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641B1 -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641B1
KR101975641B1 KR1020160135478A KR20160135478A KR101975641B1 KR 101975641 B1 KR101975641 B1 KR 101975641B1 KR 1020160135478 A KR1020160135478 A KR 1020160135478A KR 20160135478 A KR20160135478 A KR 20160135478A KR 101975641 B1 KR101975641 B1 KR 10197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era
front frame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13A (ko
Inventor
신선영
Original Assignee
신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영 filed Critical 신선영
Priority to KR102016013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6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의 중앙에 카메라를 거치시키고, 조명의 방향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피사체의 눈동자에 다양한 문양을 비출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는, 스탠드(300)와, 스탠드(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과, 전면에 배치되어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투과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전면프레임(110)으로부터 후방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2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테두리 부위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3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710)가 배치된 기판(700)으로 구성되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중앙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105)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20)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1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브라켓(4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camera stand}
본 발명은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조명을 피사체 측으로 조명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향한 각도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피사체의 눈동자에 다양한 문양을 비추게 하여 자연스럽게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으며, 조명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거치대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즉, 사용자는 사진촬영시 카메라를 직접 들고 촬영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수 있는데,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때 이용되는 것이 카메라 거치대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카메라 거치대로서 삼각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된 세개의 지지봉과 카메라를 고정하는 장착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무게에 의하여 삼각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개의 지지봉을 일정한 각도로 벌리고, 상기 장착부 위에 카메라를 장착시켜 고정시킨 후 상기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가 매우 길며, 각각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으며, 또한 운반시에는 세개의 긴 지지봉을 접어서 운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개의 긴 지지봉이 서로 부딪히거나 흔들리게 되어 운반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장착시마다 나사를 체결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어서, 카메라를 장착부에 고정시키기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시킨 후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카메라용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시킨 후에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삼각대를 재설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043호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등록일자 : 2003.02.18)가 개시되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영화 또는 사진 촬영현장에서 카메라, 조명등, 마이크 등 모두를 장착할 수 있는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로서, 거치대 위에 카메라, 조명등, 마이크 등을 모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카메라만을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는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착시키기가 용이하지도 않으며,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 카메라 거치대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872호 "카메라 거치대"(등록일자 : 2011.03.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와 힌지결합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카메라 거치대는 조명이 별도로 구비되어 조명이 비추는 각도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그림자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명을 카메라의 좌,우 양측에 두고 촬영을 하게 되므로, 복수의 조명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양측의 조명이 차지하는 설치공간으로 인해 촬영 장소의 공간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존에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촬영된 피사체의 눈동자에 원,별,하트 모양의 다양한 문양을 컴퓨터의 이미지 프로그램(포토샵 등)을 이용하여 부여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부자연스러워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043호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등록일자 : 2003.02.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872호 "카메라 거치대"(등록일자 : 2011.03.0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피사체의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의 중앙에 카메라를 거치시키고, 조명의 방향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피사체의 눈동자에 다양한 문양을 비출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전면에 배치되어 엘이디램프의 빛이 투과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전,후면프레임의 테두리 부위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배치된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중앙에 카메라의 렌즈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브라켓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지며 중앙에 상기 수용부와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전면에 문양이 인쇄되거나 문양을 갖는 시트지가 부착된 그림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는 카메라의 렌즈 부위가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전원을 인가하여 엘이디램프를 발광시키면, 엘이디램프의 빛이 투명소재인 전면프레임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게 되고, 카메라의 렌즈부위 둘레를 따라 엘이디램프의 빛이 전방을 향해 발광되므로, 복수의 조명장치 없이도 피사체에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그림판의 두께에 따라 제1,2,3지지브라켓을 전,후진시켜 그림판을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그림판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림판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토샵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엘이디램프의 빛이 그림판을 투과함에 따라, 그림판에 형성된 문양을 통해 문양의 형태가 피사체인 사용자의 눈동자에 비춰지게 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그림판의 문양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림판 문양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프레임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수단과 연결브라켓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그림판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슬라이딩 되기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지지수단의 제1,2,3지지브라켓의 전,후진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카메라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는, 스탠드(300)와, 스탠드(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과, 전면에 배치되어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투과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전면프레임(110)으로부터 후방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2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테두리 부위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3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710)가 배치된 기판(700)으로 구성되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중앙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105)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20)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1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브라켓(4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브라켓(200)에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브라켓(200)에 대해 프레임(100)을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지지볼트(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지며 중앙에 수용부(105)와 대응되는 통공(605)이 형성되고, 전면에 문양이 인쇄되거나 문양을 갖는 시트지(610)가 부착된 그림판(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림판(600)이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 장착되고, 그림판(600)을 전면프레임(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수단(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수단(500)은, 일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상측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브라켓(510)과, 일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하측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브라켓(520)과, 일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일측 테두리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지지브라켓(530)과,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에 각각 천공 형성되고 결합공(155)보다 전,후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장공(540)과, 연결프레임(1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편(150)에 천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55)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54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결합공(155)에 체결되는 조절볼트(550)로 구성되어, 그림판(600)의 테두리부는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내측으로 삽입 장착되고, 삽입 장착된 그림판(600)의 두께에 따라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조립위치를 전,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거치브라켓(400)은,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밀착되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며, 수직부(41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제1조립볼트(43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공(412)과, 수평부(420)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카메라(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립볼트(44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공(42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탠드(300)는 상부에 연결브라켓(200)이 연결볼트(220)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710)가 배치된 기판(700)이 내장되고,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중앙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10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00)에 좌,우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볼트(210)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수용부(105)은 내주면에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카메라(10)의 렌즈(12) 측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마감재(105a)가 구비된다.
연결편(150)은 연결프레임(130)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용접될 수 있으며, 조절볼트(550)가 결합되는 결합공(155)이 형성된다.
연결브라켓(200)은 좌,우측의 단부가 프레임(100)의 좌,우측면에 지지볼트(210)를 매개로 결합되어 지지볼트(210)의 조임력에 따라 프레임(100)을 회전시키거나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볼트(210)는 연결브라켓(200)의 단부를 관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결브라켓(200)은 양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100)의 좌,우 측면에 지지볼트(21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스탠드(300)의 상부와 연결볼트(220)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스탠드(3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내통과 외통의 이중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100)의 전면프레임(110)은 엘이디램프(71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전면으로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그림판(600)의 테두리부는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내측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 장착하여 그림판(600)은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지며, 중앙에 상기 수용부(105)와 대응되는 통공(605)이 형성되고 전면에 문양이 인쇄되거나 문양을 갖는 시트지(610)가 부착된다.
그림판(600)은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또는 투명 소재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하트, 별, 원 등의 다양한 문양이 전면에 인쇄되거나 문양을 갖는 시트지(610)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그림판(600)은 전면에 시트지(610)가 부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500)은 상기 그림판(600)을 전면프레임(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수단(500)은 복수의 연결편(150)에 천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55)과,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측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브라켓(510)과,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하측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브라켓(520)과,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일측 테두리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지지브라켓(530)과, 상기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에 각각 천공 형성되고 결합공(155)보다 전,후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장공(540)과, 상기 각각의 장공(54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155)에 체결되는 지지볼트(210)를 구비한다.
즉,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은 일단부가 전면프레임(110)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편(150)의 결합공(155)에 결합되는 조절볼트(550)를 매개로 연결편(150)의 결합공(155)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일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자유단이 되어 그림판(600)의 전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수단(500)은 상기 그림판(6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조립위치를 전,후로 조절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장공(540)은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브라켓(400)은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밀착되는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된다.
또한, 거치브라켓(400)은 상기 수직부(41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제1조립볼트(43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공(412)과, 상기 수평부(420)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카메라(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립볼트(44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공(422)이 구비된다.
또한, 후면프레임(120)은 기판(70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복수의 방열공이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스탠드(300)의 상부에 연결브라켓(200)의 하부를 연결볼트(220)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연결브라켓(200)의 양측 단부를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결합된 연결편(150)에 지지볼트(21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지지볼트(210)는 조임력의 제공 유무에 따라 연결브라켓(200)에 대해 프레임(100)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은 각 테두리부위가 복수의 연결편(150)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연결브라켓(200)을 매개로 스탠드(300)에 대한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프레임(100) 내에 내장된 엘이디램프(710)로부터 발광되는 조명의 각도 및 거치브라켓(400)에 거치된 카메라(10)의 촬영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어서,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의 중앙에 천공 형성된 수용부(105) 내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카메라(10)를 거치브라켓(400)에 거치시킨다.
거치브라켓(400)에 거치시키는 카메라(10)는 일반적인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을 거치하여 휴대폰의 렌즈(12)부위가 수용부(105) 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수용부(105)를 휴대폰의 형상과 동일하게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휴대폰을 수용부(105)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0)를 거치브라켓(400)에 거치시키는 작업은 거치브라켓(400)의 수직부(410)에 형성된 수직공(412)에 제1조립볼트(430)의 단부를 관통시켜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시키면 거치브라켓(400)의 수직 높이 조절작업이 완료되고, 수평부(420)에 형성된 수평공(422)의 하측에서 제2조립볼트(440)를 관통시켜 수평부(420)의 상측에 안착된 카메라(10)의 하부에 체결시키면서 조임력을 제공하면 수평부(420)에 대한 카메라(10)의 전,후방향 거치 위치가 조정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가 완료된 카메라(10)의 렌즈(12) 부위가 수용부(105) 내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기판(700) 측에 전원을 인가하여 엘이디램프(710)를 발광시키면,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투명소재인 전면프레임(110)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 둘레를 따라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전방을 향해 발광되므로, 복수의 조명없이도 피사체에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다수의 그림판(600)들 중 피사체인 사용자가 원하는 문양을 선택하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선택된 그림판(600)을 프레임(100)의 우측에서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에, 지지수단(500)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된 그림판(600)을 전면프레임(110)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500)은 도 8a와 도 8b에서와 같이,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을 전,후진시키면,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은 장공(540) 부위가 결합공(155)에 결합된 조절볼트(550)와의 간섭없이 전,후진 이동되며, 전,후진 이동시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타단부가 그림판(600)의 전면을 지지한 상태로 그림판(600)의 후면을 전면프레임(11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지지수단(500)은 그림판(600)의 두께에 따라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을 전,후진시켜 그림판(600)을 전면프레임(110)의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그림판(600)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림판(600)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포토샵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그림판(600)을 투과함에 따라, 그림판(600)에 형성된 문양을 통해 문양의 형태가 피사체인 사용자의 눈동자에 비춰지게 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그림판(600)의 문양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림판(600) 문양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지(610)의 색상 칼라에 따라 다양한 색상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 내에 내장되는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엘이디램프(710)인 조명의 칼라나 밝기를 변화시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이 지니는 개념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그림판(6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0)이 자석, 벨크로 테이프, 밴드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그림판(600)을 전면프레임(110)에 밀착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10 : 카메라 12 : 렌즈
100 : 프레임 105 : 수용부
105a : 마감재 110 : 전면프레임
120 : 후면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150 : 연결편 155 : 결합공
200 : 연결브라켓 210 : 지지볼트
220 : 연결볼트 300 : 스탠드
400 : 거치브라켓 410 : 수직부
412 : 수직공 420 : 수평부
422 : 수평공 430 : 제1조립볼트
440 : 제2조립볼트 500 : 지지수단
510,520,530 : 제1,2,3지지브라켓
540 : 장공 550 : 조절볼트
600 : 그림판 605 : 통공
610 : 시트지 700 : 기판
710 : 엘이디램프

Claims (6)

  1. 스탠드(300)와;
    상기 스탠드(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과;
    전면에 배치되어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투과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10)으로부터 후방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2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테두리 부위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710)가 배치된 기판(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중앙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105)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1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브라켓(400)과;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지며 중앙에 상기 수용부(105)와 대응되는 통공(605)이 형성되고 전면에 문양이 인쇄되거나 문양을 갖는 시트지(610)가 부착된 그림판(6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에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00)에 대해 상기 프레임(100)을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지지볼트(2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림판(600)이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그림판(600)을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수단(5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500)은,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측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브라켓(510)과,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하측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브라켓(520)과,
    일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일측 테두리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지지브라켓(530)과,
    상기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에 각각 천공 형성되고 결합공(155)보다 전,후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장공(54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편(150)에 천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55)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장공(54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155)에 체결되는 조절볼트(550)를 구비하며,
    상기 그림판(600)의 테두리부는 상기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내측으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그림판(6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2,3지지브라켓(510,520,530)의 조립위치를 전,후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6. 스탠드(300)와;
    상기 스탠드(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과;
    전면에 배치되어 엘이디램프(710)의 빛이 투과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10)으로부터 후방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20)과, 전,후면프레임(110,120)의 테두리 부위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 복수의 엘이디램프(710)가 배치된 기판(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중앙에 카메라(10)의 렌즈(12)부위가 수용되도록 천공된 수용부(105)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1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브라켓(400)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브라켓(400)은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밀착되는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41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제1조립볼트(43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공(412)과, 상기 수평부(420)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카메라(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립볼트(44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공(4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0160135478A 2016-10-19 2016-10-19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197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78A KR101975641B1 (ko) 2016-10-19 2016-10-19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78A KR101975641B1 (ko) 2016-10-19 2016-10-19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13A KR20180042913A (ko) 2018-04-27
KR101975641B1 true KR101975641B1 (ko) 2019-05-07

Family

ID=6208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478A KR101975641B1 (ko) 2016-10-19 2016-10-19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6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83B2 (ja) * 1993-01-27 2001-05-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用フィルター
JP7050291B2 (ja) * 2018-03-28 2022-04-08 株式会社モンドデザイン 背負いバッグ用背面サポ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背面サポートを備えた背負いバ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291B2 (ja) * 1987-08-18 1995-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306043Y1 (ko) 2002-12-02 2003-03-03 김진규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
KR101022872B1 (ko) 2010-05-31 2011-03-16 권영민 카메라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83B2 (ja) * 1993-01-27 2001-05-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用フィルター
JP7050291B2 (ja) * 2018-03-28 2022-04-08 株式会社モンドデザイン 背負いバッグ用背面サポ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背面サポートを備えた背負いバ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13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506B1 (en) Universal adapter for light-modifying devices
US7670032B2 (en) Compact, steerable, multidirectional photographic light diffuser and reflector
US4210952A (en) Portable illumination source for photographers
WO2013058491A1 (ko) 접이식 소프트박스
JPH0736086A (ja) 自動ライティング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自動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US8408722B2 (en) Display stage for diffusely illuminating articles
US20120163782A1 (en) Backdrop Support
US8113673B2 (en) Photographic diffuser
JP2016510906A (ja) ソフトボックスの係合装置
KR101975641B1 (ko)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US3696856A (en) Swivel standard for portable projection screen
JP2955259B2 (ja) 撮影用簡易スタジオ及び撮影方法
US20090041450A1 (en) Slide copying device
US20160004141A1 (en) Camera platform
KR101443325B1 (ko) 비교 사진 촬영 장치
JP2006171088A (ja) 撮影ライティング装置
JP3850093B2 (ja) 撮影用載物台およびビデオプレゼンター
CN218446312U (zh) 上拍及侧拍两用拍摄平台
JP3239871U (ja) トップショット撮影とサイドショット撮影の両用ライトパネル装置
JP3224484U (ja) 可搬式撮影スタジオ及び可搬式撮影スタジオ用ホルダー
JPH11109459A (ja) 撮影台ユニット
JP2017175396A (ja) 撮像装置スタンド、及び照明装置
KR200362033Y1 (ko) 다목적 영상촬영 장치
JP2011013398A (ja) 撮影用照明装置
CN105701922A (zh) 开放式自拍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