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809B1 -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809B1
KR101973809B1 KR1020180130303A KR20180130303A KR101973809B1 KR 101973809 B1 KR101973809 B1 KR 101973809B1 KR 1020180130303 A KR1020180130303 A KR 1020180130303A KR 20180130303 A KR20180130303 A KR 20180130303A KR 101973809 B1 KR101973809 B1 KR 10197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upling module
slide
lower hous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김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18013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의 경추 인근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장치{Posture correcting device}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두부를 밀착한 상태에서 두부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운동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 신전근을 강화함으로써, 경추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왜곡된 경추를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의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두부와 연결되는 목뼈에 해당된다.
이때, 목은 머리와 몸통을 연결시켜주는 연결 다리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I”자형 다리보다 “C”자형 다리가 튼튼하듯이 건강한 목은 C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의 목은 “1”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1”자형 목은, 두부의 무게에 의해 쉽게 부하가 발생되어, 목 주위의 근육에 쉽게 피로가 쌓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근육이 딱딱하게 뭉치거나, 두통을 유발하여, 뒷목의 당김 및 어깨 걸림 등의 증상을 초래하며, 증상이 심각할 경우에는 목 디스크까지 발생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C”자형의 건강한 목에서 “1”자형이나 역“C”자형의 기형적인 목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전자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장시간 동안 사용자가 자라목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형적인 형상의 목은 경추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추 피로를 덜어주거나 경추의 “1”자형 목이나 거북목 형상을 “C”자형 목으로 교정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90957호에는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 교정베게는 단순히 사람의 두부와 연결되는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왜곡된 경추의 형태를 교정하는 장치로, 단순히 베개를 베고 있는 상태에서만 왜곡된 경추의 형태를 교정하여 경추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경추에 피로가 누적되어 교정된 경추가 다시 왜곡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즉, 경추가 왜곡된 후 경추를 교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경추에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 하여, 경추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경추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909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경추 인근에 위치된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인근에 위치된 신전근을 강화하여, 경추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2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와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운동 하는 제1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하우징(311)과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312)이 모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결합부(3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311)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에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하부 가장자리면(311-1)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의 상부 가장자리면(312-1)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 가장자리면(311-1)의 내주면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면(312-1)이 끼워지는 단차부(3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변위 제한부(311-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2 변위 제한부(3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1)과 상기 하부 하우징(312)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3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는 상기 하부 하우징(312) 상에 복수개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개통부(312-2A)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제한부(313)는 폭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313-1)와, 상기 고정부재(3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3-2)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313-2)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제한부재(3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는 길이방향 일측이 길이방향 타측보다 직경이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313-2)는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의 길이방향 일측이 위치되는 결합공간(313-2A)과,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의 길이방향 타측이 관통하는 관통구멍(313-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측에 위치되는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에 결합되는 제3 탄성부재(120)와,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는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인체의 경추 상측을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111)와,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인체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부(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타측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는, 두부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 신전근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경추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경추의 왜곡은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경추에 피로가 누적되어 발생하므로, 경추 인근에 위치된 근육을 강화하여 경추에 인가되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후두부 움직임을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 신전근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체중 및 자세에 대응하여 장치의 높이 및 위치가 가변되므로 사용자의 체형과 자세에 상관없이 편안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를 나타낸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의 높이 제한부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10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1000)를 나타낸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1000)는 상측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두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두부를 움직이면, 사용자가 두부를 움직이는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움직이고,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과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이 탄성운동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두부를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과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이 탄성운동 하게 되고, 탄성운동 한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 및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의 복원력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복원력이 사용자의 두부와 인접한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 신전근에 인가되어 근육을 강화하며, 강화된 근육이 경추를 지지함으로써 경추에 피로가 누적되어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왜곡된 경추를 교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세부구조 및 결합관계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측에 위치되는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에 결합되는 제3 탄성부재(120)와,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결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3 탄성부재(120)와 상기 힌지결합부(13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에 후두부를 밀착한 상태에서 후두부를 움직일 시, 후두지지 플레이트(1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이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은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과 결합되므로,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 또한 사용자가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로 인가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탄성운동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탄성부재(120)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를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30)는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과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를 움직일 수 있게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지지 플레이트(110)는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인체의 경추 상측을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111)와,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인체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부(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타측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목 부분이 상기 경추 지지부(111)에 위치되고, 후두부 부분이 상기 후두부 지지부(112)에 위치된다.
이때, 사용자의 몸이 바닥에 위치될 경우 사용자의 후두부와 몸을 연결하는 경추가 지면과 경사지게 위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운동 가능한 상기 제3 탄성부재(120)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310)가 상측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2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와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운동 하는 제1 탄성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 상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레일(3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314)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돌기(2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상기 슬라이드 돌기(211)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14)에 끼워져,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움직일 시 슬라이드 부재(210)가 슬라이드 레일(31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220)는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이동 시 이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인장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에 상기 제1 탄성부재(2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212)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제1 탄성부재(220)의 길이방향 타측이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310-1)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 탄성부재(220)가 탄성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하우징(311)과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312)이 모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결합부(3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311)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에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자세 교정 장치(1000)의 사용자는 다양한 체형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 체중 및 자세에 따라 교정에 적합한 장치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탄성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하우징(311)과 하부 하우징(312)이 결합되어,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이 전달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하부 가장자리면(311-1)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의 상부 가장자리면(312-1)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 가장자리면(311-1)의 내주면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면(312-1)이 끼워지는 단차부(311-2)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311)과 상기 하부 하우징(312)이 서로 상하 배치되어 슬라이드 결합부(310)를 형성할 경우, 상부 하우징(311)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하부 하우징(312)이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 하우징(311)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을 감싸고, 상부 하우징(311)이 하측으로 이동 시 하부 하우징(312)의 상부 가장자리면(312-1)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차부(311-2)를 형성하여, 외력에 대응하여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의 높이가 변할 경우, 하부 하우징(312)이 상부 하우징(311)의 하측 방향 이동을 방해하여 제2 탄성부재(320)가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변위 제한부(311-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2 변위 제한부(3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탄성부재(320)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압축 시 지정된 초기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에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링 형상의 제2 변위 제한부(312-2)를 형성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11)에 제2 변위 제한부(312-2)와 마주보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링 형상의 제1 변위 제한부(311-3)를 형성하여, 제2 탄성부재(320)가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더라도 지정된 초기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1)과 상기 하부 하우징(312) 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제한부(313)는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는 상기 하부 하우징(312) 상에 복수개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개통부(312-2A)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제한부(313)는 폭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313-1)와, 상기 고정부재(3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3-2)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313-2)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제한부재(3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13-1)가 링 형상의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313-2)가 상기 개통부(312-2A)를 통과해 각각의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끼워진 고정부재(313-1)를 연결하고, 연결부재(313-2)에 결합된 높이 제한부재(313-3)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부 하우징(311)과 하부 하우징(312)의 이격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는 길이방향 일측이 길이방향 타측보다 직경이 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313-2)는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의 길이방향 일측이 위치되는 결합공간(313-2A)과,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의 길이방향 타측이 관통하는 관통구멍(31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높이 제한부재(313-3)와 상기 연결부재(313-2)가 서로 직경차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함으로써, 높이 제한부재(313-3)와 연결부재(313-2)를 결합하기 위하여 너트와 볼트 같은 별도의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게 한 것이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 되어 생산 및 조립 공정에 소모되는 시간과 시용을 보다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후두지지 플레이트
120 : 제3 탄성부재 130 : 힌지결합부
200 :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 210 : 슬라이드 부재
220 : 제1 탄성부재
300 :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 310 : 슬라이드 결합부
311 : 상부 하우징 311-1 : 하부 가장자리면
311-2 : 단차부 311-3 : 제1 변위 제한부
312 : 하부 하우징 312-1 : 상부 가장자리면
312-2 : 제2 변위 제한부 312-2A : 개통부
313 : 높이 제한부 313-1 : 고정부재
313-2 : 연결부재 313-2A : 결합공간
313-2B : 관통구멍
313-3 : 높이 제한부재
320 : 제2 탄성부재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운동 하는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을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200)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2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와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운동 하는 제1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탄성운동 결합모듈(300)은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하우징(311)과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312)이 모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결합부(3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311)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에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하부 가장자리면(311-1)이 상기 하부 하우징(312)의 상부 가장자리면(312-1)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 가장자리면(311-1)의 내주면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면(312-1)이 끼워지는 단차부(3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311)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변위 제한부(311-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기 제2 탄성부재(32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2 변위 제한부(3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1)과 상기 하부 하우징(312)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3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는 상기 하부 하우징(312) 상에 복수개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개통부(312-2A)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제한부(313)는 폭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변위 제한부(312-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313-1)와, 상기 고정부재(3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3-2)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313-2)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제한부재(3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20180130303A 2018-10-29 2018-10-29 자세 교정 장치 KR101973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03A KR101973809B1 (ko) 2018-10-29 2018-10-29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03A KR101973809B1 (ko) 2018-10-29 2018-10-29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809B1 true KR101973809B1 (ko) 2019-04-29

Family

ID=6628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303A KR101973809B1 (ko) 2018-10-29 2018-10-29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29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WO2022032372A1 (en) * 2020-08-13 2022-02-17 Sakhrani Andrew Head pressure-resistant device for neck exercis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821A (ja) * 2001-04-02 2002-10-08 Daito Denki Kogyo Kk 往復マッサージ装置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KR101399744B1 (ko) * 2013-02-08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추 교정용 안마기
KR101690957B1 (ko) 2016-06-07 2017-01-09 고미희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KR20180104916A (ko) * 2017-03-14 2018-09-27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821A (ja) * 2001-04-02 2002-10-08 Daito Denki Kogyo Kk 往復マッサージ装置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KR101399744B1 (ko) * 2013-02-08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추 교정용 안마기
KR101690957B1 (ko) 2016-06-07 2017-01-09 고미희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KR20180104916A (ko) * 2017-03-14 2018-09-27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4916호(2018.9.27.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321978호(2013.10.28. 공고) 1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29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KR20200134733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CN112292187A (zh) * 2019-05-23 2021-01-29 好康株式会社 用于稳定颈部的肌肉锻炼器械
KR102269007B1 (ko) * 2019-05-23 2021-06-24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JP2021530252A (ja) * 2019-05-23 2021-11-11 株式会社ウェルネスWellness Co., Ltd. 首の安定化筋肉鍛錬運動器具
WO2022032372A1 (en) * 2020-08-13 2022-02-17 Sakhrani Andrew Head pressure-resistant device for neck exerci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809B1 (ko) 자세 교정 장치
US20090276960A1 (en) Adjustable Pillow Device
US7775601B2 (en) Back structure for a chair
US7958902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9289346B2 (en) Ergonomic crutch
KR102079343B1 (ko) 거북목 교정기
KR102166752B1 (ko) 경추교정장치
KR101916136B1 (ko)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US20080109961A1 (en) Triangular pillow
KR102079341B1 (ko) 거북목 교정기
KR101539338B1 (ko) 요추견인장치
KR20090002645U (ko) 자세 교정용 의자
JP2021058376A (ja) 首部運動補助具
US10172449B2 (en) Movable computer wrist support with magnetic levitation
KR20190142969A (ko)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CN101374483B (zh) 姿势矫正用运动器具
JP2018033878A (ja) 姿勢保持装置
US20100175730A1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101552528B1 (ko)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WO2013172589A1 (ko) 요추견인장치
KR102472959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102514761B1 (ko) 탄성복원이 가능한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