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887B1 -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887B1
KR102026887B1 KR1020170098641A KR20170098641A KR102026887B1 KR 102026887 B1 KR102026887 B1 KR 102026887B1 KR 1020170098641 A KR1020170098641 A KR 1020170098641A KR 20170098641 A KR20170098641 A KR 20170098641A KR 102026887 B1 KR102026887 B1 KR 10202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compound
compounds
presen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764A (ko
Inventor
조현우
안병관
정호경
김민석
우경완
이현주
노종현
박종일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09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8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또는 이들 화합물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염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염증용 의약품, 화장품, 또는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comprising osmundalacton and/or (4R,5S)-5-hydroxy-2-hexen-4-olide}
본 발명은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달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자 비율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면역계 이상으로 염증반응의 만성화가 진행되어 아토피, 천식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hang et al., 1994, Korean J. Gastroentrol., 26:907-918.; Heinzemann and Daser, 2002, Int. Arch. Allergy Immunol. 127:170-180.; Song et al., 1998, Korean J. Intern. Med., 55:158-168.; Sung et al., 2012, J. Ethnopharmacol. 144:94-100.).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자극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과 같은 내부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기전으로 세포 내 다양한 염증조절인자들인 종양괴사인자-α(TNF-α),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생성된다. 또한, 내독소로 알려진 지질다당체(LPS, 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여, 대식세포 또는 단핵세포에서 세포내 전사요소인 핵 인자-κB(NF-κB, nuclear facter-κB)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동성 산화질소 신타아제(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cyclooxygenase-2)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며, 염증 매개물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iNOS, COX-2, 또는 NF-κB의 발현, 및 사이토카인과 산화질소의 분비 조절은 염증반응의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인자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이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Kim et al., 2013b,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6:54-64.)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 계통인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등이 있으나, 이들 물질은 간 손상, 암, 뇌졸중과 같은 여러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사용 시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종래 의약품에 비해 장기간 섭취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염증"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염증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의 침입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상기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염증성 장질환, 위궤양, 또는 천식 등이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증세가 호전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래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고, 분자식(molecular formula)은 C6H8O3이며,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128.126인 화합물이다. 이에 대한 1H-NMR과 13C-NMR spectrum은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화학식 1의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을 화합물 1이라 편의상 칭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5147804-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며, 이에 대한 1H-NMR과 13C-NMR spectrum은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화학식 2의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을 화합물 2라 편의상 칭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75147804-pat00002
상기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및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은 지금까지 항염증 효능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의 염 및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의 염은 약학적, 화장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염으로는 약학적, 화장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후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 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거나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비(Osmunda japonica) 일 수 있다.
상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을 고비(Osmunda japonic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비의 전초, 잎, 뿌리, 줄기,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 바람직하게는 줄기 및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뿌리로부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을 을 추출 및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및 분리할 수 있는데,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저급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이외에 통상적인 분리 및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을 수득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 본 발명의 상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고비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고비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헥산으로 분배하여 헥산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용출하였다. 상기 물 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 이동상으로 물(water):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의 용매조건으로 반복 진행하여 분리 한 후 최종적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도 2 참조).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외부 감염원이 침입된 세포 내 일산화질소(NO),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TNF-α, IL-6, IL-1β 등의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며, COX-2 및 iNOS 등의 염증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항염증 효과가 미약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 증가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데, 치료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 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방법은 모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내 주입,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오스문다락톤 및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세포독성이 없는 무해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독성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약학적,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스문다락톤,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은 외부 감염원이 침입된 세포 내 일산화질소(NO),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TNF-α, IL-6, IL-1β 등의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며, COX-2 및 iNOS 등의 염증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 물 추출물 및 고비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화합물 1 내지 4를 분리하는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화합물 5 내지 11을 분리하는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2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2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 물 추출물(OJT-W)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관찰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 에탄올 추출물(OJT-E)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관찰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관찰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관찰한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 물 추출물(OJT-W)의 LPS로 유도된 세포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비 에탄올 추출물(OJT-E)의 LPS로 유도된 세포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LPS로 유도된 세포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LPS로 유도된 세포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COX-2 및 iNOS 발현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COX-2 및 iNOS 발현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IL-6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IL-6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L-6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L-6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의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유전자 분석한 그림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κ-Bα 및 MAP Kinase 발현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의 농도별로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Iκ-Bα 및 MAP Kinase 발현 억제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등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약 및 기기와 통계처리
생리활성과 관련된 세포실험에서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Minimum Essential medium (MEM), FBS, Streptomycin, penicillin은 Gipco (USA)와 Gibco/BRL (Eggenstein, Germany), Lipopolysaccaride (LPS), dimethyl sulfoxide (DMSO)는 Sigma Chemical Co. (St. Lousi, MO, USA),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MTS,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Griess reagent system은 Promega (Madison, USA), PGE2 ELISA kit 는 Enzo Life Sciences Co. (Farmingdale, NY, USA), TNF-α, IL-1β, IL-6의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는 R&D systems (DuoSet® ELISA Development Systems, MN, USA), iNOS와 COX-2, I-κB, ERK, p38, JNK, GAPDH antibodies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MA, USA), Endothelial cell medium (ECM) suppliment kit 시약들은 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CA, USA)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추출 및 분획용 시약, TLC 및 column용 시약 등은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Thin layer chromatography용 plate는 precoated silica gel 60 F254 plate (layer thickness 0.25 mm, 20×20 cm. Art. 5715, Merck)와 precoated RP-18 F254S plate (layer thickness 0.25 mm, 20×20 cm. Art. 5423, Merck)를 사용하였으며, UV의 검색은 254와 365 nm에 측정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의 충진제는 YMC gel ODS-A (50 μm)를 사용하였다. 단일 화합물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이용한 NMR spectrum은 Varian 600 spectrometer (1H: 500 MHz, 13C: 125 MHz)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NMR 용매는 Sigma. Inc (USA)의 CD3OD를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을 위한 건조기 (VS-1202D3, Jeiotech, Korea), 회화로 (MF-21G, Daehan, Korea), 초음파추출기 (UC-20, Branson, USA)이며, 확인시험에는 반자동박층크로마토그래프 (ATS4&ADC2, Camag, Swiss)를 사용하였다. 함량 분석은 X-bridge C18 column (5 ∬㎛, 250mm x 4.6 mm, Waters, USA)을 사용하여 Shimadzu HPLC system (20-AD, Dongil, Korea)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데이터의 결과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엑셀 2010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여 mean ± standard deviation(S.D.)로 기록하였다. 실험군간의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p<0.05의 경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제조예 1: 고비 추출물의 제조
고비의 원시료는 전남 완도(34°21'30"N, 126°39'13"E)에서 자생 중인 고비를 2015년 6월 24일에 채취하였다. 음건한 고비 뿌리줄기 100 g을 증류수 1L에 넣고 150 분 동안 전탕한 후, 여과지(Whatman No. 2,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은 감압농축기(N-1100 series, EYELA, Tokyo, Japan)에서 농축하여 고비 물 추출물(Osmunda japonica Thunb. water extract, OJT-W) 11.9g을 얻었다. 또한 고비 에탄올 추출물을 얻기 위해 음건한 고비 뿌리줄기 100g을 70% 에탄올 5L를 가하여 70에서 3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한 후, 250 mesh sieve와 filter paper(Whatman No. 2,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하였고, 얻어진 여과액은 감압농축기(N-1100 series, EYELA, Tokyo, Japan)를 통해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킨 후 9.8g의 고비 에탄올 추출물(Osmunda japonica Thunb. ethanol extract, OJT-E)을 얻었다(도 1 참조).
고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현탁액과 헥산을 1:1 비율로 분획 깔때기에 넣고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으며, 분획된 헥산층을 다시 감압 농축하여 시료를 얻었다. 이상의 동일한 과정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가하여 각각 분획물을 얻었고, 농축이 완료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Ilsin,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건조 시료로 제조하였다.
이상의 70% 에탄올 및 100% 물 추출물은 세포배양액으로 희석하여 10 mg/ml 농도로 만들었고, 고비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은 분자량을 확인하여 DMSO 적당량에 녹인 다음 세포배양액으로 희석하여 10 mM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제조예 2: 고비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건조된 고비 뿌리줄기(2 kg)를 100% MeOH로 3회 환류 추출 한 후 감압 농축하여 MeOH 추출물 137 g을 얻었다. 이를 다시 10% 증류수 800 ml에 현탁시킨 후, n-hexane (2.4 L×3)을 사용하여 용매분획을 한 뒤, n-hexane fraction (20 g), 나머지 H2O fraction (100 g)을 얻었다.
2-1. 화합물 1 내지 4의 분리
H2O 분획물 (100 g)을 H2O: ACN (1: 0, 5: 5) 두 용매 조성으로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2개의 중분획 (GBW 1, 2)으로 나누었다. GBW 1 중분획을 H2O: ACN (1:0 ~ 4:1) 용매 조성으로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10개의 소분획 (GBW1-1 ~ 10)으로 나누었다. 그 중 GBW 1-5 (7 g)을 다시 H2O: ACN (1:0 ~ 5:1) 용매 조성으로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4개의 소분획 (GBW1-5-0 ~ 3)으로 나누었다. GBW1-5-0 (2.9 g)을 23mL/min, 0~5 % ACN, 40 min, 240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1 (8 mg)과 2 (14 mg)를 분리하였다. GBW 1-5-1 (1.3 g)을 다시 Ethyl acetate: MeOH: H2O (2: 1: 0 ~ 2: 1: 0.2) 용매 조성으로 silica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4개의 소분획 (GBW1-5-1 ~ 4)으로 나누었다. GBW1-5-1-3 (800 mg)을 25mL/min, 3 % ACN (Isocratic), 35 min, 254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3 (520 mg)을 분리하였다. GBW1-7과 GBW1-8을 합친 소분획(100 mg)을 20mL/min, 8~11 % ACN, 35 min, 220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4 (10 mg)을 분리하였다(도 2 참조).
2-2. 화합물 5 내지 11의 분리
GBW 2 중분획을 H2O: ACN (1:0 ~ 5:1) 용매 조성으로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11개의 소분획 (GBW1-1 ~ 11)으로 나누었다. GBW2-1과 GBW2-2을 합친 소분획을 25mL/min, 5 % ACN (Isocratic), 40 min, 254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5 (758 mg)을 분리하였다. GBW2-3을 22mL/min, 10 % ACN (Isocratic), 40 min, 289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6 (11 mg)을 분리하였다. GBW2-4와 GBW2-5를 합쳐 CHCl3: MeOH (20:1 ~ 1:1) 용매 조성으로 silica open column chromatography 법을 이용하여 7개의 소분획 (GBW2-4,5-1 ~ 7)으로 나누었다. 그 중 GBW2-4,5-3 (560 mg)을 25mL/min, 8 % ACN (Isocratic), 40 min, 290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7 (10 mg), 8 (265 mg)을 분리하였다. GBW2-4,5-4 (250 mg)을 MeOH rexrystallization을 이용하여 화합물 9 (10 mg)을 분리하였다. GBW2-7을 25mL/min, 14 % ACN (Isocratic), 40 min, 277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10 (675 mg)을 분리하였다. GBW2-10을 21mL/min, 12~20 % ACN, 35 min, 260 nm 용매조건으로 prep-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11 (8 mg)을 분리하였다(도 3 참조).
2-3.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동정
고비에서 분리한 11종의 화합물에 대한 분자량 측정은 LC/MS IT-TOF (Shimadzu, Japan)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ion source로는 ESI source를 사용하였다. System controller는 CBM-20A, solvent delivery units은 LC-20ADXR, online degasser는 DGU-20A3, auto sampler는 SIL-20ACXR, UV Detector는 SPD-20을 사용하였고 자세한 분석조건은 <표 1>과 같으며, 단일 peak를 확인하고 UVD의 UV흡수곡선과 함께, MSn의 data를 바탕으로 분자량과 분자식을 유추하고, 최종적으로 1H-NMR과 13C-NMR spectrum data를 이용하여 최종 구조 결정하였다. 특히, 화합물 1 및 2에 대한 1H-NMR과 13C-NMR spectrum을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75147804-pat00003
Osmundalactone (화합물 1)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6.91 (1H, dd, J = 10.0, 2.5 Hz, H-3), 5.94 (1H, dd, J = 9.5, 1.5 Hz, H-2), 4.31 (1H, m, H-5), 4.16 (1H, m, H-4), 1.44 (1H, d, J = 6.5 Hz, H-6); 13C NMR (125 MHz, CD3OD) δC 164.7 (C-1), 150.3 (C-3), 119.0 (C-2), 77.3 (C-5), 66.7 (C-4), 16.9 (C-6); LC ESI IT-TOF MS: m/z 127 [M-H] -.
(4R,5S)-5-hydroxy-2-hexen-4-olide (화합물 2)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75 (1H, dd, J = 5.0, 2.0 Hz, H-3), 6.20 (1H, dd, J = 5.5, 2.0 Hz, H-2), 5.50 (1H, dt, J = 5.0, 2.0 Hz, H-4), 3.93 (1H, m, H-5), 1.25 (1H, d, J = 6.5 Hz, H-6); 13C NMR (125 MHz, CD3OD) δC 174.1 (C-1), 155.0 (C-3), 121.5 (C-2), 87.6 (C-4), 67.0 (C-5), 17.7 (C-6); LC ESI IT-TOF MS: m/z 127 [M-H] -.
Osmundalin (화합물 3)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09 (1H, dd, J = 10.0, 2.5 Hz, H-3), 6.02 (1H, dd, J = 9.5, 1.5 Hz, H-2), 4.59 (1H, m, H-5), 4.50 (1H, m, H-4), 4.49 (1H, d, J = 7.5 Hz, H-1'), 3.90 (1H, dd, J = 12.0, 5.5 Hz, H-6b), 3.68 (1H, dd, J = 12.0, 2.0 Hz, H-6a), 1.47 (1H, d, J = 6.5 Hz, H-6); 13C NMR (125 MHz, CD3OD) δC 163.7 (C-1), 146.3 (C-3), 120.2 (C-2), 101.5 (C-1'), 77.9 (C-5), 76.8 (C-5'), 76.6 (C-3'), 73.5 (C-2'), 72.0 (C-4'), 70.1 (C-4), 61.4 (C-6'), 17.2 (C-6); LC ESI IT-TOF MS: m/z 289 [M-H] -.
Protocatechuic acid (화합물 4) - White amorphous powder; 1H NMR (500MHz, CD3OD) δH 7.43 (1H, d, J = 2.0 Hz, H-2), 7.40 (1H, dd, J = 8.0, 2.0 Hz, H-6), 6.79 (1H, d, J = 8.0 Hz, H-5); 13C NMR (125 MHz, CD3OD) δC 169.1 (C-7), 150.3 (C-4), 144.9 (C-3), 122.7 (C-6), 122.1 (C-1), 116.6 (C-2), 114.6 (C-5); LC ESI IT-TOF MS: m/z 153 [M-H] -.
Maltol - β -D- glucopyranoside (화합물 5)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8.01 (1H, d, J = 6.0 Hz, H-6), 6.45 (1H, d, J = 5.5 Hz, H-5), 4.81 (1H, d, J = 7.5 Hz, H-1'), 3.83 (1H, dd, J = 12.0, 5.5 Hz, H-6b), 3.67 (1H, dd, J = 12.0, 2.0 Hz, H-6a), 2.47 (3H, s, H-7); 13C NMR (125 MHz, CD3OD) δC 175.8 (C-4), 163.2 (C-2), 155.7 (C-6), 142.2 (C-3), 115.9 (C-5), 104.0 (C-1'), 77.1 (C-5'), 76.6 (C-2'), 74.0 (C-3'), 69.7 (C-4'), 62.1 (C-6'), 14.4 (C-7); LC ESI IT-TOF MS: m/z 287 [M-H] -.
Caffeic aicd 3- O - β -D- glucopyranoside (화합물 6)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43 (1H, d, J = 16.0 Hz, H-7), 7.12 (1H, d, J = 2.0 Hz, H-2), 7.10 (1H, d, J = 8.0 Hz, H-5), 7.06 (1H, dd, J = 8.5 , 1.5Hz, H-6), 6.31 (1H, d, J = 16.0 Hz, H-8), 4.77 (1H, d, J = 7.5 Hz, H-1'), 3.45 (1H, dd, J = 12.0, 5.5 Hz, H-6b), 3.44 (1H, dd, J = 12.0, 2.0 Hz, H-6a); 13C NMR (125 MHz, CD3OD) δC 168.3 (C-9), 147.6 (C-3), 147.2 (C-4), 144.0 (C-7), 129.3 (C-1), 121.0 (C-6), 118.0 (C-8), 116.5 (C-2), 115.2 (C-5), 102.0 (C-1'), 77.7 (C-5'), 76.2 (C-3'), 73.7 (C-2'), 70.2 (C-4'), 61.7 (C-6'); LC ESI IT-TOF MS: m/z 341 [M-H] -.
Coumaric acid 4- O - β -D- glucopyranoside (화합물 7)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60 (1H, d, J = 8.0 Hz, H-3, 5), 7.51 (1H, d, J = 16.0 Hz, H-2), 7.04 (1H, d, J = 8.0 Hz, H-2, 6), 6.39 (1H, d, J = 16.0 Hz, H-8), 4.91 (1H, d, J = 7.5 Hz, H-1'); 13C NMR (125 MHz, CD3OD) δC 176.0 (C-9), 159.7 (C-4), 141.2 (C-7), 131.5 (C-1), 130.1 (C-2, 6), 124.5 (C-8), 118.0 (C-3, 5), 102.0 (C-1'), 78.1 (C-5'), 77.8 (C-3'), 74.8 (C-2'), 71.3 (C-4'), 62.4 (C-6'); LC ESI IT-TOF MS: m/z 325 [M-H] -.
Protocatechuic acid 3- O - β -D- glucopyranoside (화합물 8)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37 (1H, d, J = 2.0 Hz, H-2), 7.35 (1H, dd, J = 8.0, 2.0 Hz, H-6), 7.10 (1H, d, J = 8.0 Hz, H-5), 4.90 (1H, d, J = 7.5 Hz, H-1'), 3.60 (1H, dd, J = 12.0, 5.5 Hz, H-6b), 3.42 (1H, dd, J = 12.0, 2.0 Hz, H-6a); 13C NMR (125 MHz, CD3OD) δC 167.4 (C-7), 149.3 (C-4), 146.6 (C-3), 125.3 (C-6), 121.7 (C-1), 117.0 (C-2), 115.4 (C-5), 101.0 (C-1'), 76.2 (C-5'), 75.8 (C-3'), 73.5 (C-2'), 72.0 (C-4'), 59.9 (C-6'); LC ESI IT-TOF MS: m/z 315 [M-H] -.
Ferulic acid 4- O - β -D- glucopyranoside (화합물 9) - Colorless gum; 1H NMR (500MHz, CD3OD) δH 7.52 (1H, d, J = 16.0 Hz, H-7), 7.33 (1H, d, J = 2.0 Hz, H-2), 7.17 (1H, dd, J = 8.5, 1.5Hz, H-6), 7.08 (1H, d, J = 8.0 Hz, H-5), 6.45 (1H, d, J = 16.0 Hz, H-8), 4.97 (1H, d, J = 7.5 Hz, H-1'), 3.81 (3H, s, 3-OCH3), 3.65 (1H, dd, J = 12.0, 5.5 Hz, H-6b), 3.44 (1H, dd, J = 12.0, 2.0 Hz, H-6a); 13C NMR (125 MHz, CD3OD) δC 168.3 (C-9), 149.5 (C-3), 148.8 (C-4), 144.4 (C-7), 128.6 (C-1), 122.7 (C-6), 117.7 (C-8), 111.6 (C-2), 115.4 (C-5), 100.1 (C-1'), 77.5 (C-5'), 77.3 (C-3'), 73.6 (C-2'), 70.0 (C-4'), 61.1 (C-6'), 56.2 (3-OCH3); LC ESI IT-TOF MS: m/z 355 [M-H] -.
Cinnamtannin B-1 (화합물 10) - Brown powder; 1H NMR (500 MHz, CD3OD) δH 7.31 (1H, d, J = 2.0 Hz, H-12'), 7.19 (1H, dd, J = 8.5, 2.0 Hz, H-16'), 7.03 (1H, d, J = 2.0 Hz, H-12), 6.85 (1H, d, J = 1.5 Hz, H-15''), 6.83 (3H, m, H-16, 15', 12''), 6.75 (2H, m, H-15, 16''), 6.10 (1H, s, H-6''), 6.01 (1H, d, J = 2.5 Hz, H-6), 5.97 (1H, d, J = 2.5 Hz, H-8), 5.80 (1H, s, H-6'), 5.70 (1H, s, H-2'), 4.56 (1H, t, J = 1.5 Hz, H-4'), 4.39 (1H, s, H-2''), 4.15 (1H, d, J = 3.5 Hz, H-4), 4.12 (1H, d, J = 2.0 Hz, H-3'), 3.86 (1H, dd, J = 4.0, 3.0 Hz, H-3''), 3.29 (1H, d, J = 3.5 Hz, H-3), 2.83 (2H, t, J = 4.0 Hz, H-4''); 13C NMR (125 MHz, CD3OD) δC 156.4 (C-7), 155.4 (C-9), 154.6 (C-7''), 154.4 (C-5', 5''), 154.2 (C-9''), 152.7 (C-5), 150.4 (C-9'), 149.7 (C-7'), 145.3 (C-14), 144.9 (C-14'), 144.5 (C-13'), 144.3 (C-13''), 144.1 (C-13), 143.9 (C-14''), 131.8 (C-11''), 131.1 (C-11), 130.4 (C-11'), 119.9 (C-16'), 118.5 (C-16), 118.0 (C-16''), 115.3 (C-15), 114.7 (C-12'), 114.6 (C-12), 114.3 (C-15', 15''), 114.1 (C-12''), 107.4 (C-8''), 105.3 (C-10'), 105.0 (C-8'), 103.5 (C-10), 98.6 (C-10''), 98.5 (C-2), 96.9 (C-8), 95.1 (C-6''), 95.0 (C-6), 94.6 (C-6'), 78.9 (C-2''), 77.5 (C-2'), 71.2 (C-3'), 66.1 (C-3''), 65.8 (C-3), 36.9 (C-4'), 28.5 (C-4''), 27.5 (C-4); LC ESI IT-TOF MS: m/z 863 [M-H]-.
Protocatechu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11) - Colorless oil; 1H-NMR (500 MHz, CD3OD): δH 7.43 (1H, d, J = 2.0 Hz, H-6), 7.41 (1H, dd, J = 8.5, 2.0 Hz, H-2), 6.81 (1H, d, J = 8.5 Hz, H-5), 3.84 (3H, s, 7-OCH3); 13C-NMR (125 MHz, CD3OD): δC 167.6 (C-7), 150.5 (C-3), 145.0 (C-4), 122.4 (C-1), 121.4 (C-6), 116.2 (C-2), 114.6 (C-5), 51.0 (7-OCH3); LC ESI IT-TOF MS: m/z 167 [M-H] -.
실시예 1: 세포배양 및 MTT 분석
고비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MTS 분석법을 이용하여 대식세포(RAW 264.7) 내에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은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를 10% FBS, 1% antibiotic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들 세포들을 96 well plate에 3 × 105 cells/well로 분주하였고 10% FBS DMEM 조건에서 고비 추출물은 1 ml 당 62.5, 125, 250, 500, 1,000 ㎍ 농도별로,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6.25, 12.5, 25, 50, 100 μM 의 농도별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의 RAW 264.7 cell 배양액 용량의 10%의 MTS 용해액을 첨가한 다음 37에서 2 시간 배양한 후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pro, TECAN, Grodig, Austri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8 내지 11에 나타내었다.
먼저, 고비 물 추출물(OJT-W)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62.5, 125, 250, 500, 1000 μg/ml의 농도에 따라 각각 102.3 ± 7.2%, 93.1 ± 1.4%, 86.4 ± 5.9%, 86.1 ± 5.1%, 68.4 ± 5.4%의 생존율을 보여(도 8 참조),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약한 독성이 확인되었다(p<0.05). 또한 고비 에탄올 추출물(OJT-E)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103.4 ± 2.3%, 101.3 ± 2.1%, 103.6 ± 0.7%, 106.1 ± 3.8%, 107.8 ± 3.6%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9 참조).
그리고, 화합물 1 (Osmundalactone)을 6.25, 12.5, 25, 50,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99.60 ± 1.95%, 98.85 ± 1.09%, 97.98 ± 1.60%, 96.74 ± 0.97%, 95.94 ± 0.96%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도 10 참조).
마찬가지로 화합물 2 ((4R,5S)-5-hydroxy-2-hexen-4-olide)를 6.25, 12.5, 25, 50,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99.45 ± 1.94%, 98.45 ± 1.05%, 98.14 ± 1.23%, 98.04 ± 1.41%, 97.49 ± 0.47%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도 11 참조).
실시예 2: Nitric Oxide (NO) 측정
고비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염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 내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NO scavenging 법을 사용하여 NO값을 정량 하였다. RAW 264.7을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고비 추출물은 62.5, 125, 250 μg/ml 농도로 처리 하였으며,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12.5, 25, 50, 100, 200 μM 농도로 처리 하였다. 이후 LPS 를 500 ng/ml 농도로 처리한 후 16시간 37와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배지만 회수하여 50 μl씩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50 μl의 Griess Reagent (50 μl Sulfonylamide + 50 μl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를 ELISA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의 정량 단위는 μM로 NaNO3의 표준곡선에 비교하여 NO를 정량화 하였다.
고비 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정상군은 0.3 ± 0.2 u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15.5 ± 1.9 uM로 나타났다. 62.5, 125, 2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고비 물 추출물의 실험군에서는 각각 14.9 ± 2.2 uM, 14.1 ± 0.9 uM, 10.5 ± 0.5 uM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며(도 12 참조), 250 ug/ml에서 NO 생성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p<0.05).
또한 고비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정상군은 10.9 ± 0.9 u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9.2 ± 1.3 uM로 나타났다. 62.5, 125, 2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고비 에탄올 추출물의 실험군에서는 각각 9.1 ± 1.6 uM, 8.4 ± 1.0 uM, 6.8 ± 0.4 uM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도 13 참조), 62.5 ug/ml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p<0.05).
그리고, 고비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 내지 11 중 화합물 1과 2만이 유의미적인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화합물 3 내지 11은 NO 생성량의 감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표 2 참조).
구체적으로, 고비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1을 12.5,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7.5 ± 0.1 uM, 5.6 ± 0.1 uM, 4.6 ± 0.1 uM, 3.9 ± 0.1 uM, 3.3 ± 0.2 uM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12.5uM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0.05) (도 14 참조).
또한 고비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2을 12.5,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8.4 ± 0.1 uM, 8.0 ± 0.3 uM, 6.9 ± 0.2 uM, 5.0 ± 0.1 uM, 3.3 ± 0.2 uM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12.5uM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유의미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0.05) (도 15 참조).
따라서, 이하 실험에서는 고비로부터 분리한 11개의 화합물 중 NO 생성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화합물 1과 2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항염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Parameter - Compounds
Dose (uM) - 12.5 25 50 100 250
Control 0.3 ± 0.1 - - - - -
LPS 11.0 ± 0.2 - - - - -
1 - 7.5 ± 0.1* 5.6 ± 0.1* 4.6 ± 0.1* 3.9 ± 0.1* 3.3 ± 0.2*
2 - 8.4 ± 0.1* 8.0 ± 0.3* 6.9 ± 0.2* 5.0 ± 0.1* 3.3 ± 0.2*
3 - 11.5 ± 0.8 11.5 ± 0.6 11.3 ± 0.5 11.3 ± 0.4 11.2 ± 0.2
4 - 11.5 ± 0.7 11.2 ± 0.4 11.0 ± 0.1 10.9 ± 0.1 10.8 ± 0.1
5 - 11.6 ± 0.1 11.5 ± 0.2 11.4 ± 0.1 11.3 ± 0.1 11.3 ± 0.1
6 - 11.5 ± 0.6 11.5 ± 0.6 11.4 ± 0.5 11.3 ± 0.4 11.3 ± 0.4
7 - 11.5 ± 0.5 11.2 ± 0.5 10.9 ± 0.4 10.8 ± 0.1 10.8 ± 0.2
8 - 11.4 ± 0.6 11.3 ± 0.5 11.3 ± 0.3 11.2 ± 0.3 11.1 ± 0.2
9 - 12.0 ± 0.7 11.9 ± 0.6 11.5 ± 0.6 11.3 ± 0.4 10.1 ± 0.2
10 - 12.5 ± 0.6 12.4 ± 0.4 12.3 ± 0.3 11.4 ± 0.2 11.1 ± 0.2
11 - 11.2 ± 0.7 11.0 ± 0.7 10.7 ± 0.6 10.6 ± 0.5 10.6 ± 0.5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PS at P < 0.05.
실시예 3: 화합물 1 및 2의 Prostaglandin E 2 생성 억제 효과
RAW 264.7 cell을 6 well plate에 5×105 cells/ml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화합물 1과 2를 1시간 동안 각각 25, 50, 100, 200 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LPS (500 ng/ml)와 함께 화합물을 농도별로 18시간 동안 처리해주었다. Prostaglandin E2 (PGE2)의 양은 Prostaglandin E2 EIA kit (R&D systems, MN,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으며(BioTek, ELx 808), 방법은 제품 회사에서 제시한 방법을 참고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과 2를 처리한 실험군의 LPS만 처리한 군 모두 PGE2의 생성량이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였다(도 16 및 17 참조). 즉, 화합물 1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50 uM 농도에서부터 PGE2의 생성량이 유의미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0.05), 화합물 2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100 uM 농도에서부터 유의미적인 PGE2 생성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화합물 1 및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확인하였다(도 16 및 17 참조).
실시예 4: 화합물 1 및 2의 COX-2 및 iNOS 발현 억제 효과
화합물 1과 2의 항염효과와 관련하여 NO 생성 억제기작에 관한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COX-2와 iN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씩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화합물 1과 2를 각각 농도별(25, 50, 100, 200 μM)로 세포에 전처리하고 30분 후에 LPS(500 ng/mL)를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방법을 통하여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또한, Total RNA는 Tri-zol (15596018, invitrogen, USA) 시약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먼저 RAW 264.7 세포에 화합물 1과 2를 각각 농도별로 전 처리한 뒤 LPS로 자극한 후 24시간 배양한 세포를 PBS로 2회 씻은 다음 PBS 1 ml 씩 가해 세포를 포집한 후, 원심분리를 하여 위에 PBS는 버리고 바닥에 남은 세포를 Tri-zol 용액을 1 ml 넣어서 세포를 용해시킨 후 100 μL의 chloroform 용액을 가하고 두 세 번 잘 섞어준 뒤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맨 위의 상층액을 취했다. 그 후 2-propanol과 1:1로 섞은 뒤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남은 침전물에 80% ethanol로 2회 씻고 침전물을 건조시켰다. 그리고 침전물에 DEPC 처리한 증류수를 15μL씩 넣어 RNA를 용해시키고 정량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시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었으나, 화합물 1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50 uM 농도에서부터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P<0.01) (도 18 참조).
또한 화합물 2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였을 경우, COX-2 단백질 발현은 50 uM 농도에서부터, iNOS 단백질 발현은 100 uM 농도에서부터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P<0.01) (도 19 참조).
실시예 5: 화합물 1 및 2의 사이토카인( cytokine ) 억제 효과
화합물 1과 2의 항염효과와 관련하여 NO 생성 억제기작에 관한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cytokine(TNF-α, IL-6, IL-1β)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씩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화합물 1과 2를 각각 농도별(25, 50, 100, 200 μM)로 세포에 전처리하고 30분 후에 LPS(500 ng/mL)를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염증매개와 관련된 cytokine(TNF-α, IL-6, IL-1β)을 세포 상층액에서 상기 명시된 ELISA kit의 protocol 대로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또한, 화합물 1과 2의 염증 관련 인자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 ㎍의 mRNA를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Appiled biosystem,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을 하였다. 합성된 cDNA 1 μL, Master Mix 10 μL, 10 pmole의 sense primer와 antisense primer [GAPDH, sense 5'-GGC ATG GCC TTC CGT GT-3' anti-sense 5'-GGT TTC TCC AGG CGG CA-3'; TNF-α, sense 5'-TCC AGG CGG TGC CTA TGT-3' anti-sense 5'-CGA TCA CCC CGA AGT TCA GT-3'; IL-6, sense 5'-CCC AAT TTC CAA TGC TCT CC-3', anti-sense 5'-ACA GAT AAG CTG GAG TCA CAG AAG GAG TGG CT-3'; IL-1β, sense 5'-ACC TGT CCT GTG TAA ATG AAA GAC G-3', anti-sense 5'-TTG GTA TTG CTT GGG ATC C-3']를 각각 1 μL 씩 섞어 증류수와 함께 최종 부피 20 μl로 만들어, 92°C에서 30초, 58°C에서 45초, 그 후에 72°C에서 30초를 30 cycles 조건으로 PCR을 이용해 target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GAPDH는 TNF-α, IL-6, IL-1β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housekeeping gene으로 사용되었다. PCR 반응이 끝난 후 1× sampling buffer를 섞은 뒤 1.5% agarose gel에 10 μL 씩을 넣고 전기영동 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하였다.
5-1. 화합물 1 및 2의 TNF - 생성 억제 효과
화합물 1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440.05 ± 49.49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2182.88 ± 91.92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1을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1881.63 ± 28.28 pg/ml, 1860.05 ± 21.21 pg/ml, 1614.05 ± 70.71 pg/ml, 1380.80 ± 21.21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0 참조), 100uM의 농도에서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화합물 2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480.05 ± 106.06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2162.88 ± 63.64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2를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1906.38 ± 70.71 pg/ml, 1876.71 ± 57.98 pg/ml, 1706.54 ± 30.41 pg/ml, 1384.88 ± 101.82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1 참조), 100uM의 농도에서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RT-PCR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화합물 1과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TNF- mRN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도 22 및 23 참조).
5-2. 화합물 1 및 2의 IL-6 생성 억제 효과
화합물 1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26.94 ± 11.31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930.16 ± 21.21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1을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497.28 ± 14.14 pg/ml, 481.84 ± 28.28 pg/ml, 398.59 ± 21.21 pg/ml, 261.81 ± 21.22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4 참조), 25uM의 농도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P<0.01).
또한 화합물 2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19.94 ± 1.41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895.15 ± 70.71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2를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617.87 ± 96.17 pg/ml, 599.71 ± 91.92 pg/ml, 581.91 ± 77.78 pg/ml, 554.38 ± 42.43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5 참조), 25uM의 농도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RT-PCR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화합물 1과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IL-6 mRN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도 26 및 27 참조).
5-3. 화합물 1 및 2의 IL- 생성 억제효과
화합물 1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25.83 ± 4.24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340.33 ± 7.07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1을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264.50 ± 21.21 pg/ml, 237.25 ± 8.45 pg/ml, 193.17 ± 12.02 pg/ml, 156.33 ± 11.31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8 참조), 50uM의 농도에서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화합물 2의 실험군 중 정상군은 20.83 ± 2.83 p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330.33 ± 21.21 p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2를 25, 50, 100, 200 uM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각각 271.67 ± 7.07 pg/ml, 252.83 ± 7.78 pg/ml, 235.66 ± 14.14 pg/ml, 188.08 ± 3.53 pg/ml로 나타나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29 참조), 25uM의 농도에서부터 유의미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RT-PCR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화합물 1과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IL-1β mRN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도 30 및 31 참조).
실시예 6: 화합물 1 및 2의 LPS로 유도된 - 및 MAP Kinase 발현 억제 효과
화합물 1과 2가 TNF-α, IL-1β, IL-6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 1 및 2가 NF-κB와 ERK, p38, JNK 등 MAP k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60 mm culture dish에 1×106 cell/ml로 세포를 배양하고 serum free media(DMEM)로 12시간 starvation 시킨 후 고비 분리 화합물 1과 2를 각각 농도별로 전처리 하고 30분 뒤에 LPS(500 ng/ml)로 자극하였다. 그 후 cold PBS로 3회 세척한 후 harvest하여 세포를 얻은 뒤 원심분리(5,000 rpm, 5 min)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cell pellet을 수거하였다. Pellet은 lysis buffer(lysis buffer 1ml + phosphatase inhibitor 10 μL + protase inhibitor 10 μL)를 넣어 세포를 lysis시키고, 원심분리 (15,000 rpm, 20 min)로 찌꺼기를 침전시킨 후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각각 동일한 양의 단백질에 sampling buffer (4×)를 같이 넣어 섞은 다음, 이 sample을 10% SDS-PAGE에 전기영동 한 후 membrane에 옮기고 나서 5% skim milk로 2시간동안 blocking 하였다.
Anti-phospo-ERK Ab, anti-phospo-p38 Ab, anti-phospo-JNK Ab, anti-Iκ-Bα Ab로 처리 후, ERK, p38, JNK의 phosphorylation과 inhibitory kappa-Bα(Iκ-Bα)를 ECL detection 용액 (Amersham)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과 2는 Iκ-Bα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MAP kinase에 속하는 p38과 ERK, JNK의 인산화를 모두 억제하였다(도 32 및 33 참조).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의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하기 화학식 2의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상기 오스문다락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상기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40785558-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9040785558-pat00005

  2. 하기 화학식 1의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하기 화학식 2의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상기 오스문다락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상기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40785558-pat00039

    화학식 2
    Figure 112019040785558-pat00040
  3. 하기 화학식 1의 오스문다락톤(osmundalactone), 하기 화학식 2의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4R,5S)-5-hydroxy-2-hexen-4-olide), 상기 오스문다락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상기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40785558-pat00041

    화학식 2
    Figure 112019040785558-pat00042
KR1020170098641A 2017-08-03 2017-08-03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2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41A KR102026887B1 (ko) 2017-08-03 2017-08-03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41A KR102026887B1 (ko) 2017-08-03 2017-08-03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64A KR20190014764A (ko) 2019-02-13
KR102026887B1 true KR102026887B1 (ko) 2019-09-30

Family

ID=6536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41A KR102026887B1 (ko) 2017-08-03 2017-08-03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8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9927A1 (en) 2008-07-14 2010-01-14 Herbalscience Group Llc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y Extracts from Nett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9927A1 (en) 2008-07-14 2010-01-14 Herbalscience Group Llc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y Extracts from Nettl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ese Chemical Letters. Vol. 17, No. 6, pp. 727-729
Eur. J. Org. Chem. 2002, pp. 2649-2655
Tetrahedron Letters. 2015, Vol. 56, No. 21, pp. 2783-278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64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954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EP1858535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23027253A (ja) 新規エラジタンニンおよび口腔用剤
KR101071785B1 (ko) 진달래 뿌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탁시폴린 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1008B1 (ko) 밀겨 추출물에서 분리된 타치오시드를 이용한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제 조성물
KR102026887B1 (ko) 오스문다락톤 및/또는 (4r,5s)-5-하이드록시-2-헥센-4-올리드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089556A (ko) 홍삼, 대추 및 길경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355483B1 (ko)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2488562B1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7977B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6548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060427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산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0513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038157A (ko) 빅벨리해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9179B1 (ko) 허수테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502598B1 (ko) 지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616A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22472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Litseakolide D2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53335B1 (ko) 무궁화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tlr4-md2 저해제 조성물
KR102248610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메틸 수다키노이도 a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58228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