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82B1 -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82B1
KR101972382B1 KR1020160059756A KR20160059756A KR101972382B1 KR 101972382 B1 KR101972382 B1 KR 101972382B1 KR 1020160059756 A KR1020160059756 A KR 1020160059756A KR 20160059756 A KR20160059756 A KR 20160059756A KR 101972382 B1 KR101972382 B1 KR 10197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rd
game
ha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76A (ko
Inventor
김종환
송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5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는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재구성하는 핸드 재구성부를 포함하여,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를 전략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어, 전략적인 게임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게임에 대한 유저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G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카드 게임 진행 방법을 제공하여, 유저의 재미를 극대화시키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휴대폰, PDA 등 유무선 통신기기 또는 비디오를 통하여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비디오 게임, 테트리스 등의 캐주얼게임, 스타크래프트 등의 전략시뮬레이션게임, 롤플레잉게임 등 다양한 종류의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게임은 오프라인으로 진행 될 수도 있고, 온라인으로 진행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게임이 진행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순번 없이 유저가 계속하여 게임에 관여하는 즉 실시간으로 유저가 게임에 관여하는 리얼 타임 방식 또는 유저가 번갈아 가며 게임에 관여하는 턴 방식을 들 수 있다.
턴 방식의 게임 중 카드 게임은 간단하고 배우기 쉬워 많은 유저들에 의해 플레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8003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유저가 카드 게임에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카드 게임의 경우,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무작위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게임의 승패가 '운'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근래에는 카드 게임의 승패가 '운'보다는 '실력'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여, 유저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카드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는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재구성하는 핸드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르면, 카드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은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게임 제공 방법은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게임 제공방법은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저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를 전략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어, 전략적인 게임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게임에 대한 유저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신의 턴이 아닌 상대방의 턴에 카드를 재구성하여, 유저가 지속적으로 게임에 집중할 수 있게 하고, 상대방의 턴이 끝나기를 기다려야 하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핸드에 포함시킬 카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가 게임 운영을 보다 전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운'보다는 '실력'에 의해 게임의 승패가 결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위성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200, 3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0)는 게임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각각의 단말(200, 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의 플레이 또는 설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단말(200, 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각각의 단말(200)로부터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게임 데이터를 각각의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말(200, 300)은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각각의 단말(20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여, 각각의 단말(200, 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각각의 단말(200, 300)에 기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말(200, 300)에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이 수행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의 경우, 게임이 플레이 되기 위한 이미지, 동영상 또는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단말(200, 300)은 기 저장된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각각의 단말(200, 300)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는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기록 매체를 통해 각각의 단말(200, 30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단말(200)은 제1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제1유저는 제1단말(20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 데이터를 제1 단말(200)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200)은 제1 유저로부터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유저 입력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단말(300)은 제2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제2 유저는 제2 단말(30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 데이터를 제2 단말(300)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300)은 제2 유저로부터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유저 입력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유저는 제1 유저의 상대방으로 제1 유저와 함께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대전 게임의 경우 제1 유저는 제2 유저와 대전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명의 유저가 각각의 단말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많은 수의 유저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 또는 더 적은 수의 유저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다수의 유저가 함께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한명의 유저가 인공지능과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명의 유저가 플레이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은 각각의 유저가 번갈아 가며 게임에 관여하는 턴 방식의 게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에서 제2 유저는 제1 유저의 턴이 진행되고 있는 중에도 소정의 조건하에 게임에 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은 카드를 이용한 게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TCG(Trading card game) 또는 CCG(Collectible card game) 장르의 게임일 수도 있다. 또한 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저 또는 유저와 컴퓨터간 대전을 하는 카드 대전 게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은 보드 게임과 카드 게임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은 보드 게임의 요소에 따라 유저의 캐릭터가 주사위에 결과에 기초하여 보드 게임판을 이동하게 되며, 캐릭터가 이동 위치에 기설정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카드 게임의 요소에 따라 유저가 카드를 덱에서 뽑으며, 특정 카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각의 유저의 이벤트는 주사위 굴리기, 캐릭터 이동, 전투 및 카드 액션(카드 선택 후 효과 발생 또는 카드 버리기)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뽑기는 다른 유저의 주사위 굴리기, 캐릭터 이동 및 전투가 수행되는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뽑기는 카드 액션 이벤트의 시작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에서 유저는 해당 게임에서 사용되는 카드의 모음인 덱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카드를 뽑아 핸드로 가져오고, 자신의 턴에 핸드에서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핸드는 유저가 자신의 턴에 카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카드의 모음으로, 핸드에 포함된 카드의 내용은 카드를 사용하는 유저에게만 표시되고, 상대방에게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10)를 포함한다. 유저는 카드 선택 및 카드 종류 선택에 대한 유저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게임 진행상 발생되는 특정 조건 선택에 대한 유저 입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게임 내 캐릭터의 제어에 대한 유저 입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저 입력은 유저가 유저의 단말을 통해 발생시킬 수도 있다. 유저의 단말을 통해 유저 입력이 발생된 경우, 감지부(110)는 해당 유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의 핸드를 재구성하는 핸드 재구성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 재구성부(120)는 유저의 상대방 예를 들어, 유저와 함께 플레이하는 유저 또는 인공지능의 턴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의 핸드에 포함되는 카드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신의 턴이 아닌 상대방의 턴에 카드를 재구성하여, 유저가 지속적으로 게임에 집중할 수 있게하고, 상대방의 턴이 끝나기를 기다려야하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재구성부(120)는 유저의 상대방의 턴이 진행되더라도 유저의 핸드를 재구성하지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자신의 핸드를 재구성하지 않고, 상대방의 플레이를 관전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상대방의 턴이 진행되는 경우, 상대방의 플레이를 관전할지 자신의 핸드를 재구성할지 선택할 수 있다. 즉 핸드 재구성부(120)는 상대방의 턴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에게 핸드를 재구성할지 여부에 대해서 문의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유저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의 핸드를 재구성하거나, 유저의 핸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상대방의 턴이 진행되는 동안 선택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결정하여 핸드를 재구성하거나, 관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전략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의 턴 진행 중에 핸드를 재구성하거나, 관전을 수행할 수 있어 상대방의 턴이 끝나기를 기다려야하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게임은 보드 게임과 카드 게임이 결합된 게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저 및 상대방은 자신의 턴이 시작되면 보드 게임 연관 이벤트 및 카드 게임 연관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드 게임 연관 이벤트는 주사위 굴리기, 주사위 결과에 따른 유저의 캐릭터 이동 및 이동된 위치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이벤트(예를 들면 전투 및 이동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효과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게임 연관 이벤트는 유저가 핸드에서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 및 카드를 버리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재구성부(120)는 유저의 주사위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캐릭터의 이동 위치에 기 설정된 수치에 따라 교체 카드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교체 카드 수에 기초하여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와 유저의 덱에 포함된 카드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캐릭터가 이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로서 기설정된 수치가 '3'인 경우, 핸드 재구성부(120)는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중 최대 3장까지를 덱에 포함된 카드와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교체는 보드 게임 연관 이벤트가 종료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교체는 유저가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이벤트를 수행하기 직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교체는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게 카드 종류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는 유저의 턴이 시작될 때, 유저에게 카드 종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에게 '마법', '몬스터' 및 '대지' 등의 카드 종류를 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드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드 재구성부(120)는 카드 종류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유저의 핸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드 재구성부(120)는 유저의 덱에서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유저의 핸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저가 뽑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어, 카드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서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유저가 카드 종류를 '몬스터'로 선택한 경우, '몬스터 카드' 중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된 카드를 유저에게 제공하여 유저의 핸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마법'을 선택한 경우, '마법 카드' 중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된 카드를 유저에게 제공하여 유저의 핸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카드 게임의 경우 유저의 턴이 시작되어 유저가 카드를 뽑을 때, 계속하여 같은 종류의 카드가 나오거나, 필요하지 않은 카드가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뽑기 운에 따라 게임의 결과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승부가 '운'적인 요소에 판가름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카드 뽑기 시 유저가 카드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뽑아 보다 승부에 있어서 '운'적인 요소를 줄이고, '실력'에 의해 승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게임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게임이 보드 게임과 카드 게임이 결합된 게임인 경우,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는 유저의 캐릭터가 이동한 위치에 기설정된 수치에 따라 유저에게 카드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는 기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만큼의 카드 종류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캐릭터가 이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로서 기설정된 수치가 '3'인 경우,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는 유저에게 3종류의 카드를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는 기 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등급의 카드 종류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의 캐릭터가 이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로서 기설정된 수치가 '3'인 경우,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130)가 유저에게 제시하는 카드 종류는 3 등급의 카드일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카드 종류 선택에 따라 유저의 핸드에 포함될 카드의 등급이 3등급일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카드 종류 제시는 유저의 턴이 시작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보드 게임 연관 이벤트가 종료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종류 제시는 유저가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이벤트를 수행하기 직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상대방의 턴 시작을 감지한다(S301). 이때 유저의 상대방은 인공지능일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유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도 언급하였듯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방이 제2 유저인 것으로 하고, 핸드를 재구성하는 유저를 제1 유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각각의 유저는 자신의 턴이 시작하면, 자신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 중 특정 카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활성화 된 카드를 소정의 영역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활성화 된 카드가 배치되는 소정의 영역을 필드라고 할 수 있다. 카드가 활성화되면 카드의 종류 및 내용에 따라 특정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카드가 '마법 카드'인 경우, 게임상에서 마법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카드의 이동 과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각각의 유저는 기 설정된 덱에 포함된 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카드는 최초 덱에 배치되고, 이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유저의 핸드로 이동하며, 이후 유저의 선택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덱(420)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카드를 제1 유저의 핸드(4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선택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활성화된 카드는 각각의 유저의 필드(430, 450)에 배치된다. 도 4에는 제1 유저의 필드(430)에는 제1 유저가 활성화시킨 몬스터 카드(440)가 배치되고, 제2 유저의 필드(450)에는 제2 유저가 활성화 시킨 몬스터 카드(460)가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303).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2 유저의 턴 진행 중에, 제1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유저의 유저 입력은 카드 선택에 대한 유저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때의 제1 유저의 입력은 유저의 상태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저는 제2 유저의 턴 진행 중에 자신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핸드 재구성에 대한 선택으로 유저의 핸드를 재구성할 수도 있으며, 관전에 대한 선택으로 현재 핸드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제2 유저의 턴이 진행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화면을 제공하여, 제1 유저가 자신의 상태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의 핸드를 재구성할 수 있다(S3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305 단계는 게임 제공 장치(100)가 제1 유저로부터 핸드 재구성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드를 덱에 포함된 카드와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덱에는 아직 게임상에서 사용되지 않은 카드만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핸드에 포함되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된 카드와 동일하게 하여 교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카드가 '마법 카드'인 경우, 게임 제공 장치(100)는 덱에 포함된 '마법 카드'와 선택된 카드를 교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S303 및 S305를 설명하면, 도 5에는 제2 유저가 자신의 턴에 특정 카드(470)를 활성화시고 있는 중간에 제1 유저가 자신의 핸드(410)에서 소정의 카드를 선택해 자신의 덱(420)에 포함된 카드와 교체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6에는 제1 유저가 자신의 핸드(410)에서 '마법 카드'를 선택해, 자신의 덱(420)에 배치된 카드와 교체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교체 횟수는 1회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방의 턴 진행 중이라면 수회 카드 교체가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의 턴이 아닌 상대방의 턴에 카드를 재구성하여, 유저가 지속적으로 게임에 집중할 수 있게 하고, 상대방의 턴이 끝나기를 기다려야하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유저의 턴 시작을 감지한다(S6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유저에게 카드 종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S6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턴이 시작될 때, 유저에게 카드 종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에게 '마법', '몬스터' 및 '대지' 등의 카드 종류를 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드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유저에게 제공되는 카드 종류의 수는 기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1 유저의 카드 종류 선택을 위해 게임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유저는 제시된 카드 종류 중 특정 종류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는 몬스터 카드(610) 및 마법 카드(620)가 제1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카드 종류로 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에 유저가 카드 종류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무작위로 특정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유저가 카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을 알리는 아이콘(63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유저로부터 카드 종류 선택에 대한 유저 입력을 수신한다(S60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유저에 핸드에 포함시킨다(S607).
게임 제공 장치(100)는 카드 종류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유저의 핸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덱에서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유저의 핸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에는, 유저가 도 8에서 제시된 카드 종류 중 몬스터 카드(610)를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몬스터 카드(830)가 제1 유저의 덱(820)에서 제1 유저의 핸드(810)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의 덱(820)에 포함된 몬스터 카드 중 무작위로 선택된 몬스터 카드를 제1 유저의 핸드(810)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7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게임 제공 장치 110: 감지부
120: 핸드 재구성부 130: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
200, 300: 단말

Claims (15)

  1. 삭제
  2. 카드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유저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 가능한 카드인 상기 유저의 핸드에 배치된 카드를 재구성하는 유저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유저에게 카드 종류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카드 종류선택 요청부; 및
    상기 유저의 턴이 아닌 기간에 덱에 배치되어 상기 유저의 선택이 불가한 카드 중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상기 유저의 핸드에 배치된 카드와 교체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를 재구성하는 핸드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재구성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저의 상대방의 턴에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되는 카드를 재구성하는, 게임 제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저의 턴 시작이 감지되면, 상기 유저에게 하나 이상의 카드 종류를 제시하는, 게임 제공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게임은,
    상기 카드를 이용하는 카드 게임 및 상기 유저의 캐릭터가 주사위 결과에 기초하여 보드 판 위를 이동하는 보드 게임이 결합된 게임인, 게임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재구성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저의 주사위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에 따라 교체 카드 수를 결정하고, 상기 유저의 상대방의 턴에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되는 카드를 결정된 교체 카드 수에 기초하여 재구성하는, 게임 제공 장치.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게임은,
    상기 카드를 이용하는 카드 게임 및 상기 유저의 캐릭터가 주사위 결과에 기초하여 보드 판 위를 이동하는 보드 게임이 결합된 게임이고,
    상기 카드 종류 선택 요청부는,
    상기 유저의 주사위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카드 종류를 제시하고, 제시된 카드 종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종류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핸드 재구성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저의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카드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의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저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 가능한 카드인 상기 유저의 핸드에 배치된 카드를 재구성하는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저에게 카드 종류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의 턴이 아닌 기간에 덱에 배치되어 상기 유저의 선택이 불가한 카드 중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카드를 상기 유저의 핸드에 배치된 카드와 교체하여 상기 유저의 핸드에 포함된 카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게임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59756A 2016-05-16 2016-05-16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7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56A KR101972382B1 (ko) 2016-05-16 2016-05-16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56A KR101972382B1 (ko) 2016-05-16 2016-05-16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76A KR20170128976A (ko) 2017-11-24
KR101972382B1 true KR101972382B1 (ko) 2019-04-25

Family

ID=6081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56A KR101972382B1 (ko) 2016-05-16 2016-05-16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743A (ja) * 2003-05-12 2004-11-25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3157A1 (en) * 2001-06-18 2002-12-19 Canon Kabushiki Kaisha Computer device for implementing a trading card g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executed by computer device, controller, system, and game cards
KR20150077003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에피드게임즈 게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743A (ja) * 2003-05-12 2004-11-25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me Rules - Official Duelyst Wiki", 인터넷 사이트 게시글(2016.05.07.), https://web.archive.org/web/20160507105703/https://duelyst.gamepedia.com/Game_Rules*
"마블류 보드게임 롤삼국지 공략 (영웅의군단과 연계중)",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등록글(2014.1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76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70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streaming interactivity
KR20230141689A (ko) 게임 가이드 제공 장치 및 게임 가이드 제공 방법
US9943765B2 (en) Fantasy sport lineup builder
KR102640804B1 (ko)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게임 유저인터페이스를 확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2407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46254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37278B1 (ko) 게임에서 적응적 인공지능을 갖는 인공캐릭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2382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857465B2 (en) Serv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game system
KR20200069899A (ko) 다른 사용자의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4023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KR101770646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1784170B1 (ko) 퀘스트가 매칭된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083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hletic development information to a user
KR20190002956A (ko) 게임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장치
KR102162758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3668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92156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10538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48238B1 (ko) 기능을 대상으로 하는 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장치
KR101789291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45732A (ko) 스크린샷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96557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19464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2524112B1 (ko)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