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59B1 -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 Google Patents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459B1
KR102273459B1 KR1020200015228A KR20200015228A KR102273459B1 KR 102273459 B1 KR102273459 B1 KR 102273459B1 KR 1020200015228 A KR1020200015228 A KR 1020200015228A KR 20200015228 A KR20200015228 A KR 20200015228A KR 102273459 B1 KR102273459 B1 KR 10227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elastic member
us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221A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김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filed Critical 김창용
Publication of KR2020009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과; 상기 시트의 하부측에 상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가지는 하부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시트를 틸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유닛;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tilting chair}
본 발명은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연동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 무빙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의자에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자의 형태나 기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인체공학적인 설계요소들이 반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의자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 의해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는 135ㅀ임이 증명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한 의자 즉, 시트를 틸팅 시킬 수 있는 의자들이 제안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의자의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고, 의자의 앞부분에 넘어지지 않도록 무릎받침대(Knee Cushion)를 설치한 의자가 들이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닐링 체어(Kneeling Chair)는 인체공학 의자로 알려져 있으나 의자의 구조가 복잡해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의자에 사용자가 의자 좌판에 앉은 자세로 상체를 앞쪽으로 숙이게 되면, 사용자의 등이 등판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허리가 굽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면 허리에 많은 통증과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58639호에는 좌판틸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좌판틸팅장치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성스프링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 하면에 상기 틸팅유닛의 개구를 폐쇄하는 곡면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 상기 틸팅유닛이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에 대응되는 곡면요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지지유닛의 곡면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굴대; 상기 지지유닛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유닛에 쿠션시트의 중앙부가 지지되고, 시트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쿠션시트의 회동각도에 따른 균일한 회동력을 제공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049호에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490호에는 시트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되는 구조의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시트의 전방위 방향으로의 틸팅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하중분산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시트에 앉는 사용자가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거나, 뒤로 젖혀지는 자세 또는 옆으로 기우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 시트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자세만 변화되기 때문에 척추가 불안정하게 휘어지면서 신체적으로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 2686529호에는 좌부의 경사각도가 자유자재인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각각 신장, 압축 및 휨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개의 고무체로 구성되는 경사수단을 좌부의 하면과 다리부 상단 지지부 사이에 개재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고무체를 좌부의 중심을 전후좌우에서 둘러싸도록 또한 사용자가 앞으로 기운 자세로 앉았을 경우에 그 앞쪽으로 기움의 정도에 따라 중심이 전측의 고무체 보다 후방 및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좌부의 경사각도가 자유자재인 의자는 좌판과 고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수단이 복수개의 고무체가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의자는 고무체가 사용자의 기운자세로 앉은 경우에 따라 배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규격화 된 의자의 대량생산이 어렵고, 사용자에 따라 경사수단을 조정 및 제작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7-007249호에는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착좌면을 가지는 좌부체를 구비하는데, 이 좌부체가 하방에 배설된 지지체에 대해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상기 좌부체는 이를 틸팅시키는 틸팅중심축의 주위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틸팅중심축에 대한 지름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좌부체와 결합되고 상기 좌부체를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틸팅 방향으로 캔틸레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지지체가 지지된 착탈부재가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좌부체에 고정된 스토퍼가 착탈부재에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탄성력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97호에는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좌판지지대와 좌판사이에는 사용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포워딩 틸팅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은, 상기 좌판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과 상기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이 힌지축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상측 시트블록과 하측 시트블록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된다.
상술한 종래 학습용 의자는 상하측 시트블록이 좌판지지대와 좌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틸팅 시킬 수 있으나 전방위 적으로 틸팅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586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049호 000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490호 0004)일본 등록특허 제 2686529호 0005)일본 공개 특허 제 2007-007249호 0006)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되어 척추가 변화자세와 관계없이 곧게 유지될 수 있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착석 시 사용자 무릅상부의 대퇴부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줄여 상체와 하체간의 혈행을 원할 하게하는 시트 무빙을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결합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상하부측 일부가 자유단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신축성과 탄성반발력의 조정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무빙을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측에 상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가지는 하부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시트를 틸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시트에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결합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하부결합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플렌지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탄성부재가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와 시트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무빙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시트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한 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틸팅형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른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변화자세와 관계없이 척추가 곧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되며, 피로감 통증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등을 위하여 시트의 전면측에 힙이 위치되는 경우, 대퇴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사용자의 하체측으로 혈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어 허리를 뒤로 젖히는 경우,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상체의 각도와 하체의 각도를 줄여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허리가 꺽이어 척추에 무리한 하중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시트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앉은 경우, 하중에 의해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힙에 대해 척추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에 의해 지지된 탄성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제 1자유단부를 제공함으로써 압축되는 탄성부재가 원주방향으로만 팽창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 하부결합플랜지는 제 1,2자유단부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탄성부재의 신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트와 베이스부가 무빙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빙유닛의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시트와 베이스부가 무빙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의 시트 전면측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의 시트 후면측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9는 시트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무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측단면도.
도 10는 시트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다른 실시예의 무빙유닛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측단면도.
도 11은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하중이 좌측 또는 후측으로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배면도,
도 12는 베이스부에 설치된 스토퍼부재에 의해 틸팅된 시트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에 사용자가 등으로 뒤로 젖히고 않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일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본체와 무빙유닛에 의해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는 하부본체(20)와 무빙유닛(30)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틸팅되는 시트(60)와, 상기 하부본체(20)에 지지되며 전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등받이부(7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의 하부본체(20)는 무빙유닛(30)을 사이에 두고 시트(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4)와, 상기 지지부(24)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21)의 상면은 무빙유닛(30)와 결합되는 결합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면은 등받이부(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탄성바이어스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25)는 지지부(2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바퀴(26)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7)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4)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시트(6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60)는 상면에 쿠션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상면은 복합곡율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60)의 전면측은 대퇴부와 접촉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부(70)는 베이스부(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등받이프레임부(7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받이시트부(73)와, 등받이프레임부(71)의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부(7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유닛(30)은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60)에 사용자가 앉음으로서 시트(60)에 가하여지는 자중에 따라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빙유닛(30)은 탄성부재(31)의 상면에 결합 또는 접합되어 시트(60)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결합플랜지(35)와, 탄성부재(31)의 하면에 결합또는 접합되며 베이스부(21)에 하부체결부재에 의해 하부결합플랜지(3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21)에는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의 결합을 위한 인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의 상면과 접합되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 1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에는 상기 탄성부재(31)하면과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2관통공(37a)이 형성된다. 상기 상, 하부결합플랜지(35)(37)에 형성되는 제 1,2관통공(35a)(37a)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결합플랜지(37)와의 결합지지력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의 제1관통공(35a)의 형성부위와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의 제2관통공(37a)의 형성부위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측과 하부측이 일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부(37b)가 형성되어 탄성변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부결합플랜지부(35)(36)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사이에 무빙유닛(30)의 설치 시 이들의 사이의 간격을 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의 가장자리측에는 탄성부재(31)의 변형 시 상호 첩촉되어 탄성변형을 제어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1)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35a)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33)와, 상기 본체부(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37a)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자유단부(33)(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2)의 수직 중심선과 동축선 상에 형성되거나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경우,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한 탄상부재(31)를 본체부(32)와 접합되는 면적 즉, 지지면적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와 접합 면적이 넓은 방향이 접합면적이 좁은 방향보다 탄성력을 크게 받게되어 전후, 좌우방향으로의 틸팅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1)는 고무소재 또는 합성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질고무소재와 경질고무소재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연질고무소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60)의 전, 후방향으로의 탄성력 차이가 발생되거나 좌우방향의 탄성력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를 이루는 경질고무소재와 연질고무소재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수직방향으로 배열하여 시트(60)에 가하여지는 하중에 의한 반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1)는 시트(6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하중에 의한 반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1)의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반력 즉,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의 형상의 관통공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1)에 무징유닛(3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25)를 형성하고, 무빙유닛(30)을 장착공의 하부에서 삽입한 후 하부결합플랜지(27)를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21)과 시트(60) 하면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후술하는 시트(60)의 틸팅을 제한하기 위한 스터퍼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의자의 하부본체(20)를 이루는 베이스부(21)의 상면에는 탄성부재(31)의 하면측이 지지되는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8)는 베이스부(21)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21)에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 탄성부재(31)의 하부측은 베이스부(21)에 인입형성된 지지부(38)에 본딩된다.
그리고 도 2,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1) 또는 시트(60)의 적어도 일측에는 무빙유닛(30)에는 베이스부(21)에 대해 시트(60)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유닛(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유닛(80)은 상기 하부본체(20)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스토퍼부재가 시트(60)가 베이스부(21) 또는 시트(60)의 하면에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유닛(80)이 베이스부(21)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무빙유닛(30)이 설치되는 인입부(22)의 전면측으로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전면스토퍼부(81)와 인입부(22)측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좌,우측스토퍼부(82)(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측스토퍼부(82)(83)에는 상술한 팔걸이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유닛(80)이 스토퍼부재(85)로 이루어진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0)의 하면 또는 베이스부(21)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스토퍼부재(85)들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60)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시트(60)에 사용자가 앉음으로서 변화되는 하중분포에 따라 무빙유닛(30)에 의해 지지된 시트(60)가 틸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가 독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등을 위하여 시트의 전면에 앉은 경우, 시트(60)의 전면에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 하중에 의해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하면에 설치된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60)은 상기 탄성부재(31)를 축으로 하여 전면측으로 회동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힙과 장단지 측의 각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하중이 힙 또는 장단지측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힙과 장단지의 특정부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서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의 혈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자세가 특히, 사용자의 척추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유닛(30)의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31)는 상기 본체부(32)가 반경방향을 압축팽창되는데, 시트(60) 전면측의 본체부(32)가 시트(60)의 후면측 본체부(33) 보다 압축팽창량이 크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는 제1,2관통공(35a)(37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자유단부(33)와 제 2자유단부(34)가 형성된 본체부(32)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압축력에 의해 제1,2관통공(35a)(37a)의 외측으로 자유롭게 팽창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 본체부(32)의 전면측이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한 과도한 압축으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32)의 상하부에 형성된 제 1,2자유단부(33)(34)는 본체부(32)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32)의 원주방향으로의 압축팽창이 극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탄성부재에 크랙, 찢어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힙을 등받이 측으로 밀착시켜 앉은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시트(60)의 후방측에 작용하게 되므로 시트(60)은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가 탄성변형 됨으로써 후방이 전면보다 낮아지도록 틸팅된다. 따라서 시트(60)에 앉은 사용자의 힙은 등방지부(70) 측으로 밀착되고, 사용자의 허리는 등받이부에 밀착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허리 즉, 사용자의 척추가 등받이부 측으로 밀착되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0)는 전면에 앉은 것과 같은 작용으로 보호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트의 중앙부에 앉아 하중이 시트(60)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와 접합되는 본체부(32)의 상, 하부측 가장자리 즉, 제1,2관통공(35a)(37a)과 대응되는 본체부(32)의 제1,2자유단부(33)(34)를 제외한 영역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32)의 가장자리부위가 가압되면서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가압팽창되고, 본체부(32)의 내부 중심방향으로 압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2)의 상하부영역은 상기 제1,2자유단부측으로 압축 팽창됨으로써 탄성부재 본체부(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0)에 앉은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몸을 기울이는 경우, 시트(60)가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에 사용자가 몸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척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21)의 양측에는 전후측에는 스토퍼부재(8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60)가 과도하게 좌,후측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를 되로 젖히고 앉은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히트의 전면측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시트는 전면이 낮아지고 후면측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으로써 젖혀진 등받이부(70)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상체와 하체의 접힘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하중이 힙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 틸팅형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른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자세 변경이 안정적으로 이루짐과 아울러 척추가 변화자세와 관계없이 곧게 유지되어 신체적 무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60)과 베이스부(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무빙유닛의 탄성부재가 특정부위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하부본체 21: 베이스부
30: 무빙유닛
31: 탄성부재 32:본체부
33: 제1자유단부 34: 제 2자유단부
35: 상부결합플랜지 35a: 제 1관통공
37: 하부결합플랜지 37a: 제 2관통공
71: 등받이부

Claims (4)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측에 상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가지는 하부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시트를 틸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시트에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결합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하부결합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플렌지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제 1,2자유단부가 형성되고, 일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탄성부재가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시트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 또는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무빙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시트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유닛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측으로 전면측으로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전면스토퍼부와 인입부측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좌,우스토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0200015228A 2019-02-07 2020-02-07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33 2019-02-07
KR20190014233 2019-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221A KR20200097221A (ko) 2020-08-18
KR102273459B1 true KR102273459B1 (ko) 2021-07-06

Family

ID=7229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228A KR102273459B1 (ko) 2019-02-07 2020-02-07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4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49A (ja) 2005-07-01 2007-01-18 Houtoku:Kk 椅子
KR200438997Y1 (ko) 2007-02-14 2008-03-17 주식회사 퍼시스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6529A (en) 1950-04-05 1954-08-17 Lanninger Karl Ludwig Movable pipe line
JP2686529B2 (ja) * 1987-07-16 1997-12-08 敬弼 高藤 座部の傾斜角度が自由自在の椅子
JP4227069B2 (ja) 2004-05-07 2009-02-18 ローム株式会社 光電変換デバイス、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光電変換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758639B1 (ko) 2006-12-28 2007-09-13 윤경호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1009490B1 (ko) 2010-04-28 2011-01-21 주식회사 토치 앉는 위치가 조절되는 좌판부의 이동구조를 갖는 의자
KR101915049B1 (ko) 2018-04-05 2018-11-06 허남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49A (ja) 2005-07-01 2007-01-18 Houtoku:Kk 椅子
KR200438997Y1 (ko) 2007-02-14 2008-03-17 주식회사 퍼시스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221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US5411316A (en) Single piece chair shell
US8177299B2 (en) Chair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JPH0146127B2 (ko)
WO2002032267A1 (fr) Chaise
RU2540392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CA2985077A1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JP4139812B2 (ja) 着席装置用に適した可動継手
US11583085B2 (en) Motion chair
CN112826263B (zh) 一种椅子结构
JP4729687B2 (ja) 座部の傾動機構付き椅子
US20120119552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2273459B1 (ko)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1690054B1 (ko) 유동좌판식 요추의자
JP4181266B2 (ja) 椅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JP6777281B2 (ja) 椅子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JP4197045B2 (ja) 椅子
WO2006107214A1 (en) Chair comprising a plate body attached to a base where a part of said plate body is designed as a torsion body.
JP4061103B2 (ja) 椅子の座の構造
WO2021141073A1 (ja) 椅子、座部および背もた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