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68B1 -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Google Patents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1868B1 KR101531868B1 KR1020130134631A KR20130134631A KR101531868B1 KR 101531868 B1 KR101531868 B1 KR 101531868B1 KR 1020130134631 A KR1020130134631 A KR 1020130134631A KR 20130134631 A KR20130134631 A KR 20130134631A KR 101531868 B1 KR101531868 B1 KR 101531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ion fixing
- fixing part
- connection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에 구비되는 소켓에 사용되는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접속시키기 위한 소켓의 접촉자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카드나 트레이가 용이하게 삽입됨은 물론, 이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도 충격이나 파손의 위험이 없도록 한 삽입 및 인출의 양방향 입출에 제한이 없는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촉자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드나 트레이가 삽입시 뿐만 아니라 인출시에도 아무런 제한 없이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일측 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전체 접촉자가 용이하게 이동됨으로써, 간단한 형상 및 구조로 양방향의 제한 없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접촉자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드나 트레이가 삽입시 뿐만 아니라 인출시에도 아무런 제한 없이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일측 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전체 접촉자가 용이하게 이동됨으로써, 간단한 형상 및 구조로 양방향의 제한 없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에 구비되는 소켓에 사용되는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접속시키기 위한 소켓의 접촉자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카드나 트레이가 용이하게 삽입됨은 물론, 이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도 충격이나 파손의 위험이 없도록 한 삽입 및 인출의 양방향 입출에 제한이 없는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각종 단말기에 있어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직접 소켓에 삽입되거나, 또는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소켓 결합은 내측으로 삽입 가압함으로써 삽입위치에 록킹되며 안착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다시 트레이, 버튼 또는 레버 등을 누름으로써 이를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동작으로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심카드와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트레이가 소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심카드(30)는 트레이(20)의 내측 중앙에 안착되며, 심카드(30)는 트레이(20)의 양 측벽(22) 및 내측 단벽(24)의 안쪽 개방 공간(21)에 걸쳐지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소켓 내부로 삽입된다.
소켓의 베이스(40) 상측 공간으로 심카드(30)를 수용한 트레이(20)가 슬라이딩되며 인입되는데, 이 때 내측 단벽(24) 부분이 선두로 향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40)에는 심카드(30)의 접촉편과 접촉되어 신호,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접촉자(10)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통상 트레이(20)나 심카드(30) 등이 용이하게 인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방으로의 가압력이 충분하도록 일측은 하방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상방 탄성을 갖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은 트레이가 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심카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20)가 인입되면서, 단벽(24)을 지난 이후 심카드(30)가 접촉자(10)를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접촉자(10)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된 형상이며 그 단부는 자유단으로 약간 돌출된 후 하방으로 휘어지게 구성되는데, 심카드(30)가 접촉자(10)를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트레이(20)를 외측으로 인출하더라도 큰 문제 없이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4와 같이 심카드(30)를 트레이(20) 안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이를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트레이가 비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심카드(30) 없이 트레이(20)만 인입되는 경우에는, 접촉자(10)를 누르는 구성이 없으므로, 심카드(30)의 배치 위치, 즉 단벽(24)과 마주보는 내측 위치까지 접촉자(1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 번 삽입된 트레이(20)를 빼내는 경우에는, 접촉자(10)의 자유단 측이 트레이(20)의 단벽(24) 내측에 걸리게 되면서, 트레이(20)를 빼내지 못하거나, 또는 접촉자(10)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심카드를 꽂지 않은 트레이나 다른 메모리카드의 삽입은 물론 인출까지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접촉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나 트레이의 소켓 삽입, 인출시에, 접촉자에 의해 걸리거나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자의 형상 및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양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를 마주보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및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단자 본체를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중앙을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내입단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내입단부의 측방에,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내입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측방에, 상기 내입연장부를 감싸는 형상의 내입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단자의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제1단자의 상기 개방부 내측 또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내입연장부는 상기 내입가이드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는 상기 내입단부의 측방에,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내입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측방에, 상기 내입연장부를 감싸는 형상의 내입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자의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제2단자의 상기 개방부 내측 또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내입연장부는 상기 내입가이드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는 연장되어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연결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을 위한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부 및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경사부의 측방에 상기 연결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돌출부의 중앙에 상기 단자를 마주보며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개방부를 향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개방부에 내입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도 상기 제1단자와 같은 방향으로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 단부 측의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단부 측의 가이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보다 전방 및 하방으로 내입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촉부보다 더 후방측으로 완만하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단부는 하방으로 완만하게 굴곡되며,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내입단부를 대면하여 접근되는 물체가 상기 내입단부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가이드단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에 먼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촉자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드나 트레이가 삽입시 뿐만 아니라 인출시에도 아무런 제한 없이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일측 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전체 접촉자가 용이하게 이동됨으로써, 간단한 형상 및 구조로 양방향의 제한 없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심카드와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트레이가 소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트레이가 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레이가 비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촉자가 소켓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트레이가 소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트레이가 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레이가 비정상적으로 소켓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촉자가 소켓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는 전후방 양방으로부터 내측 중앙을 향해 솟아 오르는 방향의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또는 일체형의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접촉자(100)는 제1단자(110)와 제2단자(120)를 포함한다. 제1단자(110)가 전방 측에, 제2단자(120)가 후방 측에 배치되되, 그 방향은 바뀔 수도 있다.
제1단자(110)는 전방측으로부터 본체에 연결고정부(112)에 의해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방 및 후방 측으로 경사를 따라 상승하는 경사부(114)를 구비한다. 경사부(114)에서 다시 곡면형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16)가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 부분이 심카드의 접촉편과 맞닿아 신호를 주고 받는 부분이 된다.
접촉부(116)는 경사부(114)의 평면 위치보다 상방으로 더 솟아 오르는 형상의 상승부(116a)와 상승부(116a)의 끝에서 봉우리를 이룬 후 다시 하강하는 방향으로 굽어진 하강부(116b)를 구비한다. 하강부(116b)의 단부는 절곡되어 다시 전방의 연결고정부(112) 방향을 향하도록 굽어진 절곡단부(116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단자(110)의 상단부 즉, 접촉부(116)의 위치의 일부에서 후방 측으로는 개방부(118)가 형성되는데, 개방부(118)는 관통된 형태로 구성되며, 제1단자(110)의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단부는 다시 폐쇄된 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절곡단부(116c) 끝까지도 모두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절곡단부(116c) 부분은 다시 폐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단자(120)는 후방측으로부터 본체에 연결고정부(122)에 의해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방 및 전방 측으로 경사를 따라 상승하는 경사부(124)를 구비한다. 경사부(124)의 단부 측 내입단부(126)는 제1단자(110)의 개방부(118) 내로 인입되어, 제2단자(120)의 상방에 제1단자(110)가 위치되는 기본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인입되면 선단부가 제1단자(110)의 경사부(114)를 가압하며 하방 이동시키게 되고, 이 때 접촉부(116)의 하단이 개방부(118)에 내입된 제2단자(120)의 내입단부(126) 상단을 하방으로 눌러 변형시키게 된다. 만약 전술한 도 4의 상황과 같이, 심카드를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트레이(20)가 인입된 경우에는, 내측 단벽(24)이 제2단자(120)보다 더 후방 측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제1단자(110) 및 제2단자(120)에 대한 하방 이동 구속력이 없어, 상방의 원 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트레이(20)를 다시 전방으로 빼내게 되면 단벽(24)은 제1단자(110)에 닿기 전에 먼저 제2단자(120)의 경사부(124)에 접촉되며 이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하방으로 눌려지는 경사부(124)는 절곡단부(116c)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이에 제1단자(110)는 전체적으로 하방 이동되어 단벽(24)에 걸리지 않고 그 상방으로 단벽(24)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로를 만들어 주게 된다. 이 때 절곡단부(116c)는 제1단자(110)를 제2단자(120)가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벽(24)이 경사부(124)를 따라 상방으로 밀착되도록 밀어 올려지면, 단벽(24)이 계속적으로 전방 측으로 인출되면서 그 다음의 접촉부(116)의 하강부(116b) 면으로 인도되므로, 절곡단부(116c)가 개방되어 내입단부(126)가 누를 부분이 없는 경우에도 단벽(24)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단자(110, 120)의 전후 방향은 180도 바뀌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접촉자(200)의 제1단자(210)는 제1연결고정부(212), 제1경사부(214), 접촉부(216)를 구비한다. 이 때 제1실시예와 달리 접촉부(216)의 단부에 절곡단부(116c)를 형성하지 않고, 그 측방으로 내입연장부(219)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단자(220)는 한 쌍의 제2연결고정부(222), 한 쌍의 제2경사부(224)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개방부(228)가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경사부를 개방부(228)가 양측으로 절개한 형태의 모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경사부(224)의 단부에는 ㄷ형태의 내입가이드(226)가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 형성되는데, 상측부터 상측수평부(226a), 수직부(226b), 하측수평부(22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상 상측수평부(226a)가 제2경사부(224)의 단부에 일체로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하측수평부(226c)를 일체로 하여 상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칭된 한 쌍의 ㄷ형 내입가이드(226)의 내측 안착 공간으로는 제1단자(210) 단부의 내입연장부(219)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단자(210)의 경사부(214)가 눌려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내입연장부(219)가 내입가이드(226)의 하측수평부(226c)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내입가이드(226)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더 인입되고, 이때 내입단부(218)는 개방부(228)를 향해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제2단자(220)의 제2경사부(224) 측이 가압되어 하방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측수평부(226a)가 내입연장부(219)를 누르면서, 접촉부(216) 및 내입단부(218)를 개방부(228) 공간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촉자가 소켓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접촉자(200)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제1접촉자(210), 제2접촉자(220)를 어떤 방향으로 하더라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전방측과 같이 제2단자(220)가 전방에 먼저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후방측과 같이 제2단자(220)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접촉자(300)는 제1단자(310) 및 제2단자(320)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제1단자(310)는 제1연결고정부(312), 제1경사부(314), 접촉부(316)를 구비하며, 내입단부(318)가 제2단자(320) 측으로 삽입되며, 제2단자(320)는 제2연결고정부(322), 제2경사부(324)를 구비하고, 그 단부에는 절곡된 지지단부(326)와 개방부(328)를 구비한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접촉부(316)는 제1단자(310)에, 개방부(328)는 제2단자(3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동작은 마찬가지로, 제1단자(310)의 하강시에는 내입단부(318)가 개방부(328) 내에서 지지단부(326)를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역할을 하며, 제2단자(320)의 하강시에는 경사부(324) 저면이 개방부(328)에 삽입된 내입단부(328)의 상면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어느 방향에서 가압이 되더라도 제1, 2단자(310, 320)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기존의 제1, 2단자의 기능을 일체형의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즉, 접촉자(400)는 본체에 연결된 연결고정부(412), 이에 연장되어 상방 경사진 경사부(414)와 그 단부에 돌출된 접촉부(416)를 구비하며, 이 부분들은 개방부(428)를 마주보며 위치된다.
반대편 측에는 마찬가지로 연결고정부(422), 개방부(428)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경사부(424)와 돌출부(426)를 구비하고, 접촉부(416)는 다시 하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연결부(429)를 통해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구성 및 형상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는 제1, 2단자의 일체화 결합으로 설명될 수도 있으며, 또는 청구항 10과 같이 하나의 단자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동작은 경사부(414) 측이 눌리면 내입단부(418)는 개방부(428) 측으로 도피되며, 그 반대측으로부터 단벽이 이동되면 먼저 경사부(424)를 따라 상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접촉부(416)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경사부(414)를 타고 배출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내입단부(418)는 돌출부(426)의 상단 높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도록 굽어져 개방부(428) 내로 위치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2단자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즉 제1단자와 제2단자가 같은 방향으로 본체 측과 고정되고, 연장되어 상하 탄성 변형 가능한 자유 단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1단자는 제1연결고정부(512)를 통해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고,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1경사부(514), 상단으로 돌출되어 접촉되는 접촉부(516), 접촉부 단부 측이 다시 하방으로 경사져 기울어지는 내입단부(518)를 포함하고, 제2단자는 제1연결고정부(512)의 측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본체에 연결되는 제2연결고정부(522), 제2연결고정부(522)의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2경사부(524), 상단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가이드부(526), 가이드부 단부 측이 다시 하방으로 경사져 기울어지는 가이드단부(52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526)와 가이드단부(528)이 측방 안쪽 공간에는 내입공간(502)이 형성된다.
이 때 제2경사부(524)의 상방 경사 각도를 제1경사부(514)보다 완만하게 하거나, 또는 가이드부(526)가 접촉부(516)보다 완만하게 라운드지고, 길게 돌출되도록 연장한다. 즉 도면 17과 같이, 접촉부(516)는 보다 상방으로 도드라지게 돌출되고, 가이드부(526)는 이보다 얕게 완만하게 연장되면서 내입단부(518)보다 더 우측까지 연장되어 가이드단부(528)가 배치되도록 하여, 내입단부(518)가 내입공간(502)의 범위 내에 위치된다.
이 때 도면과 같이 측방을 기준으로, 가이드부(526)는 내입단부(518)가 우측 및 상측으로 더 노출되지 않도록 우측 및 상측으로 더 돌출되어야 한다. 단, 우측으로부터 접근하여 가이드부(526)를 먼저 접촉한 카드,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접촉부(516)와 접촉되면서 올라탈 수 있도록, 접촉부(516)는 가이드부(526)에 비해 상방으로 더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도록 한다. 우측으로부터 접근되는 카드, 트레이는 먼저 가이드부(526)를 접촉하며 하방 가압하게 되며, 가이드부(526)가 하방으로 후퇴하면서 접촉부(516)와 내입단부(518)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카드, 트레이가 가이드부(526)를 지나면, 그 다음으로 접촉부(516)의 상부를 지나치게 되는데, 이 때 내입단부(518)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 내입공간(502) 내에 숨어 있게 되므로, 충돌이나 마찰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면이 아닌 각진 형태의 구성이 전방으로부터 이동되거나, 그 이후에 후방으로부터 이동되더라도 걸리는 부분 없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링크나 형상을 도입하여야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제1, 2단자의 단순한 형상 변형과 개방부 활용을 통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접촉자 110 : 제1단자
112 : 제1연결고정부 114 : 제1경사부
116 : 접촉부 118 : 개방부
120 : 제2단자 122 : 제2연결고정부
124 : 제2경사부 126 : 내입단부
200 : 접촉자 210 : 제1단자
212 : 제1연결고정부 214 : 제1경사부
216 : 접촉부 218 : 내입단부
219 : 내입연장부 220 : 제2단자
222 : 제2연결고정부 224 : 제2경사부
226 : 내입가이드부 300 : 접촉자
310 : 제1단자 312 : 제1연결고정부
314 : 제1경사부 316 : 접촉부
318 : 내입단부 320 : 제2단자
322 : 제2연결고정부 324 : 제2경사부
326 : 지지단부 328 : 개방부
400 : 접촉자 410 : 단자
412 : 연결고정부 414 : 경사부
416 : 접촉부 418 : 내입단부
422 : 연결고정부 424 : 경사부
426 : 돌출부 428 : 개방부
429 : 연결부 500 : 접촉자
510 : 제1단자 512 : 제1연결고정부
514 : 제1경사부 516 : 접촉부
518 : 내입단부 520 : 제2단자
522 : 제2연결고정부 524 : 제2경사부
526 : 가이드부 528 : 가이드단부
100 : 접촉자 110 : 제1단자
112 : 제1연결고정부 114 : 제1경사부
116 : 접촉부 118 : 개방부
120 : 제2단자 122 : 제2연결고정부
124 : 제2경사부 126 : 내입단부
200 : 접촉자 210 : 제1단자
212 : 제1연결고정부 214 : 제1경사부
216 : 접촉부 218 : 내입단부
219 : 내입연장부 220 : 제2단자
222 : 제2연결고정부 224 : 제2경사부
226 : 내입가이드부 300 : 접촉자
310 : 제1단자 312 : 제1연결고정부
314 : 제1경사부 316 : 접촉부
318 : 내입단부 320 : 제2단자
322 : 제2연결고정부 324 : 제2경사부
326 : 지지단부 328 : 개방부
400 : 접촉자 410 : 단자
412 : 연결고정부 414 : 경사부
416 : 접촉부 418 : 내입단부
422 : 연결고정부 424 : 경사부
426 : 돌출부 428 : 개방부
429 : 연결부 500 : 접촉자
510 : 제1단자 512 : 제1연결고정부
514 : 제1경사부 516 : 접촉부
518 : 내입단부 520 : 제2단자
522 : 제2연결고정부 524 : 제2경사부
526 : 가이드부 528 : 가이드단부
Claims (13)
-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를 마주보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및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내입단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를 마주보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내입단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를 마주보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및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내입단부의 측방에,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내입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측방에, 상기 내입연장부를 감싸는 형상의 내입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단자의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제1단자의 상기 개방부 내측 또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내입연장부는 상기 내입가이드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고정부, 상기 제1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 및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고정부, 상기 제2연결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를 마주보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2경사부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으로 향하며 배치되는 내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내입단부의 측방에,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내입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개방부의 측방에, 상기 내입연장부를 감싸는 형상의 내입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자의 상기 내입단부는 상기 제2단자의 상기 개방부 내측 또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내입연장부는 상기 내입가이드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단자 본체를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중앙을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연장되어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연결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0147 | 2013-05-28 | ||
KR1020130060147 | 2013-05-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948A KR20140139948A (ko) | 2014-12-08 |
KR101531868B1 true KR101531868B1 (ko) | 2015-06-26 |
Family
ID=5245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4631A KR101531868B1 (ko) | 2013-05-28 | 2013-11-07 |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18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78596B2 (ja) * | 2016-11-30 | 2020-11-04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圧接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0440A (ja) * | 2000-07-21 | 2002-04-05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
JP2003022851A (ja) * | 2001-07-09 | 2003-01-2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KR101146838B1 (ko) * | 2011-05-04 | 2012-05-18 |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
-
2013
- 2013-11-07 KR KR1020130134631A patent/KR1015318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0440A (ja) * | 2000-07-21 | 2002-04-05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
JP2003022851A (ja) * | 2001-07-09 | 2003-01-2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KR101146838B1 (ko) * | 2011-05-04 | 2012-05-18 |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948A (ko) | 2014-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08495B2 (en) | Push-push card connector | |
JP5818366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 | |
CN104283042A (zh) | 连接器 | |
KR101611025B1 (ko) |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 |
JP5152303B2 (ja) | Icカード装着ユニット、カードコネクタ、カードアダプタ | |
JP5738689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 | |
US7445512B1 (en) | Multi-in-one card connector having a lift board | |
KR20150108217A (ko) | 풀러 타입 카드 소켓 | |
CN110098527A (zh) | 电线盖及连接器 | |
US7322838B1 (en) | Memory card connector | |
KR101866492B1 (ko) |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 |
KR20120003477A (ko) | 접속기 장치 | |
JP5181397B2 (ja) | カードコネクタ、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KR101531868B1 (ko) | 양방향 입출 제한이 없는 접촉자 | |
KR101460079B1 (ko) | 카드용 소켓 | |
KR101574726B1 (ko) |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 |
KR101460076B1 (ko) | 단자 변형을 방지하는 카드용 소켓 어댑터 | |
JP2012113984A (ja) | カード用コネクタ | |
KR101489495B1 (ko) |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 |
CN201075484Y (zh) | 记忆卡连接器 | |
KR101460075B1 (ko) | 양방향성 접촉자 | |
KR101430406B1 (ko) |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 |
KR101806248B1 (ko) |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
CN107919554A (zh) | 提高开关接触可靠性的连接器装置 | |
CN208690641U (zh) | 卡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