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152B1 -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152B1
KR101972152B1 KR1020170138426A KR20170138426A KR101972152B1 KR 101972152 B1 KR101972152 B1 KR 101972152B1 KR 1020170138426 A KR1020170138426 A KR 1020170138426A KR 20170138426 A KR20170138426 A KR 20170138426A KR 101972152 B1 KR101972152 B1 KR 10197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air
rod end
tension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영
고봉성
이대수
이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5Arrangements for fixing trolley wires to supporting-lines which are under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의 받침대와 상단의 로드엔드를 구비한 아이로드에 끼워져서 지지되며 전차선로의 장력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장력추를 장선기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철도차량 전차선로의 장력추 승하강 장치로서, 아이로드의 로드엔드를 하단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단부연결 로드로 이루어지는 로드엔드지지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장선기에 걸려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 의해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가 모아져서 장선기에 걸리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도 서로 가까이 접근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장선기에 의한 장력추의 승하강 이동시에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Elevation Device for Tension Weight of a Railway Catenary System}
본 발명은 장력추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전차선로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장력추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철도차량은 환경오염, 동력효율, 동력전달계통 설계의 편의성 등의 이유로 종래 디젤기관차 또는 디젤전기기관차로부터 전기만으로 구동되는 전기기관차로 많이 바뀌고 있다. 이러한 전기기관차는 철도차량 주행중 계속해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바, 이러한 전력공급계통은 통상적으로 철도 선로를 따라 철도차량의 지붕 위쪽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배전선로인 전차선(또는 트롤리선)과 전기기관차 지붕에 설치된 흔히 ‘팬터그래프’로 지칭되는 집전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차선과 전차선을 지지하는 공작물을 포함하여 전차선로라고 통칭하는데, 이러한 전차선로에는 가공단선식, 가공복선식, 제3레일식, 강체복선식, 강체3선식 등이 있다. 보통 철도차량에는 가공단선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무궤도전차 즉 트롤리버스 등에는 가공복선식이 널리 사용되며, 지하철 등에는 제3레일식이, 그리고 모노레일에는 강체복선식이 주로 사용된다. 가공단선식(架空單線式, overhead single line system) 전차선로의 경우, 전차선이 처지지 않고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공중에 매달리도록 하여 전기기관차의 집전장치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가선(messenger wire)을 구비한다. 또한, 조가선 외에도 행거(hanger), 이어(ear), 브레이스(brace), 풀오프(pull-off), 절연애자(insulator) 등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전주(電柱), 트러스 빔(truss beam), 브래킷(bracket) 등 각종 구조용 공작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차선은 무빙(無氷), 무풍(無風) 지구의 표준온도(10℃)에서의 장력을 표준장력으로 하여 가설하고,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의 접동 특성 등도 이러한 표준장력을 기준으로 설계하게 된다. 그런데, 대기온도의 변화, 풍속의 변화, 강우, 강설 등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차선로에서는 전선의 신축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대기온도가 상승하면 전선이 늘어나 장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전차선의 처짐현상이 발생되는데, 이 상태로 전차선이 전기기관차의 팬터그래프와 접동이 되면, 가선진동이 증대되어 이선(離線) 및 아크(arc)가 발생하고, 전차선이나 팬터그래프 접동판의 마모를 촉진하여, 전차선의 단선사고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차선과 전차선을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조가선은 대기온도 등 주변환경의 변화나 계절의 변화 등에도 불구하고 선로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수시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차선의 신축에 자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설비 즉,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전차선의 특성 향상과 고도의 성능 유지를 도모하고 있다.
자동 장력조정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전차선과 조가선이 신축하여도 장력추의 상하움직임 및 스프링의 신축에 의하여 전선의 장력을 항상 표준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장력조정장치는 도르래식 장력조정장치(경부고속철도에서 개별식으로 사용), 활차식 장력조정장치(기존선에서 일괄식으로 사용), 그리고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고속철도 터널에서 개별식, 기존 운행선 및 측선 등에서 일괄식으로 사용) 등이 있다. 활차식 장력조정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공보 제10-1192218호(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설치가 간단하고 무보수, 무교체 방식으로 장기간 운용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이 있어 점점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가선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비교적 긴 가선에 사용할 수 있는 활차식 장력조정장치는 부품들이 모두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 방청, 와이어로프 급유, 활차축 베어링 교환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정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력조정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와이어로프에 인가된 긴장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력추를 수직으로 들어올려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다수의 장력추가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는 아이로드(Eye Rod)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아이로드 상부에 체결공간을 확보하고(필요시 장력추 1장 제거) 아이로드의 로드엔드(Rod End) 하측에 더블크레비스(Double Clevis) 금구를 체결한 다음, 이 더블크레비스 금구를 장선기(또는 전선/활선 바이스)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장력추를 들어올리게 된다. 장력추의 승강작업에 사용하는 장선기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331호(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더블크레비스 금구는 그 구조상 아이로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아이로드에 결합될 수 없고, 아이로드의 로드엔드 하측에 수평에서 다소 상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되게 되므로, 아이로드의 로드엔드 부근에 굽힘하중을 가하게 되어 종종 아이로드를 굴곡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더블크레비스 금구 체결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종종 최상측의 장력추를 제거해야만 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전주에 승주한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0㎏짜리 장력추를 아이로드에서 빼내어 이동시키고 아이로드의 로드엔드 하측에 금구를 체결하는 작업은 작업의 난이도, 작업자의 안전확보, 인력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장력조정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장력추 상승 및 하강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투입인력이 과다하지 않도록 하여 인력효율 향상에도 기여하는 한편, 작업자 및 열차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92218호(2012.10.17.공고) “장력 조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331호(2016.04.27.공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적정인력만으로 안전하게 장력조정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력추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력추를 고정하여 지지하고 있는 아이로드를 장력추를 이동시키는 과정 없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력추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이로드에 불필요한 하중이 인가되어 아이로드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장력추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는, 하단의 받침대와 상단의 로드엔드를 구비한 아이로드(eye rod)에 끼워져서 지지되며 전차선로의 장력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장력추를 장선기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아이로드의 로드엔드를 하단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단부연결 로드로 이루어지는 로드엔드지지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장선기에 걸려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 의해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가 모아져서 장선기에 걸리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도 서로 가까이 접근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장선기에 의한 장력추의 승하강 이동시에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방 연장부; 일단부가 상기 제1 상방 연장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단부연결 로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방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넓게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엔드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가 각각 상기 단부연결 로드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장력추 승하강 작업에서 장력추 이동과정이 생략되므로,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력추 이동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장력추를 받아서 이동시킬 추가인력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인력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더욱이, 장력추 이동과정이 생략되어, 장력추 이동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력추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아이로드를 로드엔드 하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아이로드에 굽힘하중 등 불필요한 하중이 인가되어 아이로드를 손상시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력조정장치의 장력추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장력조정장치의 내구성 증대에도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가 아이로드의 로드엔드 하측에 위치된 사용상태도로서, 사시도(A), 평면도(B), 정면도(C) 및 측면도(D)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승하강 장치의 걸림부가 승하강 작동을 위한 장치인 장선기의 하단부에 걸려서 승하강 이동 준비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시도(A), 평면도(B), 정면도(C) 및 측면도(D)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가 아이로드의 로드엔드 하측에 위치된 사용상태도로서, 사시도(A), 평면도(B), 정면도(C) 및 측면도(D)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승하강 장치의 걸림부가 승하강 작동을 위한 장치인 장선기의 하단부에 걸려서 승하강 이동 준비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100)는 하단의 받침대(도시되지 않음)와 상단의 로드엔드(310)를 구비한 아이로드(300)에 끼워져서 지지되며 전차선로(도시되지 않음)의 장력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장력추(400)를 장선기(500,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100)는 로드엔드지지부(110), 한 쌍의 연장부(130) 및 한 쌍의 걸림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드엔드지지부(110)는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를 하단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단부연결 로드(115)로 이루어진다.
연장부(130)는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는 상방으로 갈수록, 즉 로드엔드지지부(110) 쪽으로부터 걸림부(150) 쪽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넓게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부(130)의 이러한 구조는 간격이 보다 넓은 쪽을 통해서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가 용이하게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로드엔드지지부(110)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130)의 이러한 구조는,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 하측에 로드엔드지지부(110)가 위치된 이후 연장부(130)의 상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부(150)를 장선기 하측의 고리에 걸기 위해 상호 근접하게 모았을 때, 연장부(130) 하단부에 연결된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 또한 상호 가까이 접근하도록 유도하므로,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 사이에 위치된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가 이탈될 염려 없이 상기 로드엔드(310)를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경우 한 쌍의 걸림부(150)의 상호 접근에 의해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가 접근하게 되는 것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가 상기 한 쌍의 걸림부(150)에 의해 형성된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가 각각 상기 단부연결 로드(115)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로드엔드지지 로드(113)가 단부연결 로드(115)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의 탄성 변형 없이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승하강 장치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는 것이 단점이다.
걸림부(150)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장력추(400)가 장착된 아이로드(300)를 장선기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장선기 하측의 고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걸림부(150)는 장선기 하측의 고리에 걸릴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걸림부(150)는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150)는 상기 연장부(130)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로드엔드지지부(110)가 형성된 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50)가 로드엔드지지부(110)가 형성된 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부(150)가 장선기에 걸렸을 때 걸림부(150)와 로드엔드지지부(110)가 거의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어, 로드엔드지지부(110)가 아이로드(300)를 수평에 가까운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로드엔드지지부(110)가 수평에 가까울수록 아이로드(300)에 가해질 수 있는 불필요한 굽힘응력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걸림부(150)가 로드엔드지지부(110)가 형성된 쪽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부(150)에 장선기를 걸어서 들어올릴 때 로드엔드지지부(110)가 아이로드(300)에 굽힘응력을 가하게 될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추 승하강 장치에서 단부연결 로드(115)와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의 연결부위,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와 연장부(130)의 연결부위, 연장부(130)와 걸림부(150)의 연결부위 등은 모두 구성요소들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직선 부위와 곡선 부위를 구분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도면상 각 구성요소간의 구분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추 승하강 장치가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분된 구성요소들이 조립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는 도 3 내지 도 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로드엔드지지부(110), 한 쌍의 연장부(130), 그리고 한 쌍의 걸림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진 한 쌍의 연장부(130) 상측을 통하여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가 통과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승하강 장치(100)의 로드엔드지지부(110)를 로드엔드(310)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로드엔드지지부(110)에 의해 로드엔드(3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로드엔드지지부(110)에 의해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150)가 모아져서 장선기(500)에 걸리도록 한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113)가 서로 가까이 접근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선기에 의한 장력추의 승하강 이동시에 아이로드(300)의 로드엔드(310)가 상기 로드엔드지지부(11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전차선로의 장력조정장치의 정비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시도(A), 평면도(B), 정면도(C) 및 측면도(D)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 역시 로드엔드지지부(110), 한 쌍의 연장부(130) 및 한 쌍의 걸림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로드엔드지지부(110)와 걸림부(150)는 이전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걸림부(150)가 로드엔드지지부(110)가 형성된 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점 역시 동일하다.
다만, 연장부(130)는 이전의 실시예와 상이한 바, 본 다른 실시예의 연장부(130)는 제1 상방 연장부(131), 수평 연장부(133) 및 제2 상방 연장부(135)로 이루어진다.
제1 상방 연장부(131)는 상기 로드엔드지지 로드(113)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수평 연장부(133)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상방 연장부(131)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단부연결 로드(115)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제2 상방 연장부(135)는 상기 수평 연장부(133)의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연장부(130)를 위와 같이 제1 상방 연장부(131), 수평 연장부(133) 및 제2 상방 연장부(135)로 구성함으로써,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30)의 일부를 아이로드(300)의 수직선상에서 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이로드(300) 상측에 회피가 필요한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평 연장부(133)를 지나치게 길게 형성할 경우, 장선기로 본 발명의 장력추 승하강 장치를 들어올릴 때에, 로드엔드지지부(110)가 로드엔드(31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수평에서 멀어지게 되어 종래와 같이 아이로드(300)에 과도한 굽힘응력을 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걸림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0)에서 단부연결 로드(115)가 있는 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림부(150)가 장선기 하단에 걸린 상태에서 로드엔드지지부(110)가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따라서 아이로드(300)에 과도한 굽힘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30) 상측, 즉 제2 상방 연장부(135)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137)를 추기로 구비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경사 연장부(137)는 양측 걸림부(150)가 상호간에 더욱 가까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므로, 양측 걸림부(150)를 모아서 장선기에 걸 때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측 걸림부(150)를 모았을 때 연장부(130)와 로드엔드지지부(110)에 가해지는 굽힘응력, 비틀림응력 등의 긴장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피로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추 승하강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들이 모두 명확히 구분되도록 직선 부위와 곡선 부위를 구분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도면상 각 구성요소간의 구분의 편의를 위한 것임은 이미 밝힌 바와 같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장력추 승하강 장치 110 : 로드엔드지지부
113 : 로드엔드지지 로드 115 : 단부연결 로드
130 : 연장부 131 : 제1 상방 연장부
133 : 수평 연장부 135 : 제2 상방 연장부
137 : 경사 연장부 150 : 걸림부
300 : 아이로드 310 : 로드엔드
400 : 장력추 500 : 장선기

Claims (5)

  1. 하단의 받침대와 상단의 로드엔드를 구비한 아이로드(eye rod)에 끼워져서 지지되며 전차선로의 장력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장력추를 장선기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아이로드의 로드엔드를 하단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단부연결 로드로 이루어지는 로드엔드지지부;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장선기에 걸려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
    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 의해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가 모아져서 장선기에 걸리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도 서로 가까이 접근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장선기에 의한 장력추의 승하강 이동시에 아이로드의 로드엔드가 상기 로드엔드지지부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로드엔드지지 로드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방 연장부;
    일단부가 상기 제1 상방 연장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단부연결 로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타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방 연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넓게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엔드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로드엔드지지 로드가 각각 상기 단부연결 로드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KR1020170138426A 2017-10-24 2017-10-24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KR10197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426A KR101972152B1 (ko) 2017-10-24 2017-10-24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426A KR101972152B1 (ko) 2017-10-24 2017-10-24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152B1 true KR101972152B1 (ko) 2019-04-24

Family

ID=662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426A KR101972152B1 (ko) 2017-10-24 2017-10-24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1720A (zh) * 2020-03-20 2020-07-10 朔黄铁路发展有限责任公司 防止坠砣坠地装置及接触网
FR3113046A1 (fr) * 2020-07-31 2022-02-04 4Nrj Crochet de lev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916A (ja) * 1988-03-28 1989-10-04 Kyushu Denki Kensetsu Koji Kk 搬器通過型延線用ウエイト装置
KR101192218B1 (ko) 2012-04-10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장력 조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20160045331A (ko) 2014-10-17 2016-04-27 천공전기(주)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916A (ja) * 1988-03-28 1989-10-04 Kyushu Denki Kensetsu Koji Kk 搬器通過型延線用ウエイト装置
KR101192218B1 (ko) 2012-04-10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장력 조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20160045331A (ko) 2014-10-17 2016-04-27 천공전기(주)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1720A (zh) * 2020-03-20 2020-07-10 朔黄铁路发展有限责任公司 防止坠砣坠地装置及接触网
CN111391720B (zh) * 2020-03-20 2021-07-06 朔黄铁路发展有限责任公司 防止坠砣坠地装置及接触网
FR3113046A1 (fr) * 2020-07-31 2022-02-04 4Nrj Crochet de levage
EP3944984A3 (fr) * 2020-07-31 2022-03-02 4Nrj Crochet de lev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152B1 (ko) 철도차량 전차선로 장력추 승하강 장치
CN202268671U (zh) 一种架空电力输电线路可位移悬垂串
RU2534629C2 (ru) Консоль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CN219339247U (zh) 移动接触网重力补偿装置
CN104228611A (zh) 接触线线夹、吊弦及接触悬挂
CN211054969U (zh) 一种补偿滑轮防偏磨装置及接触网滑轮补偿装置
DK2612789T3 (en) Method of connecting power rails
CN112886475B (zh) 一种输电线路放线跨越施工防护网结构
CN209870166U (zh) 一种铁路接触网系统
CN102838041B (zh) 一种天车用滑输线
CN220009537U (zh) 一种高速列车线路的小曲线半径定位装置
CN106481268B (zh) 一种检修用绳梯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532015U (zh) 一种gis间隔整体起吊夹具
CN201656405U (zh) 同轨迹高炉环形拖缆装置
JPH10505569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取付け、バランス装置及びそれらの方法
CN212604666U (zh) 一种补偿滑轮防偏磨脱槽装置及接触网滑轮补偿装置
CN217535219U (zh) 一种起重机滑触线检修装置
CN216733969U (zh) 一种分段绝缘器
CN207860006U (zh) 铁道侧移式刚性活动接触电网用固定支承结构
RU2792357C1 (ru) Изолятор секционный для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железных дорог
RU23427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чности проводов вл в анкерном пролете
CN116834614A (zh) 一种接触线防窜动构造
CN217934225U (zh) 一种带等电位电连接装置的柔性接触网定位器及安装结构
CN113581996B (zh) 一种用于变电站v型绝缘子安装的吊装工具
CN210228928U (zh) 一种架空地线补强专用后背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