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123B1 -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123B1
KR101976123B1 KR1020170049789A KR20170049789A KR101976123B1 KR 101976123 B1 KR101976123 B1 KR 101976123B1 KR 1020170049789 A KR1020170049789 A KR 1020170049789A KR 20170049789 A KR20170049789 A KR 20170049789A KR 101976123 B1 KR101976123 B1 KR 10197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bus
passenger
route number
public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900A (ko
Inventor
김웅태
Original Assignee
김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태 filed Critical 김웅태
Priority to KR102017004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12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은,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승객의 상기 대중 버스의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장 내에 정차 중이거나 정차 예정인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제공하는 도착알림부, 상기 차도와 상기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을 구획하며, 상기 차도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제공되는 공간제공부 및 상기 대중 버스의 길이 및 상기 승강장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정차영역에 정차한 상기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하여 상기 승객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탑승구가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알림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정차영역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Convenience system for passenger on the bus stop}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승객의 상기 대중 버스의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생활에 있어 이용되는 이동수단 중 가장 중요한 서민의 발이 된 버스는 도시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교통수단이다.
최근, 버스정보시스템(BIS:Bus Information System),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등으로 가로변에 있던 버스정류장이 도로 한 가운데로 옮겨져, 부득이하게 버스와 사람사이에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차로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의 좁은 공간에 많은 승객들이 대기하고 있는 문제로 인해 승강장 내가 매우 혼잡하여, 정류장 내로 진입하는 버스를 타기 위한 승객들의 이동중에 대기 승객 간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혼잡한 승강장을 피해 차도로 이동중인 승객과 버스와의 충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승강장은 승강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밀집된 승객들을 분산시키고자 하였으나, 승강장 내에 정차하는 버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승객들은 승강장의 선단에 밀집되어 위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479716호를 참조하면, 버스정류장에는 운행 중인 버스의 진입시간 등을 안내하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광판은 승객들의 대기 시간만을 알려줄 뿐, 승강장 내에서 정차하는 버스가 승강장의 어느 위치에 정차하는지 파악할 수 없게 하므로, 승강장의 선단부분에 밀집된 승객들을 분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버스정류장에서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승객의 안전과 버스운전자의 운행질서 개선, 버스 탑승질서 개선 등 도시안전시설과 IT시스템이 결합된 새로운 방법제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대기 승객이 이용하고자 하는 대중 버스의 도착 시간 및 승강장 내의 대중 버스 정차 위치를 알려주어, 대기 승객의 대중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은,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승객의 상기 대중 버스의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장 내에 정차 중이거나 정차 예정인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제공하는 도착알림부, 상기 차도와 상기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을 구획하며, 상기 차도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제공되는 공간제공부 및 상기 대중 버스의 길이 및 상기 승강장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정차영역에 정차한 상기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하여 상기 승객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탑승구가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알림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정차영역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탑승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와 동일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표시하는 바닥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인 제1 정차영역 및 제2 정차영역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 및 제2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기립부, 상기 제1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2 기립부, 상기 제2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도착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의 대중 버스가 상기 승강장 내로 진입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노출된 채,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방해하되, 상기 제1 정차영역으로 대중 버스가 진입하면, 상기 제1 기립부로 은닉되어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제1 진입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제1 진입방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노출된 경우, 상기 승객이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상기 제1 정차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다음 상기 제1 정차영역에 도착 가능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 내로 대중 버스가 정차 중인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2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구획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정차영역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매연이 상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입방지부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버스의 매연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 내에서 대기 중인 승객에게 대중 버스의 소요 시간 및 대중 버스의 정차 위치를 알려주어 승강장 내의 승객 밀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과 차도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승객과 차도를 운행중인 대중 버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진입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바닥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유입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대중 버스의 승강장 내에는 승강장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종류(노선번호)와 대중 버스의 정차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승강장 내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별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이하, 편의 시스템)은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에 있어서 승객이 타고자 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대기 시간 및 승강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편의 시스템(1)은 도착알림부(10), 공간제공부(20) 및 구획부(30)를 포함한다.
도착알림부(10)는 승강장 내에 정차 중이거나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제공한다. 도착알림부(10)는 승강장 내에 비 또는 눈을 가릴 수 있는 차단막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됨과 동시에 승강장 내에서의 가시성이 뛰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승강장 내의 승객이 용이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착알림부(10)는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대중 버스 위치 및 도로 교통 상황에 기초한 대중 버스의 승강장 도착 소요 시간 즉, 도착 예정 시간을 전광판 등을 통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공간제공부(20)는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가 이동되는 통로인 차도와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을 구획한다. 공간제공부(20)는 차도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제공부(20)는 승강장과 차도를 일차적으로 구획하며, 승강장과 차도의 높이 차에 따른 대중 버스의 승차 또는 하차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된다.
구획부(30)는, 대중 버스의 길이 및 승강장의 길이를 기초로,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을 구획하고, 승객이 승강장으로부터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정차영역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하여 승객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탑승구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부(30)는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32), 기립부(32)의 상측에 연결되어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4) 및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34)에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36)를 구비한다.
기립부(32)는 공간제공부(20)와 차도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일종의 차단벽으로 공간제공부(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기립되어 형성된다. 기립부(32)는 정차영역에 정착하는 대중 버스의 앞문 및 뒷문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승구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간이 형성된다.
기립부(32)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성 재질로 형성되어 대중 버스의 옆면에 부착된 노선 번호 또는 광고가 승객들에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는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 중 앞단에 배치된 기립부(32)의 상측에 연결되어 노선번호를 제공한다.
제어부(36)는 도착알림부(10)에 의해 제공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정차영역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는 승강장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차영역에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도착알림부(10)로부터 수신하여, 각각의 정차영역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34)에 도착알림부(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제어부(36)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30)는,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인 제1 정차영역(S1) 및 제2 정차영역(S2)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30a) 및 제2 구획부(3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30a) 및 제2 구획부(30b)는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이 제1, 2 정차영역의 2개인 경우에 형성되는 것으로,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이 3개 이상인 경우, 구획부(30) 또한 3개 이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구획부(30)는 정차영역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의 구획부(30)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획부(30a)는 제1 정차영역(S1)과 대응되는 위치의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기립부(32a) 및 제1 기립부(32a)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를 구비한다.
제2 구획부(30b)는 제2 정차영역(S2)과 대응되는 위치의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2 기립부(32b) 및 제2 기립부(32b)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34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30a) 및 제2 구획부(30b)는 승강장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승강장의 선단이란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가 정차할 수 있는 첫 번째 정차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36)는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도착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착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할 것이므로, 제어부(36)는 미리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제1 정차영역(S1)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착알림부(10)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120번과 130번이며, 120번은 3분 후 도착 예정이고, 130번은 4분 후 도착 예정이라면, 제어부(36)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120번이 출력되도록 하고, 130번은 제2 디스플레이부(34b)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장 내에 대기 중인 승객들은 타고자 하는 버스가 120번이라면, 제1 구획부(30a)에 형성된 탑승구에 위치하여 120번 버스의 도착을 기다리며, 타고자 하는 버스가 130번이라면, 제2 구획부(30b)에 형성된 탑승구에 위치하여 130번 버스의 도착을 기다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들은 승강장 내에서 버스의 도착 시, 우왕좌왕 이동하여 승강장 내의 승객들과 부딪히거나 탑승구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여 버스를 놓치는 일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간격(t1)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착알림부(1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기 전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멸되지 않고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여 제1 구획부(30a)로 이동 중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멸되도록 하여, 승객들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의 버스가 곧 제1 구획부(30a)로 도착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제1 간격(t1)이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등 및 멸등되는 시간차를 의미하며, 승객이 노선 번호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1초 내지 2초의 간격으로 점멸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제1 정착영역으로부터 이탈 즉, 승강장에서 출발하여 다음 승강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면,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다음 제1 정차영역(S1)에 도착 가능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정차영역(S1)에 도착한 120번 버스가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어 제1 정차영역(S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어부(36)는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다음 도착 예정인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립부(32a)는 승강장으로부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36)는 제1 정차영역(S1) 내로 대중 버스가 정차 중인 경우, 동작감지센서부에 의해 승강장으로부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센서부에 의해 제1 구획부(30a)의 승강장으로부터 차도로 이동중이거나 차도에 위치한 물체가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6)는 동작감지센서부로부터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면 제1 간격(t1)보다 짧은 제2 간격(t2)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점멸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간격이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등 및 멸등되는 시간차를 의미하며, 제1 정차영역(S1) 내로 이동 중인 대중 버스의 운전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을 인지하면, 제1 정차영역(S1)으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진입 속도를 줄이거나 제1 정차영역(S1)에 진입하기 전에 대중 버스를 정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진입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의 시스템(1)의 제1 구획부(30a)는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 채,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출입을 방해하되, 제1 정차영역(S1)으로 대중 버스가 진입하면, 제1 기립부(32a)로 은닉되어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제1 진입방지부(33a)를 구비한다.
제1 진입방지부(33a)는,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되도록 제1 기립부(32a)를 기준으로 회동되거나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된 상태에서 제1 기립부(32a)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다. 제1 진입방지부(33a)는 일종의 차단봉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진입방지부(33a)는 제1 기립부(32a)에 설치된 위치 센서에 의해 제1 정차영역(S1) 내에 대중 버스가 정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어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이동을 방해한다.
반대로, 제1 기립부(32a)에 설치된 위치 센서에 의해 제1 정차영역(S1) 내에 대중 버스가 정차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기립부(32a)로 은닉되도록 회동되어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여,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하다.
제1 진입방지부(33a)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35)를 구비하여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 경우, 승객이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진입방지부(33a)는 탑승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35)는 제1 진입방지부(3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야간에 제1 진입방지부(33a)가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었을 때, 제1 진입방지부(33a)에 의해 승객들이 부상당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바닥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의 시스템(1)의 공간제공부(20)는 제1 정차영역(S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21) 및 제2 정차영역(S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22)를 구비하며, 제1 공간부(21)는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공간부(21)는 승강장을 형성하는 바닥면으로서 차도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되어 형성되며, 제1 공간부(21)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상승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대중 버스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공간부(21) 외의 공간에 대기하고 있던 승객이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제1 공간부(21)를 급하게 이동하는 경우 속도가 저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승객은 제1 구획부(30a)의 탑승구로 접근하기 위해서 제1 공간부(21)의 상향 경사진 바닥면을 도보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이동 속도가 저감되어 탑승구에 대기 중인 승객 또는 제1 공간부(21)를 이동 중인 승객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제공부(20)는 탑승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와 동일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표시하는 바닥표시부(25)를 구비한다.
바닥표시부(25)는, 제1 공간부(21)에 매립된 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장치이다. 바닥표시부(25)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버스의 노선 번호와 동일한 노선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여 승객이 타고자 하는 버스의 탑승구에 제대로 대기 중인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승객은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된 노선 번호를 확인하여 탑승구를 찾을 수 있으며, 2차적으로 바닥표시부(25)에 표시된 노선 번호를 통해 탑승구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의 유입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30)는 제1 구획부(30a)와 제2 구획부(30b)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매연이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37)를 더 구비한다.
유입방지부(37)는 일종의 공기 흡입장치로 제1 정차영역(S1)의 후단과 대응되는 제1 구획부(30a) 또는 제2 정차영역(S2)의 후단과 대응되는 제2 구획부(30b)에 장착된다.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운행에 따른 매연은 버스의 후미에서 발생하므로, 발생된 매연은 유입방지부(37)에 흡입되어 차도로부터 승강장으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유입방지부(37)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대중 버스의 매연을 흡입하며, 유입방지부(37)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는 전원에 의한 일종의 모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이하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 내지 도 13의 각 도면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이하,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은,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승객의 상기 대중 버스의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1)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편의 시스템(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의 시스템(1)은 승강장 내에 정차 중이거나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제공하는 도착알림부(10), 차도와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을 구획하며, 상기 차도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제공되는 공간제공부(20) 및 상기 대중 버스의 길이 및 상기 승강장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정차영역에 정차한 상기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하여 상기 승객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탑승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32), 상기 기립부(32)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4) 및 상기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정차영역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획부(30)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30)는,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인 제1 정차영역(S1) 및 제2 정차영역(S2)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30a) 및 제2 구획부(30b)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부(30a)는, 상기 제1 정차영역(S1)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기립부(32a), 상기 제1 기립부(32a)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획부(30b)는, 상기 제2 정차영역(S2)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20)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2 기립부(32b), 상기 제2 기립부(32b)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34b)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부(30a)는, 상기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 채,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방해하되, 상기 제1 정차영역(S1)으로 대중 버스가 진입하면, 상기 제1 기립부(32a)로 은닉되어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제1 진입방지부(33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은 제1 단계(S1) 내지 제5 단계(S5)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는 버스정보시스템(BIS:Bus Information System) 서버로부터 승강장에 정차하거나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에 관한 제1 정보 및 도착 시간에 관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도착알림부(10)에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 단계(S2)는 도착알림부(10)에 출력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하며, 제2 정차영역(S2)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제2 디스플레이부(34b)에 각각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 단계(S2)는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초로, 승강장 내로의 도착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되도록 하고, 승강장 내로의 도착 시간이 두번째로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가 제2 디스플레이부(34b)에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도착알림부(10)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120번과 130번이며, 120번은 3분 후 도착 예정이고, 130번은 4분 후 도착 예정이라면, 제어부(36)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120번이 출력되도록 하고, 130번은 제2 디스플레이부(34b)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장 내에 대기 중인 승객들은 타고자 하는 버스가 120번이라면, 제1 구획부(30a)에 형성된 탑승구에 위치하여 120번 버스의 도착을 기다리며, 타고자 하는 버스가 130번이라면, 제2 구획부(30b)에 형성된 탑승구에 위치하여 130번 버스의 도착을 기다릴 수 있다.
제3 단계(S3)는 제1 정차영역(S1)의 탑승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공간제공부(20)에 입설된 제1 바닥표시부에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된 노선 번호와 동일한 노선 번호를 출력하며, 제2 정차영역(S2)의 탑승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공간제공부(20)에 입설된 제2 바닥표시부에 제2 디스플레이부(34b)에 출력된 노선 번호와 동일한 노선 번호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다음 제4 단계(S4)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된 노선 번호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4 단계(S4)는 도착알림부(10)(1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기 전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멸되지 않고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여 제1 구획부(30a)로 이동 중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멸되도록 하여, 승객들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의 버스가 곧 제1 구획부(30a)로 도착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제1 간격(t1)이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등 및 멸등되는 시간차를 의미하며, 승객이 노선 번호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1초 내지 2초의 간격으로 점멸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4)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정차영역(S1) 내에 물체가 있다고 판단되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된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정차영역(S1) 내로 대중 버스가 정차 중인 경우, 동작감지센서 등에 의해 승강장으로부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간격이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점등 및 멸등되는 시간차를 의미하며, 제1 정차영역(S1) 내로 이동 중인 대중 버스의 운전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된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을 인지하면, 제1 정차영역(S1)으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진입 속도를 줄이거나 제1 정차영역(S1)에 진입하기 전에 대중 버스를 정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단계(S4)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가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된 노선 번호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는 경우, 제1 바닥표시부에 출력된 노선 번호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34a)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고, 제1 바닥표시부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34a)가 점등되면 제1 바닥표시부가 멸등되고, 제1 디스플레이부(34a)가 멸등되면 제1 바닥표시부가 점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34a)의 점멸 시간차와 제1 바닥표시부의 점멸 시간차는 동일하나, 그 점멸 시작 시간이 상이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34a)와 제1 바닥표시부가 교번적으로 점등과 멸등이 반복될 수 있다.
이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중인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와 제1 바닥표시부에 동시에 멸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시점에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제5 단계(S5)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가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하는 경우,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된 제1 진입방지부(33a)가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도록 회동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진입방지부(33a)는,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되도록 제1 기립부(32a)를 기준으로 회동되거나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된 상태에서 제1 기립부(32a)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다. 제1 진입방지부(33a) 는 일종의 차단봉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진입방지부(33a)는 제1 기립부(32a)에 설치된 위치 센서에 의해 제1 정차영역(S1) 내에 대중 버스가 정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어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이동을 방해한다.
반대로, 제1 기립부(32a)에 설치된 위치 센서에 의해 제1 정차영역(S1) 내에 대중 버스가 정차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기립부(32a)로 은닉되도록 회동되어 탑승구를 통한 승객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여,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하다.
또한, 제1 진입방지부(33a)(33a)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35)(35)를 구비하여 제1 기립부(32a)(32a)로부터 노출된 경우, 승객이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진입방지부(33a)는 탑승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35)는 제1 진입방지부(3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야간에 제1 진입방지부(33a)가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었을 때, 제1 진입방지부(33a)에 의해 승객들이 부상당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된 제1 진입방지부(33a)가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되도록 회동되는 경우에만 발광부(35)가 발광하며, 제1 기립부(32a)에 은닉되는 경우에는 발광부(35)가 발광되지 않도록 하여, 발광부(35)의 발광을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은, 제1 구획부(30a)와 상기 제2 구획부(30b)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매연이 상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37)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5 단계(S5)는 상기 제1 진입방지부(33a)의 상기 제1 기립부(32a)로부터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유입방지부(37)가 가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유입방지부(37)는 일종의 공기 흡입장치로 제1 정차영역(S1)(S1)의 후단과 대응되는 제1 구획부(30a) 또는 제2 정차영역(S2)의 후단과 대응되는 제2 구획부(30b)에 장착된다.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운행에 따른 매연은 버스의 후미에서 발생하므로, 발생된 매연은 유입방지부(37)에 흡입되어 차도로부터 승강장으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유입방지부(37)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대중 버스의 매연을 흡입하며, 유입방지부(37)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는 전원에 의한 일종의 모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은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승객 승하차가 완료된 후,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제1 정차영역(S1)을 이탈하는 경우, 도착알림부(10)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갱신되는 제6 단계(S6) 및 갱신된 도착알림부(10)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 예정인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7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단계(S6)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제1 정착영역으로부터 이탈 즉, 승강장에서 출발하여 다음 승강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면, 도착알림부(10)가 제공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이 이탈된 대중 버스에 의해 갱신되게 되는 단계이다.
제7 단계(S7)는, 갱신된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재차 다음 제1 정차영역(S1)에 도착 가능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정차영역(S1)에 도착한 120번 버스가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어 제1 정차영역(S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어부(36)는 도착알림부(10)로부터 제공된 다음 도착 예정인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4a)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6 단계(S6)는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승객 승하차가 완료된 후, 제1 정차영역(S1)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제1 정차영역(S1)을 이탈하는 경우, 제1 기립부(32a)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1 진입방지부(33a)가 상기 제1 기립부(32a)로 은닉되도록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1 구획부(30a) 및 제2 구획부(30b)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편의 시스템(1)은 승강장의 길이에 따라 구획부(3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구획부(30)의 구성 및 효과는 제1 구획부(30a) 또는 제2 구획부(30b)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부(30a)에 한정하여 설명한 제1 진입방지부(33a) 및 유입방지부(37)는 제2 구획부(30b)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편의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10: 도착알림부
20: 공간제공부
30: 구획부
V1: 제1 정차영역
V2: 제2 정차영역
S1: 제1 단계
S2: 제2 단계
S3: 제3 단계
S4: 제4 단계
S5: 제5 단계
S6: 제6 단계
S7: 제7 단계

Claims (10)

  1. 대중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승객의 상기 대중 버스의 이용 편의를 위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장 내에 정차 중이거나 정차 예정인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제공하는 도착알림부;
    상기 대중 버스가 이동되는 통로인 차도와 상기 대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을 구획하며, 상기 차도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제공되는 공간제공부; 및
    상기 대중 버스의 길이 및 상기 승강장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정차영역에 정차한 상기 대중 버스의 출입문을 통하여 상기 승객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탑승구가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알림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정차영역에 정차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승강장 내에 정차 가능한 상기 대중 버스의 정차영역인 제1 정차영역 및 제2 정차영역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 및 제2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구획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정차영역에 정차한 대중 버스의 매연이 상기 승객이 체류하는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입방지부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버스의 매연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탑승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와 동일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표시하는 바닥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기립부, 상기 제1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공간제공부의 끝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제2 기립부, 상기 제2 기립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도착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의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의 대중 버스가 상기 승강장 내로 진입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1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노출된 채,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방해하되, 상기 제1 정차영역으로 대중 버스가 진입하면, 상기 제1 기립부로 은닉되어 상기 탑승구를 통한 상기 승객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제1 진입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입방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노출된 경우, 상기 승객이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에 정차한 대중 버스가 상기 제1 정차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도착알림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 및 도착 시간을 기초로 다음 상기 제1 정차영역에 도착 가능한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 내로 대중 버스가 정차 중인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차도로 진입하는 물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중 버스의 노선 번호가 제2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2 정차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대중 버스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10. 삭제
KR1020170049789A 2017-04-18 2017-04-18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KR10197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89A KR101976123B1 (ko) 2017-04-18 2017-04-18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89A KR101976123B1 (ko) 2017-04-18 2017-04-18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00A KR20180116900A (ko) 2018-10-26
KR101976123B1 true KR101976123B1 (ko) 2019-05-08

Family

ID=6409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89A KR101976123B1 (ko) 2017-04-18 2017-04-18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05B1 (ko) * 2019-06-21 2020-12-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류장 버스 승차위치 안내용 led 전광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712B1 (ko) * 2013-02-08 2014-08-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602A (ko) *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 정류장 승객 안전 유도 시스템
KR20140111156A (ko) * 2013-03-08 2014-09-18 (주)씨아이티엘 차량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712B1 (ko) * 2013-02-08 2014-08-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00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988B1 (ko) 무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864074B1 (ko)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70133133A (ko) 주차유도 및 충돌 알림장치
JP2001172927A (ja) 発光式停止線システム
KR101976123B1 (ko)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KR101476811B1 (ko) 버스의 승하차 가이드라인 투사장치
WO2005097658A1 (ja) 乗客コンベア
US20130152493A1 (en) Arrangement for orienting multi-track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travel in car parks
KR101572199B1 (ko)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되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
JP3868193B2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20100068924A (ko)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US20220221869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
KR101229884B1 (ko) 스쿨존 로봇 신호등
JPH07127022A (ja) 視界不良地点などにおける相手方の表示システム
JP2009151399A (ja) 誘導表示装置
JP4302486B2 (ja) 駅前広場の運用方法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CN110396947B (zh) 利用既有人行道的公交站结构及其运行方法
GB2341712A (en) Pedestrian crossing indicators
KR20220011312A (ko) 교행불가도로의 이동체 충돌방지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