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645U - 자세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45U
KR20090002645U KR2020070015232U KR20070015232U KR20090002645U KR 20090002645 U KR20090002645 U KR 20090002645U KR 2020070015232 U KR2020070015232 U KR 2020070015232U KR 20070015232 U KR20070015232 U KR 20070015232U KR 20090002645 U KR20090002645 U KR 200900026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ir
posture
back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호
Original Assignee
구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호 filed Critical 구본호
Priority to KR2020070015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645U/ko
Publication of KR20090002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며, 하부 중앙에 접힘 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는 등받이; 상기 접힘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련하여 앉음판과 등받이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켜 않은 자세의 흐트러짐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척추 디스크 환자 또는 골반형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이 치료 후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이점이 있다.
자세 교정용 의자, 등받이, 앉음판, 접힘 수단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의자{POSTURE CORRECTING CHAIR}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음판과 등받이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켜 않은 자세의 흐트러짐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척추 디스크 환자 또는 골반형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이 치료 후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 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의 상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않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한다. 따라서 의자의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편안히 착석할 수 있도록 돕거나,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에 대한 고안은 크게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고안과 앉음판에 주안점을 둔 고안, 그리고 이들의 복합형태의 고안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최근의 고안들은 대체적으로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고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널리 사용되는 일명'하이팩(hipae)'의자는 착석 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부위로부터 골반부에 이르는 신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등받이와 앉음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 부위 및 골반부 전체가 의자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등받이 및 앉음판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착석 상태에서 등을 기댔을 때 등받이가 약간 휘어짐으로써 인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0,097호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등 받이부를 좌우양편의 분할 편으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체로 이루어진 등받이가 변형되는 구조의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하이팩 의자나, 좌우 분할 편으로 이루어진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주로 등받이부의 구조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밀착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의자에 장시간 않아있거나, 의자에 않아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등받이에 등을 비스듬히 기대고, 엉덩이부를 의자 앉음판의 전방에 위치시키는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자세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척추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척추 디스크 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앉음판과 등 받이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켜 않은 자세의 흐트러짐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척추 디스크 환자 또는 골반형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이 치료 후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의 척추 또는 골반뼈를 교정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와 앉음판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접힘 수단에 의해 의자를 펴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는 앉음판과 등받이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켜 않은 자세의 흐트러짐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척추 디스크 환자 또는 골반형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이 치료 후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들의 척추 또는 골반뼈를 교정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등받이와 앉음판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접힘 수단에 의해 의자를 펴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며, 하부 중앙에 접힘 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는 등받이; 상기 접힘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0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며 하부 중앙에 접힘 수단(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10)가 구비되는 등받이(110)와, 상기 접힘 수단(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0)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앉음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자세 교정용 의자(100)에 사용되는 등받이(110)는 통상적인 의자에 장착되는 등받이(110)와 동일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등 부위가 등받이(110)에 최 대한 밀착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110)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만들어 짐에 따라 척추 디스크 환자의 등 부분을 등받이(11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210)에 접힘 수단(200)이 고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앉음판(120)이 상호 연결되어 자세 교정용 의자(100)를 펴거나 접을 수 있어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휴대가 용이한 것이다.
상기 앉음판(120)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121)가 구비됨으로써, 앉음판(120)의 엉덩이 지지부(121)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밀착하여 앉음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100)의 구성인 등받이(110)와 앉음판(120)을 만드는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성질은 기존의 플라스틱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를 첨가하고, 강도, 탄성 등의 성질을 강화시킨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가공하기 간단함으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플라스틱의 재질을 사용하여 등받이(110)와 앉음판(120)을 제작함으로써, 척추 디스크 환자 또는 골반형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가 자세 교정용 의자(100)를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자세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구성인 앉음판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자세 교정용 의자(100)에 사용되는 앉음판(120)은, 상기 엉덩이 지지부(121)의 전면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2)와, 상기 돌출부(122)의 양 측면에 연장되면서 하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앉음판(120)에 형성된 돌출부(122)는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110)에 기대고 엉덩이 부분을 앉음판(12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엉덩이 지지부(121)의 전면 중앙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121)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능선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자연스럽게 끼워지는 유선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벅지 지지부(123)는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이 밀착되게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와 골반의 뼈를 교정시킴은 물론, 또한 자세가 불안전환 사용자에게도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세 교정용 의자(10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접힘 수단(200)은, 상기 등받이(110)의 고정부(210)와 앉음판(120)의 결합부(220)에 고정되어 접히거나 펼 수 있도록 다수의 경첩(230)이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자세 교정용 의자(100)가 펴져 있는 상태에서 접어서 다른 곳으로 휴대가 편 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경첩(230)은 겹첩, 접철(摺鐵), 합엽(合葉)이라고도 하며, 모양이 같이 2개의 쇳조각을 맞물려 만든다. 또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자유 경첩이라고 한다. 또한, 내구성이 큰 프랑스 경첩도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세 교정용 의자(100)는, 예를 들어, 어느 의자 또는 소파 등에 걸쳐 놓음으로 인하여 항상 같은 형태에 척추뼈와 골반뼈를 고정시킴으로써 기브스 효과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조립 과정과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11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부(210)에 경첩(2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경첩(23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경첩(230)에 구비되어 있는 홀과 대응되는 등받이(1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300)에 볼트 결합을 사용하여 체결한다.
다음, 상기 앉음판(1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20)는 상기와 같이 결합된 과정에서 경첩(230)의 하부 부분을 결합부(220)에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경첩(23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경첩(230)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앉음판(120)의 상부에 구비된 관통홀(300)에 볼트 결합을 사용하여 조립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조립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상기 앉음판(120)의 엉덩이 지지부(121)에 밀착과 동시에, 상기 엉덩이 지지부(121)의 전방에 형성된 허벅지 지지부(123)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밀착한다.
상기와 같이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 부분을 상기 등받이(110)에 밀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00)는 현대 생활인에게 동반되는 척추 또는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한 교정문제가 생겨남에 따라, 어떠한 의자 또는 소파 등 입식 생활에서 사용되는 등받이(110)가 있는 형상에 걸쳐 놓음으로써, 척추와 골반의 뼈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실용신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자세 교정용 의자
110 : 등받이
120 : 앉음판 121 : 엉덩이 지지부
122 : 돌출부 123 : 허벅지 지지부
200 : 접힘 수단
210 : 고정부 220 : 결합부
230 : 경첩
300 : 관통홀

Claims (3)

  1.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며 하부 중앙에 접힘 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는 등받이;
    상기 접힘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판은,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전면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에 연장되면서 하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수단은,
    상기 등받이의 고정부와 앉음판의 결합부에 고정되어 접히거나 펼 수 있도록 다수의 경첩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KR2020070015232U 2007-09-12 2007-09-12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900026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32U KR20090002645U (ko) 2007-09-12 2007-09-12 자세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32U KR20090002645U (ko) 2007-09-12 2007-09-12 자세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45U true KR20090002645U (ko) 2009-03-17

Family

ID=4128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232U KR20090002645U (ko) 2007-09-12 2007-09-12 자세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645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36U (ko) * 2009-10-09 2011-04-15 송희영 접이식 의자용 프레임
KR101056058B1 (ko) * 2009-08-10 2011-08-10 김학수 골반 교정용 좌판
KR101155211B1 (ko) * 2011-08-16 2012-06-13 윤욱 요추지지방석
KR101237513B1 (ko) * 2009-09-03 2013-03-06 (주)제롬코리아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KR20180032050A (ko) * 2016-09-21 2018-03-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 및 자세교정 방석
JPWO2018173100A1 (ja) * 2017-03-21 2020-02-06 有限会社Opti 座椅子
KR20210050404A (ko) * 2019-10-28 2021-05-07 윤임식 골반 교정용 의자
KR20230000371U (ko)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티르티르 인체공학적 의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58B1 (ko) * 2009-08-10 2011-08-10 김학수 골반 교정용 좌판
KR101237513B1 (ko) * 2009-09-03 2013-03-06 (주)제롬코리아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KR20110003736U (ko) * 2009-10-09 2011-04-15 송희영 접이식 의자용 프레임
KR101155211B1 (ko) * 2011-08-16 2012-06-13 윤욱 요추지지방석
KR20180032050A (ko) * 2016-09-21 2018-03-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 및 자세교정 방석
JPWO2018173100A1 (ja) * 2017-03-21 2020-02-06 有限会社Opti 座椅子
KR20210050404A (ko) * 2019-10-28 2021-05-07 윤임식 골반 교정용 의자
KR20230000371U (ko)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티르티르 인체공학적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2645U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CN201911670U (zh) 办公椅腰靠装置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CN202191018U (zh) 一种人性化保健座椅
US20160174717A1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CN2894442Y (zh) 趴坐两用椅
KR100430481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CN103989340B (zh) 坐姿矫正座椅
CN207803900U (zh) 坐姿矫正坐具
KR102472959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471106Y1 (ko) 자세교정의자
CN107136816B (zh) 一种坐姿矫正坐具
CN208941254U (zh) 坐姿矫正椅及课桌椅
US20050253434A1 (en) Adjustable back/buttock support,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KR200258166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CN219353432U (zh) 健康运动拉伸座椅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CN204351418U (zh) 可调式坐姿矫正座椅
CN204351415U (zh) 坐姿矫正座椅
KR200466116Y1 (ko) 척추교정용 기도의자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KR100908294B1 (ko) 앉은 자세 교정 기구
CN216723672U (zh) 用于学生矫正坐姿的桌椅
CN215015417U (zh) 一种脊柱健康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