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725B1 -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25B1
KR101976725B1 KR1020170113179A KR20170113179A KR101976725B1 KR 101976725 B1 KR101976725 B1 KR 101976725B1 KR 1020170113179 A KR1020170113179 A KR 1020170113179A KR 20170113179 A KR20170113179 A KR 20170113179A KR 101976725 B1 KR101976725 B1 KR 10197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acne
prunella vulga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373A (ko
Inventor
김태양
권혁철
주환빈
이춘몽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1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효 성분으로 여드름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을 억제할 수 있고, 지질생합성 억제 효과, 5a-리덕테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ACNE AND INHIBITING SEBUM SECRETION CONTAINING EXTRACT OF PRUNELLA VULGARIS LINNE VAR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루테올린(Luteolin) 또는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5α-리덕테이즈(5-reductase)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 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 존재하며, 남성 호르몬들 중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으로 환원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그 전환에는 엔에이디피에이치(NADPH)를 필요로 한다. 남성 성충동, 골격근증가, 남성외부생식기, 음낭 성장, 정자 형성 등에는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여드름, 피지, 전립선비대증 등에는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서 관여한다(Diane et al; JID 775-778, 1995. Bruchovsky, Net al; JBC 243,2112~2121, 1968). 따라서, 5α-리덕테이즈 효소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여드름 치료제 및 피지분비 억제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두피,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는 피부의 보습유지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여드름을 유발시킨다. 특히, 20대 이후의 여성의 경우에는 피지의 과잉 분비로 인해 피부 번들거림, 화장의 들뜸 및 모공이 넓어지는 등 미용 면에서 많은 문제를 유발시킨다. 피지 과잉이 일어나는 데는 여러 원인이 관여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피지선의 활성에 있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의 하나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에 의해서 피지선의 세포가 활성화되어 피지 과분비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여드름은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데, 사춘기의 남성 호르몬 기능 항진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세포가 이상을 일으켜 모낭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가 형성된다. 모낭 내에 상주하는 균은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을 생성하여 모낭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여드름으로의 진행은 피지 과분비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
피지선은 안드로겐을 생성하고, 지질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질 합성을 촉진시키는데, 이와 관련된 효소로는 지방산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아세틸-CoA 카복실라아제(acetyl-CoA carboxylase), ATP 시트르산 분해효소(ATP-citrate lyase) 등이 있다. 이러한 지질 대사과 관련된 효소들은 SRE이라는 전사 조절 부위를 가지며, 안드로겐은 SRE에 결합하는 SREBP를 조절함으로써 지질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유-지방산의 생성은 여드름균의 군집형성과 균체 형성을 촉진하게 됨으로써, 피부 염증을 유발하게 되고 각질을 두텁게 한다.
여드름 치료를 위해, 종래에는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을 사용하거나 5α-리덕테이즈 억제제를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 호르몬제들은 여드름 치료 효과 외에,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이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사용을 중단하거나 매우 극미량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품 분야에서도 피지의 과분비는 화장품의 들뜸이나 모공이 넓어지게 되는 요인으로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 피지 억제 화장품은, 일시적으로 피지를 흡착시키는 다공성 파우더를 사용하거나, 기존에 피지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생약 추출물인 아이비 추출물 등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며 안전한 천연추출물 유래의 피지 분비를 억제를 통한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1397호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0583747호는 생약 추출물과 향료를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지 분비를 억제하여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 추출물에 대하여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된 화합물은 루테올린, 움벨리페론 또는 이소퀘르시트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고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을 억제할 수 있고, 지질생합성 억제 효과 및 5a-리덕테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염색된 피지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된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고, 산기슭이나 들, 양지 바른곳에서 뭉쳐서 자라며 키는 약 30cm 내외로 겨울에 얼지 않고 여름이 되면 마르는 풀이라고 하여 하고초라고 불리운다. 하고초의 생약 부위는 꽃이삭이며, 하고초의 다른 이명은 내동, 꿀풀, 가지골나물 등으로 불리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하고초는 전초 및 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하고초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으로서,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이를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등,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데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전초를 100~500 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 g/L를 첨가하고 효모 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인 루테올린, 움벨리페론 또는 이소퀘르시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루테올린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 화합물이다.
Figure 112017086049504-pat00001
움벨리페론은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된 화합물이다.
Figure 112017086049504-pat00002
이소퀘르시트린은 하기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된 화합물이다.
Figure 112017086049504-pat0000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고초(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하고초 ( 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의 제조
하고초 전초 및 꽃을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제조예 2 : 루테올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서 획득한, 하고초 추출물에 1L의 정제수를 넣어 분산시킨 후 n-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hanol) 및 물을 이용하여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분획층 중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하여 17.12g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은 실리카겔(60~120mesh) 컬럼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클로르포름와 메탄올의 비율을 조절하여(40:1 -> 1:1) 분리 및 정제를 하였으며 전체 41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각 분획물의 효능을 평가하여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효과 있는 전체 10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이들 중 효능이 확인된 분획물 0.197g 회수하였으며 NMR을 통하여 구조 동정하였다. 문헌 (Lin, Lie-Chwen, Yu-Feng Pai, and Tung-Hu Tsai. "Isolation of luteolin and luteolin-7-O-glucoside from Dendranthema morifolium Ramat Tzvel and their pharmacokinetics in ra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3.35 (2015): 7700-7706.)과 비교하여 분리된진 성분이 루테올린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화학식은 위의 화학식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3 : 움벨리페론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서 획득한, 하고초 추출물에 1L의 정제수를 넣어 분산시킨 후 n-헥산(hexane),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탄올(methanol), 이용하여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분획층 중 메탄올 층을 감압 농축하여 20.74g을 얻었다. 메탄올 층은 실리카겔(60~120mesh) 컬럼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비율 조건(90:10 -> 60:40)을 조절하여 분리 및 정제를 하였으며, 전체 39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각 분획물의 효능 평가를 통하여 가장 효과 있는 분획물을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전체 12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이들 중 효능이 확인된 분획물 0.104g을 회수였으며 NMR을 통하여 구조 동정하였다. 문헌(Singh, Rajbir, et al. "Umbelliferone-An antioxidant isolated from Acacia nilotica (L.) Willd. ex. Del." Food chemistry 120.3 (2010): 825-830)과 비교하여 분리된 성분이 움벨리페론 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화학식은 위의 화학식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4 : 이소퀘르시트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서 획득한 하고초 추출물에 1L의 정제수를 넣어 분산시킨 후 n-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hanol), 물을 이용하여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분획층 중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하여 17.12g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은 실리카겔(60~120mesh) 컬럼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비율 조건(60:1 -> 1:1)을 조절하여 분리 및 정제를 하였으며 전체 53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각 분획물의 효능 평가를 통하여 가장 효과 있는 분획물을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전체 14개의 분획물을 회수하여 이들 중 효능이 확인된 분획물 0.104g 회수하였으며 NMR을 통하여 구조 동정하였다. 문헌(Amado, Nathalia G., et al. "Isoquercitrin isolated from Hyptis fasciculata reduces glioblastoma cell proliferation and changes β-catenin cellular localization." Anti-cancer drugs 20.7 (2009): 543-552.)과 비교하여 분리되어진 성분이 이소퀘르시트린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화학식은 위의 화학식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디스크 확산법(Disc-diffusion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 측정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성분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일정 농도의 제조예 1 내지 4를 50% 에탄올에 일정농도로 용해하여 50 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자연건조를 통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배양된 P. acnes을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에 초기 균수를 동일하게 하여 1ml씩 분주하여 도말하였다. 이후 페이퍼 디스크는 P. acnes가 도말된 평판배지에 붙인 후, 적정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 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ppm) 초기 여드름 균수 생육 저지환(Clean Zone)(mm)
제조예 1 10,000 1.79 x 106 10
1,000 5
제조예 2 1,000 18
100 8
제조예 3 1,000 15
100 6
제조예 4 1,000 13
100 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 내지 4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지질생합성 억제 효과
여드름의 발생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작용되며, 특히 남성호르몬의 과잉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이 막혀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가 형성됨에 따라, 피지선을 통해 분비되는 피지, 즉 지질의 생합성 억제가 여드름을 개선할 수 있다. 인간 피지선세포(human sebocyte)에 열을 가한 다음 단백질을 정량하고 항체를 고정 시킨 후 c-digit를 이용하여 단백질(FAS, SREBP-1, PPARγ)의 발현을 확인하여 수치화하였다.
시료명 농도
(ppm)
저해율(%)
FAS SREBP-1 PPARγ
제조예 1 1000 32.18 34.74 40.23
제조예 2 100 42.27 34.15 45.12
50 34.97 28.57 37.81
10 20.41 17.51 30.22
제조예 3 100 40.15 37.81 43.08
50 32.81 30.70 36.25
10 16.27 21.39 27.47
제조예 4 100 35.81 31.44 25.71
50 26.73 23.16 20.97
10 13.28 17.57 10.9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고초 추출물인 제조예 1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제조예 2 내지 4는 매우 우수한 단백질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피지에 의한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콜레스테롤 측정
피지 세포를 10 cm 배양용기에 1 X 105개씩 분주하고 제조예 1 내지 4를 각각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5일간 배양하고 콜레스테롤를 정량하였다. 콜레스테롤 정량은 상기 5일간 배양된 세포에 라이시스 완충액(EDTA 10 μL, 100mM SPB 용액, PMSF 1 μL, Triton X-100 10 μL)를 처리하고 초음파로 분해하였다. 세포 용해액에 클로로포름:메탄올(2:1)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원심분리(2000rpm, 15분)하여 하층액을 취하여 질소가스(N2)로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된 시료에 에탄올 300 μL를 넣어 녹인 후 총 콜레스테롤 키트(total cholesterol kit; AM 202-K)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하였다. 1 mL의 효소 시액에 100 μL의 시료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37℃에서 5분 동안 배양 후 500 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액의 콜레스테롤은 3 mL의 효소시액에 20 μL의 표준액을 넣어 3 mg/mL 값으로 하였다.
농도 콜레스테롤(ml/ml protein)
대조군 - 0.71
제조예 1 10 0.75
50 0.77
제조예 2 10 0.70
50 0.72
제조예 3 10 0.70
50 0.72
제조예 4 10 0.71
50 0.73
실험예 4 : 지질생성량 측정
Oil red O staining을 통하여 지질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피지세포를 12웰에 배양하고 제조예 1 내지 4를 DMSO에 용해하여 10 μg/ml과 인슐린 10 μg/ml(대조군)를 각각 처리하고 추가로 48시간 더 배양하였다. 상기 각 웰을 PBS로 세척한 후, 4% 포름알데하이드로 1시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0.8% Oil red O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피지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고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질 생성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방예 1 - 화장수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제조예1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 크림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성분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비교제형예2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친유형 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0.01
-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0.01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
0.01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
-
0.01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 에센스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제형예 6 비교제형예3
제조예 1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실험예 5 : 하고초 추출물 및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지분비 억제효과
실험은 처방예 2에서 제조한 제형예 2 내지 5 및 비교실시예 2의 크림 제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각 그룹은 20대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A 그룹에는 제형예 2의 크림을, B 그룹에는 제형예 3의 크림을, C 그룹에는 제형예 4의 크림을, D 그룹에는 제형예 5의 크림을, E 그룹에는 하고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2의 크림을 1일 2회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피지 측정은 세안 후 3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안정시킨 후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이마의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을 위한 크림을 사용하기 전 피지량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유연 화장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매주 1회 4주간 피지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에 의한 피지량의 변화는 초기 피지량과 비교하여 피지 억제 효능 여부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피지 분비량 (g/㎠/h) 제형예2
그룹 A
제형예3
그룹 B
제형예4
그룹 C
제형예5
그룹 D
비교제형예2
그룹 E
초기값 231.30 ± 9.7 214.17 ± 11.27 221.41 ± 13.74 218.07 ± 10.24 211.30 ± 10.59
2주 180.12 ± 10.4 161.94 ± 8.32 169.53 ± 10.45 175.94 ± 9.17 201.18 ± 7.15
4주 174.47 ± 8.1 123.24 ± 8.07 110.84 ± 9.14 154.15 ± 11.23 197.46 ± 8.81
본 발명의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2 내지 5의 크림은 아무것도 함유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2와 비교하였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지 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제조예 3 및 4는 피지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테올린, 움벨리페론 및 이소퀘르시트린을 함유하는 하고초 추출물은 피지 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피지의 과잉 분비로 인해 여드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Claims (6)

  1. 하고초(Prunella vulgaris Linne var)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분리된 화합물은 루테올린, 움벨리페론 및 이소퀘르시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고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인,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13179A 2017-09-05 2017-09-05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6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79A KR101976725B1 (ko) 2017-09-05 2017-09-05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79A KR101976725B1 (ko) 2017-09-05 2017-09-05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73A KR20190026373A (ko) 2019-03-13
KR101976725B1 true KR101976725B1 (ko) 2019-05-09

Family

ID=6576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79A KR101976725B1 (ko) 2017-09-05 2017-09-05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219B1 (ko) * 2021-02-19 2021-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47B1 (ko) * 2003-07-02 2006-05-25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과 향료를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73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763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6991B1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4B1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8B1 (ko)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방부활성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76725B1 (ko) 하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6833A (ko)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2490B1 (ko) 야로우, 보리지, 에버라스팅, 레이디스맨틀 및 유칼립투스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3767B1 (ko) 동규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5B1 (ko)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5659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32583A (ko)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양강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496B1 (ko) 노박덩굴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2690B1 (ko) 벌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1716B1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1238B1 (ko) 동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090132322A (ko)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작용과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 항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KR20160007092A (ko)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지질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11158A (zh) 用于减少皮脂分泌和收缩毛孔大小的含有冬青提取物的化妆材料组合物
KR101416140B1 (ko)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