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49B1 -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49B1
KR101915049B1 KR1020180039609A KR20180039609A KR101915049B1 KR 101915049 B1 KR101915049 B1 KR 101915049B1 KR 1020180039609 A KR1020180039609 A KR 1020180039609A KR 20180039609 A KR20180039609 A KR 20180039609A KR 101915049 B1 KR101915049 B1 KR 10191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base
fixing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요
Original Assignee
허남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요 filed Critical 허남요
Priority to KR102018003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따라 의자의 좌판이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요추를 곧바로 세운 자세에서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고 필요에 따라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부에는 다리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이 장착되며,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좌판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의자의 다리가 장착되며, 정면과 배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축 장착홀과, 상기 고정축 장착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는 네 개의 스프링 안착돌기와, 상기 스프링 안착돌기에 안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중앙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상부 판넬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네 개의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베이스와;
금속 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에는 좌판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고,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개된 후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에 상하로 연장되는 장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가이드홀를 구비하는 상부 판넬과;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은 상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며 수직 이등분된 형태의 복수 개의 고정훅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판넬의 고정축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직 관통된 고정홀을 상기 고정훅의 상부가 수축하면서 삽입된 후 팽창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스커트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The chair that have a tilting base}
본 발명은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따라 의자의 좌판이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요추를 곧바로 세운 자세에서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고 필요에 따라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등판과 좌판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좌판의 하부에 지지다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쿠션재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많은 사람들이 안락함을 강조하는 의자를 선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안락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쿠션재가 내장되는 종류의 것은 사용자가 고정된 자세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에 혈액 및 양분의 공급이 차단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고, 특히 잘못된 자세에서 오래 앉아 있게 되면 척추측만 또는 척추후만이 발생하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방안으로 사용자의 앉은 위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좌판이 전후 및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이는 틸팅 방식의 의자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의자의 경우 사용자가 요추를 곧바로 세워 앉도록 유도하여 척추가 휘는 것을 방지하고 휜 척추를 교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앉은 자세에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도 틸팅이라고 하지만 좌판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우는 방식 또한 틸팅 의자라고 하며, 틸팅이 이루어지는 구조 및 틸팅 후 복원되려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구조에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43561-0000호 (2001년08월08일)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8-0004603호 (2008년10월1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67804-0000호 (2013년05월21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1109-0000호 (2014년01월27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구조에 의하여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안정적으로 기울어지면서 원위치로 돌아가는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는 다리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이 장착되며,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좌판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의자의 다리가 장착되며, 정면과 배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축 장착홀과, 상기 고정축 장착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는 네 개의 스프링 안착돌기와, 상기 스프링 안착돌기에 안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중앙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상부 판넬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네 개의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베이스와;
금속 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에는 좌판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고,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개된 후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에 상하로 연장되는 장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가이드홀를 구비하는 상부 판넬과;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은 상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며 수직 이등분된 형태의 복수 개의 고정훅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판넬의 고정축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직 관통된 고정홀을 상기 고정훅의 상부가 수축하면서 삽입된 후 팽창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스커트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의 하부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축이 상부 판넬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안정적으로 기울어지면서 요추를 곧바로 세운 자세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고 필요에 따라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판넬 및 스커트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후 방향 틸팅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방향 틸팅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판넬 및 스커트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후 방향 틸팅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방향 틸팅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하부에는 다리(21)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22)이 장착되며,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좌판(22)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베이스(1)를 구비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2)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의자의 다리가 장착되며, 정면과 배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축 장착홀(111)과, 상기 고정축 장착홀(11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축(112)과, 상기 고정축(11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는 네 개의 스프링 안착돌기(113)와, 상기 스프링 안착돌기(113)에 안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114)을 구비하는 하부 베이스(11)와;
금속 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에는 좌판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고,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개된 후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편(121)과, 상기 절곡편(121)에 상하로 연장되는 장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112)이 관통하는 가이드홀(122)를 구비하는 상부 판넬(12)과;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은 상기 상부 판넬(12)에 고정되는 스커트 부재(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기본 원리는 고정된 하부 베이스(11)에 상부 판넬(12)이 전후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하부 베이스(11)에 장착되는 고정축(112)이 상부 판넬(12)의 가이드홀(122)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되고, 가이드홀(122)이 상하로 연장되는 장홀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네 개의 압축코일스프링(114)은 상부 판넬(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쿠션감을 주는 것과 동시에 틸팅된 상부 판넬(12)이 외력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돌아오려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는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22)에는 고정축(112)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또는 상하 이동에 유격이 없으면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시를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중앙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14)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상부 판넬(12)에 형성되는 장착홀(123)에 삽입되는 네 개의 스프링 고정부재(115)를 추가로 구비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압축코일스프링(114)을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판넬(12)에서 제작의 용이성과 반복되는 틸팅에 의한 내구성의 확보를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압축코일스프링(114)이 안착되는 홈이나 돌기가 아닌 별도의 스프링 고정부재(115)가 장착홀(123)에 삽입되는 형태로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원의 스커트 부재(13)는 하부 베이스(11)와 상부 판넬(1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틸팅을 위한 상하 유격이 있으며 이러한 유격이 외부에서 보이면 심미감이 떨어지고 자칫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 부재(13)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며 수직 이등분된 형태의 복수 개의 고정훅(1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판넬(12)에는 상기 고정훅(131)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직 관통하여 상기 고정훅(131)의 상부가 수축하면서 삽입된 후 팽창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고정홀(12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1 :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11 : 하부 베이스
111 : 고정축 장착홀 112 : 고정축
113 : 스프링 안착돌기 114 : 압축코일스프링
115 : 스프링 고정부재
12 : 상부 판넬
121 : 절곡편 122 : 가이드홀
123 : 장착홀 124 : 고정홀
13 : 스커트 부재
131 : 고정훅
2 : 의자
21 : 다리
22 : 좌판

Claims (3)

  1. 하부에는 다리(21)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22)이 장착되며,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좌판(22)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베이스(1)를 구비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의자의 다리가 장착되며, 정면과 배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축 장착홀(111)과, 상기 고정축 장착홀(11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축(112)과, 상기 고정축(11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는 네 개의 스프링 안착돌기(113)와, 상기 스프링 안착돌기(113)에 안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114)과,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중앙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14)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상부 판넬(12)에 형성되는 장착홀(123)에 삽입되는 네 개의 스프링 고정부재(115)를 구비하는 하부 베이스(11)와;
    금속 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에는 좌판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고,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개된 후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편(121)과, 상기 절곡편(121)에 상하로 연장되는 장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112)이 관통하는 가이드홀(122)를 구비하는 상부 판넬(12)과;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은 상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며 수직 이등분된 형태의 복수 개의 고정훅(13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판넬(12)의 고정축(131)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직 관통된 고정홀(124)을 상기 고정훅(131)의 상부가 수축하면서 삽입된 후 팽창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스커트 부재(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KR1020180039609A 2018-04-05 2018-04-0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KR10191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09A KR101915049B1 (ko) 2018-04-05 2018-04-0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09A KR101915049B1 (ko) 2018-04-05 2018-04-0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49B1 true KR101915049B1 (ko) 2018-11-06

Family

ID=6432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609A KR101915049B1 (ko) 2018-04-05 2018-04-0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051B2 (ja) * 1989-08-09 2000-10-10 アルカテル・エヌ・ブイ Atmシステム用スイッチ回路網およびスイッチ―回路網モジュール
JP2002119362A (ja) *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051B2 (ja) * 1989-08-09 2000-10-10 アルカテル・エヌ・ブイ Atmシステム用スイッチ回路網およびスイッチ―回路網モジュール
JP2002119362A (ja) *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8033A1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US9585485B2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JP5702479B2 (ja) 一体型背板セル付きの椅子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KR101915049B1 (ko)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JP2011161123A (ja) 椅子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1232825B1 (ko) 의자
JP2005058719A (ja) 揺動椅子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729687B2 (ja) 座部の傾動機構付き椅子
JP2013132402A (ja) 椅子
JP4950486B2 (ja) 椅子
KR102399313B1 (ko) 의자
KR102273422B1 (ko)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JP3461013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1995570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20200003987A (ko)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751556B2 (ja) 椅子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KR101635091B1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JP5935320B2 (ja) 椅子
JP2017169965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