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18B1 -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18B1
KR101978418B1 KR1020120117886A KR20120117886A KR101978418B1 KR 101978418 B1 KR101978418 B1 KR 101978418B1 KR 1020120117886 A KR1020120117886 A KR 1020120117886A KR 20120117886 A KR20120117886 A KR 20120117886A KR 101978418 B1 KR101978418 B1 KR 10197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sheet
pattern
extruded sheet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629A (ko
Inventor
송동욱
박정구
윤정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to KR102012011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1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2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 단계 2),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가열된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출시트에 돌기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도광판과의 밀착문제 및 도광판의 갈림 문제가 없어 백라이트 유니트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시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REFLECTION SHEE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광 반사판으로 사용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출방식을 이용하여 돌기패턴이 형성된 반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평판형 디스플레이로써 널리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성 장치이기 때문에, 화면 전체에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면광원 형태의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 BLU)가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LCD에 램프 빛을 공급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LCD의 뒷면에 있어 백라이트 유니트라 불린다.
백라이트 유니트의 광원으로는 주로 소형 형광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되는데, 상기 소형 형광 램프 또는 LED는 선광원(線光源) 또는 점광원(點光源)이므로, BLU에서는 이를 도광판과 반사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등의 광학시트를 사용하여 면광원 형태로 바꾸어 이용한다.
이 중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균일한 평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이며, 반사판은 도광판 아래에 위치하여 광원의 빛을 효율적으로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사판은 도광판의 후방으로 누설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주로 도광판의 후면에 적층되어 있다.
이처럼 반사판은 도광판의 후면에 적층되므로 반사판이 도광판에 밀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드(bead)를 반사판에 첨가하는 기술이 소개되었으나(국내 공개특허 제2011-0082327호 참조), 이 경우 도광판과의 밀착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 반면에, 첨가된 비드가 도광판의 표면을 갈게(grinding)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광판과의 밀착문제가 없으면서도, 도광판의 갈림 문제가 해결된 반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KR 2011-0082327 A1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과의 밀착문제가 없으면서도, 도광판의 갈림 문제가 해결된 반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1)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1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2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 단계 2),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가열된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출시트에 돌기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도광판과의 밀착문제 및 도광판의 갈림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돌기패턴을 가져 다양한 광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니트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사시트 제조 공정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에 따른 반사시트 제조 공정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는 각각 실험예에서 갈림성(내스크래치성) 평가 방법 및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해당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은 1)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1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2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계 1), 단계 2),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가열된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출시트에 돌기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패턴은 수지 조성물의 적층시에(즉, 적층과 동시에 온라인(on-line)으로), 또는 압출시트의 형성 후에(즉, 형성 후 온라인으로 또는 오프라인(off-li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본 발명의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의 일례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단계로서, 제 1 수지 조성물(121)은 제 1 압출기(210)와 제 1 시팅(sheeting) 다이(212)를 거쳐 기재층(110)의 일면 상에 압출되며, 이때 제 1 수지 조성물(121)은 제 1 라미네이터(230)와 롤러(251) 사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1 수지 조성물(121)은 기재층(100)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 1 압출시트(120)를 형성하게 된다. 제 1 압출시트(121)가 형성된 기재층(110)은 제 2 압출기(220)와 제 2 시팅 다이(222)를 향해 진행된다.
제 2 단계로서, 제 2 수지 조성물(131)은 제 2 압출기(220)와 제 2 시팅 다이(222)를 거쳐 기재층(110)의 타면 상에 압출되며, 이때 제 2 수지 조성물(131)은 제 2 라미네이터(240)와 롤러(252) 사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2 수지 조성물(131)은 기재층(110)의 타면에 적층되어 제 2 압출시트(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121) 압출시, 제 2 수지 조성물(131) 압출시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제 1 수지 조성물 또는 제 2 수지 조성물과는 다른 수지 조성물(제 3 수지 조성물 및/또는 제 4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함으로써 2층 이상의 압출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압출기(211) 및/또는 제 2' 압출기(221)에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또는 제 2 수지 조성물과는 다른 수지 조성물을 투입하여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121) 및/또는 제 2 수지 조성물(131)과 함께 기재층 상에 순차적으로 공압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재층(110), 및 상기 기재층(1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적층된 1층 이상의 압출시트(120, 130)를 포함하는 반사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100)의 양면에 마스킹 필름(140)을 덧씌워 롤 형태로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의 제조공정 중, 상기 단계 1), 단계 2),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가열된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출시트에 돌기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패턴롤은 반사시트의 제 1 압출시트 및/또는 제 2 압출시트 상에 돌기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가열된 패턴롤은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도 2에서, 261, 262), 라미네이터(230, 240)와 대향하는 롤러를 가열된 패턴롤(도 1에서, 251, 25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패턴의 형성은 도 1에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지 조성물(121, 131)을 라미네이터(230, 240)와 가열된 패턴롤(251, 252) 사이에 공급하여 압출과 동시에 패턴을 부여함으로써 수지 조성물(121, 131)의 적층시에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나타낸 방법과 같이, 기재층(110)에 제 1 압출시트(120) 및 제 2 압출시트(130)를 형성한 후 가열된 패턴롤(261, 262)을 이용하여 패턴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재층(110)에 제 1 압출시트(120) 및 제 2 압출시트(130)를 형성한 후의 패턴 부여는 핫 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한 핫 엠보싱(hot embossing)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압출은 180 내지 35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패턴 형성을 위한 가열된 패턴롤은 80 내지 180 ℃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도광판의 후방으로 누설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니트에 사용되는 반사판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발포되어 있거나 안료를 포함한 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을 이루는 플라스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부틸렌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일반적으로 필름 복합 재료로서 사용되는 핵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산화티탄,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마이카, 카올리나이트, 제올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또는 황산바륨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이 발포되어 있는 경우, 기재층을 이루는 플리스틱 수지에 포함된 기포에 의해 기재층이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데, 이는 기재층에 입사된 빛이 플라스틱 수지와 함유된 기포를 무수히 통과하면서 매질 변화에 의해 반사, 투과 및 흡수를 거치게 되며, 이때 기포의 표면에서 경면 반사가 나타나므로, 이를 함유하는 기재층이 상기 경면 반사의 합으로써 반사 성능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발포는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에 CO2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는 10 ㎛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기포의 크기가 10 ㎛를 초과하면 입사된 빛이 충분한 매질 변화를 거치지 못하여 기포 표면에서의 반사량이 충분하지 않아서 원하는 확산 반사 성능을 보이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서 기재층은 발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필름 형태 또는 평평한 시트 형상의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사시트는, 상기 기재층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 1 압출시트 및 제 2 압출시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압출시트 및 제 2 압출시트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 1 압출시트, 제 2 압출시트 또는 이들 모두에 제 1 수지 조성물 또는 제 2 수지 조성물과는 다른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제 1 압출시트 및/또는 제 2 압출시트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 압출시트와 제 2 압출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둘다는 돌기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상기 제 1 압출시트 및/또는 제 2 압출시트에 상기 돌기패턴을 포함함으로써 도광판에의 밀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돌기패턴을 통하여 집광과 확산기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광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돌기패턴은 삼각 프리즘 패턴, 비대칭 프리즘 패턴, 렌티큘러(lenticular) 프리즘 패턴, 라운드(round) 각도 프리즘 패턴, 마이크로 렌즈 패턴(MLA), 또는 이들이 조합된 패턴(예컨대, 다양한 프리즘 형상을 갖는 랜덤(random) 프리즘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삼각 프리즘 패턴은 프리즘 패턴의 꼭지각을 이루는 두 변이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꼭지각(θ)은 58˚ 내지 62˚일 수 있다. 상기 비대칭 프리즘 패턴은 프리즘 패턴의 꼭지각을 이루는 두 변이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꼭지각(θ)은 50˚ 내지 75˚일 수 있다. 라운드 각도 프리즘 패턴은 프리즘 패턴의 꼭지각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꼭지각(θ)은 58˚ 내지 62˚일 수 있고, 상기 꼭지각 부분은 8 내지 12 ㎛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에 비하여 경도가 강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반사시트에 의한 도광판의 갈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출시트의 소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예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 에틸아크릴, 부틸아크릴, 헥실아크릴, 아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 벤질아크릴, 비닐아크릴, 2-메톡시에틸아크릴 또는 스티렌을 반복 단위로 갖는 단일 중합체나 상기한 2종 이상의 성분들을 공중합한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는 추가로 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가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층은 그 소재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때 최외곽층이 보다 경도가 약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압출시트가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재층과 접하는 층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고, 외곽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출시트가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압출시트는 상응하는 수지들이 기재층의 일면 또는 타면에 대해서 공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5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52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압출시트 및 제 2 압출시트는 각각 25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7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기재층(300), 기재층(300)의 일면에 적층된 압출시트(310, 제 1 압출시트) 및 기재층(300)의 타면에 적층된 압출시트(320, 제 2 압출시트)를 포함한다.
제 1 압출시트(310)는 돌기패턴(31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는 1층 이상의 압출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2층의 압출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광학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사시트는 기재층(300)의 일면에 2층의 압출시트(310, 330)가 적층되어 있고, 또한 기재층(300)의 타면에도 2층의 압출시트(320, 340)가 적층되어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압출시트가 각각 2층씩 적층되어 있는 경우, 기재층(300)의 일면에 적층되어 있는 제1 압출시트(310, 330)는 기재층(300)의 일면에 제 1 압출시트(310)가 위치하고 제 1 압출시트(310) 상에 제 1' 압출시트(33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 2 압출시트(320, 340)는 기재층(300)의 타면에 제 2 압출시트(320)가 위치하고 제 2 압출시트(320) 상에 제 2' 압출시트(34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에서 압출시트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돌기패턴의 형태가 모식적으로 나타나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의 일례에서 돌기패턴은 삼각 프리즘(도 5의 (a)), 비대칭 프리즘(도 5의 (b)), 렌티큘러(lenticular) 프리즘(도 5의 (c)), 라운드(round) 각도 프리즘(도 5의 (d)), 또는 이들이 조합된 프리즘(도 5의 (e))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7에 본 발명에 따른 반사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압출시트의 다양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는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 2 압출시트(320)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형태(도 7의 (a))일 수 있고,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와 제 1' 압출시트(33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제 2 압출시트(320)가 단층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며(도 7의 (b)),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와 제 1' 압출시트(33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제 2 압출시트(320)와 제 2' 압출시트(34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도 7의 (c))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는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도 복수의 돌기(321)를 가지는 제 2 압출시트(32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도 8의 (a))일 수 있고,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와 제 1' 압출시트(33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321)을 가지는 제 2 압출시트(32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도 8의 (b))일 수 있으며, 기재층(300)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 1 압출시트(310)와 제 1' 압출시트(330)가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300)의 타면에 복수의 돌기패턴 형상(321)을 가지는 제 2 압출시트(320)와 제 2' 압출시트(340)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도 8의 (c))일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0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건 및 도 1의 제조공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기재층으로는 SY82(SY80에 TH700 프라이머 처리된 제품, SKCHaas사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225 ㎛ 두께의 평면(smooth) 반사판(SY80, SKC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320 ㎛ 두께를 가지면서 비드를 표면에 함유하는 비드 반사판(RL 813PR, SKCHaas사제)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및 2의 반사시트(또는 반사판)에 대해서 다양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다양한 물성의 측정 장비 내지는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휘도: 46" LED TV(SEC) / 25 point 측정(BMT)
b) 두께: 마이크로스코프 두께 측정기
c) 반사율 & 색좌표: 헌터랩(hunter lab) 측정기
d) 갈림성: LG TV 도광판 위에 반사시트(또는 반사판)와 추를 올려놓고 도 8에 도시된 사진과 같은 방법으로 반사시트를 당겼다. Keyence분석 장비를 이용해서 도광판에 갈린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갈림성(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12086317530-pat00001
상기 표 1 및 도 9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반사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사시트는 도광판과의 밀착문제 및 도광판의 갈림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돌기패턴을 가져 다양한 광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백라이트 유니트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반사시트 110: 기재층
120: 제 1 압출시트 121: 제 1 수지 조성물
130: 제 2 압출시트 131: 제 2 수지 조성물
140: 마스킹 필름 210: 제 1 압출기
211: 제 1' 압출기 212: 제 1 시팅 다이
220: 제 2 압출기 221: 제 2' 압출기
222: 제 2 시팅 다이 230: 제 1 라미네이터
240: 제 2 라미네이터 251, 252: 롤러
261, 262: 가열된 패턴롤 300: 기재층
310: 제 1 압출시트 311: 돌기패턴
320: 제 2 압출시트 321: 돌기패턴
330: 제 1' 압출시트 340: 제 2'압출시트

Claims (10)

1)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1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 1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 2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제 2 압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 단계 2),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가열된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출시트에 돌기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기재층은 이산화티탄,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마이카, 카올리나이트,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핵제를 포함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의 형성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적층시에, 또는 상기 압출시트의 형성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압출시, 제 2 수지 조성물 압출시 또는 두 경우 모두에 제 1 수지 조성물 또는 제 2 수지 조성물과는 다른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출시트 및 제 2 압출시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출시트 또는 제 2 압출시트가 T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이 삼각 프리즘 패턴, 비대칭 프리즘 패턴, 렌티큘러(lenticular) 프리즘 패턴, 라운드(round) 각도 프리즘 패턴, 마이크로 렌즈 패턴(MLA) 또는 이들이 조합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프리즘 패턴이 58˚ 내지 62˚의 꼭지각(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각도 프리즘 패턴이 58˚ 내지 62˚의 꼭지각(θ)을 가지면서 꼭지각 부분이 8 내지 12 ㎛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프리즘 패턴이 50˚ 내지 75˚의 꼭지각(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가 5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20117886A 2012-10-23 2012-10-23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10197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86A KR101978418B1 (ko) 2012-10-23 2012-10-23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86A KR101978418B1 (ko) 2012-10-23 2012-10-23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629A KR20140051629A (ko) 2014-05-02
KR101978418B1 true KR101978418B1 (ko) 2019-05-14

Family

ID=508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886A KR101978418B1 (ko) 2012-10-23 2012-10-23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473A (ja) * 2002-07-17 2004-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4473A (ja) * 2010-10-14 2012-04-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反射基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327A (ko) 2010-01-11 2011-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시트
US20120050874A1 (en) * 2010-08-31 2012-03-01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Optical sheet having printed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473A (ja) * 2002-07-17 2004-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4473A (ja) * 2010-10-14 2012-04-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反射基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629A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238B1 (ko) 광 확산 시트
TWI439741B (zh) 光學元件及其製法
CN102713692B (zh) 侧光型背光源用白色反射膜和使用该白色反射膜的背光源
JP4410391B2 (ja) 積層フィルム
JP3585412B2 (ja) 光学機能を有する連続シートの製造法
JP4517442B2 (ja) 積層光拡散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60099439A (ko) 이방성 산란 시트
KR20040080295A (ko) 가시광 확산을 위한 표면 형성된 복합 중합체 렌즈
TWI411850B (zh) Optica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200846179A (en) Surface optical diffusility polyester film
US20090296024A1 (en) Light diffuser plate with primer lay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aminated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219501A (ja) 液晶表示装置
KR20200060052A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02221612A (ja) 光拡散シート
US20220011630A1 (en) Optical bod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2010256431A (ja) 積層樹脂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78418B1 (ko)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JP4560890B2 (ja) 積層光拡散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09596A (ja) 反射シート
TW201334951A (zh) 形狀轉印樹脂片之製造方法及樹脂片
JP2015031893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フィルム積層体
KR101685574B1 (ko) 복합 반사편광 필름
JP2014137943A (ja) 直下型面光源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701500B1 (ko) 복합 반사편광 필름
KR102540191B1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