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785B1 -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785B1
KR102386785B1 KR1020210152552A KR20210152552A KR102386785B1 KR 102386785 B1 KR102386785 B1 KR 102386785B1 KR 1020210152552 A KR1020210152552 A KR 1020210152552A KR 20210152552 A KR20210152552 A KR 20210152552A KR 102386785 B1 KR102386785 B1 KR 10238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neck
supporter
acupressu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주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 제스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스파 filed Critical (주) 제스파
Priority to KR102021015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는 베이스케이스; 상기 베이스케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가압하는 가압모듈; 상기 베이스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헤드레스모듈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틸팅되어 사용자의 목근육을 연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Cervical massage device that provides a thermal effect}
본 발명은 경추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 중의 하나가 디스크로 인한 요통(腰痛), 어깨와 팔 등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한 견비통(肩臂痛), 근육통(筋肉痛)등이 있다.
이러한 요통, 견비통 그리고 근육통은 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나고 있으며, 현대인의 운동부족과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 질환으로 이어져 고통받는 경우가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이러한 척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디스크 주위의 근육을 보강시켜 자연 치유력에 의해 치료하는 것이다.
한편, 척추는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여기에서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 그리고 여러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형성되어 있다.
척추는 장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또는 근육의 노화 및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 등으로 인해 척추 질환이 발병하게 되는데, 척추 질환의 대부분은 비정상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 즉, 평소 앉거나 서 있는 자세 또는 수면 자세 등의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경우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성장선에 압박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해 성장촉진이 저해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종래의 요통이나 견비통의 치료는 근육을 강화시키는 물리치료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혈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병적인 상태를 치료 내지 완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척추 질환의 경우에는 추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눌려져 있던 추간판을 이완시킴으로서 이완작용에 의해 체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압이나 마사지(massage)는 주로 손을 사용하여 인체에 일정한 방법으로 역학적 자극을 줌으로써 생체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신체의 변조(變調)를 바로 잡아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일종의 수기시술(手技施術)이다.
지압·마사지에 의해 혈액이나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여 조직의 영양을 높여 주며, 노폐물을 배설하도록 하고 저항력을 증강시켜 준다. 이 촉압자극(觸壓刺戟)은 신경을 자극하여 진통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마비된 신경의 회복을 촉진하고, 내장기능의 변조를 바로잡는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척추를 구성하는 부위 중 두개골과 등뼈인 흉추 사이의 부분인 경추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즉, 경추는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척추 중에서 목뼈라고 지칭하는 부위로서, 7개의 척추 분절로 이루어져 있고, 각 경추의 횡돌기에는 경추동맥이 지나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변에 정맥과 상완신경총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위로는 머리와 연결되어 있는 신체의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다.
경추는 흉추, 요추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자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유발되는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이 있다. 그 일례로서, 다른 척추 디스크와 동일한 경추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고, 경추를 뒤쪽에서 지지하는 인대에 염좌가 발생하며, 경추근육 또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경직이 발생하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그 결과 두통, 경통, 견비통 등 다양한 근골격 계통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후두하근은 한쪽 경추와 후두골 사이에 위치하는 4가지 근육으로 양쪽 총 8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 부위로, 머리의 안정화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며, 두통의 대표적 근육으로 근육방추체(muscle spindle)가 많이 분포해 있고 추골동맥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뇌 및 혈압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근육이다. 상기 후두하근은 후두골과 제 1, 2경추를 연결하며 이에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만약 후두하근 중 추골동맥을 감싸고 있는 후두하삼각에 협착이 일어나면 신경에 압박이 발생하고, 뇌로 가는 혈액공급이 방해되고 근육방추체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후두하근이 경직되면 한쪽 방향으로 후두골에서 눈, 이마까지 앞쪽으로 통증 범위가 확장되는 경추성 두통을 야기하기도 한다. 후두하근 군 중에서 소후두직근의 경우 척수(Spinal cord)를 중심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근육 구조이며, 경막과 소후두직근의 근막은 결합조직으로 인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 구조에 긴장이 발현될 경우 치상인대(Denticulate ligament)에 역학적 긴장을 만들어 척수 신경을 감싸고 있는 경막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요통이나 견비통의 치료를 위해 근육을 강화시키는 물리치료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혈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병적인 상태를 치료 내지 완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척추 질환의 경우에는 추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눌려져 있던 추간판을 이완시킴으로서 이완작용에 의해 체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압이나 마사지(massage)는 주로 손을 사용하여 인체에 직접 일정한 방법으로 역학적 자극을 줌으로써 생체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신체의 변조(變調)를 바로 잡아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일종의 수기시술(手技施術)로서, 지압·마사지에 의해 혈액이나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여 조직의 영양을 높여 주며, 노폐물을 배설하도록 하고 저항력을 증강시켜 준다. 이 촉압자극(觸壓刺戟)은 신경을 자극하여 진통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마비된 신경의 회복을 촉진하고, 내장기능의 변조를 바로잡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마사지는 대부분 치료를 받는 사람 혼자서는 시술이 불가능하므로 타입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힘에 의존하여 실시되는 것에 의해 그 효과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스스로 지압·마사지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압마사지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구동원을 이용하여 지압구를 진동시키는 진동 마사지기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기압 마사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진동 마사지기의 경우 신체의 일부분을 반복적으로 타격(두드림)하는 방식이어서 지압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타격에 의한 2차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압구의 진동을 신체에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지압구를 신체 부위에 일정한 힘으로 눌러 주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힘이 들어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압 마사지기의 경우 신체의 팔이나 다리 또는 허리 등과 같은 신체 부분을 감싸도록 되어 있는 커프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이를 통해 신체의 일부에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신체의 일부를 주물러주는 것에 불과하므로 경혈을 자극하는 등의 지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체의 팔이나 다리 또는 허리 등에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공기압 마사지기 중 공압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하로 팽창하여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벨트 형태의 커프를 구비한 치료기가 있으나, 이 역시 목이나 허리 등에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무리한 공압 작용시 신속한 대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견인 효과를 얻을 수 없음에 따라 치료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경추를 이완시키면서, 후두하근 또는 그 주변부를 압박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종래 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65115호(20161012)를 통해 기능성 경추 베개가 제안된 바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바로 누웠을 때는 경추를 C자형으로 유지시켜 주고 경추1번을 지압하여 목 근육의 긴장과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옆으로 누웠을 때는 어깨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취침을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경추 베개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85호(20111031)는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본체; 후두골을 받쳐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두골 지압부; 후두하부를 받쳐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후두골 지압부 전방쪽 위치에서 상기 후두골 지압부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후두하부 지지부; 및 뒷목을 받쳐주면서 상기 본체가 밀리지 않게 하며, 상부흉추를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두하부 지지부 전방 쪽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흉추(Upper thoracic vertebrae) 지압부;를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51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3628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236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362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12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6136호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통해 경추를 효과적으로 이완 또는 견인할 수 있는 경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완 또는 견인되는 부분에 전기자극 제공할 수 있는 경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케이스; 상기 베이스케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가압하는 가압모듈; 상기 베이스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모듈;을 포함하는 경추마사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케이스는, 지면에 안착되는 로어케이스; 상기 로어케이스와 조립되고, 상기 로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어퍼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이 상기 어퍼개구부를 커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모듈은, 상기 어퍼개구부를 커버하는 헤드커버; 상기 헤드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되는 틸팅축; 상기 틸팅축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헤드커버에 고정되는 헤드커버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커버는,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의 목 부분이 지지되는 제 1 넥서포터 및 제 2 넥서포터;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넥서포터 및 제 2 넥서포터 보다 낮게 배치되는 헤드서포터;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넥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축이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커버서포터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헤드레스모듈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틸팅되어 사용자의 목근육을 연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지압볼들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켜 헤드레스트모듈이 제 1 틸팅방향 또는 제 2 틸팅방향으로 틸팅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제 1 넥서포터 및 제 2 넥서포터에 이엠에스모듈 및 히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경추를 늘리는 연신운동 중에 저주파 자극 및 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근육의 신속하게 이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가압액추에이터를 통해 헤드레스트모듈을 강제로 틸팅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추를 강제로 연신운동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추마사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부 우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하부 좌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추마사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하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마사지 장치는 베이스케이스(100)와,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가압하는 가압모듈(200)과,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케이스(100)는, 로어케이스(110)와, 상기 로어케이스(110)와 조립되고, 상기 로어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케이스(120)에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 및 어퍼케이스(120)를 연결하는 연결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12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어퍼개구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이 상기 어퍼개구부(121)를 대부분을 커버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커버(130)는 헤드레스트모듈(300) 및 어퍼케이스(120)를 연결하고, 상기 어퍼개구부(121)의 나머지를 커버한다.
상기 연결커버(130)의 하단이 어퍼케이스(120)에 결합되고, 상단이 헤드레스트모듈(30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커버(130)는 복수개의 주름(131)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주름(131)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어퍼케이스(120)는 가압모듈(200)이 배치되는 프론트어퍼케이스(140)와, 헤드레스트모듈(300)이 배치되는 리어어퍼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어퍼케이스(140)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어퍼케이스(14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은 좌우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측으로 볼록한 융기부(123a)(12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의 배치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전방 상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등 또는 어깨와의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최소활 수 있다.
상기 리어어퍼케이스(150)에는 상기 어퍼개구부(121)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개구부(121)보다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가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개구부(121)가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모듈(200)은 상기 제 1 지압홀(1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케이스(120)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지압볼(201)과, 상기 제 2 지압홀(12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케이스(120)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지압볼(202)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개구부(121)의 좌우 폭 내에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추 마사지 장치는, 상기 프론트어퍼케이스(14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온열효과를 제공하는 히터(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400)는 상기 제 1 지압홀(123) 및 제 2 지압홀(124)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압홀(123)의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프론트히터(401)라 하고, 상기 제 2 지압홀(124)의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프론트히터(402)라 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히터(401) 및 제 2 프론트히터(402)에 열선(410)이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통해 제 1 프론트히터(401) 및 제 2 프론트히터(402)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 1 프론트히터(401) 및 제 2 프론트히터(402)는 패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40)의 상측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프론트히터(401) 및 제 2 프론트히터(402)의 내부 또는 하부에 열선(4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00)는 상기 어커페이스(120) 상측면에 배치된 열선(410)과, 상기 열선(410)을 커버하는 패드(42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케이스(120) 상측면에 상기 열선(410)이 안착되어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열선홈(126)(12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선홈(126)(127)은 상기 패드(420)에 커버되어 은닉된다.
상기 패드(4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패드돌기(422)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어퍼케이스(140)의 상측면에는 상기 패드돌기(422)에 대응되는 패드돌기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돌기홈(142)은 상기 열선홈(126)(127)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420)가 조립될 때, 상기 패드돌기(422)가 상기 열선(410)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열선홈(126)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어퍼케이스(1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410)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어퍼케이스(120)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프론트히터(401)에 배치된 것을 제 1 열선홈(126)이라 하고, 제 2 프론트히터(402)에 배치된 것을 제 2 열선홈(127)이라 한다. 또한, 상기 패드(420)도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프론트히더(401)에 배치된 것을 제 1 패드라 하고, 제 2 프론트히터(402)에 배치된 것을 제 2 패드라 한다.
상기 제 1 패드 및 제 2 패드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420)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압홀(123) 또는 제 2 지압홀(124) 측에 배치된 제 1 프론트히터보더(421)와, 상기 제 1 프론트히터보더(421)와 이격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4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2 프론트히터보더(422)와, 상기 제 1 프론트히터보더(421) 및 제 2 프론트히터보더(422)를 연결하고, 상기 어퍼개구부(121) 측에 배치된 제 3 프론트히터보더(423)와, 상기 제 1 프론트히터보더(421) 및 제 2 프론트히터보더(422)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40)의 전방 측에 배치된 제 4 프론트히터보더(424)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420)의 상측면은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의 상단(200a) 보다 낮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단(200a)은 상기 어퍼개구부(121) 보다 낮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의 상단(200a)은 상기 프론트케이스(140)의 상측면보다는 높고 상기 어퍼개구부(121) 보다는 낮게 배치된다.
상기 가압모듈(200)은, 상기 로어케이스(100) 및 어퍼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액추에이터(210)(220)와, 상기 가압액추에이터(210)(22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압볼(201)(2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압볼이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압액추에이터도 제 1 가압액추에이터(210) 및 제 2 가압액추에이터(2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가압액추에이터를 통해 2개의 지압볼을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켜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압액추에이터(210)가 제 1 지압볼(201)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제 2 가압액추에이터(220)가 제 2 지압볼(202)을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압액추에이터(210) 및 제 2 가압액추에이터(220)는 상하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압볼(201)(202)은, 상기 지압홀(123)(124)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볼부(230)와, 상기 볼부(230)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볼걸림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볼부(230)는 반구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걸림부(240)는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압홀(123)(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지압볼(201)(202)의 상측 이동 시, 상기 볼걸림부(240)가 상기 프론트어퍼케이스(140) 저면에 걸려 상측 이동일 제한될 수 있고, 하측 이동 시 상기 로어케이스(110) 상측면에 걸려 하측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볼걸림부(240)의 직경은 상기 융기부(123a)(124a)의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상기 연결커버(130)와 연결되어 상기 어퍼개구부(121)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틸팅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연결커버(130)가 수축 또는 연신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의 전후 방향 각 회전량에 대응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어퍼개구부(121)를 커버하는 헤드커버(310)와, 상기 헤드커버(31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케이스(120)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틸팅축(370)과, 상기 틸팅축(37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헤드커버(310)에 고정되는 헤드커버서포터(360)와, 상기 로어케이스(110)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커버(310)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가압액추에이터(38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액추에이터(380)는 상하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가압액추에이터(380)는 틸팅축(37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액추에이터(380)는 헤드커버(310)를 지지할 수 있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헤드커버(310)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액추에이터(380)의 작동 시 상기 헤드커버(310)는 상기 틸팅축(370)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헤드커버(310)는 상측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목 부분이 지지되는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와,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 보다 낮게 배치되는 헤드서포터(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넥서포터(320)가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넥서포터(330)가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 사이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넥삽입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넥삽입부(340)의 좌측에 제 1 넥서포터(320)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 2 넥서포터(33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넥서포터(320)에 제 1 리어히터(403)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넥서포터(330)에 제 2 리어히터(404)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는 패드 및 열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의 열선작동구조는 상기 히터(400)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의 패드는 상기 넥삽입부(34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리어히터(403)의 패드는 제 1 넥서포터(320)의 최상단을 전후 방향으로 커버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리어히터(404)의 패드는 제 2 넥서포터(330)의 최상단을 전후 방향으로 커버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제 2 넥서포터(330), 넥삽입부(340) 및 헤드서포터(350)는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서포터(350)는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제 2 넥서포터(330), 넥삽입부(340)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서포터(350)는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제 2 넥서포터(330), 넥삽입부(340)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헤드서포터(350)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넥삽입부(340)의 곡률반경보다 완만한 곡률반형을 형성한다.
상기 헤드서포터(350)의 상측에 헤드패드(35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서포터(350)의 하부에 가압액추에이터(38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패드(35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 배치된 패드돌기가 상기 헤드서포터(350)의 상측면에 형성된 패드돌기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넥삽입부(34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경추 마사지 장치는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에 저주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이엠에스(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삽입부(340)에 상기 이엠에스 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엠에스 모듈(500)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저주파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엠에스 모듈(500)은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와 상기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에 저주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저주파자극발생기(530)를 포함한다.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는 전기자극을 위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주파자극 발생기는 상기 헤드커버(310) 및 로어케이스(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110)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는 상기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는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기 때문에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 1 저주파패드(510)는 넥삽입부(340)의 좌측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높고 우측단이 낮게 배치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 2 저주파패드(520)는 넥삽입부(340)의 우측에 배치되고, 우측단이 높고 좌측단이 낮게 배치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틸팅축(370)은 상기 헤드커버(3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축(37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측단 및 우측단이 로어케이스(110)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틸팅축(370)이 로어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커버서포터(360)가 전후 방향으로 틸팅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로어케이스(110)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축(370)이 지지되는 로어서포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160)는 상기 틸팅축(370)의 좌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로어지지부(161)와, 상기 틸팅축(370)의 우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로어지지부(162)를 포함한다.
제 1 로어지지부(161) 및 제 2 로어지지부(162)는 틸팅축(370)의 하측면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리어어퍼케이스(150)에는 제 1 로어지지부(161) 및 제 2 로어지지부(162)에 대응되는 제 1 어퍼지지부(151) 및 제 2 어퍼지지부(152)가 형성된다.
제 1 어퍼지지부(151) 및 제 2 어퍼지지부(152)는 상기 리어어퍼케이스(15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어퍼지지부(151)는 어퍼개구부(121)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어퍼지지부(152)는 어퍼개구부(12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축(370)은 헤드커버서포터(3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헤드커버서포터(360)는 "∩"자 형상으로형성된다.
상기 헤드커버서포터(360)는 틸팅축(370)의 좌측이 관통되는 제 1 서포트프레임(361)과, 틸팅축(370)의 우측이 관통되는 제 2 서포트프레임(362)과, 제 1 서포트프레임(361) 및 제 2 서포트프레임(362)을 연결하는 제 3 서포트프레임(36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61) 및 제 2 서포트프레임(362)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서포트프레임(363)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커버(310)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커버(3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결합부(31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313)은 제 3 서포트프레임(363)이 삽입되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결합부(313)에 제 3 서포트프레임(363)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틸팅축(370)의 일단(371)이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6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틸팅축(370)의 타단(372)이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62)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일단(371)은 제 1 로어지지부(161) 및 제 1 어퍼지지부(151)에 회전가능하게 감싸지고, 타단(372)은 제 2 로어지지부(162) 및 제 2 어퍼지지부(152)에 회전가능하게 감싸진다.
상기 헤드커버(310)는 헤드커버서포터(360)를 통해 틸팅축(370)에 지지되고, 상기 틸팅축(37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상기 틸팅축(370)은 헤드서포터(350)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넥삽입부(340)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사용자의 머리 하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틸팅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뒷통수가 상기 헤드서포터(350)에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헤드서포터(350)가 하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가 상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헤드서포터(350)가 하강하고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가 상승되는 방향을 제 1 틸팅방향으로 정의하고, 헤드서포터(350)가 상승하고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가 하강되는 방향을 제 2 틸팅방향으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머리를 헤드커버(310)에 거치하면, 머리의 자중에 의해 제 1 틸팅방향으로 헤드레스트모듈(300)이 틸팅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를 늘리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 조작을 통해 제 1 프론트히터(401), 제 2 프론트히터(402), 제 1 리어히터(403) 또는 제 2 리어히터(4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 1 프론트히터(401) 및 제 2 프론트히터(402)의 작동 시, 사용자의 어깨 부분에 온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뭉친 어깨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리어히터(403) 및 제 2 리어히터(404)의 작동 시, 사용자의 목부분에 온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뭉친 목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엠에스모듈(500)이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저주파패드(510) 및 제 2 저주파패드(520)에 저주파 전기자극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목부분의 근육을 보다 신속하게 이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모듈(200)이 작동될 경우, 사용자의 어깨 또는 등 높이에 변화가 발생될 수 있고, 어깨 또는 등 높이가 변화되면 머리에 지지되는 하중에도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의 전방 외측단(320a) 및 프론트어퍼케이스(140)의 전방 외측단(140a)을 연결하는 가상의 접선(P)을 기준으로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은 접선(P) 하측에 위치되고, 가압모듈(200)이 작동될 경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의 상단은 접선(P) 상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접선(P)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사용자의 상체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사용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제 1 틸팅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반대로 상승된 제 1 지압볼(201) 및 제 2 지압볼(202)이 접선(p)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사용자의 상체를 원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은 제 2 틸팅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어깨 또는 등 높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이스모듈(300)이 제 1 틸팅방향 또는 제 2 틸팅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되면서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이 틸팅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목 부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목 근육이 이완 또는 수축되는 과정에서 경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가압액추에이터(380)를 작동시켜, 상기 헤드커버(310)를 인위적으로 제 1 틸팅방향 또는 제 2 틸팅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300)이 온(ON)될 경우, 소정시간 주기로 가압액추에이터(380)가 작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헤드커버(310)가 소정각도 왕복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케이스 110 : 로어케이스
120 : 어퍼케이스 140 : 프론트어퍼케이스
150 : 리어어퍼케이스 200 : 가압모듈
201 : 제 1 지압볼 202 : 제 2 지압볼
300 : 헤드레스트모듈 310 : 헤드커버
320 : 제 1 넥서포터 330 : 제 2 넥서포터
340 : 넥삽입부 350 : 헤드서포터
360 : 헤드커버서포터 370 : 틸팅축
400 : 히터 500 : 이엠에스모듈

Claims (1)

  1.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로서,
    베이스케이스;
    상기 베이스케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가압하는 가압모듈; 및
    상기 베이스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는,
    지면에 안착되는 로어케이스; 및
    상기 로어케이스와 조립되고, 상기 로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어퍼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이 상기 어퍼개구부를 커버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모듈은,
    상기 어퍼개구부를 커버하는 헤드커버;
    상기 헤드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되는 틸팅축; 및
    상기 틸팅축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헤드커버에 고정되는 헤드커버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커버는,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의 목 부분이 지지되는 제 1 넥서포터 및 제 2 넥서포터;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넥서포터 및 제 2 넥서포터 보다 낮게 배치되는 헤드서포터; 및
    상기 제 1 넥서포터(320) 및 제 2 넥서포터(330)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넥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넥서포터(320)와 상기 제2 넥서포터(330) 각각에 패드와 열선으로 구성된 제1 리어히터(403)와 제2 리어히터(404)가 배치되는,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0210152552A 2021-08-03 2021-11-08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38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52A KR102386785B1 (ko) 2021-08-03 2021-11-08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958A KR102326038B1 (ko) 2021-08-03 2021-08-03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0210152552A KR102386785B1 (ko) 2021-08-03 2021-11-08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958A Division KR102326038B1 (ko) 2021-08-03 2021-08-03 경추 마사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785B1 true KR102386785B1 (ko) 2022-04-15

Family

ID=784973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958A KR102326038B1 (ko) 2021-08-03 2021-08-03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0210152552A KR102386785B1 (ko) 2021-08-03 2021-11-08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958A KR102326038B1 (ko) 2021-08-03 2021-08-03 경추 마사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6038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68Y1 (ko) 2004-06-23 2004-09-23 김부길 자세 교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경추 온열 치료기
KR100936835B1 (ko) * 2009-07-10 2010-01-14 강성원 베개식 경혈 지압기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20140121633A (ko) * 2013-04-08 2014-10-16 김수연 물리치료용 일자목 교정기
KR101498567B1 (ko) * 2014-01-20 2015-03-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압겸용 심신안정장치
KR101559680B1 (ko) * 2014-09-02 2015-10-13 이상옥 지압용 베개
KR101561005B1 (ko) * 2015-03-25 2015-10-15 양승철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665115B1 (ko) 2015-04-14 2016-10-12 김태국 기능성 경추 베개
KR101696853B1 (ko) * 2015-01-05 2017-02-02 주식회사 리웨이 후두부 안마기기
KR101841223B1 (ko) 2017-12-12 2018-03-22 신기영 목과 척추의 스트레칭 견인을 이용한 기능성 신체 교정장치
KR20180031098A (ko) * 2016-09-19 2018-03-28 성민 마 경추 지압 베개
KR101916136B1 (ko) 2017-03-14 2018-11-07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KR102166752B1 (ko) * 2020-09-10 2020-10-16 고준혁 경추교정장치
KR20200136288A (ko) 2019-05-27 2020-12-07 김태중 C자형 경추 교정을 위한 마사지장치
KR20200136286A (ko) 2019-05-27 2020-12-07 김태중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68Y1 (ko) 2004-06-23 2004-09-23 김부길 자세 교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경추 온열 치료기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077885B1 (ko) 2008-11-06 2011-10-31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0936835B1 (ko) * 2009-07-10 2010-01-14 강성원 베개식 경혈 지압기
KR20140121633A (ko) * 2013-04-08 2014-10-16 김수연 물리치료용 일자목 교정기
KR101498567B1 (ko) * 2014-01-20 2015-03-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압겸용 심신안정장치
KR101559680B1 (ko) * 2014-09-02 2015-10-13 이상옥 지압용 베개
KR101696853B1 (ko) * 2015-01-05 2017-02-02 주식회사 리웨이 후두부 안마기기
KR101561005B1 (ko) * 2015-03-25 2015-10-15 양승철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665115B1 (ko) 2015-04-14 2016-10-12 김태국 기능성 경추 베개
KR20180031098A (ko) * 2016-09-19 2018-03-28 성민 마 경추 지압 베개
KR101916136B1 (ko) 2017-03-14 2018-11-07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KR101841223B1 (ko) 2017-12-12 2018-03-22 신기영 목과 척추의 스트레칭 견인을 이용한 기능성 신체 교정장치
KR20200136288A (ko) 2019-05-27 2020-12-07 김태중 C자형 경추 교정을 위한 마사지장치
KR20200136286A (ko) 2019-05-27 2020-12-07 김태중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2166752B1 (ko) * 2020-09-10 2020-10-16 고준혁 경추교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스파 누워넥(제스파, 202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038B1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102377632B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20200136288A (ko) C자형 경추 교정을 위한 마사지장치
KR101104394B1 (ko)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KR102386785B1 (ko)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2277459B1 (ko) 경추용 마사지장치
US20240065923A1 (en) Massage apparatus
CN210748508U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KR20220110372A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102501550B1 (ko)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KR20210132834A (ko) 공기압 구동회전형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20210132837A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20210132832A (ko) 경추의 회전 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32835A (ko) 모터구동 회전형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