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752B1 - 경추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경추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752B1
KR102166752B1 KR1020200115973A KR20200115973A KR102166752B1 KR 102166752 B1 KR102166752 B1 KR 102166752B1 KR 1020200115973 A KR1020200115973 A KR 1020200115973A KR 20200115973 A KR20200115973 A KR 20200115973A KR 102166752 B1 KR102166752 B1 KR 10216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ck
cervical
vertebra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준혁
Original Assignee
고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혁 filed Critical 고준혁
Priority to KR102020011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752B1/ko
Priority to KR1020200130904A priority patent/KR102382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를 보호하면서 그 구조에 의해 반복 운동 시 거북목 및 일자목을 교정할 수 있는 경추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 및 완충하는 목운동부와, 상기 목운동부에서 목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운동부와 근접하여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경사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스프링에 의해 완충 작동되는 머리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추교정장치{DEVICE FOR CORRECTING VERTEBRAE}
본 발명은 경추교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경추를 보호하면서 그 구조에 의해 반복 운동 시 거북목 및 일자목을 교정할 수 있는 경추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척추의 맨 윗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약 10㎏ 정도의 무게를 갖는 머리를 지탱하고 신체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켜, 인체의 직립구조를 무리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정상 커브 각이 약 63°가량을 유지하는 느슨한 반원형(C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C자 곡선이 있는 경추는 잘못된 생활습관과 외상으로 인해 경추의 C자 곡선이 변형되면 목디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목 디스크는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삐져나오거나, 뼈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목으로 지나가는 경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뒷목 통증부터 저림, 감각 둔화 등의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질환을 자각하기가 쉽지 않아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며 중증으로 발전할 경우 중추신경 마비로 인한 호흡곤란, 전신마비 등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추 변형의 대표적인 예는, 거북목으로 이는 목디스크의 주요한 원인이자, 목디스크와 가장 많이 혼동하는 질환이며 머리의 하중이 목으로 집중되어 경추의 디스크의 노화를 가속시켜 목디스크를 유발하게 된다.
이는 최근 컴퓨터를 이용하는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모니터를 볼 때 턱을 앞으로 빼는 잘못된 습관이 반복되거나, 목을 곧게 편 자세로 장시간 이상 서 있는 등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나타나는 잘못된 자세에 기인 된다.
경추의 C자 곡선은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거북목이 되면 충격 완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외부 충격이 척추와 머리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경추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 역시 지속적인 압박을 받게 되어 납작하게 찌그러지게 되므로 거북목을 방치한다면 목디스크가 생기거나, 경추에 퇴행성 질환이 생길 위험이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에 따라 20대 경추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0-0000363호(공개일 2010년01월06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10-2029765호(공고일 2019년10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경추지지부에 장착되어 사용자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운동부와, 사용자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머리운동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거북목과 일자목의 운동 효과를 높여 교정을 돕는 경추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 및 완충하는 목운동부와, 상기 목운동부에서 목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운동부와 근접하여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경사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스프링에 의해 완충 작동되는 머리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지지부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수평면 일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의 후측으로 상기 수평면보다 단차지고 원호 형태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면에는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완충용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목운동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측에 근접하여 중공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하면으로 지지홈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에 관통 삽입되며 목부위가 받쳐지는 원통받침과, 상기 원통받침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 및 수직기둥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통받침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에 삽입 위치되는 제1원통체와, 상기 제1원통체의 외주연에 완충제가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원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운동부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측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중앙에 삽입되어 압축 및 신장시키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두부를 지지하는 곡면의 머리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지지체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을 향하되, 상기 지지공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추교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지지부를 이용함으로써, 경추의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어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경추 및 경추 사이의 디스크와 목 근육에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일자목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목운동부와 머리운동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쿠션감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운동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경추교정장치(100)는, 크게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110)와, 경추지지부(110)에 설치되어 목을 지지하는 목운동부(120)와, 경추지지부(1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운동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경추지지부(11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제작되고,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추지지부(110)는 바닥면은 평편하고, 상면은 일면이 높고 바닥면을 향할수록 경사진 경사면(112)을 형성하고, 더욱이 경사면(112)에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홈부(112a)가 형성되며, 홈부(112a)에는 완충용 패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부연하여, 완충용 패드는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누웠을 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고탄성 스폰지의 기능으로 적당한 탄성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딱딱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푹 꺼지는 듯한 느낌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일반 베개와 차별화된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외에도 인체의 체온과 압력에 부드럽게 반응하면서 그 형상이 변화하고 천천히 완벽복원되도록 메모리폼(Memory Foam)이나 라텍스와 같은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경추지지부(110)에는 홈부(112a)를 제외한 표면에 지압용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누웠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반원으로 돌출된 돌기로 경추지지부의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추지지부(110)에서 경사면(112)의 높은 단부측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수평면(114)을 이루고, 수평면(114)으로부터는 수평면(114)보다 단차지고 원호 형태의 원호면(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면(114) 상에는 면적을 대부분 차지하도록 일정 깊이로 직사각형의 결합홈부(112a)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결합홈부(112a)에는 목운동부(12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원호면(116)은 그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머리운동부(13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하기에서 머리운동부(130)와 같이 설명한다.
목운동부(120)는, 경추지지부(110)의 결합홈부(112a)에 맞춤 장착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동시에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목운동부(120)는, 결합홈부(112a)에 위치되도록 동일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플레이트(122)가 형성되고, 플레이트(122)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에 근접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22)와 지지부(124)는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며, 지지부(124)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각 지지부(124)는 마주하여 반원의 홈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원통체(128a)가 측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4)의 중공 내부로는 스프링(126)이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126)으로는 통형, 테이퍼형, 장구형이여도 무방하며, 상측으로는 수직기둥(127)이 설치되며, 수직기둥(127)의 하면 내측으로는 스프링(126)의 일부를 수용가능하도록 지지홈(127a)이 형성되어 접한 스프링(126)을 압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기둥(127)의 측방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127b)이 형성되고, 관통공(127b)에 실질적으로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원통받침(128)이 설치된다.
계속해서, 원통받침(128)은 제1원통체(128a)와 제2원통체(128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부(124)에 스프링(126)을 포함하여 안착된 수직기둥(127)의 각 관통공(127b)에 제1원통체(128a)가 관통 삽입되며, 제1원통체(128a)의 길이는 목의 폭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이면 가능하며,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목재나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원통체(128b)는 제1원통체(128a)의 외주연에 완충제가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원통체(128b)는 일측으로 개방이 가능하고 위에서 설명한 완충용 패드와 같이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모리폼(Memory Foam)이나 라텍스와 같은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의 목 부분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원통체(128b)가 두 겹 또는 그 이상으로 겹쳐질 수도 있다.
제2원통체(128b)가 제1원통체(128a)를 기준으로 두 겹 또는 그 이상 포개지는 이유는, 사용자 마다 요구하는 목받침 높이가 있기에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원통받침(128)의 양단을 포함하여 지지부(124)와 수직기둥(127)을 포함하도록 마감 개념의 커버(129)가 설치될 수 있다.
마주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129)에는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제1원통체(128a)의 승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머리운동부(130)는 목운동부(120)에서 목을 지지함으로써 뒤로 젖혀지는 머리 즉, 후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추지지부(110)의 원호면(116)의 내부를 향하여 비스듬히 일정 깊이의 지지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116a)에는 지지공(116a) 깊이보다는 작은 지지스프링(126)이 위치된다.
지지스프링(126)의 중앙으로는 로드(134)가 삽입되어 압축 및 신장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로드(134)에는 지지판(134a)이 형성되고, 로드(134)의 단부에는 머리지지체(136)가 일체 또는 접착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머리지지체(136)는 실질적으로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경추지지부(110)의 후방을 향하되, 지지공(116a)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경추교정장치의 작용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경추교정장치(100)에 눕게 되면, 목 아래의 경추부위는 경추지지부(110)의 홈부(112a)에 위치되고, 경사면(112)에 의하여 경추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홈부(112a)에서는 거북목이나 일자목 증상의 경우 돌출되거나 좌, 우로 틀어져 있는 흉추1,2,3번의 위치와 경추기립근을 바로잡아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계속해서, 경추지지부(110)에 경추가 지지됨과 동시에 시용자의 목이 목운동부(120)에 위치하게 된다.
목을 누르는 운동에 의하여 목부분이 원통받침(128)을 구성하는 제1원통체(128a)에 접촉되며, 목의 하중이 전달되어 제1원통체(128a)가 관통공(127b)에 관통 삽입된 수직기둥(127)이 스프링(126)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하강 정도는 제1원통체(128a)가 지지부(124)의 반원의 홈 측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의 목 부분이 닿는 순간 하중을 완충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 부분이 목운동부(120)에 닿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젖혀진 머리는 머리운동부(130)의 머리지지체(136)에 지지되며, 지지됨과 동시에 머리지지체(136)와 로드(134)의 지지판(134a)이 지지스프링(126)을 압축하면서 후두부의 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추가 지지되고, 목운동부(120)를 통한 목운동과, 머리는 머리운동부(130)에 의한 운동으로 반복 사용하면 거북목 교정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받침대를 이용함으로써, 경추의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어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추 및 경추 사이의 디스크와 목 근육에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거북목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 목운동부와 머리운동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쿠션감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경추교정장치 110 : 경추지지부
112 : 경사면 112a : 홈부
114 : 수평면 114a : 결합홈부
116 : 원호면 116a : 지지공
120 : 목운동부 122 : 플레이트
124 : 지지부 126 : 스프링
127 : 수직기둥 128 : 원통받침
129 : 커버 130 : 머리운동부
132 : 지지스프링 134 : 로드
136 : 머리지지체

Claims (7)

  1.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 및 완충하는 목운동부와,
    상기 목운동부에서 목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운동부와 근접하여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경사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스프링에 의해 완충 작동되는 머리운동부,
    를 포함하는 경추교정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수평면 일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의 후측으로 상기 수평면보다 단차지고, 원호 형태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추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완충용 패드가
    설치되는 경추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운동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측에 근접하여 중공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하면으로 지지홈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에 관통 삽입되며 목부위가 받쳐지는 원통받침과,
    상기 원통받침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 및 수직기둥을 덮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경추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받침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에 삽입 위치되는 제1원통체와,
    상기 제1원통체의 외주연에 완충제가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원통체,
    를 포함하는 경추교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운동부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측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중앙에 삽입되어 압축 및 신장시키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두부를 지지하는 곡면의 머리지지체를,
    포함하는 경추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체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을 향하되, 상기 지지공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경추교정장치.
KR1020200115973A 2020-09-10 2020-09-10 경추교정장치 KR10216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73A KR102166752B1 (ko) 2020-09-10 2020-09-10 경추교정장치
KR1020200130904A KR102382157B1 (ko) 2020-09-10 2020-10-12 경추교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73A KR102166752B1 (ko) 2020-09-10 2020-09-10 경추교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04A Division KR102382157B1 (ko) 2020-09-10 2020-10-12 경추교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752B1 true KR102166752B1 (ko) 2020-10-16

Family

ID=730353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73A KR102166752B1 (ko) 2020-09-10 2020-09-10 경추교정장치
KR1020200130904A KR102382157B1 (ko) 2020-09-10 2020-10-12 경추교정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04A KR102382157B1 (ko) 2020-09-10 2020-10-12 경추교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66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38B1 (ko) * 2021-08-03 2021-11-12 (주) 제스파 경추 마사지 장치
KR20220149033A (ko) 2021-04-30 2022-11-08 김문희 경추 교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40B1 (ko) * 2022-08-03 2023-05-02 주식회사 바디블 경추 교정용 목 운동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20100000363A (ko) 2008-06-24 2010-01-06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149574B1 (ko) * 2011-11-02 2012-05-29 정철종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KR2016002819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토토로의 숲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KR101715519B1 (ko) * 2015-10-30 2017-03-10 김문희 경부 교정 장치
KR101749697B1 (ko) * 2016-03-15 2017-06-21 박성하 경추교정베개
KR102029765B1 (ko)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KR20200038219A (ko) * 2020-04-01 2020-04-1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의자에 구비되어 목 부분을 견인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20100000363A (ko) 2008-06-24 2010-01-06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149574B1 (ko) * 2011-11-02 2012-05-29 정철종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KR2016002819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토토로의 숲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KR101715519B1 (ko) * 2015-10-30 2017-03-10 김문희 경부 교정 장치
KR101749697B1 (ko) * 2016-03-15 2017-06-21 박성하 경추교정베개
KR102029765B1 (ko)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KR20200038219A (ko) * 2020-04-01 2020-04-1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의자에 구비되어 목 부분을 견인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33A (ko) 2021-04-30 2022-11-08 김문희 경추 교정 장치
KR102326038B1 (ko) * 2021-08-03 2021-11-12 (주) 제스파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386785B1 (ko) * 2021-08-03 2022-04-15 (주) 제스파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157B1 (ko) 2022-04-04
KR20220033951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752B1 (ko) 경추교정장치
JP5841179B2 (ja) 熟眠用整形枕
KR100903846B1 (ko) 경추 받침 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20180091410A (ko) 기능성 숙면 베개
KR101645927B1 (ko) 2 in 1 테크니컬 교체식 인체공학 베개
KR102079343B1 (ko) 거북목 교정기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CN108968570A (zh) 一种智能枕头组件
US20220304474A1 (en) Cushion for posture correction
JP2011167325A (ja) 頚椎矯正用枕
KR20070098544A (ko) 탄성 복원형 베개 몸체
KR102079341B1 (ko) 거북목 교정기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2165906B1 (ko) 경추 지압 베개
KR102405680B1 (ko)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20180077894A (ko) 다기능 베개 조립체
KR101675979B1 (ko) 목운동 기구
JP2015020051A (ja)
KR102135906B1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CN206403554U (zh) 一种矫正颈椎预防颈椎疾病提高睡眠质量的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