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83B1 -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83B1
KR101973683B1 KR1020180008953A KR20180008953A KR101973683B1 KR 101973683 B1 KR101973683 B1 KR 101973683B1 KR 1020180008953 A KR1020180008953 A KR 1020180008953A KR 20180008953 A KR20180008953 A KR 20180008953A KR 101973683 B1 KR101973683 B1 KR 10197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segment
plate
groov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83B1/ko
Priority to EP18169698.0A priority patent/EP35172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린타이어의 측면을 고정하고,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고,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아우터링과, 아우터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우터링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그먼트와,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을 구비하고, 세그먼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우터링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할 경우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VACUUM CONTAINER FOR CURING TY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탄성 및 유연성이 있는 재질 또는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반제품을 만들고, 이 반제품들을 성형하여 그린타이어(Green Tire)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여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가류 공정은 그린 타이어를 일정시간 동안 소정 온도로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몰드 사이에 그린타이어를 넣고, 이 그린 타이어의 내부에서 몰드 방향으로 가압하여 몰드 형태 또는 몰드의 표면 형태에 대응되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타이어의 표면, 예를 들면 트레드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06043호는 내부 진공이 이루어지는 그린타이어의 진공 가류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진공 가류 컨테이너가 폐쇄될 때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타이어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진공 가류 컨테이너의 내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야 하며, 만약 제대로 밀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 공정이 수행될 경우에는 타이어 트레드의 표면에 벤트(vent)가 형성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06043호(2012.06.22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트레드에 벤트가 형성되지 않도록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진공 컨테이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린타이어의 측면을 고정하고,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고,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아우터링과, 아우터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우터링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그먼트와,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을 구비하고, 세그먼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우터링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할 경우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아우터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렬홈과, 정렬홈에 설치되는 센터링키를 포함하고, 센터링키는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아우터링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아우터링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와 아우터링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상부 플레이트와 아우터링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세그먼트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기공을 포함하고, 세그먼트는 상부 배기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아우터링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세그먼트가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부 배기공을 통한 상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고,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세그먼트가 상기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부 배기공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배기공은 가이드 블록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와 아우터링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서브 상부 플레이트는, 제1 실링홈과, 제1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제1 실링부재는 아우터링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아우터링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제2 실링홈과, 제2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제2 실링부재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부 플레이트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와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은, 아우터링과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은 아우터링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은 세그먼트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키를 포함하고, 세그먼트는 가이드키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아우터링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이드키는 슬라이딩홈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고, 가이드키가 슬라이딩홈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세그먼트는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가이드키가 슬라이딩홈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세그먼트는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키는 세그먼트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홈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는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가이드키는 스토퍼가 가이드홈의 상단에 걸릴 경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은, 제3 실링홈과, 제3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3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제3 실링부재는 하부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아우터링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와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에는 그린타이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부 사이드 몰드가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는, 제4 실링홈과, 제4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4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제4 실링부재는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사이드 몰드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링과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아우터링과 하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에 의하면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타이어 트레드에 벤트가 형성되지 않도록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진공 컨테이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최상측까지 상승함으로서 몰드 내부에 그린타이어를 장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하강하여 세그먼트가 하부 플레이트에 접촉함으로서 몰드 폐쇄 공정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더 하강하여 아우터링이 하부 플레이트에 접촉함으로서 진공 공정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 진공 공정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상부 플레이트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별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하부 플레이트를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다른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상부 플레이트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별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하부 플레이트를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이하 "진공 컨테이너")는 그린타이어(도 7의 G 참조)의 측면을 가압하고,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상부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측면을 감싸고,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아우터링(20)과, 아우터링(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우터링(20)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그먼트(30)와,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41)을 구비하고, 세그먼트(3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0)는 가류 시 그린타이어(G)의 측면을 고정하고,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하강하여 아우터링(20)이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하고,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상부 플레이트(10)에 접촉할 경우에는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가 밀폐되므로 상부 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이 방지된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상승할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부 배기공(13)을 통해 진공 컨테이너 내외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과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플레이트(10)에는 상부 사이드 몰드(60)가 설치된다. 상부 사이드 몰드(60)는 볼트(미표시)와 같은 체결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사이드 몰드(60)는 도면에 나타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린타이어(G)의 상측 측면에 접촉하여 후술할 하부 사이드 몰드(80)와 함께 그린타이어(G)의 양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10)는 아우터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렬홈(11)과, 정렬홈(11)에 설치되는 센터링키(12)를 포함한다. 센터링키(12)는 정렬홈(1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표시)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센터링키(12)는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아우터링(20)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할 수 있다. 상세히, 센터링키(12)는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한 아우터링(20)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는 "일정하게"를 부연하는 표현으로,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간격은 현실적으로 완벽히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없으며, 어떠한 기계 장치의 각 부품들 사이에는 언제나 미세한 공차(allowance)가 형성될 수 밖에 없는 바,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간격이 미세한 공차로 인해 달라질 수는 있으나 그러한 공차로 인해 진공 컨테이너의 다른 구성품들의 결합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센터링키(12)가 부재할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중심이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후술할 진공 컨테이너의 각 실링부재들의 간격이 변경되며, 이에 따라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성이 증가하고, 더 나아가 진공 컨테이너 내부 압력이 감소하여 진공 컨테이너를 통해 제조되는 타이어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접촉면에 센터링키(12)를 개지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공 컨테이너의 작동 중 상부 플레이트(10)가 아우터링(20) 내에서 중심을 유지하여 진공 컨테이너의 각 실링부재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진공 컨테이너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진공 컨테이너를 통해 제조되는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의 측면에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측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아우터링(20)이 설치된다. 아우터링(20)은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우터링(2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세그먼트(30)의 이동에 따라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우터링(20)이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할 경우,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다.
아우터링(20)은 아우터링(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볼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볼트(22)는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위한 구조물로써, 작업자가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상부 사이드 몰드(60)와 트레드 몰드(70) 및 하부 사이드 몰드(80)를 교체하거나, 진공 컨테이너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진공 컨테이너를 분해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진공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리프트 볼트(22)에 벨트와 같은 운반 수단을 체결하여 간편하게 진공 컨테이너를 운반할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아우터링(20)의 내측면에는 아우터링(2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아우터링(20)과 결합되는 세그먼트(30)가 설치된다. 아우터링(20)은 세그먼트(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키(23)를 포함하고, 세그먼트(30)는 가이드키(23)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1)을 포함한다. 가이드키(23)는 아우터링(2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표시)를 통해 결합되며, 아우터링(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이드키(23)는 슬라이딩홈(3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키(23)가 슬라이딩홈(31)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세그먼트(30)는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키(23)가 슬라이딩홈(31)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세그먼트(30)는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키(23)는 세그먼트(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홈(31)에 수용되는 스토퍼(23s)를 포함한다. 스토퍼(23s)는 슬라이딩홈(31)에 형성된 가이드홈(31S)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s)가 가이드홈(31S)의 상단에 걸릴 경우 가이드키(23)는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홈(31)과 가이드홈(31S)의 하측은 별도의 단차나 걸림턱 없이 아래쪽으로 개방된 형태로써, 슬라이딩홈(31)의 하측으로 가이드키(2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홈(31)에 가이드키(23)가 끼워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할 경우, 가이드키(23)는 슬라이딩홈(31)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10)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세그먼트(30)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기공(13)을 포함한다. 상부 배기공(13)은 세그먼트(3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 배기공(1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32)의 이동에 따라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부 배기공(13)에는 가이드 블록(32)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홈(13h)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2)은 상부 배기공(13)에 끼움 결합되되, 돌출홈(13h)에 의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표시)를 통해 세그먼트(30)에 결합됨으로써 세그먼트(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가이드 블록(32)은 아우터링(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세그먼트(30)가 그린타이어(G)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그린타이어(G)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배기공(13)을 통한 상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블록(32)은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세그먼트(30)가 그린타이어(G)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그린타이어(G)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배기공(13)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세그먼트(30)는 아우터링(20)의 상하 운동에 의해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로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3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부 배기공(13)을 가이드 블록(32)이 개방 또는 밀폐함으로써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세그먼트(30)의 내측면에는 트레드 몰드(70)가 볼트(미표시)와 같은 체결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트레드 몰드(70)는 세그먼트(30)가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하여 가류 시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몰드(70)는 세그먼트(30)가 그린타이어(G)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0)는 진공 컨테이너의 다른 모든 구성품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하부 플레이트(40)는 세그먼트(30)를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0)에는 하부 사이드 몰드(80)가 볼트(미표시)와 같은 체결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설치되며, 하부 사이드 몰드(80)는 도면에 나타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린타이어(G)의 하측 측면에 접촉하여 전술한 상부 사이드 몰드(70)와 함께 그린타이어(G)의 양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0)는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41)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진공흡입공(41)은 진공배관(미도시)을 통해 진공 컨테이너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진공펌프는 도 9에 도시된 진공 컨테이너의 진공 모드 시 작동하여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간단히 언급하면,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세그먼트(30)가 그린타이어(G)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그먼트(30)에 설치된 트레드 몰드(80)는 상부 사이드 몰드(70) 및 하부 사이드 몰드(60)와 접촉함으로서 진공 컨테이너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렇게 진공 컨테이너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는 진공흡입공(41)을 통해 진공 컨테이너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그먼트(30)는 그린타이어(G)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동안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 및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된다.
세그먼트(3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사이, 세그먼트(30)와 아우터링(20)의 사이, 그리고 세그먼트(30)와 하부 플레이트(40) 사이에는 각각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도 4의 16 참조)와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도 5의 21 참조) 및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도 6의 42 참조)가 설치되어 세그먼트(30)와 상부 플레이트(10), 세그먼트(30)와 아우터링(20), 그리고 세그먼트(30)와 하부 플레이트(4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6)와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42)는 흑연을 포함하는 자체-윤활금속(self-lubrication metal)을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6)와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42)는 낮은 마찰력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세그먼트(3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사이, 세그먼트(30)와 아우터링(20)의 사이 및 세그먼트(30)와 하부 플레이트(40)의 사이에 고온의 그리스와 같은 별도의 윤활유를 주입할 필요가 없어진다.
만약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각 구성품의 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윤활유를 사용할 경우, 윤활유의 사용 후 잔여물이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축적됨에 따라 추가적인 청소와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청소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을 경우 진공 컨테이너의 수명이 단축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윤활유 대신 자체-윤활금속을 소재로 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6)와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42)를 세그먼트(3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사이, 세그먼트(30)와 아우터링(20)의 사이 및 세그먼트(30)와 하부 플레이트(40)의 사이에 개재할 경우, 진공 컨테이너를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내부 청소의 주기가 늘어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며, 아울러 진공 컨테이너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 사이에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 아우터링(20)과 함께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우터링(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아우터링(20)과는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상부 플레이트(10)와 아우터링(2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진공 컨테이너의 가류 공정 시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실링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로의 공기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는 제1 실링홈(51)과, 제1 실링홈(51)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52)를 포함한다.
상세히, 제1 실링부재(52)는 아우터링(20)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실링부재(52)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소재로 제조되어 압축된 상태로 제1 실링홈(51)에 설치됨으로써,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에서 팽창하는 방식을 통해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링(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는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로의 공기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부 플레이트(10)는 제2 실링홈(14)과, 제2 실링홈(14)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재(15)를 포함한다.
상세히, 제2 실링부재(15)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아우터링(20)이 하강하여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상부 플레이트(10)에 접촉할 경우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 틈새로의 공기 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실링부재(15)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소재로 제조되어 압축된 상태로 제2 실링홈(14)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 사이에서 팽창하는 방식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링(20)은 상하 이동 중에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서도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링(20)이 하강하여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하는 경우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 사이로의 공기 출입을 방지하여 진공 컨테이너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구조로서, 아우터링(20)은 제3 실링홈(24)과 제3 실링홈(24)에 설치되는 제3 실링부재(25)를 포함한다.
상세히, 제3 실링부재(25)는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아우터링(20)이 하강하여 아우터링(20)이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할 경우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 사이 틈새로의 공기 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실링부재(25)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소재로 제조되어 압축된 상태로 제3 실링홈(24)에 설치됨으로써,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 사이에서 팽창하는 방식을 통해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40)에는 그린타이어(G)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부 사이드 몰드(8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4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40)는 제4 실링홈(43)과, 제4 실링홈(43)에 설치되는 제4 실링부재(44)를 포함한다.
상세히, 제4 실링부재(44)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소재로 제조되어, 압축된 상태로 제4 실링홈(43)에 설치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4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 사이에서 팽창하는 방식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4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를 실링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리프트 볼트(22)와 함께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보조하는 구조물로써,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의 측면에는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를 함께 고정하는 클램프(90)가 설치될 수 있다. 클램프(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20)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플레이트(40)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90)는 아우터링(2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진공 컨테이너의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최상측까지 상승함으로서 몰드 내부에 그린타이어를 장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진공 컨테이너는 하부 플래튼(Pd)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플래튼(Pu)에 의해 덮이며, 상부 플래튼(Pu)에 연결되는 커버(C)에 의해 측면이 감싸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C)는 커버(C)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버(C)가 상하 이동할 경우, 커버(C)에 결합된 상부 플래튼(Pu)과, 상부 플래튼(Pu)에 결합된 아우터링(20)과 상부 서브 플레이트(50)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아우터링(20)이 최상측으로 이동하여, 세그먼트(30)가 하부 플레이트(40)와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 컨테이너 내부로 그린타이어(G)를 장입하여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중앙에 설치된 블래더(B)에 그린타이어(G)를 끼울 수 있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하강하여 세그먼트가 하부 플레이트에 접촉함으로서 몰드 폐쇄 공정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아우터링(20)과 아우터링(20)에 연결된 세그먼트(30)가 함께 하강하여, 세그먼트(30)가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는 상태를 묘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배기공(13)에 끼워진 가이드 블록(32)은 바깥쪽(도면 상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므로 진공 컨테이너 내외부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즉, 아우터링(20)이 하강하여 세그먼트(30)가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는 순간에는 상부 사이드 몰드(60)와 트레드 몰드(70)의 사이, 그리고 트레드 몰드(7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의 사이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틈새를 통해 공기가 진공 컨테이너 내외부로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아우터링이 더 하강하여 아우터링이 하부 플레이트에 접촉함으로서 진공 공정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아우터링(20)의 하강에 따라 세그먼트(30)가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는 순간 이후로, 아우터링(20)이 계속적으로 하강하여 아우터링(20)이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는 상태를 묘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부 배기공(13)에 끼워진 가이드 블록(32)은 안쪽(도면 상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므로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으로의 공기 순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링(20)과 하부 플레이트(40)의 사이는 제3 실링부재(25)(도 1 참조)로 인해 밀폐되므로 진공 컨테이너의 측면으로의 공기 순환도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아우터링(20)이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하는 순간에는 상부 사이드 몰드(60)와 트레드 몰드(70), 그리고 트레드 몰드(7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의 사이가 모두 폐쇄되므로, 이 순간 이후로는 진공 컨테이너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흡입공(41)에 진공배관을 통해 연결된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 즉 트레드 몰드(70)와 그린타이어(G)의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를 진공흡입공(4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진공 컨테이너 내부가 진공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진공 컨테이너의 경우 진공 컨테이너 내부를 진공화하기 위한 공기 흡입 경로를 진공흡입공(41) 하나로 집중할 수 있다. 만약 진공흡입공(41) 이외에 다른 위치에서 진공화를 위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공기압으로 인해 타이어 트레드 표면에 벤트(vent)가 형성될 수 있다. 진공흡입공(41)은 타이어의 트레드와 접촉하는 트레드 몰드(70)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진공흡입공(41)을 통해 진공화를 진행할 경우에는 타이어에 벤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 진공 공정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화가 완료되어, 트레드 몰드(70)와 그린타이어(G) 사이에 잔존하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묘사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트레드 몰드(70)는 도 9에 도시된 트레드 몰드(70)와 비교하여 더 그린타이어(G) 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화에 따라 트레드 몰드(70)가 그린타이어(G) 측으로 밀착할 경우, 아우터링(20) 도 9에 도시된 아우터링(20)보다 더 하부 플레이트(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링(20)의 하강에 따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도 더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실링부재(15)가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아우터링(20)이 하강하여 세그먼트(30)가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는 순간 상부 플래튼(Pu)과 하부 플래튼(Pd)의 사이의 거리를 d1, 아우터링(20)이 하부 플레이트(40)에 접촉하여 진공 컨테이너의 진공 모드가 시작되는 순간의 상부 플래튼(Pu)과 하부 플래튼(Pd) 사이의 거리를 d2, 그리고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화가 완료된 순간의 상부 플래튼(Pu)과 하부 플래튼(Pd) 사이의 거리를 d3라고 할 경우, d1 > d2 > d3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진공 컨테이너에 의하면 진공 컨테이너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고, 타이어 트레드에 벤트가 형성되지 않도록 밀폐된 진공 컨테이너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진공 컨테이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 플레이트 31: 슬라이딩홈
11: 정렬홈 32: 가이드 블록
12: 센터링키 40: 하부 플레이트
13: 상부 배기공 41: 진공흡입공
14: 제2 실링홈 42: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15: 제2 실링부재 43: 제4 실링홈
16: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44: 제4 실링부재
20: 아우터링 50: 서브 상부 플레이트
21: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 51: 제1 실링홈
22: 리프트 볼트 52: 제1 실링부재
23: 가이드키 60: 상부 사이드 몰드
23s: 스토퍼 70: 트레드 몰드
24: 제3 실링홈 80: 하부 사이드 몰드
25: 제3 실링부재 90: 클램프
30: 세그먼트

Claims (16)

  1. 그린타이어의 측면을 고정하고,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아우터링;
    상기 아우터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아우터링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그린타이어의 상기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그먼트; 및
    하측으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세그먼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우터링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할 경우 상기 상측 및 상기 측면으로의 상기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세그먼트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배기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링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상기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배기공을 통한 상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상기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배기공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아우터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렬홈과,
    상기 정렬홈에 설치되는 센터링키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키는 상기 아우터링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아우터링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아우터링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링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링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기공은 상기 가이드 블록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홈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링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서브 상부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서브 상부 플레이트는,
    제1 실링홈과,
    상기 제1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아우터링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서브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상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제2 실링홈과,
    상기 제2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서브 상부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상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은,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측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은 상기 아우터링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볼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은 상기 세그먼트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키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가이드키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링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키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가이드키가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키가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키는 상기 세그먼트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키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걸릴 경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은,
    제3 실링홈과,
    상기 제3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3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링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로 상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그린타이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부 사이드 몰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4 실링홈과,
    상기 제4 실링홈에 설치되는 제4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실링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사이드 몰드 사이의 틈새로 상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KR1020180008953A 2018-01-24 2018-01-24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KR10197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53A KR101973683B1 (ko) 2018-01-24 2018-01-24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EP18169698.0A EP3517285B1 (en) 2018-01-24 2018-04-27 Vacuum container for curing ty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53A KR101973683B1 (ko) 2018-01-24 2018-01-24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683B1 true KR101973683B1 (ko) 2019-04-29

Family

ID=6208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53A KR101973683B1 (ko) 2018-01-24 2018-01-24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517285B1 (ko)
KR (1) KR1019736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01B1 (ko) 2019-12-16 2021-03-2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장치
KR102254482B1 (ko) * 2020-02-14 2021-05-2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KR102291653B1 (ko) * 2020-05-15 2021-08-20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KR20220010368A (ko) * 2020-07-17 2022-01-2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KR20220067634A (ko) 2020-11-17 2022-05-25 주식회사 한국프리시전웍스 타이어 몰드와 가류 컨테이너 조립시 상호 식출 및 단차 검출장치
KR20230131719A (ko) * 2022-03-07 2023-09-14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034B (zh) * 2022-09-28 2023-01-3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抽真空活络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098Y1 (ko) * 1995-12-27 1999-01-15 홍건희 진공 컨테이너
JP2010155410A (ja) * 2008-12-29 2010-07-1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加硫用金型
KR20120057898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가류 콘테이너
KR101306043B1 (ko) 2010-12-14 2013-09-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진공 가류 콘테이너
KR20160069533A (ko) * 2014-12-08 2016-06-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77112A (en) * 1972-09-15 1975-11-04 Irco Industries Inc. Segmental tire curing mould
DE2253596C3 (de) * 1972-11-02 1978-05-03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Preß-, insbesondere Vulkanisierform
US5585064A (en) * 1994-07-20 1996-12-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Ventless segmented tire mold and method therefore
JP3701087B2 (ja) * 1996-08-05 2005-09-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方法および装置
EP2167308B1 (en) * 2007-06-28 2012-08-08 Bridgestone Corporation Vacuum container for a tyre curing mold
DE102007043715A1 (de) * 2007-09-13 2009-03-1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orm zum Formen eines Reifenrohlings
EP2881230B1 (en) * 2013-11-27 2017-10-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Ventless segmented tire mold
CN203697498U (zh) * 2014-01-17 2014-07-09 上海轮胎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轮胎研究所 加工橡胶轮胎的真空活络模具的密封结构
CN105479624A (zh) * 2016-01-21 2016-04-13 广西玲珑轮胎有限公司 一种真空辅助排气式活络模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098Y1 (ko) * 1995-12-27 1999-01-15 홍건희 진공 컨테이너
JP2010155410A (ja) * 2008-12-29 2010-07-1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加硫用金型
KR20120057898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가류 콘테이너
KR101306043B1 (ko) 2010-12-14 2013-09-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진공 가류 콘테이너
KR20160069533A (ko) * 2014-12-08 2016-06-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01B1 (ko) 2019-12-16 2021-03-2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장치
KR102254482B1 (ko) * 2020-02-14 2021-05-2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KR102291653B1 (ko) * 2020-05-15 2021-08-20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KR20220010368A (ko) * 2020-07-17 2022-01-2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KR102379160B1 (ko) * 2020-07-17 2022-03-2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KR20220067634A (ko) 2020-11-17 2022-05-25 주식회사 한국프리시전웍스 타이어 몰드와 가류 컨테이너 조립시 상호 식출 및 단차 검출장치
KR20230131719A (ko) * 2022-03-07 2023-09-14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KR102660393B1 (ko) * 2022-03-07 2024-04-2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285A1 (en) 2019-07-31
EP3517285B1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83B1 (ko)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CN108237651B (zh) 轮胎硫化模具及充气轮胎
KR920008086Y1 (ko) 주형에서 타이어를 분리하는 장치
FI126334B (fi) Ilmanpoistoventtiili
JP2007118460A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107053717B (zh) 一种抽真空轮胎活络模具
JP3701087B2 (ja) タイヤ加硫方法および装置
WO2003068473A1 (fr) Dispositif de vulcanisation de pneus
EP2202041B1 (en) Tire mold and method of molding an internal groove in a tire shoulder
KR102056392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KR102254482B1 (ko)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US11020919B2 (en) Tire vulcanization mold, tire vulcanization device, and tire production method
JP7469603B2 (ja) タイヤ加硫方法
JP7417080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EP2532512B1 (en) Pneumatic tir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EP4180216A2 (en) Tire mold for ventless tire molding
CN113329853B (zh) 轮胎硫化装置及方法
KR101864008B1 (ko)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JP2021094703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KR10186122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EP4180215A2 (en) Tire molding process
JP2020001362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US20230373176A1 (en) Heating press and method for vulcanizing a vehicle tire in said heating press under vacuum
US20200316889A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and tire vulcanizing method
EP1222063B1 (en) Segmented tire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