(11b)는 복수의 폴립이 형성된 것을 연출할 뿐만 아니라 각 폴립을 통해 출혈하는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병변 표시부(11b)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변 표시부(11b)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편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모듈 본체(21b)는 원반 형상을 가진다. 모듈 본체(21b)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축경(縮徑)된 결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3b)는 후술할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의 결합공(117)에 암수 끼움 결합되며, 이에 모듈 본체(21b)를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에 결합한다.
모듈 본체(21b)의 내측에는 병변 표시부(11b)의 토출공(15b)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2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듈 본체(21b)에는 유체 유동로(25b)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b)와, 유체 유동로(25b)를 유동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입구(31b)와 배출구(33b)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b)은 분배부재(47)를 더 포함한다.
분배부재(47)는 병변 표시부(11b)와 모듈 본체(21b) 사이에 마련된다. 분배부재(47)는 모듈 본체(21b)의 유체 유동로(25b)로부터 복수의 돌기부(13b)의 각 토출공(15b)으로 토출되는 유체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공(4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분배공(49)은 모듈 본체(21b)의 유체 유동로(25b)와 각 토출공(15b)과 연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b)은 모듈 본체(21b)와, 분배부재(47)와, 병변 표시부(11b)가 상호 끼움 결합되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b)은 도 6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토출되는 돌기부(13b)에 핀(125)을 결착시켜 토출공(15b)을 폐쇄하면, 폴립의 출혈 부위가 지혈되는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b)은 모듈 본체(21b)와, 분배부재(47)와, 병변 표시부(11b)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듈 본체(21b)와, 분배부재(47)와, 병변 표시부(11b)를 각각 분리하지 않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c)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병변 표시부(11c)가 반구 형상을 가지며, 병변 표시부(11c)의 표면에는 폴립을 연출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13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병변 표시부(11c)의 하단부는 모듈 본체(21c)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그 둘레방향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병변 표시부(11c)는 도전성(導電性)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병변 표시부(11c)의 저부면을 포함한 상부 모듈 본체를 향하는 하부 모듈 본체의 판면 전체에는 통전이 가능한 단자(19)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19)의 일측은 모듈 본체(21c)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전극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단자(19)의 돌출된 부분은 전선이 통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모듈 본체(21c)는 하부 모듈 본체와 상부 모듈 본체로 구성된다. 하부 모듈 본체는 사각형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병변 표시부(11c)와 단자(19)가 안착된다. 상부 모듈 본체는 병변 표시부(11c)를 수용하도록 아크 형상을 가지며, 하부 모듈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부 모듈 본체는 복수의 돌기부(13c)가 노출되도록 병변 표시부(11c)를 수용 결합한다. 여기서, 병변 표시부(11c)의 각 돌기부(13c)는 상부 모듈 본체의 각 가장자리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부 모듈 본체의 저부 둘레에는 하부 모듈 본체와 단차를 이루며, 돌출된 결합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3c)는 후술할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의 결합공(117)에 암수 끼움 결합되며, 이에 모듈 본체(21c)를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에 결합한다. 모듈 본체(21c)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선에 연결된 단자(19)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병변 표시부(11c)를 통전시키고, 전기 메스(미도시)를 돌기부(13c)에 접촉시키면, 전기 메스와 병변 표시부(11c)의 돌기부(13c)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3c)가 용융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13c)가 발열하며 용융됨에 따라 폴립이 제거되는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10c)은 병변 표시부(11c)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냉동고에서 얼리거나, 또는 생리식염수에 담궈두는 방식으로 보관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는 장기 모형부(110)와, 모듈(10a,10b,10c)을 포함한다.
장기 모형부(110)는 모의의 장기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의 구강(미도시)에 연결되는 식도에 연결된 위 형상의 장기 모형부(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기 모형부(110)는 소장, 대장, 항문 등의 장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모형부는 실제 신체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현실감 있는 내시경 시술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장기 모형부(110)의 내부에는 내시경(미도시)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삽입 공간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장기 모형부(110)의 표면에는 삽입 공간부(115)와 연통하는 복수의 결합공(1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결합공(117)이 장기 모형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결합공(117)만이 장기 모형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기 모형부(110)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모듈(10a,10b,10c)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1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공(117)은 장기 모형부(110)의 표면에 삽입 공간부(115)와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결합공(117)은 각 모듈(10a,10b,10c)의 결합부(23a,23b,23c)가 형상 맞춤하며 암수 끼움 결합되는 직경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장기 모형부(110)는 시술자가 내시경의 조작 및 시술시 실제 장기의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장기 모형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장기 모형부(11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상하 분리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일정 길이로 나누어 사출 성형하여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장기 모형부(110)는 제조시에 경질 재질로 이루어진 몰드의 내부에 들어맞도록 연질의 재질을 몰딩할 수 있는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모듈은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모듈(10a,10b,10c)들이 마련되며, 모듈(10a,10b,10c)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 표시부(11a,11b,11c)가 삽입 공간부(115)에 노출되도록 장기 모형부(110)의 결합공(117)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모듈(10a,10b,10c)들은 장기 모형부(110)의 복수의 결합공(117)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병변 현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는 장기 모형부(110)를 둘러싸며 고정하는 고정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틀(120)은, 장기 모형부(110)의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등에 장기 모형부(1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장기 모형부(110)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틀(120)은,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며, 이러한 고정틀(12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상하 분리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일정 길이로 나누어 사출 성형하여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틀(120)에는 장기 모형부(110)의 각 결합공(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117)과 연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에는 장기 모형부(110)의 결합공(117)에 끼움 결합되는 모듈(10a,10b,10c)이 끼움 결합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100)는 장기 모형부(110)가 노출되도록 고정틀(120)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고정틀(120)은 장기 모형부(110)가 노출되지 않도록 장기 모형부(110)의 외측을 둘러싸며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장기 모형부(110)의 각 결합공(117)에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모듈(10a,10b,10c)들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내시경의 시술 훈련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전술한 제1실시예의 모듈을 제1모듈(10a)이라 하고, 제2실시예의 모듈을 제2모듈(10b)이라 하며, 제3실시예의 모듈을 제3모듈(10c)이라 한다.
먼저, 제1모듈(10a) 및 제2모듈(10b)의 각 유입구(31a,31b)와 배출구(33a,33b)에 각각 배관(미도시)을 연결하고, 제1모듈(10a) 및 제2모듈(10b)의 각 유입구(31a,31b)를 통해 액상의 유체를 주입한다. 동시에, 제3모듈(10c)의 단자(19)에 전원을 연결하여, 제3모듈(10c)의 병변 표시부(11c)를 통전시킨다.
이로써, 제1모듈(10a)의 경우,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을 통해 유체가 토출됨에 따라, 장기의 내부 점막으로부터 출혈되는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제2모듈(10b)의 경우, 병변 표시부(11b)의 토출공(15a)을 통해 유체가 토출됨에 따라 장기의 내부 점막에 형성된 폴립으로부터 출혈되는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제3모듈(10c)의 경우, 장기의 내부 점막에 폴립이 형성된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다음, 카메라가 삽입되는 카메라 채널과, 주사 바늘과 병변을 절개하기 위한 전기 메스 등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작업 채널과, 환부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석션 채널이 마련된 내시경을 도 11의 우측에 위치한 장기 모형부(110)의 구강(미도시)을 통해 삽입되어 식도 부위를 거쳐, 장기 모형부(110)의 삽입 공간부(115)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 때, 내시경의 카메라를 통해 장기 모형부(110)의 내부를 관찰하면서 내시경을 삽입 공간부(115)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내시경의 이동 과정 중에 병변 상태를 연출하는 각 모듈(10a,10b,10c)에 도달하면, 시술 훈련자는 내시경을 조작하며 시술 훈련을 실시한다.
이하, 각 모듈(10a,10b,10c)에서의 병변 현상에 대한 시술 훈련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장기의 내부 점막으로부터 출혈되는 상태를 연출하는 제1모듈(10a)의 경우, 내시경의 작업 채널로 삽입된 주사 바늘을 통해 제1모듈(10a)의 상부 유체 유동로(29)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와 다른 유체, 일 예로서 식염수를 병변 표시부(11a)의 주사 바늘 통과부(17)와 격막(45)을 거쳐 이격 공간부(41)에 주입한다.
식염수를 주사 바늘을 통해 이격 공간부(41)에 주입함에 따라, 이격 공간부(41)의 제한된 체적을 초과하는 식염수가 주입되면 격막(45)이 병변 표시부(11a)를 향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 표시부(11a)의 토출공(15a)이 폐쇄되도록 식염수를 이격 공간부(41)에 주입시킴으로써, 장기 내부 점막의 출혈 부위를 지혈시키는 시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장기의 내부 점막에 형성된 폴립으로부터 출혈되는 상태를 연출하는 제2모듈(10b)의 경우, 내시경의 작업 채널로 삽입되는 카테터 등의 시술 도구를 이용하여 핀(125. 도 6참조)을 돌기부(13b)에 결착시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15b)을 폐쇄함으로써, 도 6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립의 출혈 부위를 지혈시키는 시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의 내부 점막에 폴립이 형성된 상태를 연출하는 제3모듈(10c)의 경우, 내시경의 작업 채널로 삽입된 전기 메스를 시술하고자 하는 돌기부(13c)에 접촉시키면, 전기 메스와 병변 표시부(11c)의 돌기부(13c)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돌기부(13c)가 용융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립을 제거하는 시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 모형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을 통해 다양한 병변 현상을 연출하고, 장기 모형부(110)의 삽입 공간부(115)를 따라 내시경을 삽입 이동시키고, 모듈에 연출된 다양한 병변 현상에 대응하여 내시경의 조작 및 시술을 반복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과,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는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a,10b,10c :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11a,11b,11c : 병변 표시부
21a,21b,21c : 모듈 본체
41 : 이격 공간부
45 : 격막
47 : 분배부재
100 :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110 : 장기 모형부
115 : 삽입 공간부
117 : 결합공
120 : 고정틀

Claims (11)

  1. 출혈 상태를 연출하도록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병변 표시부;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와, 상기 유체 유동로와 분리된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이격 공간부에 팽창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격 공간부로 주입되는 별도의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병변 표시부의 토출공을 폐쇄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 표시부의 토출공의 주변에는 상기 이격 공간부로 상기 별도의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이 통과하는 주사 바늘 통과부가 형성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로는 구획판에 의해 하부 유체 유동로와 상부 유체 유동로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하부 유체 유동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가 상기 상부 유체 유동로로 유입되는 상부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하부 유체 유동로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하부 유체 유동로를 유동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배관에 의해 연결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5.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을 형성하며 폴립을 연출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병변 표시부; 및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병변 표시부가 결합되는 모듈 본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 표시부와 상기 모듈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본체의 유체 유동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유체를 분배하는 분배부재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유체 유동로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동로를 유동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배관에 의해 연결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 상기 분배부재 및 상기 병변 표시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인,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9. 장기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시경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삽입 공간부와, 표면에 상기 삽입 공간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장기 모형부; 및
    병변 표시부가 상기 삽입 공간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장기 모형부의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듈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 모형부를 둘러싸며 고정하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 표시부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모듈 본체는 외측에 둘레를 따라 축경(縮徑)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암수 끼움 결합되는,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KR1020170010033A 2017-01-20 2017-01-20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KR101979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33A KR101979023B1 (ko) 2017-01-20 2017-01-20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EP18742259.7A EP3576076B1 (en) 2017-01-20 2018-01-18 Endoscopic procedure simulator module and endoscopic procedure simulator using same
PCT/KR2018/000851 WO2018135879A1 (ko) 2017-01-20 2018-01-18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ES18742259T ES2864171T3 (es) 2017-01-20 2018-01-18 Módulo de simulador de procedimiento endoscópico y simulador de procedimiento endoscópico que utiliza el mismo
US16/516,810 US20190371203A1 (en) 2017-01-20 2019-07-19 Endoscopic procedure simulator module and endoscopic procedure simulato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33A KR101979023B1 (ko) 2017-01-20 2017-01-20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75A KR20180086075A (ko) 2018-07-30
KR101979023B1 true KR101979023B1 (ko) 2019-05-17

Family

ID=6290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33A KR101979023B1 (ko) 2017-01-20 2017-01-20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71203A1 (ko)
EP (1) EP3576076B1 (ko)
KR (1) KR101979023B1 (ko)
ES (1) ES2864171T3 (ko)
WO (1) WO2018135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477A1 (ja) * 2022-08-29 2024-03-07 デンカ株式会社 十二指腸乳頭モデル
WO2024101964A1 (ko) * 2022-11-11 2024-05-16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내시경 시뮬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483A (ja) * 2007-02-14 2008-08-28 Koken Co Ltd Esdトレーニングモデ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9535B2 (ja) 1997-01-29 2005-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大腸内視鏡挿入練習装置
JP3845746B2 (ja) * 1999-06-23 2006-11-1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人体模型
US6780016B1 (en) * 2000-10-23 2004-08-24 Christopher C. Toly Human surgical trainer and methods for training
JP2004049479A (ja) * 2002-07-18 2004-02-19 Olympus Corp 内視鏡用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50008997A1 (en) * 2003-07-08 2005-01-13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ortable endoscopic training and research device and methods of use
US7887330B2 (en) * 2004-12-02 2011-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rauma training system
WO2010016353A1 (ja) * 2008-08-08 2010-02-11 テルモ株式会社 超音波検査用生体モデル
JP6169088B2 (ja) * 2011-10-21 2017-07-26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訓練のための模擬組織構造
DE102013111983A1 (de) * 2013-10-30 2015-05-13 Eckart Frimberger Modell zum Trainieren einer Untersuchung und/oder Behandlung von Läsionen im Verdauungstrakt
JP2015125231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エムシーピー 内視鏡治療トレーニングモデル
CA2942551C (en) * 2014-03-13 2024-05-1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Advanced first entry model for surgical simulation
WO2016044577A1 (en) * 2014-09-17 2016-03-2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entral pressurized cadaver model
JP6754359B2 (ja) * 2014-11-13 2020-09-09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模擬組織モデルおよび方法
KR20160128477A (ko) * 2015-04-28 2016-11-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혈관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 훈련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483A (ja) * 2007-02-14 2008-08-28 Koken Co Ltd Esdトレーニングモデ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6076A1 (en) 2019-12-04
US20190371203A1 (en) 2019-12-05
KR20180086075A (ko) 2018-07-30
EP3576076A4 (en) 2020-02-26
WO2018135879A1 (ko) 2018-07-26
EP3576076B1 (en) 2021-01-06
ES2864171T3 (es)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3515B2 (ja) 手術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ES2765731T3 (es) Modelos y métodos de simulación de tejido
US6488507B1 (en) Portable surgical trainer
US5492126A (en) Probe for medical imaging and therapy using ultrasound
ES2805731T3 (es) Dispositivo para simular una operación endoscópica vía orificio natural
US20220015620A1 (en) Endoscope and method of use
AU2005292599B2 (en) Endoscopic apparatus with integrated hemostasis device
US20180184892A1 (en) Endoscope and method of use
JP7420747B2 (ja) 外科訓練モデル、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081056A1 (en)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and puncture device
KR101979023B1 (ko)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 시뮬레이터
JP7230027B2 (ja) 全直腸間膜切除手術シミュレータ
JP2011087647A (ja) 処置用オーバーチューブ及び処置システム
JP5397898B2 (ja) 前立腺肥大モデルおよび前立腺手術用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
JP6573401B2 (ja) 内視鏡トレーニング装置
US11571240B2 (en) Surgery multichannel device
KR20100000280A (ko) 외과 수술용 기구
JP2019521722A (ja) 吻合後の漏出試験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20163806A1 (en) Uterine model with pathology
US20230225591A1 (en)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comprising the same
JP2001238888A (ja) 医療器具
KR20160075186A (ko) 내시경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