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23B1 -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23B1
KR101970223B1 KR1020180093704A KR20180093704A KR101970223B1 KR 101970223 B1 KR101970223 B1 KR 101970223B1 KR 1020180093704 A KR1020180093704 A KR 1020180093704A KR 20180093704 A KR20180093704 A KR 20180093704A KR 101970223 B1 KR101970223 B1 KR 10197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sensor
dew
liquid storage
condens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는 소정의 비열을 갖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방열판; 상기 액체 저장부 또는 상기 방열판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는 복수의 결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결로 센서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된 결로 발생 여부에 따라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결로 방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w Condensation Prevention Using Dew Condensation Sensor}
본 발명은 복수의 결로 센서를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운용장비는 외부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서, 결로는 운용장비의 온도가 대기 환경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을 때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결로 제거 방법은 운용장비 내부에 구비된 가열기 및 팬을 구동시켜 운용장비의 온도를 항상 대기온도보다 높게 만들어 결로의 발생을 막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으로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결로 제거 방법은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의 센서를 운용장비 곳곳에 설치한 후 모니터링 해야만 하고, 결로가 발생된 후에도 제습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다수의 센서 각각을 모니터링 해야만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7968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로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결로 센서를 장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 적은 개수의 결로 센서를 이용하여 옥외 분전반이나 군용 장비와 같이 외부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로 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세 개의 결로 센서를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를 탐지하고, 결로 센서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로 방지 제어장치는 소정의 비열을 갖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방열판; 상기 액체 저장부 또는 상기 방열판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는 복수의 결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결로 센서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된 결로 발생 여부에 따라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결로 방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방열판 및 액체 저장부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결로 방지 제어방법은 상기 액체 저장부 또는 상기 방열판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제1 결로 센서, 제2 결로 센서 및 제3 결로 센서에서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는 센싱 단계; 상기 제1 결로 센서, 상기 제2 결로 센서 및 상기 제3 결로 센서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결로 발생 여부에 따라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로가 발생하는 환경조건에서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하는 특정 위치의 결로 센서를 이용하여 결로 발생을 감지하고, 결로가 감지된 후 바로 제습 동작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로가 감지된 후 바로 제습 동작이 구동되기 때문에 결로 제거를 위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로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특정 위치에 결로 센서(제1 결로 센서, 제2 결로 센서)를 구비하고, 결로 발생 시 가장 늦게 결로가 제거되는 특정 위치에 결로 센서(제3 결로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결로 센서의 설치를 줄일 수 있고, 특정 위치의 결로 센서만으로 운용장비의 결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의 온도 상승 시 결로 방지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의 온도 하강 시 결로 방지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는 옥외 분전반, 군용 장비 등과 같이 외부 온도변화에 노출되어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장비일 수 있으며, 결로 방지 제어장치는 이러한 운용장비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기 위한 용도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는 방위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결로 방지 기술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유리창 등과 같이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방열판(110), 액체 저장부(120), 결로 센서(130) 및 결로 방지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로 센서(130)는 복수의 결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로 센서(130)는 제1 결로 센서(150), 제2 결로 센서(160) 및 제3 결로 센서(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기능에 따라 결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결로 제거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운용장비는 액체를 저장하는 금속 저장모듈, 복수의 회로기판 등을 구비하는 밀폐식 또는 공랭식 구조의 장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습 장치(예: 송풍팬, 히터 등)를 구동시켜 결로를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에 연동하면서 결로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방열판(110)은 운용장비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110)은 액체 저장부(120)와 연결되고, 액체 저장부(120)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흡수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방열판(110)은 액체 저장부(120)의 일측면과 커넥터부(112)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갖는다. 커넥터부(112)는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면서 방열판(110) 및 액체 저장부(120)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방열판(110)은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하고, 다수의 방열핀은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태는 변형될 수 있다. 방열판(11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방열판(110)은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황동,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20)는 특정 액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부(120)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이 아닌 다른 액체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액체로 대체하는 사용할 경우 물보다 비열이 높거나 유사한 비열을 갖는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부(120)는 특정 액체를 저장하는 밀폐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120)는 특정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이프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결로 센서(130)는 운용장비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센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로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결로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로 센서(130)는 운용장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센싱 결과를 결로 방지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130)는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만을 포함하는 센싱 결과를 결로 방지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결로의 발생 여부는 결로 방지 제어부(170)에서 판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로 센서(130)는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로의 발생 여부까지 판단한 후 결로의 센싱 결과를 결로 방지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결로 센서(130)에 포함된 복수의 결로 센서는 습도 감지방식을 적용하여 결로의 발생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로의 발생을 센싱할 수 있다면 그 어떤 방식으로도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결로 센서(130)는 설치된 특정 위치에서 실제 조성된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센싱 결과신호를 결로 방지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며, 습도 증가에 따른 결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130)는 온습도 센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130)는 제1 결로 센서(150), 제2 결로 센서(160) 및 제3 결로 센서(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결로 센서(150), 제2 결로 센서(160) 및 제3 결로 센서(170) 각각은 운용장비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로 센서(140)는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방열판의 하측면 온도,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1 결로 센서(140)는 방열판(110)의 하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로 센서(150)는 액체 저장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 온도, 액체 저장부(120)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2 결로 센서(150)는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결로 센서(160)는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면 온도,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3 결로 센서(160)는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로 센서(150), 제2 결로 센서(160) 및 제3 결로 센서(170) 각각은 센싱된 센싱 결과정보를 결로 방지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운용장비 내부의 결로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운용장비 내부 결로 발생 여부를 복수의 결로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내부 결로가 발생한 경우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습 동작의 제어는 운용장비에 구비된 히터, 송풍팬 등의 제습 기능을 갖는 모듈을 ON/OFF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운용장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결로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센싱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3 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제1 결로 센서(150), 제2 결로 센서(160) 및 제3 결로 센서(170)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제습 동작을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변화 즉, 내부 공기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센싱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제2 결로 센서(160)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 액체 저장부(120)의 주변 공기 온도와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제2 결로 센서(150)에서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센싱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제1 결로 센서(150)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하강 시,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공기 온도와 방열판(110)의 온도 간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1 결로 센서(140), 제2 결로 센서(150), 제3 결로 센서(160) 등 중 적어도 하나의 결로 센서에서 결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습 장치(예: 송풍팬, 히터 등)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습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면 다른 제어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습 동작을 수행 중 제1 결로 센서(140), 제2 결로 센서(150), 제3 결로 센서(160) 등의 결로 제거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결로 센서(13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제1 결로 센서(140) 및 제2 결로 센서(150)가 제3 결로 센서(160)보다 먼저 결로가 제거된다. 이에 따라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습 동작을 수행 중 제1 결로 센서(140) 또는 제2 결로 센서(150)의 결로 제거 상태를 확인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1 결로 센서(140) 또는 제2 결로 센서(150)의 설치 위치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된 이후에도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 제거 상태를 확인한다. 결로 방지 제어부(170)는 제3 결로 센서(160)의 설치 위치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된 이후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 2의 (a)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외부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외부 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방열판(110)은 액체 저장부(120)의 상단에 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서포터(11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112)는 방열판(110) 또는 액체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판(110) 및 액체 저장부(120) 중 하나의 구성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열판(110)은 액체 저장부(120)과 연결되어 있는 반대 방향으로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는 방열판(110)에 직사각형 형태의 방열핀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판(110) 또는 방열핀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판(11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황동,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방열판(110) 및 액체 저장부(120)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결로 센서(130)가 설치된다. 도 2의 (b)에서 서포터(112)의 구조 그림은 결로 센서(130)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제1 결로 센서(140)는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방열판의 하측면 온도,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제1 결로 센서(140)는 방열판(110)의 하측면의 정중앙 또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로 센서(140)는 운용장비의 온도 하강시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하는 특정 위치인 방열판(11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20)에 저장된 물의 비열이 가장 높으므로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하강 시에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 된다.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 공간 즉,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 공간은 좁고, 서포터(112)로 인해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 공간의 공기 온도는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한편, 방열판(110)은 운용장비 내의 구성 중 가장 낮은 온도를 갖으며, 이로 인해, 온도가 가장 낮은 방열판(110)에 설치된 제1 결로 센서(140)와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서는 가장 크게 온도차가 발생하며, 결로가 가장 먼저 발생하게 된다.
제2 결로 센서(150)는 액체 저장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 온도, 액체 저장부(120)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제2 결로 센서(150)는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의 정중앙 또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로 센서(150)는 운용장비의 온도 상승시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하는 특정 위치인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20)에 저장된 물의 비열이 가장 높으므로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에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천천히 상승하게 된다. 즉,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낮은 부분이 된다. 이로 인해, 제2 결로 센서(150)가 설치된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 부분에서 온도차가 가장 크게 온도차가 발생하며, 결로가 가장 먼저 발생하게 된다.
제3 결로 센서(160)는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면 온도,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한다. 제3 결로 센서(160)는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면의 정중앙 또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결로 센서(160)는 제습 동작이 ON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가장 나중에 결로가 제거되는 특정 위치인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a) 및 (b)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방열판(110), 금속 재질의 액체 저장부(120), 3 개의 결로 센서(140, 150, 160)로 구성된다.
제1 결로 센서(140)는 운용 장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할 경우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 결로 센서(150)는 운용 장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결로 센서(140) 또는 제2 결로 센서(150)만을 모티터링하여 결로를 발생을 방지 및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용장비에 내부 결로가 발생한 경우 제습 동작을 수행 중 가장 늦게 결로가 제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결로 센서(160)를 모니터링하여 제습 동작을 종료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공기온도에 대한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S31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공기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결로 센서(130)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공기온도에 대한 변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내부 공기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2 특정위치에 구비된 제2 결로 센서(150)의 결로 발생을 확인한다(S320).
한편, 단계 S310에서 내부 공기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 내부 공기온도가 하강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2). 단계 S312에서 내부 공기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특정위치에 구비된 제1 결로 센서(314)의 결로 발생을 확인한다(S314)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결로 센서(140) 및 제2 결로 센서(150) 중 적어도 하나의 결로 센서에서 결로가 발생된 경우,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S33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습 동작을 수행 중 제1 결로 센서(140) 또는 제2 결로 센서(150)의 결로가 제거 여부를 확인한다(S34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결로 센서(140) 또는 제2 결로 센서(150)의 결로가 제거되면(S350), 제3 특정위치에 구비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가 제거 될 때까지 제습 동작을 수행한다(S360). 즉,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한다.
도 3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의 온도 상승 시 결로 방지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는 제1 결로 센서(140), 제2 결로 센서(150) 및 제3 결로 센서(160)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 결로 센서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제2 결로 센서(150)에서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한다. 제2 결로 센서(150)는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저장부(120)에 저장된 물의 비열이 가장 높으므로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에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천천히 상승하게 된다. 즉,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낮은 부분이 된다. 이로 인해, 제2 결로 센서(150)가 설치된 액체 저장부(120)의 하측면 부분에서 온도차가 가장 크게 온도차가 발생하며, 결로가 가장 먼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상승 시, 액체 저장부(120)의 주변 공기 온도와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제2 결로 센서(150)에서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습 기능을 수행 중 액체 저장부(120)의 주변 공기 온도와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작은 경우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2 결로 센서(150)에서 결로가 제거되면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2 결로 센서(150)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가 가장 늦게 제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 제거 여부를 확인하고, 제3 결로 센서(160)에서 결로가 제거되면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3 결로 센서(160)는 공기의 유동이 제한적인 위치 즉, 송풍팬, 히터 등을 구동시켜 제습 동작을 수행 중에도 온도가 가장 늦게 상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결로가 가장 늦게 제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 제거 상태를 확인한 후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의 온도 하강 시 결로 방지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는 제1 결로 센서(140), 제2 결로 센서(150) 및 제3 결로 센서(160)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하강 시, 결로 센서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가장 먼저 결로가 발생한다. 제1 결로 센서(140)는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 공간에서 방열판(11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저장부(120)에 저장된 물의 비열이 가장 높으므로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하강 시에 전체 장비 온도 중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 된다. 액체 저장부(120)의 상측 공간 즉,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 공간은 좁고, 서포터(112)로 인해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 공간의 공기 온도는 액체 저장부(120)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한편, 방열판(110)은 운용장비 내의 구성 중 가장 낮은 온도를 갖으며, 이로 인해, 온도가 가장 낮은 방열판(110)에 설치된 제1 결로 센서(140)와 액체 저장부(120) 사이에서는 가장 크게 온도차가 발생하며, 결로가 가장 먼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하강 시,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공기 온도(A)와 방열판(110)의 온도 간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습 기능을 수행 중 방열판(110)과 액체 저장부(120) 사이의 공기 온도(A)와 방열판(110)의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작은 경우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제거되면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제1 결로 센서(140)에서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가 가장 늦게 제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 제거 여부를 확인하고, 제3 결로 센서(160)에서 결로가 제거되면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3 결로 센서(160)는 공기의 유동이 제한적인 위치 즉, 송풍팬, 히터 등을 구동시켜 제습 동작을 수행 중에도 온도가 가장 늦게 상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결로가 가장 늦게 제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결로 센서(160)의 결로 제거 상태를 확인한 후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결로 방지 제어장치
110: 방열판 120: 액체 저장부
130: 결로 방지 제어부 140: 결로 센서
150: 제1 결로 센서 160: 제2 결로 센서
170: 제3 결로 센서

Claims (14)

  1. 운용장비의 결로 방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비열을 갖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방열판;
    상기 액체 저장부 또는 상기 방열판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는 복수의 결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결로 센서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된 결로 발생 여부에 따라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결로 방지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결로 센서는, 제1 결로 센서, 제2 결로 센서, 제3 결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로 센서 및 상기 제3 결로 센서는 상기 방열판과 상기 액체 저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결로 센서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결로 센서 또는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1 결로 센서 또는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가 제거된 이후 상기 제3 결로 센서의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온도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결로 센서 중 일부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로 센서는 상기 방열판의 하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결로 센서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결로 센서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방열판과 상기 액체 저장부 사이의 공기 온도와 상기 방열판의 온도 간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제어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주변 공기 온도와 상기 액체 저장부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이슬점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9. 삭제
  10. 운용장비에 구비된 방열판 및 액체 저장부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 또는 상기 방열판의 서로 다른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제1 결로 센서, 제2 결로 센서 및 제3 결로 센서에서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는 센싱 단계;
    상기 제1 결로 센서, 상기 제2 결로 센서 및 상기 제3 결로 센서 각각으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결로 발생 여부에 따라 제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 단계는, 상기 방열판과 상기 액체 저장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 결로 센서 및 상기 제3 결로 센서와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 결로 센서로부터 상기 결로 발생 조건을 센싱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결로 센서 또는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1 결로 센서 또는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가 제거된 이후 상기 제3 결로 센서의 결로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습 동작을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제2 결로 센서의 결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결로 센서에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습 동작을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14. 삭제
KR1020180093704A 2018-08-10 2018-08-10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97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04A KR101970223B1 (ko) 2018-08-10 2018-08-10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04A KR101970223B1 (ko) 2018-08-10 2018-08-10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23B1 true KR101970223B1 (ko) 2019-04-18

Family

ID=6628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04A KR101970223B1 (ko) 2018-08-10 2018-08-10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4309A (zh) * 2023-06-08 2023-07-07 深圳市首航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电池舱凝露的方法、冷却系统及储能系统
CN117878735A (zh) * 2024-03-12 2024-04-12 长沙普洛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控机柜防冷凝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948B1 (ko) * 2002-07-26 2005-03-22 이현상 전자장비 냉각장치
KR100544685B1 (ko) * 2003-03-14 2006-01-23 정현 방습 장치를 구비한 전자식 잠금 장치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0215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의 결로방지를 위한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948B1 (ko) * 2002-07-26 2005-03-22 이현상 전자장비 냉각장치
KR100544685B1 (ko) * 2003-03-14 2006-01-23 정현 방습 장치를 구비한 전자식 잠금 장치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0215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의 결로방지를 위한 공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4309A (zh) * 2023-06-08 2023-07-07 深圳市首航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电池舱凝露的方法、冷却系统及储能系统
CN116404309B (zh) * 2023-06-08 2023-09-12 深圳市首航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电池舱凝露的方法、冷却系统及储能系统
CN117878735A (zh) * 2024-03-12 2024-04-12 长沙普洛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控机柜防冷凝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7878735B (zh) * 2024-03-12 2024-05-28 长沙普洛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控机柜防冷凝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6558B2 (ja) 建物内の雰囲気制御
KR101970223B1 (ko) 결로 센서를 이용한 결로 방지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679069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6374814B (zh) 电动机驱动装置以及探测方法
US9696235B2 (en) Managing water leakage from a water cooling system within a compute node
EP314763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ockage of dust filter
CN107977062B (zh) 浸入式冷却系统验证方法
JP7472149B2 (ja) 取り外し可能なストレージの性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US11523544B2 (en) Air and liquid cooling of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a selected hybrid cooling profile
JP4732977B2 (ja) 電子装置およびラック型電子装置
KR20190037120A (ko) 히트 파이프 냉각 조립체를 갖는 장치 테스트
EP2635017A1 (en) Monitoring camera
TWM541686U (zh) 電子裝置
US934517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US10921300B2 (en) Internal server air quality station
JP200612728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冷却性能検出方法
JP676366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故障検出方法および表示装置を備えたオンライン装置
EP2634668A2 (en) ICT equipment
KR20160073187A (ko) 데이터 센터의 온도조절장치 및 온도조절방법
JP2004355421A (ja) Cpu冷却機構異常の検出
CN110506456B (zh) 具有改进的防潮的电子模块
CN210667802U (zh) 一种云存储固态硬盘
CN109975684B (zh) 一种芯片测试系统
JP2011150517A (ja) 情報処理装置
JP5920803B2 (ja) 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