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93B1 -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93B1
KR102660393B1 KR1020220028967A KR20220028967A KR102660393B1 KR 102660393 B1 KR102660393 B1 KR 102660393B1 KR 1020220028967 A KR1020220028967 A KR 1020220028967A KR 20220028967 A KR20220028967 A KR 20220028967A KR 102660393 B1 KR102660393 B1 KR 10266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tainer
curing
space
vacuu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1719A (ko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39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82Producing articles in the form of closed loops, e.g. rings
    • B29D99/0085Producing articles in the form of closed loops, e.g. rings for sea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8Venting devices for the flex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9Details or accessories for the flexible co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가류 공정에 이용되는 진공 컨테이너를 가류기에 설치 전에도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는, 그린타이어가 위치하는 공간인 가류공간을 구비하고 타이어 가류에 이용되는 진공컨테이너의 가류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진공컨테이너에 구비된 유로인 공기배출유로와 연결되어, 가류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진공압측정모듈; 및 진공컨테이너의 하부를 안착시켜, 개방된 진공컨테이너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정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VACUUM PRESSURE IN ADVANCE IN A CONTAINER FOR TIRE VULCANIZATION}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류 공정에 이용되는 진공 컨테이너를 가류기에 설치 전에도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그린타이어 표면과 몰드 사이의 공기 배출을 위해 진공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 가류를 위해서는 진공 컨테이너가 필요하며, 진공 컨테이너에서는 부품 간 틈새를 O-ring을 통해 컨테이너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에서 5~6개소의 O-ring이 적용되고, O-ring은 소모품으로 교체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며, 수명이 다되거나 외부 손상을 입으면, 공기 누출(Air leak)이 발생하여 컨테이너 내부 진공 환경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이는 타이어 공기(Air) 부적합에 대한 개선 효과가 떨어지게 되어 진공 가류의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기존에는 진공 컨테이너를 가류기에 조립 후 최초 생산 시 진공압이 걸리는지 확인을 하였으며, 생산 후 Air leak가 발생하면 다시 컨테이너를 조립장으로 가지고와 O-ring 교체를 진행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가류기 불가동 시간 증가 및 컨테이너 이동에 따른 공수 증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551호(발명의 명칭: 가류기의 내부온도/압력 감지장치)에서는, 센타기구를 갖춘 가류기의 블라더(1)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 온도/압력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타기구(2)의 센터 포스트(3) 둘레에 나선형 시즈센서(4, Sheath Sensor)를 내장한 나선형 코일스프링(5)을 장착시키되, 이 코일스프링(5)의 상하부쪽에 상하부 온도센서(6a, 6b)를, 중간부위에 압력센서(7)를 각각 식입 설치하여 이 시즈센서(4)와 연결하고, 상기 코일스프링(5)의 시즈센서(4)는 센터포스트(3)의 헤드(8)에 설치된 방폭콘넥터(9)에 연결되면서 드레인 배출관로(10)를 통해 압력센서용 동파이프(11)와 온도감지선(12)을 매개로 인출되어 외부의 온도 및 압력 모니터(13, 14)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기의 내부온도/압력 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55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류 공정에 이용되는 진공 컨테이너를 가류기에 설치 전에도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진공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그린타이어가 위치하는 공간인 가류공간을 구비하고 타이어 가류에 이용되는 진공컨테이너의 상기 가류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진공컨테이너에 구비된 유로인 공기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가류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상기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진공압측정모듈; 및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하부를 안착시켜, 개방된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정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받침체; 및 상기 받침체의 중심 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진공컨테이너 하부의 개방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링의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밀폐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컨테이너는,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측벽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측부체;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와 결합하여 상기 가류공간을 형성시키는 컨테이너상부체; 및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와 결합하여 상기 가류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개방 부위를 구비하는 컨테이너하부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와 결합하며 상기 그린타이어의 성형을 위한 몰드를 구비하고 상기 그린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그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공기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가류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내부 진공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압력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측정기에 의한 측정 값을 저장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가류기에 진공컨테이너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류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가류공간을 진공으로 형성시키고 진공압을 측정하여, 가류기가 설치된 공간과 다른 별도의 공간에서 가류공간에 진공 형성 시 진공컨테이너에서 틈이 발생하여 가류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침투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반(200)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간단히 표시되어 있으며, 하우징(14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진공압측정모듈(100)에 비해 진공컨테이너(300) 및 정반(200)이 확대되어 표현되어 있다.
하기에서, 진공압은 마이너스(-) 기호를 구비하는데, 이상 또는 미만에 대한 설명은 진공압의 절대 값에 대한 표현으로 기재하였다. 즉, -0.09MPa의 진공압 값은, -0.07MPa의 진공압 값보다 증가된 값으로 판단 및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검 장치는, 그린타이어(10)가 위치하는 공간인 가류공간을 구비하고 타이어 가류에 이용되는 진공컨테이너(300)의 가류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진공컨테이너(300)에 구비된 유로인 공기배출유로(350)와 연결되어, 가류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진공압측정모듈(100); 및 진공컨테이너(300)의 하부를 안착시켜, 개방된 진공컨테이너(300)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정반(20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정반(200)에 진공컨테이너(300)를 결합시킴으로써 진공컨테이너(300) 내 가류공간을 밀폐시키고, 진공압측정모듈(100)을 이용하여 가류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가류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고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류기에 진공컨테이너(300)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류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가류공간을 진공으로 형성시키고 진공압을 측정하여, 가류기가 설치된 공간과 다른 별도의 공간에서 가류공간에 진공 형성 시 진공컨테이너(300)에서 틈이 발생하여 가류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침투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다.
즉, 진공컨테이너(300) 내부에 그린타이어(10)를 위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컨테이너(300) 자체를 이용하여 진공컨테이너(300)의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진공컨테이너(300)는, 진공컨테이너(300)의 측벽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측부체(310); 컨테이너측부체(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컨테이너측부체(310)와 결합하여 가류공간을 형성시키는 컨테이너상부체(320); 및 컨테이너측부체(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컨테이너측부체(310)와 결합하여 가류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개방 부위를 구비하는 컨테이너하부체(3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컨테이너(300)는, 컨테이너측부체(310)와 결합하며 그린타이어(10)의 성형을 위한 몰드를 구비하고 그린타이어(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그먼트(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상부체(320)와 컨테이너하부체(330) 및 컨테이너측부체(310)의 결합에 의해 진공컨테이너(300) 내부에서 가류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몰드를 구비한 세그먼트(340)가 컨테이너측부체(310)와 결합하여 그린타이어(10)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몰드는 세그먼트(340)로부터 분리되어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검 장치 이용 시에는 그린타이어(10)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그린타이어(10)는 컨테이너하부체(330)의 개방 부위를 통해 진공컨테이너(30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진공컨테이너(300)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진공컨테이너(300)의 구조가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점검 장치에 적용 가능한 진공컨테이너(300)는 하부가 개방된 다양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정반(2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받침체(210); 및 받침체(210)의 중심 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진공컨테이너(300) 하부의 개방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반(200)은,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링의 형상을 구비하여 받침체(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밀폐링(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의 형상인 밀폐링(23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밀폐링(230)은 서로 직경이 상이하고, 정반(200)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으로 각각의 밀폐링(2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하부체(330)의 개방 부위에 정반(200)의 결합체(220)를 인입 결합시키고, 컨테이너하부체(330)를 정반(200)의 받침체(210)에 안착시키면서 컨테이너하부체(330)의 하부면을 밀폐링(230)에 밀착시키면, 진공컨테이너(300)의 내부 즉, 가류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다.
결합체(220)는 컨테이너하부체(330)의 개방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체(220)가 컨테이너하부체(330)의 개방 부위에 끼워져 결합체(220)와 컨테이너하부체(330)가 결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진공컨테이너(300)가 정반(200)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밀폐링(230)은 탄성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밀폐링(23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체(210)에는 밀폐링(230)의 고정을 위하여 밀폐링(23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면이 반원인 링형의 홈인 받침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링(230)은 받침홈(211)에 안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밀폐링(230)의 하부면과 받침홈(211) 내측면 사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밀폐링(230)이 받침홈(211)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링(230)이 정반(200)의 받침체(2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밀폐링(230)의 내부에는 밀폐링(2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밀폐링(230)의 내부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밀폐링(23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링(230)의 내부 공간 부피가 증가하면 밀폐링(230)의 탄성이 감소하고, 밀폐링(230)의 내부 공간 부피가 감소하면 밀폐링(230)의 탄성이 증가할 수 있다.
컨테이너하부체(330)의 하부면과 밀폐링(230)의 밀착에 의하여 정반(200)의 받침체(210)의 상부면과 컨테이어하부체의 하부면 간 틈이 완전히 막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류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컨테이너(300) 내 가류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가류공간의 진공도가 증가할수록, 즉, 가류공간에 대한 진공압이 증가할수록 진공 효과에 의해 컨테이너하부체(330)의 하부면과 밀폐링(230) 간 밀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진공압측정모듈(100)은, 공기배출유로(350)와 연결되어 가류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펌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압측정모듈(100)은, 진공컨테이너(300)의 내부 진공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압측정모듈(100)은, 압력측정기(120)와 연결되고 압력측정기(120)에 의한 측정 값을 저장하는 분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공펌프(110)로는 100 Torr 미만의 진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토출량을 가진 펌프를 사용하며(약 600L/min), 진공펌프(110)의 용량이 커질수록 검사시간은 단출될 수 있다.
공기배출유로(350)는 컨테이너측부체(310) 및 세그먼트(3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기배출유로(350)는 공기배출유로(350)를 통과한 공기에 유로를 제공하는 배출관(36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출관(360)은 컨테이너측부체(3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출관(360)과 진공펌프(11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이 진공펌프(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배출관(360)에 결합되어 배출관(360)으로부터 배출되어 진공펌프(110)로 유동하는 공기에 유로를 제공하는 호스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압측정모듈(100)을 이용하여 진공컨테이너(300)의 가류공간 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경우, 선택적으로 배출관(360)과 호스관(15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진공컨테이너(300)를 가류 공정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출관(360)에 캡(cap)을 결합시켜 배출관(36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압축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4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된 진공펌프(110)와 압력측정기(120) 및 분석부(130)는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호스관(150)은 하우징(14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40)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펌프(110)와 호스관(150)의 일단이 결합하고 하우징(140)의 외측에 형성된 배출관(360)과 호스관(150)의 타단이 결합할 수 있다.
호스관(150)의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인 압력센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측정기(120)는,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호스관(150) 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배출유로(350) 및 가류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측정기(120)가 압력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가류공간 내 압력을 분석함으로써, 가류공간 내 진공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측정기(120)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 정보를 분석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석부(130)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 정보를 전달받고, 가류공간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한 진공도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0)에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의 기준 값인 기준진공압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분석부(130)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과 기준진공압값을 비교하여,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이 기준진공압값 이하로 형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검 장치의 작동을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분석부(130)와 압력측정기(120) 및 압력센서로 작동 신호를 전달하면, 먼저, 분석부(130)와 압력측정기(120) 및 압력센서가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30)에서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과 기준진공압값을 비교하고, 분석부(130)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이 기준진공압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진공펌프(11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진공펌프(11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진공펌프(110)에 의해 가류공간이 진공이 형성될 때, 분석부(130)는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이 기준진공압값 이상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류공간 내 진공압 값이 기준진공압값 이상으로 되면 분석부(130)는 진공펌프(11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진공펌프(1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부(130)는 사전에 저장된 시간인 기준시간 동안 압력측정기(120)로부터 지속적으로 가류공간 내 진공압 정보를 전달받고, 분석부(130)는 진공에 의한 가류공간 내 진공압이 기준진공압값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30)는, 기준시간 동안 가류공간 내 진공압이 기준진공압값 이상으로 유지되면 진공컨테이너(300)의 진공 성능에 대해 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고, 기준시간 동안 가류공간 내 진공압이 기준진공압값 미만으로 되면 진공컨테이너(300)의 진공 성능에 대해 부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진공펌프(110)를 가동시켜 진공압력을 -0.09MPa에 도달시킨 후, 진공펌프(11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1분간 가류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석부(130)에서, 1분 내 압력측정기(120)의 게이지가 -0.07Mpa~-0.08Mpa 사이면 진공 가류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고, -0.07Mpa 미만으로 변화 시 Air leak가 심한 상태이므로, O-ring 전체 교체를 실시 후 재측정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검 장치는, 분석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하우징(1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상기와 같은 진공컨테이너(300)에 대한 진공 성능의 적합 또는 부적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부(160)에서는 적합 또는 부적합 여부, 그리고, 가류공간 내 진공압과 기준진공압값의 차이 등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110)와 압력측정기(120) 및 분석부(130)는 하우징(14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호스관(150)도 하우징(140)과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휠(1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휠(170)에 의해 하우징(140)은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우징(140)의 이동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형상이 변경되도록 호스관(150)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압측정모듈(100)의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 공간에 복수 개의 진공컨테이너(300)가 배치되는 경우, 진공압측정모듈(100)을 이동시키면서 복수 개의 진공컨테이너(300) 각각에 대한 진공압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그린타이어 100 : 진공압측정모듈
110 : 진공펌프 120 : 압력측정기
130 : 분석부 140 : 하우징
150 : 호스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휠 200 : 정반
210 : 받침체 211 : 받침홈
220 : 결합체 230 : 밀폐링
300 : 진공컨테이너 310 : 컨테이너측부체
320 : 컨테이너상부체 330 : 컨테이너하부체
340 : 세그먼트 350 : 공기배출유로
360 : 배출관

Claims (8)

  1. 그린타이어가 위치하는 공간인 가류공간을 구비하고 타이어 가류에 이용되는 진공컨테이너의 상기 가류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진공컨테이너에 구비된 유로인 공기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가류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상기 가류공간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진공압측정모듈; 및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하부를 안착시키는 정반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컨테이너는, 상기 가류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개방 부위를 구비하는 컨테이너하부체를 구비하며,
    상기 정반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받침체, 상기 받침체의 중심 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컨테이너하부체 하부의 개방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하부체 하부의 개방 부위를 밀폐시키는 결합체 및,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링의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밀폐링을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하부체가 상기 받침체의 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컨테이너하부체의 하부면이 상기 밀폐링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가류공간에 상기 그린타이어가 미설치인 경우에도 상기 가류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하부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하부체와 결합하고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측벽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측부체; 및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와 결합하여 상기 가류공간을 형성시키는 컨테이너상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공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측부체와 결합하며 상기 그린타이어의 성형을 위한 몰드를 구비하고 상기 그린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그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공기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가류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진공컨테이너의 내부 진공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측정모듈은, 상기 압력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측정기에 의한 측정 값을 저장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KR1020220028967A 2022-03-07 2022-03-07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KR10266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67A KR102660393B1 (ko) 2022-03-07 2022-03-07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67A KR102660393B1 (ko) 2022-03-07 2022-03-07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719A KR20230131719A (ko) 2023-09-14
KR102660393B1 true KR102660393B1 (ko) 2024-04-23

Family

ID=8801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967A KR102660393B1 (ko) 2022-03-07 2022-03-07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3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169Y1 (ko) 1997-07-08 1999-10-15 홍건희 타이어 성형시 사용되는 진공 컨테이너의 하부밀폐구조
JP2008074189A (ja) * 2006-09-20 2008-04-03 Bridgestone Corp 空気のうの気密性検査方法
JP2014087958A (ja) 2012-10-30 2014-05-1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加硫機
KR101973683B1 (ko) * 2018-01-24 2019-04-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JP6741096B1 (ja) 2019-02-22 2020-08-1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JP2021126838A (ja) 2020-02-14 2021-09-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551B1 (ko) 2003-06-27 2005-09-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기의 내부온도/압력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169Y1 (ko) 1997-07-08 1999-10-15 홍건희 타이어 성형시 사용되는 진공 컨테이너의 하부밀폐구조
JP2008074189A (ja) * 2006-09-20 2008-04-03 Bridgestone Corp 空気のうの気密性検査方法
JP2014087958A (ja) 2012-10-30 2014-05-1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加硫機
KR101973683B1 (ko) * 2018-01-24 2019-04-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JP6741096B1 (ja) 2019-02-22 2020-08-1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JP2021126838A (ja) 2020-02-14 2021-09-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719A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29B1 (ko) 진공 밸브의 외부 시일 구조
US4862731A (en) Fuel tank leak detection apparatus
US11162914B2 (en) Pressure-resistance inspection apparatus for valves and its inspection method, and hydrogen gas detection unit
US7237439B1 (en) Pressure sensor over-pressure protection
CN107727331A (zh) 一种球阀阀杆气密性能试验设备
US20140260557A1 (en) Flexible Lid Seal Integrity Sensor
CN112067212A (zh) 一种管道气密性检测装置
JP2015025469A5 (ja) 真空弁の外部シール構造
KR102660393B1 (ko) 타이어 가류용 진공컨테이너 사전 진공압 점검 장치
CN108398218A (zh) 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5077806B (zh) 一种压力容器焊缝无损快速检测装置
US6178989B1 (en) Safety element for a duct
EP0188509B1 (en) Leakage and defect test apparatus
KR100897410B1 (ko) 오일펌프 스틸 링에 부착되는 시일 링 검사장치
CN108332924A (zh) 阀口的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4299845A (zh) 一种不用拆卸就能直接校验的气体密度继电器
KR10164412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US3672208A (en) Testing device for testing edges of cylinders for defects
KR102074246B1 (ko) 고무의 가스 투과성 시험장치
CN112747875B (zh) 一种魏氏法血沉仪通道气密性检测装置及气密性检测方法
KR102046513B1 (ko) 방수검사장치
WO2022168068A1 (en) Air leakage detection structure and test cover structure for inflatable product
CN114323487B (zh) 一种多功能载具
US7600525B2 (en) Leak detection and isolation for segmented inflatable structures
JP2008064550A (ja) タンク検査装置及びタンク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