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870B1 -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870B1 KR101972870B1 KR1020170068750A KR20170068750A KR101972870B1 KR 101972870 B1 KR101972870 B1 KR 101972870B1 KR 1020170068750 A KR1020170068750 A KR 1020170068750A KR 20170068750 A KR20170068750 A KR 20170068750A KR 101972870 B1 KR101972870 B1 KR 101972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base film
- adhesive layer
- structured
- structured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8—Endless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35—Heat cur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29C2043/3422—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1—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having irregular or rough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단계, 상기 제1구조화패턴이 형상을 유지한 채 반경화시키는 패턴가경화단계, 제2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접착층 도포단계, 상기 제2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상기 접착층을 반경화시키는 접착층가경화단계,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제1구조화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경화시키는 본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광학시트를 용이하게 접착하며, 접착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notebook),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TV 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수요 확대에 따라 그 특성도 해마다 개선되고 있다.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그 구조상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다양한 광학계로 구성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은 휘도 향상을 위해 주기적인 배열의 광학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접합형 광학시트모듈이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정프리즘방식의 광학시트모듈을 제조하는 경우 한 쌍의 상부광학시트와 하부광학시트를 적층하여 접합한다.
이때, 상부광학시트와 하부광학시트에는 각각 구조화패턴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하부광학시트에 형성된 구조화패턴이 상부광학시트의 하면에 접촉하거나,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광학시트와 하부광학시트의 접합 시 상부광학시트의 상면에 구조화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롤러를 통한 가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일반적인 롤러를 이용한 가압이 불가능한 경우 상부광학시트와 상부광학시트의 접합 시 충분한 가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합 시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광학시트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광학시트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1베이스필름에 반경화 상태의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 후 상부에 제2베이스필름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제1구조화패턴을 경화시켜 접합체를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필름의 접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시트모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시트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합품질 및 휘도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은,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단계, 상기 제1구조화패턴이 형상을 유지한 채 반경화시키는 패턴가경화단계, 제2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접착층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접착층을 반경화시키는 접착층가경화단계,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제1구조화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경화시키는 본경화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경화단계를 거친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패턴성형단계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을 경화시키는 패턴경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기 설정된 패턴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인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를 도포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상기 원료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제1패턴성형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성형부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 또는 순환하는 패턴벨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은 상기 제2구조화패턴과 서로 다른 피치 또는 상하방향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 상기 제2구조화패턴 및 상기 접착층은 자외선(UV) 경화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및 고굴절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igh refractive acrylated mon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는, 시트형태의 제1베이스필름이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상기 제1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부, 상기 제1패턴성형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형상이 유지되도록 반경화시키는 패턴가경화부, 상기 제1이송경로와 별도로 구비되어 시트형태의 제2베이스필름의 이송되는 제2이송경로, 상기 제2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도포부, 상기 형성된 접착을을 반경화시키는 접착층가경화부, 상기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2이송경로상의 하류상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합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이송시키는 통합이송경로, 상기 통합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적층시키며 상하부에서 가압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과 상기 접착층을 접착시키는 접합롤러 및 상기 통합이송경로상에서 접합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과 상기 접착층을 경화시키는 본경화부 를 포함하는 제1공정유닛 및 상기 통합이송경로와 별도로 구비되어 접합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이송시키는 제3이송경로, 상기 제3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원료를 도포하고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패턴성형부 및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2구조화패턴을 경화시키는 패턴경화부를 포함하는 제2공정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패턴성형부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성형부는 상기 제3이송경로상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 순환하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벨트를 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2패턴성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패턴경화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성형부는 상기 제2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몰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정유닛과 상기 제2공정유닛이 연속하여 연결되며,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은 상술한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작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은 제1베이스필름,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 상에 형성되는 제1구조화패턴,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필름 및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필름상에 형성되는 제2구조화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화패턴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및 고굴절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igh refractive acrylated mon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베이스필름에 반경화 상태의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고, 독립적으로 제2베이스필름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호 접합시키며, 추후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1베이스필름과 제2베이스필름의 접합 시 상 하부에 별도의 구조화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접합롤러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베이스필름과 제2베이스필름의 접합 시 접합롤러를 이용하여 상하부에서 가압함으로써, 접합 시 제1베이스필름과 제2베이스필름이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접착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구조화패턴의 원료를 자외선 경화재료의 특징인 반경화상태를 이용함으로써 제1구조화패턴이 접착층과 접합 시 침투깊이를 최소화시켜 광학시트모듈의 휘도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1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2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에서 제1공정유닛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치에서 제2공정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2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에서 제1공정유닛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치에서 제2공정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광학시트모듈은 LCD나 LED 패널 등의 평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허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광학시트모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다른 기구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으며, 또는 조명기구 등 빛의 특성 및 경로를 변화시키는 장치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1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2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은 크게 제1구조화패턴(110)이 형성된 제1베이스필름(100)과 접착층(220)이 도포된 제2베이스필름(200)을 접합시키는 제1공정(S10)과, 제1공정(S10)을 거친 제품에서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부에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하는 제2공정(S20)으로 분류된다.
제1공정(S10)을 살펴보면, 크게, 제1패턴성형단계(S110), 패턴가경화단계(S120), 접착층 도포단계(S130), 접착층가경화단계(S140), 접합단계(S150) 및 본경화단계(S160)를 포함한다.
먼저, 광투과성 소재로 구성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S110)는 액체상태의 원료를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에 도포된 상기 원료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제1패턴성형부(320: 도 4참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하는 제2과정을 거친다.
즉,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S11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상기 원료를 도포한 후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기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이송되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상부에서 가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원료와 접촉하는 면에 기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패턴롤러 또는 순환하는 패턴벨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 및 후술하는 제2베이스필름(200)의 재료는 광투과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수지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패턴성형을 위한 원료는 광투광성으로 자외선을 통해 경화가 가능한 소재이면 가능하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및 고굴절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igh refractive acrylated mon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S11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원료를 도포하고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원료는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며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경화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 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은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형상을 유지한 채 반경화 상태로 가경화하는 패턴가경화단계(S120)를 거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원료는 자외선(UV)을 통해 경화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에 접합된 상태로 반경화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은 완전 경화가 아닌 반경화 상태에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와 분리된다.
즉, 상기 패턴가경화단계(S12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에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형상만 유지할 정도로 경화된다.
한편,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S110)와는 별도로 접착층 도포단계(S130) 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 도포단계(S13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별도의 제2베이스필름(2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상술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일면에 상기 접착층(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착층(220)의 원료는 제1구조화패턴(110)과 마찬가지로 광 투과성이며, 자외선(UV)을 통해 경화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층(220)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접착층 도포단계(130)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220) 자외선을 가해 반경화 시키는 접착층가경화단계(S140)이 진행된다.
상기 접착층가경화단계(S140)는 상기 접착층(220)이 도포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자외선을 가해주며 상기 접착층(220)이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경화 상태로 만들어준다.
한편, 상기 접착층(220)은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평탄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균일 또는 불균일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패턴가경화단계(S120)를 거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접착층가경화단계(S140)를 거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S150)가 진행된다.
상기 접합단계(S15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적층되며,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접합롤러(360: 도 4참조)에 의해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때, 반경화 상태의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220)에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이 반경화 상태이기 때문에 상측 끝단부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은 자외선(UV) 경화성 재료에 의한 반경화 상태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측 끝단부가 접착층(220)에 완전히 침투하지 않으므로 광학시트모듈에서 발생되는 휘도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접합단계(S150)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을 상호 접합 시키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침투 깊이를 감소시켜 소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이 반경화상태에서 상호 접합된 후 추후 경화되기 때문에 접합품질 역시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상기 접착층(22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접착층(220)없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직접 접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합단계(S150)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형성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하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단계(S150) 이후 본경화단계(S160)가 진행된다.
상기 본경화단계(S16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적층형태로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접합된 상태로 이송되어 별도의 본경화부(370: 도 4참조)를 경유하며 열 또는 자외선 등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완전히 경화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완전히 접합된다.
이와 같이 제1공정(S10)은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제1구조화패턴(110)을 반경화 상태로 형성하고, 이와 별도로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접착층(220)을 도포하여 반경화 상태로 형성한 후 상호 결합시키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의 본경화를 통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 사이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합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제1공정(S10)에서 상기 접착층 도포단계(S130)를 제외하고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상기 접착층(220)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서 반경화 상태로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상측 끝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직접 접합될 수 있으며, 반경화 상태의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일부가 접착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잇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에서 제2공정(S2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제2공정(S20)은 상술한 제1공정(S10)을 통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접합된 접합체의 시트를 추가적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크게 이송단계(S210), 제2패턴성형단계(S220) 및 패턴경화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단계(S21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접합된 상태로 이송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공정(S10)을 통해 제조된 접합체를 이송한다.
상기 제2패턴성형단계(S220)는 상기 본경화단계(S160)를 거친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은 상술한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상면에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를 도포한다.
그리고 별도의 제2패턴성형부(420: 도 5참조)를 통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에 접촉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는 광 투과성 소재로 경화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상술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 또는 순환하는 패턴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몰드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패턴벨트에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로서는 러버(rubber) 등의 소프트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기 형성된 제1구조화패턴(11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은, 상술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서로 다른 피치 또는 상하방향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성형하는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된 패턴이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에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된 패턴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가 접촉한 채로 별도의 패턴경화부(430: 도 5참조)를 경유하며,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경화시키는 패턴경화단계(S230)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공정(S20)은 상기 제1공정(S10)을 통해 접합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접합체 상면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에 제1구조화패턴(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제2구조화패턴(210)이 형성된 상태의 접합체인 광학시트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시트 모듈은 자외선 경화재료의 특징인 반경화상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의 접합 시 침투깊이를 최소화하고 접합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광학시트모듈의 휘도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에서 제1공정(S10)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 제조방치에서 제2공정(S20)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상술한 제1공정(S10)을 수행하는 제1공정유닛(300)을 나타낸 것으로 크게 제1이송경로(310), 제1패턴성형부(320), 패턴가경화부(330), 제2이송경로(340), 접착층 도포부(380), 통합이송경로(350), 접착층가경화부(390), 접합롤러(360) 및 본경화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경로(310)는 시트형태의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이 이송되는 경로로, 일반적인 컨베이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이 놓여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경로(310)는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에 의해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상기 제1이송경로(3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이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구비되어 상면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 외주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패턴롤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은 제1이송경로(310)상에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를 통과하기 전에 A-1구간에서 별도로 구비된 투입부(322)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원료를 공급아 도 1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분사된 상기 원료는 B구간을 통과하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는A구간과 B구간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패턴가경화부(330)는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를 경유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에 열이나 자외선 등을 가해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반경화상태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가경화부(330)는 B구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형상을 유지한 채 고액상태가 되어 외력에 의한 형상의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만 경화시킨다.
이는 후에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접합되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과의 안정적인 접합을 위해 완전히 경화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패턴가경화부(330)에 의해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이 반경화된 상태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은 상기 제1이송경로(310)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이송경로(340)는 상술한 상기 제1이송경로(310)와 별도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이송경로(340)를 통해 별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경로(340)는 이송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상술한 제1이송경로(310)와 합쳐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경로(31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이송경로(340)를 따라 이송되는 제2베이스필름(200)은 이송방향에 따른 끝단부에서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형태로 만나며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경로(34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공정유닛(300)은 접착층 도포부(380)와 접착층가경화부(3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 도포부(380)는 상기 제2이송경로(340)상에 구비되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220)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고르게 도포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도포되는 상기 접착층(220)은 평면에 고르게 도포될 수도 있고 특정 패턴을 가지도록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상기 접착층(220)이 도포된 상대로 상기 제2이송경로(340)를 따라 도 4의 A-2영역으로 이송된다.
상기 접착층가경화부(390)는 상기 제2이송경로(340)를 따라 상기 접착층 도포부(380)의 하류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도포된 상기 접착층(220)을 반경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가경화부(390) 도 4의 B영역상에 위치하여 상기 접착층(220)에 자외선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착층(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소재로 구성되어, B영역에서 경화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가경화부(390)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도포된 상기 접착층(220)을 완전히 경화시키지 않고 반경화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통합이송경로(350)를 살펴보면, 상기 제1이송경로(310) 및 상기 제2이송경로(340)상의 하류상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합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경로(310)와 상기 제2이송경로(340)가 합쳐지며 상기 통합이송경로(350)로 전달되는 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을 접합시키는 접합롤러(360)가 구비된다.
상기 접합롤러(360)는 각각 이송되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적층된 상태로 통과하며 접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롤러(360)는 상기 제1이송경로(310)와 상기 제2이송경로(340)가 만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적층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상하로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접합롤러(360)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접착층(220)에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상측 끝단부가 접촉하며 적층형태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C구간에서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형성된 상기 접착층(220)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에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상측 끝단부가 가압되어 접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은 완전히 경화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접합롤러(360)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상측 끝단부와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220)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며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220) 역시 반경화 상태이므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의 상측 끝단부가 상기 접착층(220) 내부로 완전히 침투하지 않고 일부만 침투되어 패턴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경화부(370)는 상기 통합이송경로(350)상에 구비되어 접합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접착층(220)을 완전히 경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경화부(3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 또는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을 경화시키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상기 본경화부(370)를 통과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 및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도 4의 D구간에서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합된 접합체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공정유닛(300)은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1구조화패턴(110)과 접착층(220)을 형성한 후 반경화 상태로 접합과 동시에 완전 경화를 통해 광학시트 접합체를 제조한다.
이어서, 제2공정유닛(400)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이송경로(410), 제2패턴성형부(420) 및 패턴경화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송경로(410)는 상술한 통합이송경로(350)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의 상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접합된 접합체를 전달받아 대상위치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이송경로(410)는 일반적인 롤러나, 컨베이어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서 상기 제1공정유닛(300)에 의해 접합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을 전달받아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이송경로(410)는 통합이송경로(35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공정유닛(300)과 상기 제2공정유닛(400)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3이송경로(410)와 상기 통합이송경로(350)가 연속하여 연결됨으로써 연속 공정이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상기 제3이송경로(4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원료를 도포하고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상기 제3이송경로(410)상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 순환하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되어 순환하는 패턴벨트 형태로 형성된다.따라서, 상기 제3이송경로(41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형성한다.
물론, 이와 달라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가 상술한 제1패턴성형부(320)와 마찬가지로 패턴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와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로서 러버(rubber) 등의 소프트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형상이 파손되거나 스크레치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피치 또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패턴성형부(320)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된 패턴이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에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과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된 패턴과 서로 다른 피치 또는 상하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은 제3이송경로(410)상에서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를 통과하기 전에 E구간에서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투입부(422)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를 공급받는다.
이후,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분사된 상기 원료는 F구간을 통과하며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패턴경화부(430)는 상기 제3이송경로(410)상에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완전히 경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경화부(430)는 상술한 본경화부(37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접합된 상태로 상기 제3이송경로(430)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제2구조화패턴을 완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벨트로 구성된 상기 제2패턴성형부(4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원료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패턴경화부(430)를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채 경화시킬 수 있다.
즉, 상면에 제2구조화패턴(210)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이 상기 패턴경화부(430)를 통과함으로써 G구간에서 도 2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이 완전히 경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공정유닛(400)은 상기 제1공정유닛(30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접합체 상부에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을 추가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상면에 각각 상기 제1구조화패턴(110)과 상기 제2구조화패턴(2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접합된 광학시트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베이스필름(100)과 제2베이스필름(200)의 접합 시, 상부에 별도의 구조화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합롤러(36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필름(100)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200)의 접합 시 상기 접합롤러(360)를 이용하여 상하부에서 가압함으로써, 접합 시 제1베이스필름(100)과 제2베이스필름(200)이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접착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상면에 각각 구조화패턴을 형성한 후 한 쌍의 광학시트를 접합시키는 방식에 비해 안정적으로 제1베이스필름(100)과 제2베이스필름(20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1베이스필름
110: 제1구조화패턴
200: 제2베이스필름
210: 제2구조화패턴
220: 접착층
300: 제1공정유닛
310: 제1이송경로
320: 제1패턴성형부
330: 패턴가경화부
340: 제2이송경로
350: 통합이송경로
360: 접합롤러
370: 본경화부
380: 접착층 도포부
390: 접착층 가경화부
400: 제2공정유닛
410: 제3이송경로
420: 제2패턴성형부
430: 패턴경화부
110: 제1구조화패턴
200: 제2베이스필름
210: 제2구조화패턴
220: 접착층
300: 제1공정유닛
310: 제1이송경로
320: 제1패턴성형부
330: 패턴가경화부
340: 제2이송경로
350: 통합이송경로
360: 접합롤러
370: 본경화부
380: 접착층 도포부
390: 접착층 가경화부
400: 제2공정유닛
410: 제3이송경로
420: 제2패턴성형부
430: 패턴경화부
Claims (17)
-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단계;
상기 제1구조화패턴이 형상을 유지한 채 반경화시키는 패턴가경화단계;
제2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접착층 도포단계;
상기 제2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상기 접착층을 반경화시키는 접착층가경화단계;
상기 제1베이스필름에서 반경화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하면에서 반경화된 상기 접착층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과 상기 접착층을 경화시키는 본경화단계;
상기 본경화단계를 거친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의 원료를 도포하여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패턴성형단계;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을 경화시키는 패턴경화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화패턴 및 상기 접착층은 자외선(UV) 경화성 재료로 구성되어 각각 반경화 상태에서 상호 접착되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완전히 경화되고,
상기 제2패턴성형단계는, 순환하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에 연질소재로 이루어지고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벨트를 통해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원료와 접촉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기 설정된 패턴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성형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액체상태인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를 도포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상기 원료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제1패턴성형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과정;
을 포함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 또는 순환하는 패턴벨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은 상기 제2구조화패턴과 서로 다른 피치 또는 상하방향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화패턴은,
자외선(UV) 경화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및 고굴절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igh refractive acrylated mon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d monomer),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d monomer),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poxy acrylatedolig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 시트형태의 제1베이스필름이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상기 제1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자외선(UV)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1패턴성형부, 상기 제1패턴성형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을 형상이 유지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반경화시키는 패턴가경화부, 상기 제1이송경로와 별도로 구비되어 시트형태의 제2베이스필름의 이송되는 제2이송경로, 상기 제2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도포부, 상기 제2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도포된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반경화시키는 접착층가경화부, 상기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2이송경로상의 하류상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합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이송시키는 통합이송경로, 상기 통합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필름의 상부에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적층시키며 상하부에서 가압하여 상기 제1구조화패턴과 상기 접착층을 접착시키는 접합롤러 및 상기 통합이송경로상에서 접합된 상기 제1구조화패턴과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본경화부를 포함하는 제1공정유닛; 및
상기 통합이송경로와 별도로 구비되어 접합된 상기 제1베이스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을 이송시키는 제3이송경로, 상기 제3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자외선 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진 원료를 도포하고 제2구조화패턴을 형성하는 제2패턴성형부 및 상기 제2베이스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2구조화패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패턴경화부를 포함하는 제2공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성형부는, 상기 제3이송경로상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 순환하며, 상기 제2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일면에 연질소재로 이루어지고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벨트를 포함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성형부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하는 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패턴롤러를 포함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성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구조화패턴의 원료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패턴경화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유닛과 상기 제2공정유닛이 연속하여 연결되며,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광학시트모듈 제조장치. -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광학시트모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562522A JP6986274B2 (ja) | 2016-06-03 | 2017-06-02 | 光学シート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US16/306,844 US20190143616A1 (en) | 2016-06-03 | 2017-06-02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sheet module |
PCT/KR2017/005773 WO2017209557A1 (ko) | 2016-06-03 | 2017-06-02 |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69606 | 2016-06-03 | ||
KR1020160069606 | 2016-06-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7651A KR20170137651A (ko) | 2017-12-13 |
KR101972870B1 true KR101972870B1 (ko) | 2019-04-26 |
Family
ID=6094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8750A KR101972870B1 (ko) | 2016-06-03 | 2017-06-02 |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143616A1 (ko) |
JP (1) | JP6986274B2 (ko) |
KR (1) | KR101972870B1 (ko) |
CN (1) | CN109328316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5974A (ja) | 2005-08-11 | 2007-02-22 | Nitto Denko Corp | 熱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熱硬化型粘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配線回路基板 |
JP2012214015A (ja) | 2011-03-30 | 2012-11-08 | Nitto Denko Corp | シート状有機基材の製造方法 |
KR101588427B1 (ko) * | 2014-11-21 | 2016-01-25 | (주)피엔티 | 내층 패턴 필름 제조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581B1 (ko) * | 2003-04-14 | 2006-04-07 | 주식회사 미뉴타텍 | 미세패턴 형성 몰드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작된 몰드 |
JP2008532095A (ja) * | 2005-03-09 | 2008-08-14 | サムソン ファイン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広帯域反射型高輝度偏光板及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
KR100848664B1 (ko) * | 2006-11-01 | 2008-07-28 | 성기숙 | 백라이트 유닛용 평판형 프리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JP2008137282A (ja) * | 2006-12-01 | 2008-06-19 | Fujifilm Corp | 凹凸状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
JP5082480B2 (ja) * | 2007-02-13 | 2012-11-28 | 住友化学株式会社 | 薄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JP4450078B2 (ja) * | 2007-03-16 | 2010-04-14 | ソニー株式会社 |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
JP2009061769A (ja) * | 2007-07-13 | 2009-03-2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面光源用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NZ593291A (en) * | 2008-11-11 | 2012-10-26 | Univ Florida | Method of patterning a curved surface with nanoscale features to prevent biological growth |
CN101900936A (zh) * | 2009-05-26 | 2010-12-0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压印模具及其制作方法 |
KR101362865B1 (ko) * | 2010-10-15 | 2014-02-14 | 제일모직주식회사 | 광학시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시트 제조방법 |
KR20130005330A (ko) * | 2011-07-06 | 2013-01-16 | 글로텍 주식회사 |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광학시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KR20130039463A (ko) * | 2011-10-12 | 2013-04-22 | 글로텍 주식회사 | 백라이트유니트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JP2015018202A (ja) * | 2013-06-12 | 2015-01-29 | 住友化学株式会社 | 貼合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80098698A (ko) * | 2013-08-26 | 2018-09-04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휘도 향상 필름, 광학 시트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
KR101501989B1 (ko) * | 2013-12-31 | 2015-03-12 | 주식회사 효성 | 이형필름이 적용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02792B1 (ko) * | 2014-05-13 | 2016-03-21 | (주)피엔티 | 복층 패턴 필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20150130758A (ko) * | 2014-05-14 | 2015-11-24 | 황장환 | 광학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17
- 2017-06-02 CN CN201780034290.3A patent/CN109328316A/zh active Pending
- 2017-06-02 KR KR1020170068750A patent/KR101972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6-02 US US16/306,844 patent/US201901436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6-02 JP JP2018562522A patent/JP698627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5974A (ja) | 2005-08-11 | 2007-02-22 | Nitto Denko Corp | 熱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熱硬化型粘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配線回路基板 |
JP2012214015A (ja) | 2011-03-30 | 2012-11-08 | Nitto Denko Corp | シート状有機基材の製造方法 |
KR101588427B1 (ko) * | 2014-11-21 | 2016-01-25 | (주)피엔티 | 내층 패턴 필름 제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143616A1 (en) | 2019-05-16 |
CN109328316A (zh) | 2019-02-12 |
KR20170137651A (ko) | 2017-12-13 |
JP6986274B2 (ja) | 2021-12-22 |
JP2019519810A (ja) | 2019-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036083A1 (en) | Optical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urface 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TWI645985B (zh) | 柔性版印刷版及其製造方法、以及液晶顯示元件的製造方法 | |
US838302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guide plate | |
US20150260904A1 (en) |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72870B1 (ko) |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KR101166501B1 (ko) | 프레넬렌즈부를 포함하는 웨이브타입 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 |
US872836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n optical plate formed with a microstructure | |
JP2000193805A (ja) | 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 |
KR20110112593A (ko) | 프리즘 시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KR20090029320A (ko) | 임프린팅 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기판의 제조방법 | |
US11426991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glazing | |
US20150029755A1 (en) |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20120314157A1 (en) |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406366B1 (ko) | 스마트 플라스틱 글레이징의 제조방법 | |
US20090061038A1 (en) | Optical Member Fabric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Forming Mold Used for the Same | |
JP2013097954A (ja) | 導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341322A (ja) | 導光板製造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 |
KR101595925B1 (ko) | 몰드와,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KR20160017208A (ko) | 복합광학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 |
TWI439744B (zh) | 導光板的製作方法 | |
CN115826111B (zh) | 一种背光模组用dop复合膜片及其制备方法 | |
KR101177858B1 (ko) | 프레넬렌즈부를 포함하는 확산판의 제조방법 | |
TW201342825A (zh) | 導光板及其製作方法 | |
US20230288609A1 (en) | Optical structure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 |
WO2017209557A1 (ko) |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