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97Y1 -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97Y1
KR200438997Y1 KR2020070002642U KR20070002642U KR200438997Y1 KR 200438997 Y1 KR200438997 Y1 KR 200438997Y1 KR 2020070002642 U KR2020070002642 U KR 2020070002642U KR 20070002642 U KR20070002642 U KR 20070002642U KR 200438997 Y1 KR200438997 Y1 KR 200438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eat
block
chair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07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5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springs; Adjustable springs; Attachment of springs to other springs or to the base frame ; Springs for seat par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중간에 좌판지지대가 구비되어 좌판이 결합되고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등판이 결합되는 학습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지지대(24)와 좌판(14)사이에는 착석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포워딩 틸팅수단(4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40)은, 상기 좌판지지대(24)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42)과 상기 좌판(14)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44)이 힌지축(46)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에게 최적의 자세로 집중할 수 있도록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의자에 앉을 때 허리와 무릎사이의 각도를 크게 하므로써, 요추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study chair with a tilting seat}
도1은 종래 학습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의자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의자에서 포워딩 틸팅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좌판이 앞쪽으로 틸팅된 상태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의 학습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좌판 24 : 좌판지지대
40 : 포워딩 틸팅수단 42 : 하측 시트블록
44 : 상측 시트블록 46 : 힌지축
48 : 비틀림 스프링 50 : 범퍼
본 고안은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교실이나 학원 강의실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학습용 의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가 절곡되어 이루어진 프레임(1)의 중간에 좌판(2)이 고정되고, 프레임(1)의 상부 후측에 등판(3)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학습용 의자는 좌판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책상에서 장시간 책을 읽거나 쓰기를 할 때 불편한 자세로 인해 허리통증이나 허리디스크를 발생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좌판이 기울어지지 않는 의자에 허리를 굽힌 상태로 장시간 앉아 공부하거나 일을 하게 되면 척추는 활처럼 휜 모양을 하게 되어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은 전단하중을 심하게 받아 한쪽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밀려난 추간판은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허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학습용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에게 최적의 자세로 집중할 수 있도록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의자에 앉을 때 허리와 무릎사이의 각도를 크게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는, 프레임의 중간에 좌판지지대가 구비되어 좌판이 결합되고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등판이 결합되는 학습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지지대와 좌판사이에는 착석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포워딩 틸팅수단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은, 상기 좌판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과 상기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이 힌지축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시트블록의 상면과 상기 상측 시트블록의 저면은 요동에 따라 접촉하되, 상기 하측 시트블록의 상면에서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앞쪽면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좌판의 뒷쪽이 눌리지 않을 시에 상기 상측 시트블록의 앞저면과 상기 하측 시트블록의 경사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상측 시트블록과 하측 시트블록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좌판과 좌판 지지대의 앞측과 뒷측에는 좌판이 요동할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좌판과 좌판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범퍼가 결합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나누어진 학습용 프레임 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의자는, 등판(12)과 좌판(14)이 결합된 상부프레임(20)과, 의자의 베이스와 다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포스트(22)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30)의 하부포스트(32) 상단이 커넥터(16)을 매개로 서로 끼워져 결합되어 도시하지 않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좌판(14)을 지지하는 좌판지지대(24)를 구비하고, 상기 좌판지지대(24)와 좌판(14)사이에는 착석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14)이 앞쪽으로 기울어지 도록 포워딩 틸팅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도2는 좌판(14)의 뒷쪽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이다(도5a 참조).
상기 좌판지지대(24)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양측 상부포스트(22)를 잇는 상수평대(23)의 위치에 그 단부가 용착되어 앞측으로 돌출된 ㄷ 형 절곡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30)은 하부가 바닥에 닿으며 L자로 이루어진 양측 하부포스트(32)의 하부를 하수평대(33)가 연결하고, 상기 하부포스트(32)의 구부려진 부분의 외측에는 의자가 넘어지지 않도로 지지리브(34)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40)은, 상기 좌판지지대(24)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42)과 상기 좌판(14)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44)이 힌지축(46)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하측 시트블록(42)과 상측 시트블록(44)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상기 좌판지지대(24) 및 좌판(14)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상면과 상기 상측 시트블록(44)의 저면은 요동에 따라 접촉하되,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상면에서 상기 힌지축(46)을 기준으로 앞쪽면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42a)으로 이루어지고, 좌판(14)의 뒷쪽이 눌리지 않을 시에 자연적으로 상기 상측 시트블록(44)의 앞저면과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경사면(42a)이 접촉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상측 시트블록(44)과 하측 시트블록(42)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48)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40)은 상기 좌판지지대(24)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포스트(22)에서 상기 좌판지지대(24)의 돌출길이(L)의 2/3 L 가 량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저면은 상기 좌판지지대(24)의 원통면에 밀착하도록 곡면(42b)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곡면(42b)의 중간에는 상기 좌판지지대(24)에 끼워지는 돌기(4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14)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시트블록(44)에 끼워지는 돌기(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시트블록(42)과 상측 시트블록(44)은 그 대향면에 형성된 걸림보스부(42d, 44d)에 의해 서로 맞추어져 끼워지고, 상기 힌지축(46)이 상기 걸림보스부(42e, 44d)를 관통하여 너트(47)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좌판(14)과 좌판 지지대(24)의 앞측과 뒷측에는 좌판(14)이 요동할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좌판(14)과 좌판 지지대(24)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범퍼(50)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판(14) 저면의 앞측과 뒷측에 범퍼(5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도4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에서 착석자가 좌판(14)의 뒷쪽을 가압되지 않을 시에 자연상태를 나타낸다(도5b 참조).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상태에서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48 : 도3에 도시)에 의해 좌판(14)이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도5a는 착석자가 의자에 일반적인 자세로 앉아 있을 경우의 그림이다. 이때 좌판(14)의 힌지점(H)은 의자의 앞쪽으로 치우쳐져 있고 착석자(M)의 무게중심은 뒷쪽에 있으므로 좌판(14)이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착석자(M)가 조금 일어서게 되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 림 스프링(48 : 도3에 도시)에 위해 좌판(14)은 스스로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좌판(14)의 앞단이 기울어지면 착석자의 대퇴부 및 오금부와 좌판 앞단과의 간섭을 막아주고, 사용자의 골반은 좌판과 함께 회전하여 허리와 무릎사이의 각도를 크게 하여(A에서 A+α로) 요추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게 된다. 이때, 좌판(14)의 틸팅각(α)은 상체가 좌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인 10도 이내가 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에 앉을 때에 허리와 무릎의 각도가 클수록 요추부의 추간판은 압박을 적게 받게 된다. 서 있을 때에 가깝게 앉도록 하는 의자가 허리 건강을 지키는 의자로 할 수 있다. 좌판이 앞쪽으로 틸팅되면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허리를 펴게 되고 무릎과 허리 사이의 각이 커져서 척추 후만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다.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는 책상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의자를 사용하면 책은 시야에서 더 가까워지고 책읽기에 좋은 각도가 되며, 목을 심하게 구부리지 않아도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에 의하면,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에게 최적의 자세로 집중할 수 있도록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의자에 앉을 때 허리와 무릎사이의 각도를 크게 하므로써, 요추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한다.

Claims (3)

  1. 삭제
  2. 프레임의 중간에 좌판지지대가 구비되어 좌판이 결합되고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등판이 결합되는 학습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지지대(24)와 좌판(14)사이에는 착석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포워딩 틸팅수단(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40)은, 상기 좌판지지대(24)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42)과 상기 좌판(14)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44)이 힌지축(46)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상면과 상기 상측 시트블록(44)의 저면은 요동에 따라 접촉하되,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상면에서 상기 힌지축(46)을 기준으로 앞쪽면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42a)으로 이루어지고,
    좌판(14)의 뒷쪽이 눌리지 않을 시에 상기 상측 시트블록(44)의 앞저면과 상기 하측 시트블록(42)의 경사면(42a)이 접촉하도록 상기 상측 시트블록(44)과 하측 시트블록(42)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48)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판(14)과 좌판 지지대(24)의 앞측과 뒷측에는 좌판(14)이 요동할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좌판(14)과 좌판 지지대(24)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범퍼(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KR2020070002642U 2007-02-14 2007-02-14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KR200438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2U KR200438997Y1 (ko) 2007-02-14 2007-02-14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2U KR200438997Y1 (ko) 2007-02-14 2007-02-14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97Y1 true KR200438997Y1 (ko) 2008-03-17

Family

ID=4162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642U KR200438997Y1 (ko) 2007-02-14 2007-02-14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630B1 (ko) 2017-04-27 2018-12-21 김정관 기능성 의자
CN111449447A (zh) * 2019-01-22 2020-07-28 北京联蓬机电技术有限公司 坐垫、座椅以及针对健身的系统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630B1 (ko) 2017-04-27 2018-12-21 김정관 기능성 의자
CN111449447A (zh) * 2019-01-22 2020-07-28 北京联蓬机电技术有限公司 坐垫、座椅以及针对健身的系统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59B1 (ko) 2019-02-07 2021-07-06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9334C (en) Chair
US5316375A (en) Back support and internal frame
US7073864B2 (en) Stackable chair with flexing frame
US5577801A (en) Active dynamic seat
JP2009511160A5 (ko)
JPS6332441B2 (ko)
CN103799741A (zh) 座椅靠背,座椅装置及方法
KR200438997Y1 (ko)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US20120217777A1 (en) Sitting Arrangement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US20150223611A1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KR101915049B1 (ko)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US8672405B2 (en) Sitting arrangement
KR200471106Y1 (ko) 자세교정의자
CN201079167Y (zh) 一种改进的转椅
US2027125A (en) Reclining chair
US20190159596A1 (en) Chair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KR102220314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200003987A (ko)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04208813A (ja) 椅子
KR200443036Y1 (ko) 척추기립근을 지지하는 의자등받침대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