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245B1 -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245B1
KR101977245B1 KR1020170140291A KR20170140291A KR101977245B1 KR 101977245 B1 KR101977245 B1 KR 101977245B1 KR 1020170140291 A KR1020170140291 A KR 1020170140291A KR 20170140291 A KR20170140291 A KR 20170140291A KR 101977245 B1 KR101977245 B1 KR 10197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contact
base
hel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346A (ko
Inventor
다케시 무라야마
가즈키 사토
마사노부 마에다
히로노리 사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2개의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나선 구조부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나선 구조부의 강도도 높게 할 수 있는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전성의 판재로 나선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선 구조부는,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를 가지고 있다. 제 1 나선부(10)의 선부에 접촉부(18)가 형성되고, 제 2 나선부(20)의 선부에, 기부측으로부터 접촉부(18)에 대향하는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를, 상대 위치를 높게 유지하여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PRESSURE CONTACT TYP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전성의 판재로 나선 구조부를 형성한 압접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안정된 탄성 반발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나선 구조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쉬운 구조의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된 압접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압접 커넥터는, 하측 평판부와 상측 평판부 및 상측 평판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조 상측 평판부를 가지고 있다. 하측 평판부와 상측 평판부의 사이에 제 1 스프링부가 설치되고, 하측 평판부와 보조 상측 평판부의 사이에 제 2 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스프링부와 제 2 스프링부는, 모두 하측 평판부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절곡되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있는 평판부의 판면은, 하중 작용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게 향하게 되어 있다.
상측 평판부에 하중이 작용하면, 상측 평판부를 가지는 제 1 스프링부가 하측 평판부를 향해 압축 변형됨과 함께, 상측 평판부로 보조 상측 평판부가 눌려져, 보조 상측 평판부를 가지는 제 2 스프링부도 하측 평판부를 향해 압축 변형된다. 이 때문에, 제 1 스프링부와 제 2 스프링부로 큰 탄성 반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158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압접 커넥터는, 제 1 스프링부와 제 2 스프링부가, 하측 평판부로부터 서로 독립하여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스프링부의 변형 후의 스프링 백에 의해, 상측 평판부와 보조 상측 평판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밀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나선 구조의 치수의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 압접 커넥터마다 압축 시의 탄성 반발력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제 1 스프링부와 제 2 스프링부가 서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압접 커넥터의 보관 시나, 압접 커넥터를 전자 기기 등에 실장하는 공정에서, 압접 커넥터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무리한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각 스프링부가 서로 개방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나선 구조부를 구성하는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를 서로 구속시킴으로써, 항상 안정된 접촉압을 얻을 수 있으며, 나선 구조의 변형도 발생하기 어려운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부(基部) 도통부(導通部)와,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솟아오르는 나선 구조부가,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나선 구조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솟아오르는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나선부의 선부(先部)에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가, 상기 기부 도통부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솟아올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는,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의,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선부를 향하는 주회(周回)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나선부가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나선부가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부 도통부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의 평면 형상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기부 도통부의 평면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은, 기부 도통부와,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솟아오르는 제 1 나선부 및 제 2 나선부가,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부 도통부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를 솟아오르게 하여, 각각을 나선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1 나선부의 선부에 접촉부를, 상기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부 도통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나선부를 변형시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부 도통부에 구멍 또는 컷 아웃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또는 컷 아웃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의 접촉부 개소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구멍 또는 컷 아웃은, 상기 기부 도통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레이저의 조사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는, 기부 도통부로부터 판재가 솟아오르도록 구부러져,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나선부의 선부에 설치된 접촉부와,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의 상대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어, 나선 구조부의 치수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가, 서로 연결된 채 압축 변형하기 때문에, 제 1 나선부의 선부의 접촉부를 가압했을 때에, 제 1 나선부의 스프링 상수와 제 2 나선부의 스프링 상수를 합산한 스프링 상수로, 접촉부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기부 도통부로부터 서로 독립하여 구부려져 있는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가 서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압접 커넥터가 보관되어 있을 때나, 전자 부품 등에 장착하는 공정 등에 있어서, 나선 구조부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가, 독립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나선부의 선부에 설치된 접촉부와,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설치된 지지부를, 레이저 용접 등으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압축 커넥터를 선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압축 커넥터를,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압접 커넥터를 III-II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압축 커넥터를,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압접 커넥터를, 도전성의 판재로부터 벤딩 가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벤딩 가공 후의 압접 커넥터의 접촉부와 지지부를 용접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압접 커넥터(1)는, 도전성의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절곡하여 성형되어 있다. 금속 판재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며, 실시 형태에서는 코르손 합금(Cu-Ni-Si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접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평면 형상에서의 X방향과 Y방향의 치수가, 각각 2㎜×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1.5㎜ 이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Z방향의 높이 치수가 1.5㎜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정도이다.
이 압접 커넥터(1)는 복수 개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등 하여, 회로 기판끼리의 접속부나 회로 기판과 IC 등의 전자 소자와의 접속부, 혹은 회로 기판과 배선 케이블(플렉시블 배선 케이블)과의 접속부 등에 사용된다.
도 2와 도 3에,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의 압접 커넥터(1)가 나타나 있다. 압접 커넥터(1)는, 기부측(Z1측)에 기부 도통부(2)가 설치되어 있다. 기부 도통부(2)는, X-Y 평면과 평행이며, 그 하면(2a)이 회로 기판의 도전성의 랜드부 등에 납땜된다. 기부 도통부(2)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치수와 Y방향의 치수가 대략 동일하다. 다만, X방향의 치수와 Y방향의 치수가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 도통부(2)의 X1측을 향하는 변으로부터 제 1 나선부(10)가 솟아올라 있으며, X2측을 향하는 변으로부터 제 2 나선부(20)가 솟아올라 있다.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는, 기부 도통부(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로부터 솟아올라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로, 나선 구조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나선부(10)는, 기부 도통부(2)의 X1측의 변으로부터 선부측(Z2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솟아오르는 나선 기부(11)와, 나선 기부(11)로부터 만곡부(12)에서 구부러져 X2 방향으로 연장되는 Y2 측판부(13)와, Y2 측판부(13)로부터 만곡부(14)에서 구부러져 Y1 방향으로 연장되는 X2 측판부(15)와, X2 측판부(15)로부터 만곡부(16)에서 구부러져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Y1 측판부(17)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나선부(10)는, 나선 기부(11)로부터 Y1 측판부(17)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속하여 연장되는 판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나선부(10)는, 이것을 구성하는 판부의 폭 치수를 이분(二分)하는 중심선(WO1)이, 나선 기부(11)로부터 Y1 측판부(17)를 향함에 따라 선부측(Z2측)으로 솟아올라 가는 나선 구조이다.
제 1 나선부(10)의 선부측(Z2측)에는, Y1 측판부(17)로부터 절곡된 접촉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18)에는, X-Y 평면과 대략 평행한 상면부(18a)와, 상면부(18a)의 3개의 변으로부터 기부 방향(Z1 방향)으로 구부러진 플랜지부(1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부(18a)의 중앙부에 접촉 볼록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도면에서는, 접촉 볼록부(18c)의 중심을 통과하여, 나선 구조부의 압축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중심선(O)으로서 나타나 있다.
접촉부(18)에 기부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제 1 나선부(10)에서는, 나선 기부(11)의 일부로부터 Y1 측판부(17)까지의 범위에서 비틀림 변형과 판 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하여, Z1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다. 다만, 플랜지부(18b)가 형성된 접촉부(18)는, 쉽게 뒤틀리지 않아, 하중을 계속해서 받을 수 있다.
제 2 나선부(20)는, 기부 도통부(2)의 X2측의 변으로부터 Z2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솟아오르는 나선 기부(21)와, 나선 기부(21)로부터 만곡부(22)에서 구부러져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Y1 측판부(23)와, Y1 측판부(23)로부터 만곡부(24)에서 구부러져 Y2 방향으로 연장되는 X1 측판부(25)와, X1 측판부(25)로부터 만곡부(26)에서 구부러져 X2 방향으로 연장되는 Y2 측판부(27)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나선부(20)는, 나선 기부(21)로부터 Y2 측판부(27)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속하여 연장되는 판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나선부(20)는, 이것을 구성하는 판부의 폭 치수를 이분하는 중심선(WO2)이, 나선 기부(21)로부터 Y2 측판부(27)를 향함에 따라 선부측(Z2측)으로 솟아올라 가는 나선 구조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나선부(10)의 만곡부(12, 14, 16)와, 제 2 나선부(20)의 만곡부(22, 24, 26)는, 모두 직사각형 형상의 기부 도통부(2)의 모서리부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부 도통부(2)의 외형을 따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선 구조부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면, X방향과 Y방향의 치수를 한정된 크기로 해도, 나선 궤적을 길게 확보할 수 있어,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의 스프링 상수를 설정하기 쉬워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나선부(20)의 선부측(Z2측)에는, Y2 측판부(27)로부터 절곡된 지지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8)는, X-Y 평면과 대략 평행한 평판부이다. 상기 접촉부(18)에 기부 방향의 하중이 부여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지지부(28)는, 접촉부(18)의 상면부(18a)의 하면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압접 커넥터(1)는, 제 1 나선부(10)의 선부의 접촉부(18)와 제 2 나선부(20)의 선부의 지지부(28)가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의 상대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고정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기부 도통부(2)로부터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를 절곡하여 각각을 나선 형상으로 성형한 직후에, 스프링 백에 의해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서로 떨어지게 하여,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의 상대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실시 형태의 압접 커넥터(1)는,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의 상대 위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압접 커넥터(1)의 치수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압접 커넥터(1)를 보관하고 있을 때, 또는 압접 커넥터(1)를 전자 기기 등에 실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잘못하여 나선 구조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서는,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의 각각이, 독립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웠다. 이에 비하여, 실시 형태의 압접 커넥터(1)는,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서로 떨어져 변형되지 않는다. 즉, 나선 구조부의 강도가 높아져, 나선 구조부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이어서, 상기 구조의 압접 커넥터(1)의 접촉 동작은 이하와 같다.
접촉부(18)에 기부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제 1 나선부(10)에서, 나선 기부(11)로부터 Y1 측판부(17)까지의 범위에서 비틀림 변형과 판 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하여, Z1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다. 이 때, 접촉부(18)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28)도 기부 방향으로 눌리므로, 제 2 나선부(20)에 있어서도, 나선 기부(21)의 일부로부터 Y2 측판부(27)까지의 범위에서 비틀림 변형과 판 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하여, Z1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다. 도 4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압축 변형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나선 구조부에서는,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18)에 Z1 방향으로의 하중이 부여되었을 때에,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함께 동일한 거리만큼 Z1 방향으로 압축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촉부(18)가 Z1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에,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등 하여, 제 2 나선부(20)에 Z1 방향의 하중을 정확하게 작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실시 형태의 압접 커넥터(1)는, 제 1 나선부(10)와 제 2 나선부(20)가 항상 일체가 되어 변형되기 때문에, 제 1 나선부(10)의 스프링 상수와 제 2 나선부(20)의 스프링 상수를 합산한 스프링 상수에 의거하여 접촉부(18)에 탄성 반발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접 커넥터(1)마다의 탄성 반발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압접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코르손 합금 등의 도전성의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구멍을 뚫어, 기부 도통부(2)와, 기부 도통부(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좁은 폭의 판재를 성형하고, 이 판재를 Z2 방향을 향해 절곡하여, 각각을 나선 형상으로 변형시켜, 제 1 나선부(10) 및 제 2 나선부(20)를 성형함과 함께, 제 1 나선부(10)의 선부에 접속부(18)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 2 나선부(20)의 선부에 지지부(28)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구멍을 뚫은 후의 절곡 성형에 의한 제 1 나선부(10), 제 2 나선부(20), 접속부(18), 지지부(28)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특별히 순서는 따지지 않는다.
도 5에, 완성 전의 압접 커넥터(1a)가 나타나 있다. 이 압접 커넥터(1a)에는, 기부 도통부(2)와, 제 1 나선부(10) 및 제 2 나선부(20)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나선부(10)의 선부의 접촉부(18)와, 제 2 나선부(20)의 선부의 지지부(28)는 아직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 지지부(28)는, 접촉부(18)로부터 Z1 방향으로 조금 떨어져 있다. 혹은, 지지부(28)가 접촉부(18)의 하면에 접촉하여 있어도 된다.
접촉부(18)와 지지부(28)를 용접하는 공정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그(31)와 제 2 지그(32)를 사용한다. 제 1 지그(31)에는 중앙부에 위치 결정 오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31a)는, Z2 방향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벤딩 가공된 완성 전의 압접 커넥터(1a)는, 선부를 하방향으로 하고, 접촉부(18)의 플랜지부(18b)를 위치 결정 오목부(31a)의 테이퍼면에 맞대어, 제 1 지그(31) 상에서 압접 커넥터(1a)를 위치 결정한다. 이 때, 압접 커넥터(1a)의 중심선(O)이, 제 1 지그(31)의 하면 또는 상면과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위치 결정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그(32)를, 기부 도통부(2)의 하면(2a)에 맞대어, 제 2 지그(32)를 Z2 방향으로 가압하고, 압접 커넥터(1a)를, 기부 도통부(2)와 접촉부(18)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금 압축 변형시킨다. 그 결과, 적어도 제 1 나선부(10)가 압축 변형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나선부(20)도 압축 변형되어, 접촉부(18)의 하면에 지지부(28)가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레이저 용접(레이저 스폿 용접)으로 서로 접합되어 고정된다. 기부 도통부(2)의 중앙부에는 구멍(2b)이 개구되어 있다. 혹은 기부 도통부(2)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그(32)에도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혹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빔(LB)을, 제 2 지그(32)의 구멍(32a) 및 기부 도통부(2)의 구멍(2b)을 거쳐,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맞닿음부를 향해 조사한다. 이 레이저 빔(LB)의 에너지에 의해,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맞닿음부에 있어서 금속 판재가 용융되고, 접촉부(18)와 지지부(28)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레이저 빔(LB)을, 기부 도통부(2)의 구멍(2b)을 거쳐, 지지부(28)에 조사하여 레이저 용접을 행함으로써, 접촉부(18)의 Z2 방향을 향하는 상면부(18a)에 변형이나 오목부 또는 돌기부 등의 결함부가 나타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접촉부(18)의 상면부(18a)와, 대향하는 전극 등과의 접촉과 도통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빔(LB)을 중심선(O)에 대하여 각도(θ)만큼 기울인 상태에서 지지부(28)에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빔(LB)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집중시켜, 용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빔(LB)을 중심선(O)으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맞닿음부에 레이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멍(2b) 또는 컷 아웃부의 개구 중심을, 중심선(O)보다, 레이저 빔(LB)의 조사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맞닿음부에 조사되는 레이저 스폿 직경을 가능한 한 크게 하여, 충분한 에너지로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멍(2b)이나 컷 아웃부의 개구 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부 도통부(2)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빔(LB)의 에너지에 의해, 접촉부(18)와 지지부(28)의 맞닿음부에 있어서 금속 판재를 용융시켜 용접 고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나 땜납에 의해 접촉부(18)와 지지부(28)를 고정하거나, 혹은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등 하여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접촉부(18)와 지지부(28)를 고정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그(31)와 제 2 지그(32)를 사용하고, 압접 커넥터(1a)의 나선 구조부를 압축시킴으로써, 접촉부(18)의 하면에 지지부(28)를 확실하게 조절시킨 상태로 용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1 압접 커넥터
2 기부 도통부
10 제 1 나선부(나선 구조부)
11 나선 기부
18 접촉부
20 제 2 나선부(나선 구조부)
21 나선 기부
28 지지부
31 제 1 지그
32 제 2 지그
O 중심선

Claims (10)

  1. 기부 도통부와,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솟아오르는 나선 구조부가,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나선 구조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솟아오르는 제 1 나선부와 제 2 나선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나선부의 선부에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솟아올라 있는 압접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선부를 향하는 주회 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압접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나선부가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나선부가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압접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도통부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는, 상기 기부 도통부의 평면 형상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기부 도통부의 평면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
  7. 기부 도통부와, 상기 기부 도통부로부터 솟아오르는 제 1 나선부 및 제 2 나선부가,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부 도통부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2 나선부를 솟아오르게 하여, 각각을 나선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1 나선부의 선부에 접촉부를, 상기 제 2 나선부의 선부에,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부 도통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나선부를 변형시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를 레이저 용접하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도통부에 구멍 또는 컷 아웃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또는 컷 아웃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의 접촉부 개소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을 행하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컷 아웃은, 상기 기부 도통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레이저의 조사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압접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70140291A 2016-11-30 2017-10-26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7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2042A JP6778596B2 (ja) 2016-11-30 2016-11-30 圧接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6-232042 2016-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346A KR20180062346A (ko) 2018-06-08
KR101977245B1 true KR101977245B1 (ko) 2019-05-10

Family

ID=6222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91A KR101977245B1 (ko) 2016-11-30 2017-10-26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78596B2 (ko)
KR (1) KR101977245B1 (ko)
CN (1) CN108123241B (ko)
TW (1) TWI633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8442B2 (ja) 2018-05-01 2022-12-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CN112534652B (zh) * 2018-07-31 2022-11-29 株式会社Tps创作 弹簧触头以及弹簧触头的形成方法
CN109713474B (zh) * 2019-02-18 2020-11-27 深圳市精睿兴业科技有限公司 电性连接弹片、连接器及电子设备
JP2021039919A (ja) * 2019-09-05 2021-03-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導電ユニ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809469U (zh) * 2015-07-17 2015-11-25 荣益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回旋辅助支撑的表面安装弹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380A (en) * 1989-06-13 1994-11-22 General Datacomm, Inc. Spring biased tapered contact elements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integrated circuit packages
KR20050059417A (ko) * 2003-12-12 2005-06-20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소용돌이 단자와 그 제조방법
US8410610B2 (en) * 2007-10-19 2013-04-02 Nhk Spring Co., Ltd. Connecting terminals with conductive terminal-forming members having terminal portion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JP2010040373A (ja) * 2008-08-06 2010-02-18 Advanced Systems Japan Inc スパイラルコンタ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562359B2 (en) * 2011-01-18 2013-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for interconnect member
TW201318280A (zh) * 2011-10-27 2013-05-01 Santa Electronics Inc 電連接器
JP3178073U (ja) * 2012-01-19 2012-08-30 長盛科技股▲分▼有限公司 複数の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
KR101474395B1 (ko) * 2012-11-15 2014-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연결 구조 및 인쇄 회로 기판 연결 방법
KR101531868B1 (ko) * 2013-05-28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TWM486871U (zh) * 2014-05-09 2014-09-21 Ching Cheng Rpecision Corp 電接觸元件之改良結構
JP6224551B2 (ja) * 2014-05-23 2017-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JP6214053B2 (ja) * 2014-12-15 2017-10-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TWI649923B (zh) * 2016-06-17 2019-02-01 日商阿爾普士電氣股份有限公司 Crimp type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809469U (zh) * 2015-07-17 2015-11-25 荣益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回旋辅助支撑的表面安装弹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23241B (zh) 2020-02-07
TWI633719B (zh) 2018-08-21
KR20180062346A (ko) 2018-06-08
CN108123241A (zh) 2018-06-05
JP6778596B2 (ja) 2020-11-04
JP2018088377A (ja) 2018-06-07
TW201822411A (zh) 201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245B1 (ko) 압접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EP1402563B1 (en) Interposer assembly and method
CN107528139B (zh) 插入器插座和连接器组件
US8926338B2 (en) Contact member
US7285026B1 (en) Compress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US11824298B2 (en) Multi-part contact
KR102030023B1 (ko) 플러그 커넥터
CN108574159B (zh) 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90140382A1 (e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58366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WI686018B (zh) 導電性元件、導電性元件用的板狀構件及導電性元件的製造方法
US9184106B2 (en) Heat sink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6046020A (ja) コンタクト部材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JP202006809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797781B2 (ja) 補強タブ、補強タブ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実装構造
WO2019142745A1 (ja) コンタクト
CN210723469U (zh) 电连接器
JP5089305B2 (ja) コネクタの表面実装構造及びコネクタ
JPS58165282A (ja) 無はんだ電気接触子
US20240145957A1 (en) Board-to-board connector
EP2919327B1 (en) Contact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contact
JP2011228175A (ja) 基板用端子
JP2012243488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