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977B1 -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977B1
KR101977977B1 KR1020180147101A KR20180147101A KR101977977B1 KR 101977977 B1 KR101977977 B1 KR 101977977B1 KR 1020180147101 A KR1020180147101 A KR 1020180147101A KR 20180147101 A KR20180147101 A KR 20180147101A KR 101977977 B1 KR101977977 B1 KR 10197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pres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설웅
황은선
양정은
우지은
고은별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8014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하며, iNOS 및 IL-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Complex Extract of Thymus vulgaris}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질-폴리사카라이드 복합 화합물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내독소 O-항원으로서, 박테리아 LPS는 전형적으로는 리피드 A(내독소), 비반복성 코어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O-항원)로 구성되어 있다. 지질 부분(리피드 A)은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코어 폴리사카라이드 부분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코어 부분은 반복되는 올리고사카라이드 유닛으로 구성된 고도의 면역원성과 가변성을 갖는 O-사슬 폴리사카라이드, 즉 3번째의 외부 부위인 O-항원 부위와 연결된다.
일산화질소(NO, Nitric oxide)는 면역시스템에서 다양한 생리학적 메카니즘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중요한 세포내 및 세포간 신호전달 분자이다. 일산화질소는 수퍼옥사이드와 반응하여 퍼옥시나이트라이트(peroxynitrite) 이온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온은 과도한 염증 활성을 유도하며, 패혈증(sepsi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관절염(arthritis),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및 쇼그렌증후군(Sjogren's syndrome, SS) 등의 질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신호전달과정의 중간 매개자로서 매우 중요한 생리학적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내인성 및/또는 외인성 ROS 및 일산화질소의 과도한 생성은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산화환원-민감성 전사인자인 NF-κB는 산화스트레스, 외인성 ROS와 일산화질소(NO, Nitric oxide) 등과 같은 염증성 매개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NF-κB가 활성화되면, IκB는 IκB 키나아제(IKK) 복합체에 의해 인산화되고, IκB는 유비퀴틴화(ubiquitinated)되어 분해된다. IκB로부터 분리된 자유 NF-κB는 핵속으로 이동하고, 핵내에서 세포 성장조절, 아폽토시스, 면역반응, 염증 및 암에 관련된 유전자를 전사시킨다. 또한, NF-κB는 만성염증성질환 및 다양한 인간 암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NF-κB 활성을 유발하는 일산화질소의 발생을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면,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로 판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세포내 다양한 염증 조절 인자들은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나 사이클로-옥시제나제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생체 내 대식세포와 같은 염증 세포들이 활성화 되면서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인터루킨-1 베타(Interleukin-1 beta; 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다량 생산 된다(Jun-Ho Son. et.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5, 678~683쪽).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인터루킨-1(IL-1), 종양괴사인자-α(TNF-α) 등을 유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근육, 건, 인대 등과 같은 조직에도 영향을 끼쳐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Fernandes J. C. et al., The role of cytokines in osteoarthritis pathophysiology, 2002, 39, 237-246쪽).
대부분의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제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라고 하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데, 주 치료작용 외에 위장관 장애, 간장애, 신장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따라서, 특허 등록 제10-0532633호, 특허등록 제10-1390084호, 특허등록 제10-1160488호 등 천연에서 유래한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대체하여 부작용이 없이 장기간 사용하는 데 무리가 없으면서도 항염증 효능에 탁월한 새로운 소염진통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천연자원으로부터의 효능 검증을 통한 소재 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의 조합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조합한 복합 추출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발생에 관여하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은 염증 유발물질인 LPS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체계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를 통해 인산화 효소인 JNK, ERK, 및 p38 단백질 인산화 효소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염증 관련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임(Thymus vulgar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고, "마치현(P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의 쇠비름의 전초를 의미하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는 삼백초과의 약모밀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의미하고, "병풀(Centella asiatica)"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은, 이들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에서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 처리로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추출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타임 추출물은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0.01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병풀 추출물은 0.01 내지 1.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은 8:4: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이 세포 독성이 없고, NO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며, iNOS와 IL-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이 8:4:2:1의 비율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에서 염증 억제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일산화질소(NO) 매개 염증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산화질소(NO) 매개 염증성 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부비동염,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뇌염,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패혈증, 패혈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골관절염, 공피증, 골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병(Lyme disease), 보렐리아증(Borreliosis), 신경성-보렐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루프스, 동창성 루프스, 결핵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론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키슨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경화증, 자폐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염증반응의 직접적인 매개 인자인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하고, iNOS(inducible NO synthase) 및 IL-6(interluekin-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예컨대 0.001-100㎎/㎏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및 투여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개체에 적절한 방법으로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염증성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피험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험체의 염증 반응의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피험체"란 소, 개, 돼지, 닭, 양, 말,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는 복강 또는 혈관 내 투여, 병변으로의 직접 투여 또는 관절의 활강(Synovial cavity) 내 투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감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 천연 감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감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NO 매개 염증성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과,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마스크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산화질소(NO) 매개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대표적인 염증 관련 유전자인 iNOS 및 IL-6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식품, 및 의약외품 분야에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매우 탁월하다.
도 1은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대식세포주(Raw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MTT assay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식세포주(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한 뒤,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NO) 생성량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조합 비율을 달리하여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대식세포주(Raw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NO)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조합 비율을 달리하여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대식세포주(Raw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NO)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8:4:2:1 중량비)을 대식세포주(Raw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 관련 유전자인 iNOS 및 IL-6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전초를 각각 0.5kg으로 계량한 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고 세말화하여 분말을 얻었다. 분말화된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을 10배 중량의 50% 에탄올을 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면서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타임, 마치현 ,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의 세포 독성 효과 검증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이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은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TCC,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 100㎍/㎖ 페니실린 및 100㎍/㎖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배지에 상기 세포를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를 1×106 cells/mL의 농도(in DMEM)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 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을 10, 50, 및 100㎍/㎖ 농도로 희석한 시료와 내독소로 알려진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1mg/mL의 MTT 시약을 처리하고 2시간 후, 세포에 MTT 처리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AW 264.7 세포에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이 각각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타임, 마치현 ,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효과 검증
3-1. 단일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일산화질소는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세포 독성물질이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 10, 50, 및 100㎍/㎖ 농도로 희석한 시료와 내독소로 알려진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 reagent[1%(w/v) sulfanilamide, 0.1%(w/v) napht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 100㎕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Griess reagent 반응 후,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생성된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DMEM 배지에 용해한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군(Con)에 비해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단일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타임, 마치현, 어성초, 병풀 순으로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참조).
3-2. 복합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산화질소 생성 변화를 측정하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을 조합하여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복합 추출물은 10, 50, 및 100㎍/㎖의 농도를 사용하였고, 사용된 식물 추출물 사이의 중랑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8117594864-pat00001
실험 결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이 8:4:2:1의 비율로 혼합된 실험예 8의 복합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즉, 각각의 추출물을 따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 추출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상승적인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synergy effect)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은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하여 염증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iNOS 및 IL-6 유전자 발현 분석
실시예 3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실험예 8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8:4:2:1 중량비)을 대상으로 염증 유발 인자인 iNOS 및 IL-6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 발현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TCC,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 100㎍/㎖ 페니실린 및 100㎍/㎖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배지에 상기 세포를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RAW 264.7 세포를 1×106 cells/mL의 농도(in DMEM)로 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 후, 상기 실험예 8의 복합 추출물을 50, 및 100㎍/㎖ 농도로 희석한 시료와 내독소로 알려진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실험은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iNOS 및 IL-6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 iNOS : 정방향 5′-AAT GGC AAC ATC AGG TCG GCC ATC ACT-3′, 역방향 5′-GCT GTG TGT CAC AGA AGT CTC GAA CTC-3′
- IL-6 : 정방향 5′-GTT CTC TGG GAA ATC GTG GA-3′, 역방향 5′--TGT ACT CCA GGT AGC TAT GG-3′
- GAPDH: 정방향 5'-TGA AGG TCG GTG TGA ACG GAT TTT GGC-3', 역방향 5'-TGG TTC ACA CCC ATC ACA AAC ATG G-3'.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도 5에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LPS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7.9%(50㎍/㎖), 및 62.7%(100㎍/㎖) 감소된 iNOS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40.5%(50㎍/㎖), 및 59.5%(100㎍/㎖) 감소된 IL-6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5 참조).
또한, 단독 추출물 중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관찰된 타임 단독 추출물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iNOS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각각 34.5%(50μg/mL) 및 37.4%(100μg/mL) 감소하였고, IL-6 유전자의 mRNA 발현량도 각각 24.4%(50μg/mL) 및 26.1%(100μg/mL)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이 세포 독성이 없고, NO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며, iNOS와 IL-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타임, 마치현, 어성초 및 병풀이 8:4:2:1의 비율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에서 염증 억제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타임 추출물은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0.01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병풀 추출물은 0.01 내지 1.2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추출물, 상기 마치현 추출물, 상기 어성초 추출물, 및 상기 병풀 추출물은 8:4:2:1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일산화질소(NO) 매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NOS(inducible NO synthase) 및 IL-6(interluekin-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타임 추출물은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0.01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병풀 추출물은 0.01 내지 1.2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타임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타임 추출물은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0.01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병풀 추출물은 0.01 내지 1.2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7101A 2018-11-26 2018-11-26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7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01A KR101977977B1 (ko) 2018-11-26 2018-11-26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01A KR101977977B1 (ko) 2018-11-26 2018-11-26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977B1 true KR101977977B1 (ko) 2019-05-14

Family

ID=6658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01A KR101977977B1 (ko) 2018-11-26 2018-11-26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95A (ko) * 2020-01-23 2021-08-02 (주)에스디생명공학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4176B1 (en) * 1999-07-01 2001-08-14 Chromak Research, Inc. Herb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for alleviation of arthritis and gout
KR101211937B1 (ko) * 2012-09-18 2012-12-13 주식회사 들레네 101가지 산야초 추출액을 이용한 항염 효과를 갖는 기능성 산야초 발효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4176B1 (en) * 1999-07-01 2001-08-14 Chromak Research, Inc. Herb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for alleviation of arthritis and gout
KR101211937B1 (ko) * 2012-09-18 2012-12-13 주식회사 들레네 101가지 산야초 추출액을 이용한 항염 효과를 갖는 기능성 산야초 발효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95A (ko) * 2020-01-23 2021-08-02 (주)에스디생명공학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18703B1 (ko) 2020-01-23 2022-07-08 (주)에스디생명공학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954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23027253A (ja) 新規エラジタンニンおよび口腔用剤
KR101977977B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69737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irt-1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JP4833854B2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から構成される組成物
KR101522584B1 (ko) 진세노사이드 Rh6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102123590B1 (ko) 비트, 적양파, 및 자색고구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60427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산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2598B1 (ko) 지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155787A (ja) 抗炎症剤、抗老化剤、抗肥満剤、及び育毛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2443334B1 (ko) 무궁화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JP5419258B2 (ja) 化粧料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85711A (ko) '산향' 산돌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또는 피부보습 개선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182710B1 (ko) 장미허브 추출물, 또는 이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17547B1 (ko) 필레아 마티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808B1 (ko)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2272653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켐페롤-3-오-글루코실-6¨-오-펜타디오닉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26887B1 (ko)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40002391A (ko) 11-오-카페오일-메틸페닐락틱 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