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06Y1 - 자세교정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06Y1
KR200471106Y1 KR2020120004484U KR20120004484U KR200471106Y1 KR 200471106 Y1 KR200471106 Y1 KR 200471106Y1 KR 2020120004484 U KR2020120004484 U KR 2020120004484U KR 20120004484 U KR20120004484 U KR 20120004484U KR 200471106 Y1 KR200471106 Y1 KR 200471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plates
flow
seat plat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008U (ko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2020120004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0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판의 하부에 유동체가 구비되고 이 유동체와 연결되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2개의 측판에 더 구비되며 유동축에 의해 유동체와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가 서로 축설되어 있음에 따라 유동축을 축으로 하여 좌판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을 좌우측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교정 및 골반의 유동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2개의 측판(11)과 상기 2개의 측판(11)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등받이(12)와 2개의 측판(11)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좌판(13)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좌판(13)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에 연결되는 유동체(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좌판(13)이 2개의 측판(11) 양측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는,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체(20)는, 상기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11a)와 상기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11a)와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가 각각 축설되는 유동축(2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세교정의자{POSTURE CORRECTING CHAIR}
본 고안은 자세교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에 의해 바른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좌판의 유동에 의해 척추의 교정도 가능하도록 한 자세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 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 생활 중의 상 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한다.
따라서 의자의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편안히 착석할 수 있도록 돕거나,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는 크게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것과 좌판에 주안점으로 둔 것 그리고 이들의 복합형태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근자들어서는 주로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널리 사용되는 일명 '하이팩(hipac)' 의자는 착석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등 부위로부터 골반부에 이르는 신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등받이와 앉음판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 부위 및 골반부 전체가 의자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등받이 및 앉음판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니도록 설계되어 있어, 착석 상태에서 등을 기댔을 때 등받이가 약간 휘어짐으로써 인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부를 좌우양편의 분할 편으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체로 이루어진 등받이가 변형되는 구조의 의자도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하이팩 의자나 좌우 분할 편으로 이루어진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주로 등받이부의 구조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밀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의자 에 장시간 앉아있거나, 의자에 않아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등받이에 등을 비스듬히 기대고, 엉덩이부를 의자 앉음판의 전방에 위치시키는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자세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척추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척추 디스크 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12-0020329호인 자세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와, 좌판과 다리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의자 본체,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 앞 부분에 놓여지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에 놓이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의자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를 의자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 20-0168727호인 자세 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의자의 좌판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와 사용자의 등부위가 등받이에 올바르게 밀착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부위를 등받이에 올바르게 밀착시키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멜로디나 경보메세지 등의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착석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의자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의자의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시킴으로써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의자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자의 좌판이 좌우 양측으로 유동되도록 함에 따라 올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좌판의 좌우 양측 유동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의 틀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척추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는, 2개의 측판과 상기 2개의 측판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등받이와 2개의 측판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좌판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좌판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측판을 연결하는 지지대에 연결되는 유동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좌판이 2개의 측판 양측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2개의 측판을 연결하는 지지대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체는,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유동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관통하는 유동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2개의 측판 사이에는 스프링고정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대의 상단에는 제1스프링끼움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체의 유동지지대 하부에는 제2스프링끼움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끼움홈과 상기 제2스프링끼움홈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좌판의 하부에 유동체가 구비되고 이 유동체와 연결되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2개의 측판에 더 구비되며 유동축에 의해 유동체와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가 서로 축설되어 있음에 따라 유동축을 축으로 하여 좌판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을 좌우측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교정 및 골반의 유동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교정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의 다른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는, 2개의 측판(11)과 상기 2개의 측판(11)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등받이(12)와 2개의 측판(11)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좌판(13)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2개의 측판(11)과 등받이(12) 및 좌판(13)은,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토피성 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친환경 목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판(11)과 좌판(13) 및 등받이(12)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체결볼트 또는 체결핀과 같은 수단으로 결합 고정한다.
본 고안인 자세교정의자의 좌판(13)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에 연결되는 유동체(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좌판(13)이 2개의 측판(11) 양측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유동체(20)에 의해 좌판(13)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유동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판(13)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좌판(13)의 유동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이 틀어짐을 방지함에 따라 골반의 교정은 물론 이에 따른 척추교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는,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체(20)는, 상기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11a)와 상기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11a)와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가 각각 축설되는 유동축(2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판(13)에 앉은 상태에서 골반을 좌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유동체(20)의 유동축(22)을 축으로 하여 상기 좌판(13)이 좌측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는, 사용자가 좌판(13)에 앉아 좌측방향으로 골반을 움직일 때 상기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축(22)에 축설되어 상기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와 연결되는 상기 좌판(13) 하부의 유동지지대(21)가 골반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좌판(13) 역시 골반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앉은 자세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틀어질 경우 좌판(13)이 같이 유동되기 때문에 좌판(13)의 유동에 따른 사용자 엉덩이 골반이 기울어짐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앉은 자세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틀어진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바른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틀어진 반대방향으로 골반을 움직이게 됨으로써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골반의 틀어짐을 좌판(13)의 유동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골반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른자세로 앉게 되는 바, 이 때 틀어진 골반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골반의 틀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앉은 자세에서의 척추 틀어짐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좌판(13)에 앉은 상태에서 골반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엉덩이의 흔들림 동작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틀어진 골반은 물론 척추의 교정 효과도 더불어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좌판(13)의 유동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과 척추의 틀어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바른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13)의 유동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를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기울일 수 있어 틀어진 골반이나 척추의 교정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2개의 측판(11) 사이에는 스프링고정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대(14)의 상단에는 제1스프링끼움홈(14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체(20)의 유동지지대(21) 하부에는 제2스프링끼움홈(21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끼움홈(14a)과 상기 제2스프링끼움홈(21a)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스프링(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30)이 더 구비되면, 스프링(30)의 지지력 및 복원력에 의해 좌판(13)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의 유동에 따른 지지력 및 복원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좌판(13)이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완전히 기울어짐에 따라 좌판(13)으로부터 사용자의 엉덩이가 미끄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 : 측판 11a : 제1지지대
11b : 제2지지대 12 : 등받이
13 : 좌판 14 : 스프링고정대
14a : 제1스프링끼움홈 20 : 유동체
21 : 유동지지대 21a : 제2스프링끼움홈
22 : 유동축 30 : 스프링

Claims (3)

  1. 2개의 측판(11)과 상기 2개의 측판(11)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등받이(12)와 2개의 측판(11)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좌판(13)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좌판(13)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에 연결되는 유동체(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좌판(13)이 2개의 측판(11) 양측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2개의 측판(11)을 연결하는 지지대는,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체(20)는,
    상기 제1지지대(11a)와 제2지지대(11b)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11a)와 상기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11a)와 유동지지대(21) 및 제2지지대(11b)가 각각 축설되는 유동축(2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판(11) 사이에는 스프링고정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대(14)의 상단에는 제1스프링끼움홈(14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체(20)의 유동지지대(21) 하부에는 제2스프링끼움홈(21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끼움홈(14a)과 상기 제2스프링끼움홈(21a)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스프링(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
KR2020120004484U 2012-05-29 2012-05-29 자세교정의자 KR200471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84U KR200471106Y1 (ko) 2012-05-29 2012-05-29 자세교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84U KR200471106Y1 (ko) 2012-05-29 2012-05-29 자세교정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08U KR20130007008U (ko) 2013-12-09
KR200471106Y1 true KR200471106Y1 (ko) 2014-02-06

Family

ID=5141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84U KR200471106Y1 (ko) 2012-05-29 2012-05-29 자세교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75A (ko) 2020-04-28 2021-11-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04B1 (ko) * 2021-03-12 2021-07-22 주식회사 현원 자세 교정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57Y1 (ko) * 2010-03-26 2011-09-22 박기태 자세교정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57Y1 (ko) * 2010-03-26 2011-09-22 박기태 자세교정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75A (ko) 2020-04-28 2021-11-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08U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02241T3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CN207477249U (zh) 一种智能健康椅人体工学椅背及使用其的智能健康椅
KR20090002645U (ko) 자세 교정용 의자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0471106Y1 (ko) 자세교정의자
JP6325981B2 (ja) スライダー方式を利用した矯正椅子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KR200438997Y1 (ko)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CN203776459U (zh) 平衡脊柱的消劳座椅
CN107048806A (zh) 一种智能健康椅人体工学椅背
CN107136816B (zh) 一种坐姿矫正坐具
KR101052551B1 (ko) 의자
KR200455757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KR20150049114A (ko) 책상 일체형 무릎의자
KR20130081423A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1173247B1 (ko) 슬라이더 방식을 이용한 교정의자
CN209171745U (zh) 一种新型书房椅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CN201263522Y (zh) 可调节腰靠的椅子靠背结构
KR100908294B1 (ko) 앉은 자세 교정 기구
KR200470425Y1 (ko) 골반균형 및 둔부고정용 방석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