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608B1 -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608B1
KR101969608B1 KR1020147006201A KR20147006201A KR101969608B1 KR 101969608 B1 KR101969608 B1 KR 101969608B1 KR 1020147006201 A KR1020147006201 A KR 1020147006201A KR 20147006201 A KR20147006201 A KR 20147006201A KR 101969608 B1 KR101969608 B1 KR 101969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edge
glass sheet
major surface
major
ed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622A (ko
Inventor
니콜라스 도미닉 3세 캐벌라로
키쓰 미첼 힐
해리 조셉 리디
리밍 왕
저밍 정
나이웨 저우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07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10T225/12With preliminary weak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7Combined with preliminary weakener or with nonbreaking cut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는 메커니즘, 예를 들어 푸슁 바 및 상응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주변부에서 유리 시트를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비드(bead) 영역과 같은 주변부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는 메커니즘 사용의 결과로서, 흡입 컵(사용될 경우)의 연결 완료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흡입 컵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향상된 수율로 가능하다. 향상된 공정 안정성 및 확장된 공정 창은 높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유리 시트 공정에 특히 유리하다.

Description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연관된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고, 둘 다 발명의 명칭이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인 2011년 8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1/522937과 2011년 11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일련 번호 13/30759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유리 시트의 주변부 마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유리 기판용으로서 다운 드로우 공정으로부터 형성되는 유리 시트의 비드(bead) 영역 제거에 유용하다.
얇은 유리는 많은 광학, 전자 또는 광전자 장치,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에서 반도체 장치 기판, 컬러 필터 기판, 커버 시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밀리미터까지의 두께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는 여러 방법, 예를 들어 플로트 공정,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미국 뉴욕주 코닝에 위치한 코닝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개발된 방법), 슬롯 다운 드로우 공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얇은 유리 시트의 많은 응용 분야에서, 유리 시트가 (i) 본질적으로 긁힘, 입자, 및 다른 결함이 없는 깨끗한(pristine) 표면 품질; (ii) 높은 두께 균일성; (iii) 낮은 표면 조도 및 굴곡(waviness)을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유리 시트를 제조하는 형성 방법에 있어서, 형성된 유리 시트의 주요면의 중심 영역과 고체 표면의 직접적인 접촉은 전형적으로 방지된다. 대신, 오직 유리 시트의 주변부만이 고체 표면, 예를 들어 에지 롤, 풀링 롤, 에지 유도 롤 등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형성 장치, 예를 들어 퓨전 다운 드로우 또는 슬롯 다운 드로우 공정의 드로우 하단(bottom - of - the - draw)에서 직접 얻어지며 때때로 "비드"로 호칭되는, 형성된 유리 시트의 양쪽 측면의 주변부는 주요면의 중심 영역보다 더 낮은 표면 품질을 갖는 경향이 있다. 덧붙여, 사용된 구체적인 형성 장치에 따라, 주변부는 중심 영역과 다른 두께 및 현저히 더 큰 두께 변화를 갖는 경향이 있다.
다른 수율, 수율 일관성, 및 공정과 장치 비용을 갖는 다양한 유리 시트 비드 제거 기술이 이미 사용되거나 제안되었다.
디스플레이 시장은 높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유리 시트, 즉 넓은 시트 폭 및/또는 길이, 및/또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것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보여왔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가요성을 가진 유리 시트에 있어서, 비드 제거가 유리 시트 제조 공정의 중요한 과제 및 전체 수율 병목(bottleneck)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가요성을 가진 유리 시트에 허용 가능한 비드 제거 공정은 매우 높은 가요성을 가진 유리 시트에는 허용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및/또는 낮은 가요성을 가진 유리 시트에 대해 허용 가능한 능력을 갖는 건실한 유리 시트 비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 및 다른 필요를 충족한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이 본원에 개시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서로 겹치거나 겹치지 않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한 측면의 부분은 다른 측면의 범위 안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측면은 복수의 실시양태에 의해 예시되며, 이들은 다시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양태들은 서로 겹치거나 겹치지 않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의 부분 또는 그의 특정 실시양태는 또 다른 실시양태 또는 그의 특정 실시양태의 범위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I)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연결함 - ,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restrain)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소정의 자세(position)로 위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후,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score-line)을 형성하는 단계;
(V)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미는 단계;
(VI) 단계 (V) 후,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을 복수의 흡입 컵(suction cup)과 연결하는 단계;
(VII) 제2 주요면을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nosing strip)과 접촉시키는 단계;
(VIII) 단계 (VI) 및 (VII) 후, 제2 주요면을 흡입 컵에 의해 제1 주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리 시트는 단계 (II) 내지 (VIII) 동안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수직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구속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제공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는 유리 시트가 상온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방향으로 휘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제공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는 적어도 제2 주요면의 측부상의 울퉁불퉁한(knurled) 면으로 된 제1 섹션, 및 제1 섹션에 인접하고 제2 주요면의 측부상의 매끄러운 면으로 된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단계 (VI)에서는 제1 주변부의 제2 섹션(제1 섹션이 아님)과 흡입 컵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에서, 모든 흡입 컵과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의 연결은 최대 5초 내에 완료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I)에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I)은 단계 (IV)에 선행하고, 단계 (IV)에서 기계적 스코어 휠을 사용하여 제1 주요면을 눌러 스코어 라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의 중심 두께 Th(C)는 4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는 1000 mm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는 1000 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리 시트는 다운 드로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V)에서, 스코어 라인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1은 5 cm 이상 5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2는 4 cm 이상 4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3는 0.5 cm 이상 2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에서, 제1 주요면을 직선형 푸슁 바(straight pushing bar)를 사용하여 제2 주요면 쪽으로 민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에서, 직선형 푸슁 바는 실질적으로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II)에서,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을 흡입 컵에 의해 당기는 동시에, 제1 주요면을 직선형 푸슁 바에 의해 민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의 서스펜션 장치는 유리 이송 장치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V)는 단계 (VI)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은 단계 (IV)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연결함 - ,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는 장치이며,
(A)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E) 제1 측부 에지면으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흡입 컵;
(F)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 및
(G) 제2 주요면을 제1 주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입 컵에 의해 잡아당겨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리고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힘 적용 장치(force applicator)
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충분히 강성 시트(seat)에 의해 지지되어 스코어 휠이 노징 스트립에 대해 유리의 제1 주요면을 누를 경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알루미늄 및 그의 합금, 스테인레스강, 및 경질 고무 및 플라스틱에서 선택된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I)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연결함 - ,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소정의 자세로 위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후,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V) 제2 주요면을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과 접촉시키는 단계;
(VI) 단계 (V)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어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리 시트는 단계 (II) 내지 (VI) 동안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수직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구속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제공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는 유리 시트가 상온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을 경우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방향으로 휘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I)에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는 단계 (IV)에 선행하고, 단계 (IV)에서 기계적 스코어 휠을 사용하여 제1 주요면을 눌러, 그 위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의 중심 두께 Th(C)는 3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는 1000 mm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는 1000 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리 시트는 다운 드로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V)에서, 스코어 라인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1은 5 cm 이상 5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2는 4 cm 이상 4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D3는 0.5 cm 이상 20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에서, 제1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직선형 푸슁 바를 사용하여 제2 주요면 쪽으로 민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의 서스펜션 장치는 유리 이송 장치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연결함 - ,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는 장치이며,
(A)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및
(E)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
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충분히 강성인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스코어 휠이 노징 스트립에 대해 유리의 제1 주요면을 누를 경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 및 경질 고무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 및/또는 측면은 하기 장점을 갖는다. 첫째, 유리 시트를 제1 주요면으로부터 제2 주요면까지 누르기 위해 수직 푸슁 바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컵 연결 완료 시간 및 그 변동성이 감소되고, 더 높은 수율의 더 건실한 주변부 제거 공정이 얻어진다. 둘째, 수직 푸슁 바에 의해 제공된 추가 구속으로 인해 공정 및 장치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으로의 시트 휨(warp)에 덜 민감해져 높은 가요성의 유리 시트를 취급할 수 있다. 셋째, 푸슁 바의 사용은 주변부 제거 동안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고정하기 위한 흡입 컵의 필요를 완벽히 제거하여, 놀랍게도 흡입 컵을 사용하는 공정 및 장치와 비교해 작은 유리 두께에서 매우 높은 수율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금방 분명해지거나 또는 명세서 및 청구항,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 및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골격을 제공하기 위함임이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이를 구성한다.
첨부 도면에서,
도 1a 및 1b는 중심 영역 및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영역 제거로 처리될 수 있는 두 개의 비드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유리 시트의 주변 영역 제거를 위해 푸슁 바에 의해 보조되는 흡입 컵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유리 시트의 주변 영역의 제거를 위해 흡입 컵 없이 푸슁 바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리 시트의 주변 영역 제거를 위해 흡입 컵만을 사용하는 비교예에서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우선적인 비드 가열 전 비드 영역을 갖는 유리 시트의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유리 시트의 비드 영역 제거에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러한 비드 영역 제거의 맥락에서 예시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명세서를 읽고서 및 본원의 교시에 의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비드를 포함하는 영역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 임의의 유리 시트 주변부 제거에 이용될 수 있음을 금방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비드 영역 없는 유리 시트의 크기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리 시트는 폭, 길이, 및 제1 주요면으로부터 제2 주요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 두께를 갖는 두 개의 주요면, 즉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갖는 유리 재료의 조각으로 한다. 제1 및 제2 주요면은 4개의 측면에서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굴곡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실시양태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는 (I), (II), ..., (VIII) 등으로 번호를 매겼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나타내거나 문맥이 반대로 나타내지 않는 한, 상기 단계들은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a는 제1 및 제2 주요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의해 절단된,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에 의해 드로우 하단에서 형성된 유리 시트(10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유리 시트(101)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하게 마감될 수 있다. 유리 시트(101)는 제1 주요면(103); 제2 주요면(105); 제1 주요면의 중심선으로부터의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단부를 갖는 굴곡진 제1 측부 에지면(104), 및 제1 주요면의 중심선으로부터의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단부를 갖는 굴곡진 제2 측부 에지면(110)(각각 제1 주요면(103)과 제2 주요면(105)을 연결함)을 갖는다. 유리 시트(10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CR), 유리 시트의 한쪽 측부상의 굴곡진 제1 비드면(107)과 굴곡진 제2 비드면(109)을 갖는, 제1 측부 에지면(104)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1 비드 영역(BD1), 및 굴곡진 제3 비드면(111) 및 굴곡진 제4 비드면(113)을 갖는, 제2 측부 에지면(110)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2 비드 영역(BD2)을 포함한다. 제1 비드 영역(BD1)의 최대 두께는 중심 영역의 납작한 제1 주요면(103) 및/또는 제2 주요면(105)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의 최대 두께로 정의되며, Th(B1)이다. 제2 비드 영역(BD2)은 최대 두께 Th(B2)를 가지며, 이것은 Th(B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비드 영역(BD1)과 제2 비드 영역(BD2)은 동일하거나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b는 제1 주요면(103)으로부터 제2 주요면(105)의 방향으로 본 동일한 유리 시트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높고 깨끗한 표면 품질을 갖는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CR)은 때때로 품질 영역(quality region)으로 불린다. 보통, 유리 기판 기반의 전자/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능성 장치,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 그 외의 전자 장치 및 광학 장치 등은 제1 및 제2 비드 영역이 제거된 후에야 유리 시트의 주요면상에 형성된다. 양쪽 에지부의 제거 후에, 유리 시트는 에지 마감, 예를 들어 그라인딩 및 폴리싱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어서 세척 및 건조시킨 후 기능성 장치,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등이 제1 및 제2 주요면 중 하나 또는 둘의 품질 영역(CR)상에 배치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는 유리 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부분이다.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은 보통 잔류되어 후속 응용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부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유리 시트(101)의 제1 주변부는 제1 비드 영역(BD1)에 유리하게 대응한다. 이하 본 발명은 오직 제1 주변부에 관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다. 하지만, 본 개시물을 읽고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얻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실제 유리 시트 주변부 마감 공정에서 제1 주변부 및 제2 주변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과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양한 측면 및 실시양태를 따라 처리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실제로, 상부 에지면 및 하부 에지면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주변부도 유리 시트의 90˚ 회전 후 제1 주변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 가능하다. 유리 시트의 다수의 주변부의 이러한 처리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어떤 특정하게 이로운 실시양태에서, 동일한 유리 시트의 제1 및 제2 주변부는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대칭적인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단계 (II)에서, 유리 시트(101)는 소정의 자세, 예를 들어 중력 가속도 벡터가 납작한(flattened) 제1 주요면(103)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되는 실질적인 수평 자세, 또는 중력 가속도 벡터가 유리 시트(101)의 제1 주요면(1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는 실질적인 수직 자세로 위치된다. 모든 단계 (II) 내지 (VIII) 동안, 유리 시트의 자세는 실질적으로 안정한 것, 즉, 중력 가속도 벡터와 제1 주요면 사이의 각이 10˚ 이하,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8˚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 이하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시트를 소정의 자세로 위치시키는 것은 유리하게는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서스펜션 장치에 구속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실제 유리 시트 제조 공정, 예를 들어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 플로트(float) 공정 또는 슬롯 다운 드로우 공정으로 제조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비교적 큰 유리 시트는, 그 유리 시트가 받은 고유한 기계적 및/또는 열 이력의 결과로 유리 시트에 분포된 다양한 수준의 내부 응력의 존재로 인해, 무중력 환경에서 상온 근처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갖는 경우에도 때때로 "휨(warp)"으로 호칭되는 자연스러운 굴곡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에서, 유리 시트는 이소파이프(isopipe)라 호칭되는 형성 장치의 루트(root)에서 형성된 점성 유리 리본을 원하는 폭 및 두께로 드로잉하는 동시에 점탄성 상태, 및 최종적으로는 탄성 상태로 냉각시켜 형성된다. 기계적 롤러는 유리 리본이 다운 드로잉될 때 비드라 호칭되는 주변부와 접촉한다. 그 후, 개별 유리 시트를 보통은 비드를 제자리에 남겨 두면서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절단하고, 최종적으로 상온 근처로 냉각시킨다. 유리 시트 중의 유리 재료는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및 위에서 아래로 약간씩 다른 열 이력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유리 리본의 비드 영역은 보통 더 큰 두께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냉각 환경에서 보통 더 얇은 중심 영역에 비해 더 느린 속도로 냉각된다. 상이한 열 이력은 유리 시트가 상온 근처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온도에 있는 경우 유리 시트에 내부 잔류 응력을 야기한다.
도 5는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예시적인 유리 시트의 일부의 응력 분포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수평축에 나타낸 것이 유리 시트의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이고, 수직축은 시트의 상부 에지로부터의 거리이다. 비드를 포함하는 가장 우측의 주변부는 3225 psi까지의 가장 높은 응력을 나타내는 반면, 중심 영역은 실질적으로 응력이 0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잔여 응력 분포 프로파일은 유리 시트에 때때로 휨이라 호칭되는 굴곡을 부여할 수 있다. 휨은 특성상 3차원일 것이다: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제1 측부 에지면으로부터 제2 측부 에지면까지 수평으로 존재할 것이다.
유리 시트가 무중력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휨을 나타낼 경우, 그것은 내부 응력을 상쇄하는 추가적인 외부 구속이 부여되지 않는다면 중력장 내에서 상부 에지로부터 매달았을 때 보통 자연스러운 휨을 나타낼 것이다. 유리 시트 내부의 잔여 응력 및 유리 시트의 자연스러운 굴곡의 존재는 수직 자세로 매달 경우 주변부, 예를 들어 비드 영역의 제거를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상온 부근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보통 무중력 휨을 나타내는 그러한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에 특히 유리하며, 그 이유는 하기에 더 자세하고 깊이 있게 설명될 것이다.
유리 시트가 무중력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휨을 나타낼 경우, 그것은 내부 응력에 상쇄하는 추가적인 외부 구속이 부여되지 않는다면 중력장 내에서 상부 에지로부터 매달았을 때 보통 자연스러운 휨을 나타낼 것이다. 유리 시트 내부의 잔여 응력 및 유리 시트의 자연스러운 굴곡의 존재는 수직 자세로 매달 경우 주변부, 예를 들어 비드 영역의 제거를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상온 부근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보통 무중력 휨을 나타내는 그러한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에 특히 유리하며, 그 이유는 하기에 더 자세하고 깊이 있게 설명될 것이다.
퓨전 다운 드로우 형성 공정의 맥락에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점성 상태에서 유리 재료의 드로잉 가공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리 형성 공정에서, 유리는 보통 예를 들어 주변 영역의 양쪽 측부를 죄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에지 영역에서 구속된다. 높은 온도 및 낮은 유리 점도에서의 유리와 롤러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은 비드 영역에서의 울퉁불퉁한 면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다. 보통, 비드 영역은 변하는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a는 중심 영역의 두께 Th(C)보다 눈에 띄게 큰 최대 두께 Th(B1) 및 Th(B2)를 갖는 비드 영역(BD1 및 BD2)을 보여준다. 보통 울퉁불퉁한 면을 갖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 Th(C)를 갖는 중심 품질 영역 사이에는 에지 롤러와의 직접적인 접촉의 부재로 인해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면을 갖지만 중심 영역만큼 균일하지는 않은 변하는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굴곡진 에지면(104)을 갖는 영역, 울퉁불퉁한 면으로 된 영역,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면과 변하는 두께 프로파일로 된 영역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거되는 제1 주변부를 구성한다. 일부 특정하게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흡입 컵은 직접적으로 제1 구역 즉 울퉁불퉁한 면으로 된 구역이 아닌, 제2 구역 즉 매끄러운 면으로 된 구역과 연결되어, 누수 없는 견고한 접촉을 보장하고 흡입 컵의 연결 완료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에서, 단계 (V), 즉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2 주요면 쪽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한 결과, 흡입 컵을 유리 시트의 제2 면에 연결하는 것은 단계 (V)가 없는 방법에 비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모든 흡입 컵을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에 연결하는 것은 5초 이하,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3초 이하,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2초 이하,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1초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0.5초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0.4초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0.3초 이하에 완료된다. 단계 (V)가 없는 방법에 비하여, 특정 실시양태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은 연결 완료 시간을 적어도 1/4만큼,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1/3만큼,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1/2만큼 감소시킨다. 유리 시트의 표면과 흡입 컵의 연결은 전형적으로 흡입 컵과 유리 시트의 표면을 접촉시킨 후, 공업용 흡입 컵에서 전형적인 바와 같이 흡입 컵의 내부 공동에 진공을 적용하여 이들 사이에 확고하고 견고한 연결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 시트의 표면에 흡입 컵을 확고하고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은 유리 시트를 통한 유리 시트의 텐셔닝(tensioning)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연결 완료 시간은 제1 흡입 컵이 제2 주요면을 건드리는 순간과 모든 흡입 컵이 튼튼하게 제2 주요면과 연결되는 순간, 예를 들어 모든 흡입 컵의 공동 안쪽의 내부 기압이 60 kPa 이하,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50 kPa 이하,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0 kPa 이하로 감소되었을 때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높은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 즉 FXTY = LD/Th ≥ 1000(FXTY는 가요성, LD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제2 측부 에지면의 단부까지 측정된 폭 및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측정된 높이 중 유리 시트의 보다 큰 치수(mm)이고, Th는 유리 시트의 품질 영역의 두께(mm)임)을 갖는 유리 시트에서, 유리 시트와 흡입 컵의 연결은 공정 안정성에 있어 중요한 공정 변수이고, 꽤 길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유리 시트의 가요성이 클수록 유리 시트는 평면을 가로질러 휘기 쉽고, 단계 (V)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유리 시트와 흡입 컵을 연결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FXTY ≥ 1000인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특히 유리하고, FXTY ≥ 2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3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4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5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6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7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8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9000에서 더 유리하고, FXTY ≥ 10000에서 더 유리하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단계 (V)의 포함 및 실행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방법은 실행 간 흡입 컵 연결 완료 시간의 가변성, 및 하나의 FXTY를 갖는 유리 시트와 상이한 FXTY를 갖는 상이한 유리 시트의 흡입 컵 연결 완료 시간의 가변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큰 공정 창을 갖는 다양한 유리 시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된다. 클램프는 오버헤드 유리 시트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클램프는 유리 시트를 주변부의 제거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 안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유리 시트와 연결될 수 있고, 그 후 유리 시트는 주변부 마감을 위한 장치 안으로 옮겨진다. 유리 시트와 흡입 컵의 연결 전에, 유리 시트의 상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는 유리 시트의 중력에 대항하는 힘을 실질적으로 제공하여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매달 것이다. 별법으로, 클램프 대신 흡입 컵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클램프, 흡입 컵 등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 에지면 부근의 위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최소 거리 D0을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I)에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클램프(또는 흡입 컵 또는 다른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5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4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3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2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15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5 cm ≤ D1 ≤ 10 cm이다. 보통 D1 ≤ D0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I)은 단계 (IV)에 선행하고, 단계 (IV)에서 기계적 스코어 휠은 제1 주요면을 눌러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보통, 기계적 스코어 휠이 유리 시트의 표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 유리 시트의 표면에 대한 스코어 휠의 충분한 접촉력 및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상에 일관되고 연속적인 스코어 라인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리 시트의 반대쪽에 지지 장치, 예를 들어 노징 스트립이 필요하다. 별법으로, 스코어 라인은 레이저 공정, 예를 들어 CO2 레이저 주사 후 냉각 제트에 의해 벤트(vent)를 만드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스코어링이 사용되면, 백업 노징은 스코어 라인 형성 공정에 불필요할 수 있고, 단계(VII)가 반드시 단계 (IV)에 선행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높은 가요성 FXTY를 갖는 유리 시트의 마감에 특히 유리하며, 동시에 400 ㎛ 이상,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500 ㎛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00 ㎛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00 ㎛ 이상의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유리 시트 마감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유리 시트의 Th(C)가 400 ㎛ 미만인 경우, 제1 및 제2 주변부를 따른 유리 시트의 휨이 너무 커져 흡입 컵의 연결이 매우 어려워지고, 주변부를 연결하고 구속하기 위한 흡입 컵의 사용을 실용적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미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V)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높은 가요성을 가진 큰 유리 시트의 마감이 가능한 큰 공정 창의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큰 수직 높이 HT를 갖는 유리 시트에 이로우며, 이 방향에서 유리 시트는 제2 주요면과 연결하는 데 있어서 실질적인 휨과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 및 장치는 1000 mm 이상,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12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8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5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000 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유리 시트에 특히 유리하다.
유사하게,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제2 측부 에지면의 단부까지 측정된 넓은 폭 WD를 갖는 유리 시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1000 mm 이상,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12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8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500 mm 이상,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000 mm 이상의 폭을 갖는 유리 시트의 마감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다운 드로우 공정, 예를 들어 미국 뉴욕주 코닝에 위치한 코닝 인코포레이티드(Corning Incorporated)에 의해 개발된 퓨전 다운 드로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리 시트의 마감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다운 드로우 공정에 있어서, 형성 장치, 예를 들어 이소파이프 및 슬롯 아래의 유리 리본이, 생성된 유리 시트 중에 실질적인 열 잔여 응력을 유발하고 이후 마감 단계에서 주변부의 휨을 유발하여 그의 제거를 방해하는 온도 구배 프로파일을 겪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스코어 라인으로부터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까지의 거리 D2는 4 cm ≤ D2 ≤ 40 cm,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4 cm ≤ D2 ≤ 30 cm,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4 cm ≤ D2 ≤ 20 cm,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4 cm ≤ D2 ≤ 15 cm,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 cm ≤ D2 ≤ 10 cm인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스코어 라인은 유리 시트의 두께가 유리 시트의 품질 영역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형성되어, 공정 말미에서 절단된 유리 시트가 에지들 간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V)에서, 푸슁 바는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민다. 미는 위치는 스코어 라인과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사이여야 한다(즉, D3 < D2). 특정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2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15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10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8 cm이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5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0.5 cm ≤ D3 ≤ 3 cm이다.
단계 (V)에서 미는 것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푸슁 바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별법으로, 다수의 직선형 바가 사용되어 동시적인 방법으로 동작하여 일제히 제1 주요면에 접촉하여 밀 수 있다. 바는 미는 공정 동안 그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도록 경질 및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주요면과 직접 접촉하는 바의 재료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 등 또는 경질의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 예를 들어 경질 실리콘 고무 재료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 유체, 예를 들어 공기의 길고 좁은 제트를 상기된 바와 같이 주변부의 원하는 위치로 보내어 누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 동안 단계 (VIII)에서,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이 흡입 컵에 의해 당겨짐과 동시에 제1 주요면은 직선형 바에 의해 밀린다. 이 실시양태에서, 유리 시트의 에지 부분은 흡입 컵과 푸슁 바에 의해 단단하고 확고하게 구속되어, 스코어 라인을 따른 품질 영역으로부터 주변부의 일관된 분리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VI)은 단계 (IV)에 선행할 수 있다. 즉, 스코어 라인은 흡입 컵과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의 연결 후 기계적 스코어 휠을 사용하는 기계적 스코어링에 의해, 또는 주사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레이저 스코어링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흡입 컵은 단계 (IV) 동안 유리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 주요면을 얻을 수 있고, 그에 의해 스코어 라인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계 (IV)는 단계 (VI)에 선행할 수 있다. 즉, 흡입 컵은 스코어 라인이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상에 이미 형성되지 않았다면 제2 주요면과 연결되지 않는다. 단계 (III)에서, 유리 시트의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이 예를 들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스코어 라인은 기계적 스코어 휠이 사용되더라도 먼저 연결된 흡입 컵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를 실시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장치는 유리하게는
(A) 유리 시트를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의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E) 제1 측부 에지면으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흡입 컵;
(F)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 및
(G) 제2 주요면을 제1 주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입 컵에 의해 잡아당겨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리고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힘 적용 장치(force applicato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의 특정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노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 이상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를 갖는다. 노징 스트립의 높은 경도는 기계적 스코어 휠에 의해 눌릴 때 유리 시트의 과도한 국부 변형을 막으며, 그에 의해 유리 시트의 표면에 스코어 휠의 접촉 손실 및 벤트의 손실 없이 일정한 벤트 깊이를 갖는 스코어 라인의 일정한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벤트 깊이를 갖는 연속적인 스코어 라인은 단계 (VIII)에서 날카로운 에지, 과도한 유리 조각, 곧지 않은 에지 및 다른 불필요한 특징들을 생성하지 않고 주변부를 분리하기에 유리하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노징 스트립 재료는 필요한 온도 능력 및 경도를 갖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그 합금, 스테인레스 강, 및 경질 플라스틱 및 고무 재료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노징 스트립은 충분히 강성인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스코어 휠이 노징 스트립에 대해 유리의 제1 주요면을 누를 때 노징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I)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및 제2 측부 에지면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연결함 - ,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유리 시트를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후,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V) 제2 주요면을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과 접촉시키는 단계;
(VI) 단계 (V)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어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져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의 제거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은 유리 시트와 흡입 컵의 연결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다른 모든 단계는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방법에 따르면, 스코어 라인은 단계 (IV)에서, 예를 들어 제1 측면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기계적 스코어링 또는 레이저 스코어링을 통해 형성된다. 단계 (IV)는 단계 (VI)에 앞서 유리하게 실시되며, 여기에서 유리 시트의 에지 부분이 제1 주요면으로부터 제2 주요면의 방향으로 푸슁 바에 의해 눌려져, 주변부가 미리 형성된 스코어 라인을 따라 유리 시트의 품질 중심부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단계 (VI)은 제2 주요면을 지지하는 노징 스트립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단계 (VI)은 단계 (V)와 동시에 또는 단계 (V) 후에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과 유사하게, 제3 측면의 방법은 상온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의 방향으로 휘는 유리 시트의 가공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러한 휜 유리 시트는 예를 들어 퓨전 다운 드로우 또는 슬롯 다운 드로우 또는 다른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A)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수직으로 유리 시트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및
(E)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장치에 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장치는 흡입 컵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장치의 모든 다른 요소는 제1 및 제2 측면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유도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400 ㎛ 미만의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서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것보다 매우 더 유리하였다. 예를 들어, 실험은 300 ㎛의 Th(C)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제4 측면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의 수율은 61%였으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수율은 단지 46%였고, 하기 비교예에 따른 방법은 단지 30%였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측면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300 ㎛ 이상, 예를 들어 350 ㎛, 400 ㎛, 500 ㎛, 600 ㎛, 700 ㎛ 및 그보다 큰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특정 실시양태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실시예
실시예 1(본 발명)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작동 중인 유리 시트 비드 제거 장치(200)의 한쪽 단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쪽 단부는 나타낸 단부와 실질적으로 대칭이므로 나타내지 않았다. 도 1에 나타낸 유리 시트는 서스펜션 장치(나타내지 않음), 예를 들어 수직 유리 시트 서스펜션 컨베이어에 부착된 클램프의 두 개의 클램핑 암(201, 203)에 의해 고정된다. 보통, 유리 시트는 주변부 제거 장치(200) 바깥쪽에서 클램핑 암(201, 203)과 먼저 연결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장치(200) 안으로 옮겨진다. 주변부 제거 장치(200) 내부에서,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204)을 포함하는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205)는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103) 측에 위치되고,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206)을 포함하는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207)는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105)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동하는 동안, 제1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204, 206)은 일단 유리 시트가 장치(200) 안에 위치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유리 시트와 연결되고, 비드 영역에 근접한 유리 시트의 부분을 구속하여 다음 단계를 가능하게 하도록 유리 시트를 고정한다. 유리 시트의 양 측부를 구속 타워(본 도면에는 오직 한쪽 측부만 나타냄)로 고정한 후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205)상에 설치된 스코어 휠(209)이 상부 에지면 부근의 위치에서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103)과 접촉하지만, 상부 에지면의 에지 라인 자체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는다.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207)상에 설치되고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노징 스트립(21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스코어 휠은 유리 시트의 꼭대기로부터 바닥까지 스코어링함으로써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스코어 라인을 형성한다. 일단 스코어링이 완료되면, 스코어 휠은 제1 주요면으로부터 제거(retract)된다. 그 후, 직선형 푸슁 바(217)가 유리 시트의 제1 주요면을 향하는 방향(219)으로 전진하여 유리 시트의 주변부와 접촉하고,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 쪽으로 주변부의 제1 주요면을 민다. 그 동안, 일련의 흡입 컵(213)(하나만 나타냄)이 제2 주요면(105)을 향해 전진하여 유리 시트의 주변부의 제2 주요면의 측부와 연결된다. 푸슁 바(217)와 흡입 컵(213) 사이의 협력에 의해,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과 흡입 컵의 연결 완료 시간은 도 4에 도시되고 아래 설명된 비교예의 실시양태에 비해 감소된다. 흡입 컵이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과 확고히 연결되면, 유리 시트의 주변부는 제1 주요면으로부터 제2 주요면의 방향으로 흡입 컵에 의해 당겨진다. 푸슁 바(217)는 제2 주요면과 흡입 컵의 연결을 완료한 후 유리 시트를 더 밀지 않고 즉시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별법으로 흡입 컵과 함께 유리 시트를 계속 밀 수 있다. 미는 것이 역치 수준에 도달하면, 비드 영역을 포함하는 주변부는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된다. 그 후, 흡입 컵은 유리 시트의 제2 주요면과 분리되고, 제거된 주변부를 아래에 있는 유리 차드(chard) 수집기로 방출한다. 그 후, 구속 타워의 제1 및 제2 구속 클램프 스트립(204, 206)은 서로 멀어져, 남은 품질 영역의 두 측부를 방출한다. 그 후, 유리 시트의 양질의 부분은 다음 공정 단계, 예를 들어 에지 마감, 세척, 세정 등으로 서스펜션 컨베이어에 의해 주변부 제거 장치(200) 밖으로 이동된다.
감소된 흡입 컵 연결 시간은 장치(200)의 더 많은 처리량, 더 일관된 공정 효율, 및 더 낮은 흡입 컵 연결 실패로 인한 고장률을 의미한다. 이 장치(200)를 사용한 실험은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 공정에서 46%의 수율을 달성했다.
실시예 2 (본 발명)
도 3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측면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작동 중인 유리 시트 주변부 제거 장치(300)의 한쪽 단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쪽 단부는 대칭이므로 나타내지 않았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장치(200)에 비해 장치(300)는 흡입 컵(213)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단순화된 장치는 400 ㎛ 이상의 비교적 큰 두께 Th(C)를 갖는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C) < 400 ㎛인 경우, 스코어 라인을 따른 주변부의 일정한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유리 시트의 비드 영역의 추가적인 구속이 요구된다.
이 장치(400)를 사용하는 실험은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 공정에서 61%의 수율을 달성했다.
실시예 3( 비교예 )
도 4는 비교예로서, 작동 중인 유리 시트 주변부 제거 장치(400)의 한쪽 단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쪽 단부는 대칭이므로 나타내지 않았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장치(200)에 비해 장치(400)는 푸슁 바(217)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단순화된 장치(400)는 500 ㎛ 이상, 예를 들어 600 ㎛ 및 700 ㎛의 비교적 큰 두께 Th(C)를 갖는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에 사용될 수 있고, 비드 제거 공정의 순환 시간은 흡입 컵 연결 완료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상술된 장치(200)에서 필요한 것보다 더 길다.
이 장치(400)를 사용하는 실험은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 공정에서 30%의 수율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변형 및 변이를 첨부된 청구항 및 그의 균등물의 범위 안에 들어오는 한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21)

  1. (I)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1 비드 영역, 제2 측부 에지면, 제2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2 비드 영역,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비드 영역은 상기 제1 주변부 내에 포함됨- 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restrain)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position)로 위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후,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score-line)을 형성하는 단계;
    (V)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미는 단계;
    (VI) 단계 (V) 후,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을 복수의 흡입 컵(suction cup)과 연결하는 단계;
    (VII) 제2 주요면을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nosing strip)과 접촉시키는 단계;
    (VIII) 단계 (VI) 및 (VII) 후, 제2 주요면을 흡입 컵에 의해 제1 주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제1 비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주변부가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유리 시트가 상온에서 균일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제공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는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의 방향으로 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VI)에서, 모든 흡입 컵과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의 연결은 최대 5초 내에 완료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은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VII)이 단계 (IV)에 선행하고, 단계 (IV)에서 기계적 스코어 휠을 사용하여 제1 주요면을 눌러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
  6.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1 비드 영역, 제2 측부 에지면, 제2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2 비드 영역,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비드 영역은 상기 제1 주변부 내에 포함됨- 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는 장치이며,
    (A)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연장되는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E)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에서 제1 주변부의 제2 주요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흡입 컵;
    (F)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 및
    (G) 제2 주요면을 제1 주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입 컵에 의해 잡아당겨,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리고 제1 비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주변부가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힘 적용 장치(force applicator)
    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노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노징 스트립은 충분히 강성인 시트(seat)에 의해 지지되어, 스코어 휠이 노징 스트립에 대해 유리의 제1 주요면을 누를 때 선형으로 유지되는 장치.
  9. (I)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1 비드 영역, 제2 측부 에지면, 제2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2 비드 영역,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비드 영역은 상기 제1 주변부 내에 포함됨- 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후,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에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V) 제2 주요면을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과 접촉시키는 단계;
    (VI) 단계 (V) 후,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어서,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노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제1 비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주변부가 유리 시트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코어 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방법.
  10. 제1 주요면, 제1 주요면 반대쪽의 제2 주요면, 중심 두께 Th(C)를 갖는 중심 영역, 상부 에지면, 하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 제1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1 비드 영역, 제2 측부 에지면, 제2 측부 에지면에 대응하고 인접한 제2 비드 영역, 및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 부근의 제1 주변부를 갖는 유리 시트 - 각각의 에지면은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비드 영역은 상기 제1 주변부 내에 포함됨- 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는 장치이며,
    (A) 상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구속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 및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2 주요면 측에 위치된 제2 측부 에지 구속 타워 - 제1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과 제2 측부 에지 구속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고, 제1 측부 에지면 부근의 제1 및 제2 주요면을 상부 에지면으로부터 하부 에지면까지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1에서 구속하도록 구성됨 - ;
    (C) 제1 주요면과 접촉하여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측부 에지 구속 타워상에 설치되어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2(D2 < D1)로 상부 에지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에지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주요면상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기계적 스코어링 휠;
    (D) 제1 측부 에지면의 단부로부터 거리 D3(D3 < D2)에서 제1 주요면을 제2 주요면 쪽으로 밀도록 구성된 직선형 수직 바; 및
    (E) 제2 주요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코어 라인 반대쪽의 노징 스트립
    을 포함하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7006201A 2011-08-12 2012-08-10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69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2937P 2011-08-12 2011-08-12
US61/522,937 2011-08-12
US13/307,592 2011-11-30
US13/307,592 US9862634B2 (en) 2011-08-12 2011-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PCT/US2012/050261 WO2013025466A1 (en) 2011-08-12 2012-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622A KR20140058622A (ko) 2014-05-14
KR101969608B1 true KR101969608B1 (ko) 2019-04-16

Family

ID=4767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201A KR101969608B1 (ko) 2011-08-12 2012-08-10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62634B2 (ko)
JP (1) JP6054396B2 (ko)
KR (1) KR101969608B1 (ko)
CN (1) CN103748047B (ko)
TW (1) TWI633974B (ko)
WO (1) WO2013025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817B2 (en) * 2011-11-30 2014-06-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JP6012003B2 (ja) * 2012-07-27 2016-10-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製造装置
WO2014179137A1 (en) * 2013-04-29 2014-11-06 Corning Incorporated Temperature assisted processing of flexible glass substrates
JP6424674B2 (ja) * 2015-02-25 2018-11-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割断方法
TWI655160B (zh) 2016-05-19 2019-04-01 美商蘋果公司 非對稱化學強化
US10899660B2 (en) 2016-05-19 2021-01-26 Apple Inc. Asymmetric chemical strengthening
JP7320534B2 (ja) * 2018-05-14 2023-08-0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シート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1639307B2 (en) 2018-07-13 2023-05-02 Apple Inc. Patterned asymmetric chemical strengthening
CN109399901B (zh) * 2018-10-09 2021-09-10 成都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推挡装置
US11447416B2 (en) * 2018-12-20 2022-09-20 Apple Inc. Strengthened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JP7395117B2 (ja) * 2019-10-08 2023-12-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604A (ja) 2003-11-12 2005-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153B2 (ja) 1991-11-07 1994-09-21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DE19700950C2 (de) 1997-01-14 2002-06-06 Torgauer Maschb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brechen der Randstreifen einer nach einem vorgegebenen Umriß auf einem Glasscheibenrohling eingeritzten Glasscheibe
FR2845374B1 (fr) * 2002-10-04 2006-06-16 Bsn Glasspack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en verre creux avec une phase d'etirage assiste de l'ebauche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4440599B2 (ja) * 2002-12-04 2010-03-2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の貼り合わせ装置
US7457834B2 (en) * 2004-07-30 2008-11-25 Searete, Llc Aggregation and retrieval of network sensor data
US20060249553A1 (en) * 2005-05-06 2006-11-09 Ljerka Ukrainczyk Ultrasonic induced crack propagation in a brittle material
US20070039990A1 (en) * 2005-05-06 2007-02-22 Kemmerer Marvin W Impact induced crack propagation in a brittle material
US20060261118A1 (en) * 2005-05-17 2006-11-23 Cox Judy K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ane of brittle material from a moving ribbon of the material
US20070062219A1 (en) 2005-09-22 2007-03-22 Blevins John D Methods of fabricating flat glass with low levels of warp
JP5113839B2 (ja) * 2006-06-30 2013-01-0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帯状ガラスから作製されたガラスシートにおける応力偏差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80110952A1 (en) * 2006-11-15 2008-05-15 Marvin William Kemmerer Sheet separation through fluid impact
JP5132328B2 (ja) * 2008-01-16 2013-01-30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ップ
ITMI20080425A1 (it) 2008-03-13 2009-09-14 Macotec S R L Macchina per il taglio di lastre di vetro in genere ed in particolare di lastre di vetro stratificato.
US8245540B2 (en) * 2009-02-24 2012-08-2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scoring a sheet of brittle material
JP5370776B2 (ja) 2010-03-15 2013-1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装置及びガラス基板搬送方法
KR20130033361A (ko) * 2010-03-26 2013-04-0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곤포체
US9027815B2 (en) * 2010-08-31 2015-05-12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glass sheet with improved sheet stability
WO2012108391A1 (ja) * 2011-02-09 2012-08-1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の切断装置
TWI586612B (zh) * 2011-11-18 2017-06-11 康寧公司 用於修整移動玻璃帶之設備及方法
JP6421943B2 (ja) * 2012-11-16 2018-11-1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分離装置および方法
US20140144965A1 (en) * 2012-11-29 2014-05-29 James William Brown Method to manipulate brittle material sheet compound shape
WO2014130522A1 (en) * 2013-02-25 2014-08-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a thin glass pane
JP6270636B2 (ja) * 2014-06-06 2018-01-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ラス板分離装置
CN108349777A (zh) * 2015-10-30 2018-07-31 康宁股份有限公司 分离玻璃带的设备和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604A (ja) 2003-11-12 2005-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99892A1 (en) 2018-04-12
TWI633974B (zh) 2018-09-01
US9862634B2 (en) 2018-01-09
KR20140058622A (ko) 2014-05-14
TW201318774A (zh) 2013-05-16
CN103748047B (zh) 2016-06-22
WO2013025466A1 (en) 2013-02-21
JP2014528892A (ja) 2014-10-30
CN103748047A (zh) 2014-04-23
US20130037592A1 (en) 2013-02-14
JP6054396B2 (ja)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608B1 (ko)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239226B2 (ja) ガラスシートの周縁部の除去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2120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JP5851769B2 (ja) 板ガラスの安定性を向上させた板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KR102022134B1 (ko) 유리 시트의 주변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JP5904527B2 (ja) 帯状ガラスを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7009510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US20140138421A1 (en) Sepa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glass sheets from glass ribbons
WO2011084561A1 (en) Separation of glass sheets from a laser-scored curved glass ribbon
KR20150093199A (ko) 유리 시트 평탄화를 위한 장치 그리고 유리의 시트를 평탄화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