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680B1 - 튜브성능시험기 - Google Patents

튜브성능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680B1
KR101971680B1 KR1020170066360A KR20170066360A KR101971680B1 KR 101971680 B1 KR101971680 B1 KR 101971680B1 KR 1020170066360 A KR1020170066360 A KR 1020170066360A KR 20170066360 A KR20170066360 A KR 20170066360A KR 101971680 B1 KR101971680 B1 KR 10197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nit
pressure
ai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361A (ko
Inventor
마경업
Original Assignee
유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6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압을 자가 충전하는 방식의 타이어에 설치되는 튜브의 공기압 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공기압조절밸브와 연동하여 기능성을 시험할 수 있는 튜브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타이어용 튜브 시험장치는 자가 충전식 타이어에 적용되는 공기 튜브의 내구도, 인장, 압착, 흡입 및 토출 공기압, 유량 시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튜브에 대한 다양한 특성 분석 뿐만아니라, 불량 및 손상이 발생한 튜브에 대한 선별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튜브성능시험기{Apparatus for testing performance of tube}
본 발명은 튜브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압을 자가 충전하는 방식의 타이어에 설치되는 튜브의 성능 및 공기압 전달 특성을 시험 및 분석할 수 있는 튜브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지 못하여 저공기압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고 있다. 종래의 타이어는 별도의 공기압 충전을 하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공기압 손실이 발생한다. 저공기압의 상태로 운전할 경우 핸들링(Handling) 성능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연비 손실도 가져오게 되는 것은 여러 연구에도 밝혀진 바가 있다. 이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저공기압 상태에서 급격한 커브나, 스티어링(Steering) 조작을 할 경우 타이어가 휠로부터 이탈되어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압 손실에 의해 저공기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 차량의 운행 도중 스스로 공기압을 충전하는 자가 공기압 충전식 타이어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자가 공기압 충전식 타이어의 일 예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73303호에는 제1 및 제2 타이어 코어 비드로부터 타이어 트레드 영역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 타이어 공동을 갖는 타이어; 굽힘 스트레인에 반응하여 롤링 타이어 접지면 내에서 작동적으로 구부러지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영역을 갖는 적어도 제1 측벽; 상기 타이어 제1 측벽의 굽힘 영역 내에 배치되는 측벽 홈; 내부 튜브 공기 통로를 갖는 공기 튜브로서, 상기 공기 튜브는 공기 튜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대향홈 표면과 접촉 결합되는 측벽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 홈은 롤링 타이어 접지면 내의 굽힘 영역에서 작동적으로 구부러져 공기 튜브를 롤링 타이어 접지면 근처에서 팽창된 직경으로부터 평탄한 직경으로 압축함으로써 공기를 평탄해진 공기 튜브 세그먼트로부터 튜브 공기 통로를 따라서 강제 이동시키는 공기 튜브; 상기 공기 튜브 통로로부터 소개되는 공기를 작동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코어 비드 내에서 연장되는 코어 비드 통로; 공기를 공기 튜브 통로로부터 코어 비드 통로로 작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 튜브로부터 코어 비드 통로로 연장되는 코어 비드 도관; 및 공기를 코어 비드 통로로부터 타이어 공동으로 작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코어 비드 통로로부터 타이어 공동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공동 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가 팽창 타이어 조립체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입 타이어에 구비되는 공기튜브는 자체적인 결합 또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공기를 타이어 내부로 전달하는 도중 찢어지거나 터지는 등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튜브의 불량이나 손상 등을 시험 및 검사함으로써 공기튜브의 적합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564591 B1 KR 10-2011-0073303 A KR 10-2011-012367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가 충전식 타이어에 적용되는 공기 튜브의 내구도, 인장 및 압축력, 흡입 및 토출시의 공기압, 유량 시험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 튜브에 대한 특성 분석이 가능한 튜브성능시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는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시험대상 튜브가 안착되는 지지베드와; 상기 지지베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지지베드가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공기압조절부와; 상기 지지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베드 상에 안착된 상기 시험대상 튜브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공기압조절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부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지지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상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테이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루바와, 상기 이동스크루바를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승강스크루바와, 상기 승강스크루바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승강스크루바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스크루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험대상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는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측부와;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험대상 튜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측부 및 제3압력계측부와;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제2압력계측부 사이의 상기 시험대상 튜브에 설치되는 유량계측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는 상기 제1압력계측부 내지 제3압력계측부와, 상기 유량계측부에서 각각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들 및 유량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통해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들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는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공기압조절부 사이에 연결된 선회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는 상기 제1압력계측부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이상이면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시험대상 튜브가 서로 연통되게 상기 공기압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압력계측부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미만이면 상기 시험대상 튜브와 외기가 서로 연통되게 상기 공기압조절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타이어용 튜브 시험장치는 자가 충전식 타이어에 적용되는 공기 튜브의 내구도, 인장, 압착, 흡입 및 토출 공기압, 유량 시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튜브에 대한 다양한 특성 분석 뿐만아니라, 불량 및 손상이 발생한 튜브에 대한 선별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튜브성능시험기(1)는 지지베드(100)와, 지지테이블(200)과, 공기압조절부(10)와, 구동유닛(500)과, 제어유닛(600)과, 에어챔버(20)와, 제1압력계측부(31) 내지 제3압력계측부(33)와, 유량계측부(35)와, 데이터수집부(700)와, 분석부(800)와, 표시부(900) 및 선회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베드(1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시험대상 튜브(T)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지지테이블(200)의 중앙에 지지테이블(200)을 따라 연장되고, 시험대상 튜브(T)의 길이 및 폭보다 길고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베드(100)에 안착되는 시험대상 튜브(T)는 내경이 3mm이고, 외경이 5mm 내지 6mm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테이블(200)은 지지베드(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측에 지지베드(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테이블(200)은 복수의 사각 파이프를 용접하여 형성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측방에 결합되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프레임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조절부(10)는 시험대상 튜브(T)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시험대상 튜브(T)의 유로를 제어유닛(600)의 제어에 따라 개폐하는 것으로서, 시험 도중 시험대상 튜브(T)의 유로를 외기와 연통되게 하거나, 외기와 연통된 상태를 차단하고 에어챔버(20)와 연통되게 한다. 상기 공기압조절부(10)는 외기와 연통되는 제1통로부, 시험대상 튜브(T)의 유로와 연통되는 제2통로부와, 에어챔버(20)와 연통되는 제3통로부 및 제3통로부는 차단하면서 제1통로부와 제2통로부는 서로 연결시키거나 제1통로부는 차단하면서 제2통로부와 제3통로부는 서로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지지베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베드(100) 상의 시험대상 튜브(T)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테이블(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유닛(300)과, 승강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300)은 지지테이블(200)의 상부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지지테이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310)와, 가이드(3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310)에 설치된 이동블록(320)과, 이동블록(320) 상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330)와, 가이드(310)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이동블록(320)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며 지지테이블(2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블록(320)을 가이드(310)를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루바(340)와, 이동스크루바(340)를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모터(35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300)은 가이드(310)와, 이동블록(320)과, 이동스크루바(340)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320)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321)와 이동플레이트(330)를 연결하면서 이동스크루바(340)와 나사 결합되는 중계부(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스크루바(340)의 양측 단부는 지지테이블(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필로우블록(3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필로우블록(360)에는 이동블록(320)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유닛(6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1거리센서(361)와 제2거리센서(3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구동모터(350)의 회전축에 감속기어박스(351)가 설치되고, 감속기어박스(351)의 회전축 및 이동스크루바(340)의 단부에 각각 구동스프로킷(352) 및 종동스프로킷(353)이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352)과 종동스프로킷(353) 사이에 타이밍벨트(354)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구동모터(350)가 일 측으로 회전하면, 이동스크루바(340)가 회전되면서 이동블록(320) 및 이동플레이트(330)가 가이드(310)를 따라 지지베드(100)의 일 측으로 이동하고, 타 측으로 회전하면 가이드(310)를 따라 지지베드(100)의 타 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유닛(400)은 이동플레이트(330) 상부에 이동플레이트(33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10)와, 이동플레이트(33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410)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승강스크루바(420)와, 승강스크루바(420)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모터(430)와, 이동플레이트(330)와 고정플레이트(410) 사이에서 승강스크루바(420)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스크루바(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440)와, 승강플레이트(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험대상 튜브(T)를 가압하는 가압롤러(4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0)는 이동플레이트(330)의 가장자리 측에 세로로 설치된 4개의 승강가이드(415)에 의해 고정플레이트(410) 상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승강플레이트(440)는 승강가이드(415)가 통과할 수 있게 가장자리 측에 통과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승강가이드(415)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플레이트(440)에는 가압롤러(45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460)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플레이트(460)에는 가압롤러(4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위감지부(480)는 고정플레이트(410)와 승강플레이트(440)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플레이트(410)에 대해 승강플레이트(440)의 하강 높이의 변화 또는 상승 높이의 변화 즉, 변위를 감지한다.
상기 변위감지부(4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10)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81)과, 고정프레임(481)의 하단에 설치되는 변위센서본체(482)와, 변위센서본체(48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도파관(483)과, 도파관(483)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도파관(483)과 접촉되지 않도록 도파관(483)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부(484)와, 헤드부(484)를 승강플레이트(440)와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헤드부(484)를 승강플레이트(44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브라켓(485)을 포함한다. 상기 변위감지부(480)는 도파관(483)에서 자기장이 생성되고, 헤드부(484)에서 전류 펄스가 송출된다. 도파관(48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헤드부(484)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 도파관(483)에서 교차하면 변형 펄스가 즉시 발생하고, 헤드부(484)는 변형 펄스에 의한 리턴 신호를 수신한 후, 선형의 변위 거리를 산출하는 자기변형 변위계 방식을 적용한다.
한편, 상기 변위감지부(480)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변위계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변위계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변위감지부(480)는 고정플레이트(410)에 대해 승강플레이트(440)의 이격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가압롤러(450)가 실험대상 튜브(T)를 적정 압력으로 가압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440) 사이의 고정플레이트(410) 하면 또는 승강플레이트(440)의 상면에는 리미트스위치(4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11)에 승강플레이트(440)가 닿거나, 리미트스위치(411)에 고정플레이트(410)이 닿으면, 리미트스위치(411)로부터 제어유닛(600)으로 검출신호가 송출되고 제어유닛은 승강구동모터(430)를 중지시켜 승강플레이트(440)의 상승 범위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450)와 지지브라켓(470) 사이에 압전센서(451)를 설치하여 지지베드(100) 상의 시험대상 튜브(T)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 및 압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모터(430)의 회전축에는 감속기어박스가 설치되고, 감속기어박스의 회전축에는 구동스프로킷이 설치되며, 승강스크루의 상단에는 종동스프로킷이 설치되고,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 사이에 타이밍벨트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430)가 일 측으로 회전하면, 승강스크루바(420)가 회전되면서 승강플레이트(440)가 하강하고, 가압롤러(450)가 지지베드(100) 상의 시험대상 튜브(T)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 및 압착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450)가 지지베드(100) 상의 시험대상 튜브(T)를 가압 및 압착할 수 있도록 이동유닛(300)의 이동플레이트(330)에는 가압롤러(450)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개구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공기압조절부(10)와 구동유닛(50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으로서, 공기압조절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압제어부(610)와, 이동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620)와, 승강유닛(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제어부(630)는 변위감지부, 리미트스위치, 압력센서로부터 송출되는 변위정보, 압력정보 등을 수신하여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에어챔버(20)는 시험대상 튜브(T)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구동유닛(500)의 동작에 의해 시험대상 튜브(T)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면서 압축 이송되는 시험대상 튜브(T) 내의 공기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챔버(20)는 시험대상 튜브(T)가 적용되는 자가 충전식 타이어를 대체한 것이다.
상기 제1압력계측부(31)는 에어챔버(2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데이터수집부(700)로 전송하고, 상기 제2압력계측부(32)는 시험대상 튜브(T)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유닛(500)의 동작시, 가압롤러(450)와 에어챔버(20) 사이의 시험대상 튜브(T) 내부의 정압을 측정하여 데이터수집부(700)로 전송하며, 상기 제3압력계측부(33)는 시험대상 튜브(T)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유닛(500)의 동작시, 가압롤러(450)와 공기압조절부(10) 사이의 시험대상 튜브(T) 내부의 부압을 측정하여 데이터수집부(7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계측부(35)는 에어챔버(20)와 제2압력계측부(32) 사이의 시험대상 튜브(T)에 설치되어 시험대상 튜브(T)를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유닛(600)으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수집부(700)는 제1압력계측부(31) 내지 제3압력계측부(33)와, 유량계측부(35)에서 각각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들 및 유량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 및 제어유닛(600)으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800)는 데이터수집부(700)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제어유닛(600)을 통해 전달받아 시험대상 튜브(T)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시 제어유닛(600)으로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900)는 데이터수집부(700)에서 수집된 데이터들 및 분석부(800)에서 분석된 분석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선회부는 에어챔버(20)와 공기압조절부(10)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 단이 에어챔버(20)에 연결되고, 타 단은 공기압조절부(10)의 제3통로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유닛(600)의 공기압제어부(610)는 제1압력계측부(31)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이상이면 에어챔버(20)와 시험대상 튜브(T)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압조절부(10)의 절환부를 제어하여 제2통로부와 제3통로부를 연통시키고, 제1압력계측부(31)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미만이면 시험대상 튜브(T)와 외기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압조절부(10)의 절환부를 제어하여 제1통로부와 제2통로부를 연통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성능시험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기압조절부
20 : 에어챔버
31 : 제1압력계측부
32 : 제2압력계측부
33 : 제3압력계측부
35 : 유량계측부
100 : 지지베드
200 : 지지테이블
300 : 이동유닛
400 : 승강유닛
500 : 구동유닛
600 : 제어유닛
700 : 데이터수집부
800 : 분석부
900 : 표시부
T : 시험대상 튜브

Claims (5)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시험대상 튜브가 안착되는 지지베드와;
    상기 지지베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지지베드가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공기압조절부와;
    상기 지지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베드 상에 안착된 상기 시험대상 튜브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공기압조절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부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지지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상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테이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루바와, 상기 이동스크루바를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승강스크루바와, 상기 승강스크루바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승강스크루바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스크루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험대상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성능시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측부와;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험대상 튜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측부 및 제3압력계측부와;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제2압력계측부 사이의 상기 시험대상 튜브에 설치되는 유량계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성능시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계측부 내지 제3압력계측부와, 상기 유량계측부에서 각각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들 및 유량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통해 상기 시험대상 튜브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들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성능시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공기압조절부 사이에 연결된 선회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는 상기 제1압력계측부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이상이면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시험대상 튜브가 서로 연통되게 상기 공기압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압력계측부의 측정 압력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압력데이터 미만이면 상기 시험대상 튜브와 외기가 서로 연통되게 상기 공기압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성능시험기.
KR1020170066360A 2017-05-29 2017-05-29 튜브성능시험기 KR10197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60A KR101971680B1 (ko) 2017-05-29 2017-05-29 튜브성능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60A KR101971680B1 (ko) 2017-05-29 2017-05-29 튜브성능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61A KR20180130361A (ko) 2018-12-07
KR101971680B1 true KR101971680B1 (ko) 2019-04-23

Family

ID=646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60A KR101971680B1 (ko) 2017-05-29 2017-05-29 튜브성능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82B1 (ko) * 2015-04-16 2015-09-04 (주)함코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KR101766655B1 (ko) 2016-05-12 2017-08-09 유일산업주식회사 자가 충전식 타이어용 튜브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17B1 (ko) * 2006-12-07 2008-07-15 동양기전 주식회사 튜브링 일체형 시험장치
US8381785B2 (en) 2010-05-07 2013-02-2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lf-inflating tire assembly
US8042586B2 (en) 2009-12-21 2011-10-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lf-inflating tire assembly
JP6022987B2 (ja) * 2013-04-03 2016-1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装置の空気圧回路
KR20150043171A (ko) * 2013-10-14 2015-04-22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fc튜브 표면 결함 검사 장치
KR101564591B1 (ko) 2014-06-24 2015-10-3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자가 공기압 충전식 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82B1 (ko) * 2015-04-16 2015-09-04 (주)함코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KR101766655B1 (ko) 2016-05-12 2017-08-09 유일산업주식회사 자가 충전식 타이어용 튜브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61A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655B1 (ko) 자가 충전식 타이어용 튜브 시험장치
KR101971680B1 (ko) 튜브성능시험기
CN114354376A (zh) 一种测试食品包装撕裂性能的智能检测设备
CN110146043B (zh) 电机出轴检测装置
CN109900547B (zh) 一种卧式压力机
KR101255837B1 (ko) 자동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
KR101784490B1 (ko) 타이어 특성 시험장치
CN217845925U (zh) 一种杯突试验机
CN213704499U (zh) 一种滚筒驱动装置及轮胎胶片在线检测设备
KR101820023B1 (ko) 엘엠가이드 테스트장치
CN114527000A (zh) 一种数据分析式检测方法
CN207147735U (zh) 车顶棚刚度检测装置以及车顶棚刚度检测设备
CN220784643U (zh) 橡胶胶片厚度测量装置
CN219574260U (zh) 一种车窗玻璃电动击碎装置动作性能试验装置
CN111122436A (zh) 粘性材料切向力测试方法及装置
CN214843736U (zh) 一种扭矩检测装置及系统
CN220708944U (zh) 一种汽车轮毂轴管用检测设备
CN214472402U (zh) 一种水泥抗折试验机
CN219416580U (zh) 一种实验室用气密性检测机构
CN220660268U (zh) 一种玻璃边部打磨装置
CN220720262U (zh) 拉膜系统
CN219434007U (zh) 一种电池厚度测量装置
CN111693376B (zh) 一种混凝土抗压强度检测装置
CN220808920U (zh) 一种轮胎打标机构
CN213396898U (zh) 一种高精度轴承滚子圆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