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325B1 - 비교 사진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비교 사진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325B1
KR101443325B1 KR1020120146466A KR20120146466A KR101443325B1 KR 101443325 B1 KR101443325 B1 KR 101443325B1 KR 1020120146466 A KR1020120146466 A KR 1020120146466A KR 20120146466 A KR20120146466 A KR 20120146466A KR 101443325 B1 KR101443325 B1 KR 10144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haft assembly
support shaft
fixed
rotar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543A (ko
Inventor
이경국
신삼식
신철규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포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포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포토스
Priority to KR102012014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8Clamps or 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촬영 대상과 카메라(40)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에 찍은 동일 촬영 대상의 사진들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그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또한 그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촬영 대상의 아래면을 접촉하여 받치기 위한 지지축 조립체(23)와; 상기 지지축 조립체(23)의 하단의 측면에 그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고 수직으로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회전 아암(25)과; 상기 회전 아암(2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카메라(40)를 탈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27);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23)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명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된 조명패널(29)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일부에 의해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면서 전용의 조명 장치로 조명할 수 있고 범용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교 사진 촬영 장치{Device For Picture-taking Comparable Photo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머리 부분을 촬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모발 이식이나 얼굴 성형 수술 전후의 얼굴이나 머리 등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의해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면서 전용의 조명 장치로 조명할 수 있고 범용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새로운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얼굴 성형이나 모발 이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예를 들어, 얼굴 성형을 위해서는 성형 외과에서 안면 윤곽 수술이나 턱 교정 수술 등을 하게 되는데, 그 수술 결과는 수술 전의 사진과 수술 후의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가에 따라 추가 수술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환자 본인에게도 수술 전후의 사진을 비교하는 것은 수술 결과에 대해 만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 인자이다.
그런데, 종래에 수술 전후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 촬영 장치는 사람의 얼굴이나 머리를 일정한 위치에 두도록 하고 카메라를 사람이 들고 위치를 바꿔가면서 찍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촬영된 사진 내의 얼굴이나 머리의 위치가 수술 전후에 비교할 때 서로 다른 위치로 찍힐 가능성이 컸으므로,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카메라와 얼굴이나 머리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에 제안된 장치로는, 예컨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9889호 (2012년 4월 10일 등록) "얼굴/머리 촬영 보조 장치"의 등록공보에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턱과 이마를 받칠 수 있게 하는 촬영보조장치(10)가 개시되어 있다. 이 촬영보조장치(10)는 지지판(11) 위에 수직으로 턱 받침대(12)와 이마 고정대(13)가 구비되고, 지지판(11)의 일측으로는 지지판(11)에 대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회전바(14)를 연결하였다. 회전바(14) 위에는 수직바(15)가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수직바(15) 위에는 3개의 구멍(161, 163, 165)이 형성된 촬영장치결합바(16)가 연결된다. 촬영장치결합바(16)에는 각각의 구멍(161, 163, 165)에 인접하여 자석부(162, 164, 166)가 형성되고, 구멍에 끼워지는 렌즈부(172)와 자석부에 부착되는 금속부(174)를 가진 형태의 전용 카메라(17)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촬영 대상인 얼굴이나 머리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촬영할 수 있게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촬영보조장치(10)에 의하면, 얼굴을 턱과 이마 두 군데서 받치고 있기 때문에, 얼굴 중앙이 불가피하게 가려지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촬영을 위해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고 전용의 카메라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보다 좋은 화질의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추가하여야만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므로, 얼굴이나 이마를 일정 위치에 고정한 후 촬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의해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면서 전용의 조명 장치로 조명할 수 있고 범용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발 이식이나 얼굴 성형 수술 전후의 얼굴이나 머리 등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의해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면서 전용의 조명 장치로 조명할 수 있고 범용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새로운 비교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는, 촬영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에 찍은 동일 촬영 대상의 사진들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그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또한 그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촬영 대상의 아래면을 접촉하여 받치기 위한 지지축 조립체와; 상기 지지축 조립체의 하단의 측면에 그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지지축 조립체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고 수직으로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회전 아암과; 상기 회전 아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카메라를 탈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명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된 조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은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부착된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지지축 조립체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중심 구멍을 가지는 고리 형태로서, 상기 촬영 대상을 향하는 전면에는 복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구비하고, 그 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를 위에서 덮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에서 상기 회전 아암의 하단에 고정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를 위에서 덮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단부에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위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위치에 각각 요홈이 형성되고, 대응하여 상기 중간부에는 볼플런저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특정 요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간부에 고정된 회전 아암이 상기 하단부에 고정된 지지판에 대해 특정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플런저는 그 내부에 상기 볼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삽입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외부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플런저 본체를 구비하여, 볼플런저 본체를 상기 중간부에 대해 조이거나 푸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상기 볼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에 대해 상기 중간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가 상기 중간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부가 서로 기어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은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 내에는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부착된 카메라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회전 아암의 중공을 거쳐 상기 지지축 조립체 내부를 통과한 후 별도로 설치된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조립체의 상단은 사람의 턱과 목 사이의 일정 위치를 지지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시 얼굴 부위에 표시되지 않는 형상의 받침단, 사람의 턱을 지지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부착된 카메라(40)로 촬영시 얼굴 부위 중 턱 아래쪽에 일부분 표시되는 형상의 턱 받침단, 또는 사람의 이마와 턱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이마-턱 받침단 중 하나를 탈거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를 그 상부면에 탈거가능하게 고정하고 그 하부면에서 상기 회전 아암과 연결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와 상기 조명패널을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거치대 본체에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면은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어 카메라의 렌즈의 하단이 좌우로 밀리지 않게 지지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발 이식이나 얼굴 성형 수술 전후의 얼굴이나 머리 등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의해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면서 전용의 조명 장치로 조명할 수 있고 범용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얼굴/머리 촬영 보조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얼굴/머리 촬영 보조 장치의 카메라를 고정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 중 회전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축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 중 도 5에 예시된 지지축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서 볼플런저 구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서 회전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장홈과 수직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에서 회전 아암의 회전에 따라 각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 및 머리를 촬영하는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와 연결되는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의 카메라 거치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는, 예컨대 사람의 얼굴이거나 또는 머리일 수 있는 촬영 대상과 카메라(40)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에 찍은 동일 촬영 대상의 사진들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는, 도 3에 전체적인 외관이 사시도로서 도시되며 도 4에 그 단면도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 또는 지지판(21), 지지축 조립체(23), 회전 아암(25), 카메라 거치대(27), 및 조명패멀(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전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별도의 책상등과 같이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는 기구 상에 놓여질 수 있는 판상의 지지판(21)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재는 도시된 지지판(2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책상 형태의 부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다른 지지부재도 가능하다.
지지판(21)은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일종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대체로 반원형의 판 형태를 하고 있다. 이 반원형의 지지판(21)의 한쪽에는 촬영 대상을 제공하는 사람이 위치하고 다른 쪽에는 촬영을 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카메라(40)가 위치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가 위치되는 쪽을 후측부(211)라고 하고 사람이 위치되는 쪽을 전측부(212)라고 하자. 지지판(21)의 상부면(213)에는 촬영 대상에 대해 카메라가 위치하는 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마크(214)와 같은 표시가 인쇄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사람이 양 손을 얹을 수 있도록 하는 손받침부(216, 218)와 같은 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지지판(21)의 하부면(214)은, 별도의 받침대(미도시) 위에 놓기 용이하도록 대체로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축 조립체(23)는 촬영 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지지축 조립체(23)의 하단이,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즉 책상의 상부면에 또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지지판(21)의 일측 중앙에,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축 조립체(23)의 지지판(21)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촬영 대상의 아래면을 접촉하여 받치기 위한 받침단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아암(25)은 카메라(4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40)는 촬영 대상에 대해 일정 거리를 항상 유지하면서 일정하게 정해진 복수의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 아암(25)의 하단은 지지축 조립체(23)의 하단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아암(25)의 상단은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고 수직으로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회전 아암(25)의 상단에는 카메라 거치대(27)가 고정된다. 카메라 거치대(27)에는 카메라(40)를 탈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카메라 거치대(27)에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종류의 카메라(40)가 제한없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40)는, 필름을 사용하는 종류도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40)에서 찍은 사진은 케이블을 통해 별도의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도 14참조)으로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조명패널(29)은 카메라 거치대(27)의 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조명패널(29)은 지지축 조립체(23)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명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패널(29)은 대체로 원형 고리형 또는 도넛형일 수 있다. 조명패널(29)의 중앙에는 중심 구멍(295)이 형성되어,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의 렌즈가 지지축 조립체(23)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명패널(29)은 카메라(40)와 촬영 대상 사이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명패널(29)은 촬영 대상을 향하는 전면에는 복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293)를 구비한다. 이때 조명등은 LED(발광다이오드)가 복수개 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조명패널(29)의 후면에는 사용자가 조명부(293)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291)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91)를 구성할 수 있는 제어버튼에는, 조명등을 켜기 위한 턴-온 버튼, 끄기 위한 턴-오프 버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밍 제어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축 조립체(23)의 상세부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이 지지축 조립체(23)의 분해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축 조립체(23)는 하단부(231), 중간부(233), 커버부(235), 수직봉(237), 및 받침단(23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231)는 지지판(2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하단부(231)는 지지판(21)에 결합되는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의 지지부(2311)와, 이 지지부(2311)의 중앙에서 형성된 일정 높이의 원통형 수직 중공관(2315)를 구비한다. 지지부(2311)의 특정 위치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직핀(231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수직 중공관(2313)의 내부는 빈 공간이며 측부에는 측개구부(2316)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요홈들이 일정 높이에서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요홈부(23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중공관(2313)의 상단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단부(231)에서,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 중공관(2315)의 측개구부(2316)와 수직 중공관(2315)의 내부 공간과 지지부(2311)의 측개구부(2312)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렇게 연통된 공간들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통과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중간부(233)는 하단부(231)를 위에서 덮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중간부(233)는 하단부(231)의 지지부(2311)를 덮으며 대체로 그와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회전아암 결합부(2332)와, 이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중앙에서 형성된 일정 높이의 원통형 수직 중공관(2335)를 구비한다.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하단면은 하단부(231)의 지지부(2311)의 상단면에 접하는데 그 특정 위치에는 지지부(2311)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핀(2313)이 삽입되어 가이딩되는 장홈(23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핀(2313)은 장홈(2331)의 양단에 걸림으로써, 중간부(233)가 하단부(231)에 대해 회전할 때 그 회전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측면에는 회전 아암(25)의 하단이 삽입되는 구멍인 측개구부(2333)이 형성되며, 삽입된 회전 아암(25)은 별도의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상단면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상부면에는 측면의 측개구부(2333)와 인접하여 상단개구부(2334)가 형성된다.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의 내부는 빈 공간이며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3)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와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3) 사이의 간격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플런저(30)의 볼(31)이 요홈부(1317)에 걸렸다가 스프링(34)을 밀어내면서 움직이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의 측부에도 측개구부(23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조립시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5)의 측개구부(2316)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수직 중공관(2335)의 측면에는 볼플런저(3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플런저장착구(2337)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중간부(233)에서,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측면에 형성된 측개구부(2333), 회전아암 결합부(233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단개구부(2334), 수직 중공관(2335)의 측면에 형성된 측개구부(2336)는 서로 연통한다. 그리고 중간부(233)와 하단부(231)가 결합시에는, 이들은 하단부(231)의 이렇게 연통된 공간들과 연통하게 되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통과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한편, 중간부(233)가 하단부(231)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의 측면에 형성된 측개구부(2336)는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5)의 측면에 형성된 측개구부(2316)에 대해 위치가 변경된다. 그러므로 이렇게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두 측개구부(2336, 2316)이 서로 연통되도록 그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35)는 중간부(233)를 위에서 덮으면서 중간부(233)가 커버부(23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235)는,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하단부(231)의 수직 중공관(2315)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봉(237)은 커버부(235)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위로 소정 길이로 연장됨으로써, 사람이 얼굴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봉(237)의 상단은 별도의 재질, 예컨대 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받침단(239)을 더 포함할 있다.
한편, 하단부(231)와 중간부(233) 사이에는 링부재(232)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 링부재(232)는 하단부(231)와 중간부(233)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의 상단과 커버부(235)의 내부면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링부재(23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35)의 하단과 중간부(233) 사이에는 미관을 위해 또 다른 링부재(2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지지축 조립체(23)에 있어서, 하단부(231), 커버부(235) 및 수직봉(237)과 받침단(239)은 지지판(21)에 대해 고정된다. 이에 비하여 중간부(233)는 이들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이때 중간부(233)는 볼플런저(ball plunger)(30)에 의해 하단부(231)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안정적으로 정지되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볼플런저(30)는 도 5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31), 볼플런저 본체(32), 중공부(33), 및 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하단부(231)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위치에 각각 요홈(2317)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중간부(233)에는 볼플런저(30)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일정 위치에서 볼플런저(30)의 볼(31)이 요홈부(2317)의 특정 요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볼(31)은 한편에서는 요홈의 표면에 의해서 힘을 받고, 다른 한편에서는 볼플런저 본체(32)의 중공부(33)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34)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스프링(34)은 한편에서는 볼(31)에 접해있으며 다른 한쪽에서는 볼플런저 본체(32)의 내측면에 의해 접해있다. 볼플런저 본체(32)의 외부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플런저장착구(2337)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중간부(233)의 수직 중공관(2335)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볼플런저 본체(32)를 중간부(233)에 대해 조이거나 푸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볼플런저 본체(32)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34)과 볼(31)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34)에 의해 볼(31)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지축 조립체(23)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아암(25)을 돌리는 경우, 회전 아암(25)이 결합되어 있는 지지축 조립체(23)의 중간부(233)가 하단부(231) 및 이 하단부(231)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21)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시 볼플런저(30)의 볼(31)이 요홈부(2317)의 요홈에 걸리는 위치는 지지판(21)의 마크(214)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크(214)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회전 아암을 정지시켜 놓고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촬영이 끝나면 다시 회전 아암(25)을 다음 마크까지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하나의 촬영 대상에 대해 복수의 각도에서 일정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회전 아암(25)을 돌리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회전 아암(25)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10에 전기 모터(50)를 구비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지지축 조립체(23')는, 하단부(231')에 대해 상기 중간부(233)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50)가 중간부(233)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 모터(50)의 구동축(52)과 하단부(231')에 형성된 기어부(2319)가 또 다른 기어(52)에 의해 서로 기어연결될 수 있다. 회전시에는 별도의 제어 시스템(미도시)에서 전기 모터(50)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중간부(233)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아암(25)을 지지판(21)에 대해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에는 별도의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40)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고, 이 디지털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은 실시간으로 케이블(C)을 통해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은 예컨대 사진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크스탑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카메라(40)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모듈(110)과 이 수신모듈(110)에서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편집하는 등의 프로세싱 작업을 하는 처리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130)를 통해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부(140)를 통해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카메라(40)로부터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에 케이블(C)이 연결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이 케이블(C)은 회전 아암(25)과 지지축 조립체(23)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주변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아암(25)은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회전 아암(25)의 상단에는 개구부(251)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251)에 중공 파이프의 중공부(252)가 연통되고 지지축 조립체(23)에 결합되는 하단부에도 개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축 조립체(23) 내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아암(25)과 연통되는 공간부(2334, 2316, 2336, 2312)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에 연결된 케이블(C)이 회전 아암(25)의 중공을 거쳐 지지축 조립체(23) 내부를 통과한 후 별도로 설치된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촬영 대상인 사람의 얼굴과 머리가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에 의해 지지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에는 다양한 받침단(239, 60, 70) 중 하나를 탈거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1에는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은 사람의 턱과 목 사이의 일정 위치를 지지하여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로 촬영시 얼굴 부위에 표시되지 않는 형상의 받침단(239)이 예시되어 있다. 이 받침단(239)은 얼굴 촬영 사진에 나타나지 않다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폭이 좁기 때문에 촬영 대상이 되는 사람이 불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12에는 사람의 턱을 지지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로 촬영시 얼굴 부위 중 턱 아래쪽에 일부분 표시되는 형상의 턱 받침단(6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 따른 턱 받침단(60)은 얼굴 촬영 사진에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턱선에 맞추어 형성된 지지면이 있기 때문에 촬영 대상이 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편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3에는 사람의 이마와 턱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부재(72)와 수평부재(76)로 이루어진 이마-턱 받침단(70)이 예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수직부재(72)에는 다수의 수평방향의 구멍(74)이 형성되며, 수평부재(76)를 이들 구멍(74) 중 하나에 삽입하고 길이를 수평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마가 지지되는 수직부재(72) 상단과 턱이 지지되는 수평부재(76)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모발 이식 수술 이후 모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머리 사진을 찍을 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 거치대(27)가 거치대 본체(271) 및 연결블록(272)을 포함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거치대 본체(271)는 카메라(40)의 카메라 본체(41)를 그 상부면에 탈거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 본체(271)의 하부면에서는 회전 아암(25)과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블록(272)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직바 부분과 수평바 부분이 서로 연결된 ㄴ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직바 부분은 거치대 본체(271)에 고정되고, 수평바 부분은 조명블록(29)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거치대(27)의 연결블록(272)의 역할은 거치대 본체(271)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본체(41)에서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렌즈(42)를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조명패널(29)과의 위치 관계가 불안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블록(272)에서 수직바 부분 즉 거치대 본체(271)에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면은 카메라(40)의 렌즈(42)의 하단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 거치대 본체(271)의 상부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블록(272)에서 수직바 부분 즉 거치대 본체(271)에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면은 도 15의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둥그런 렌즈(42)의 하단면이 좌우로 밀리지 않게 지지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목한 형상의 면에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의 패드와 같이, 렌즈(42) 면을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버퍼 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블록(272)의 수평바 부분은 거치대 본체(271)와 조명패널(29)을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도 15의 (a)에는 이 수평바 부분이 짧은 예를 도시하며, 도 15의 (b)는 이 수평바 부분이 긴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들에서 수평바의 길이의 조절은, 수평바의 길이가 일정한 연결블록(272)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수평바를 서로 미끄러질 수 있는 두 개의 부재로 조립하는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역시 가능하다. 수평바 부분과 조명패널(29)은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할 수 있다.
20 : 비교 사진 촬영 장치
21 : 지지판
23 : 지지축 조립체
25 : 회전 아암
27 : 카메라 거치대
29 : 조명패널
30 : 볼플런저
40 : 카메라
50 : 전기 모터
239, 60, 70 : 받침단
100 :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

Claims (7)

  1. 촬영 대상과 카메라(40)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에 찍은 동일 촬영 대상의 사진들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20)에 있어서,
    그 하단이 지지부재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또한 그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촬영 대상의 아래면을 접촉하여 받치기 위한 지지축 조립체(23)와;
    상기 지지축 조립체(23)의 하단의 측면에 그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고 수직으로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회전 아암(25)과;
    상기 회전 아암(2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카메라(40)를 탈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27);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23)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명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된 조명패널(29)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23)의 상단은 사람의 턱과 목 사이의 일정 위치를 지지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로 촬영시 얼굴 부위에 표시되지 않는 형상의 받침단(239), 사람의 턱을 지지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로 촬영시 얼굴 부위 중 턱 아래쪽에 일부분 표시되는 형상의 턱 받침단(60), 또는 사람의 이마와 턱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부재(72)와 수평부재(76)로 이루어진 이마-턱 받침단(70) 중 하나를 탈거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29)은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의 렌즈가 상기 지지축 조립체(23) 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영 대상을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중심 구멍(295)을 가지는 고리 형태로서, 상기 촬영 대상을 향하는 전면에는 복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293)를 구비하고, 그 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명부(293)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2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조립체(23)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단부(231)와, 상기 하단부(231)를 위에서 덮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에서 상기 회전 아암(25)의 하단에 고정되는 중간부(233)와, 상기 중간부(233)를 위에서 덮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단부(231)에 고정되는 커버부(235)와, 상기 커버부(235)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위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봉(237)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231)에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위치에 각각 요홈(2317)이 형성되고, 대응하여 상기 중간부(233)에는 볼플런저(30)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볼플런저(30)의 볼(31)이 특정 요홈(2317)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간부(233)에 고정된 회전 아암(25)이 상기 하단부(231)에 고정된 지지판(21)에 대해 특정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플런저(30)는 그 내부에 상기 볼(3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34)을 삽입하는 중공부(33)가 형성되고 그 외부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플런저 본체(32)를 구비하여, 볼플런저 본체(32)를 상기 중간부(233)에 대해 조이거나 푸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상기 볼(31)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231)에 대해 상기 중간부(233)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50)가 상기 중간부(233)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 모터(50)의 구동축(52)과 상기 하단부(231)에 형성된 기어부(2319)가 서로 기어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25)은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 조립체(23) 내에는 연통되는 공간부(2334, 2316, 2336, 2312)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거치대(27)에 부착된 카메라(40)에 연결된 케이블(C)이 상기 회전 아암(25)의 중공을 거쳐 상기 지지축 조립체(23) 내부를 통과한 후 별도로 설치된 촬영 사진 프로세싱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27)는, 카메라(40)의 카메라 본체(41)를 그 상부면에 탈거가능하게 고정하고 그 하부면에서 상기 회전 아암(25)과 연결되는 거치대 본체(271), 및 상기 거치대 본체(271)와 상기 조명패널(29)을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블록(27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272)이 상기 거치대 본체(271)에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면은 상기 거치대 본체(271)의 상부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어 카메라(40)의 렌즈(42)의 하단이 좌우로 밀리지 않게 지지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 사진 촬영 장치.
KR1020120146466A 2012-12-14 2012-12-14 비교 사진 촬영 장치 KR10144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66A KR101443325B1 (ko) 2012-12-14 2012-12-14 비교 사진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66A KR101443325B1 (ko) 2012-12-14 2012-12-14 비교 사진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43A KR20140077543A (ko) 2014-06-24
KR101443325B1 true KR101443325B1 (ko) 2014-10-06

Family

ID=5112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466A KR101443325B1 (ko) 2012-12-14 2012-12-14 비교 사진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522B1 (ko) * 2023-03-10 2023-11-13 양윤모 천장용 회전식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7996A (ja) * 2007-01-12 2008-07-24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7996A (ja) * 2007-01-12 2008-07-24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43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8213B2 (en) Audiovisual-capturing system for a lighted mirror
US9961245B1 (en) User selectable digital mirror with reduced parallax error
US2015017252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ose-up imaging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EP2875403B1 (en) Multiposition magnifier camera
EP2321960B1 (en) Portable multi position magnifier camera
US20060077286A1 (en) Video camera support assembly
US8023029B2 (en) Digital camera-projector hybrid
US7925151B2 (en) Device for redirecting and reflecting light from camera flash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4246599A (zh) 360°成像系统
US5023638A (en) Photographic portrait shooting apparatus
JP2002369050A (ja) 撮像カメラ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US10503205B2 (en) Device case with illumination sources
KR20190020048A (ko) 프로젝터 홀더
KR101443325B1 (ko) 비교 사진 촬영 장치
US20200387053A1 (en) Foldable camera stand
JP4188877B2 (ja) 歯科治療用デジタル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CN212591383U (zh) 用于带灯镜的视听捕捉系统
KR101975641B1 (ko)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JP6388204B2 (ja) 撮影装置搭載医療用照明装置
CN219420918U (zh) 一种智能照相亭
US20240069414A1 (en) Bayonet accessory ring light
CN219976027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拍摄装置
CN216248719U (zh) 可接塑光灯箱的常亮影视拍摄照明灯具
CN213159214U (zh) 支撑装置和康复装置
CN220962091U (zh) 一种多角度照明拍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