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510B1 -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510B1
KR101969510B1 KR1020170145364A KR20170145364A KR101969510B1 KR 101969510 B1 KR101969510 B1 KR 101969510B1 KR 1020170145364 A KR1020170145364 A KR 1020170145364A KR 20170145364 A KR20170145364 A KR 20170145364A KR 101969510 B1 KR101969510 B1 KR 10196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valve
steam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옥
김우진
우종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56Boiler cleaning control devices, e.g. for ascertaining proper duration of boiler blow-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0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for draining or expell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SSV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는 단계,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여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보일러 버너의 소화 및 BCP의 비상정지 없이도 연속적인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어 증기세정 기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증기세정과정을 단순화 및 표준화하여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CLEANING METHOD AND SYSTEM OF ONCE-THROUGH BOILER FOR STEAM TURBINE}
본 발명은 보일러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터빈에 제공되는 관류보일러 및 그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류보일러(Once-through boiler)라 함은, 보일러수의 순환 없이 관 시스템만으로 구성되어 일단에서 인입된 물이 보일러 버너를 차례대로 관류하여 타단으로 소요의 증기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보일러를 의미한다. 특히, 증기터빈(Steam Turbine)에 고온·고압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합화력 발전(CCPP)의 한 구성요소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류보일러는 최초 생산 공장에서 조립되어 시운전시, 보일러 튜브 및 터빈과의 연결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기세정과정(Steam Blowing)을 진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130 내지 150회의 증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출하여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증기세정과정에 따르면(도 1 참조),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SSV(Separator Storage Vessel, 이하 'SSV'라 한다)에 일정 수위의 보일러가 유입된 후에는, BCP(Boiler Circulation Pump, 이하 'BCP'라 한다) 및 보일러 버너(Burner)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급격한 SSV 수위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오버플로우(Carry over, 이하 '오버플로우'라 한다) 또는 BCP 비상정지(Trip, 이하 '트립'이라 한다)를 통제하지 못하여 결국 보일러 버너가 소화됨으로써 증기세정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보일러 버너가 재점화되기까지 1시간 내외의 증기세정 간격이 요구되어 증기세정 기간이 장기화되고, 나아가 운전절차가 복잡하며, 다수의 작업인력이 수반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일러 버너의 소화 및 BCP의 비상정지 없이도 연속적인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어 증기세정 기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그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증기세정과정을 단순화 및 표준화하여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자동화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으로, 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SSV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는 단계;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여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는 시점은, BCP 트립이 발생하는 SSV의 제1 기준수위 이하로 SSV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한 후에는, BCP 재순환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시점은, 상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SSV의 제2 기준수위 이상으로 SSV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은 후에는, BCP 재순환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이전에, 보일러수가 보일러 급수펌프에서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공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는, BCP가 가동된 후, 보일러 버너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직렬로 이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증기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사이에는 타겟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거나 닫는 단계에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세정시에는 제1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밸브만 개폐되고, 상기 타겟 플레이트 세정시에는 제1 밸브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거나 닫는 단계가,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 시점 및 개방 유지시간이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으로,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를 인입시키는 보일러 급수밸브;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를 통하여 인입된 보일러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도록 보일러 버너를 경유하는 수냉벽관; 상기 수냉벽관을 통과한 보일러수의 일부가 일정 범위의 수위를 형성하는 SSV; 상기 SSV에 도달한 보일러수를 상기 수냉벽관 및 급수밸브 사이로 재순환시키는 BCP; 및 상기 수냉벽관을 통과한 증기 상태의 보일러수가 과열기를 경유하여 관류보일러의 타단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증기세정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SSV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고, 상기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고,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가 닫히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는 시점은, BCP 트립이 발생하는 SSV의 제1 기준수위 이하로 SSV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시점은, 상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SSV의 제2 기준수위 이상으로 SSV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CP를 통과한 보일러수가 상기 수냉벽관 및 급수밸브 사이로 재순환되기 전에 BCP 재순환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한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은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는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 이전에 보일러 급수펌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냉벽관 및 SSV 사이에는 워터 세퍼레이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직렬로 이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증기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사이에는 타겟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제어시스템이 구비되되,
상기 자동제어시스템은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의 개방 시점 및 개방 유지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그 세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일러 버너의 소화 및 BCP의 비상정지 없이도 연속적인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어 증기세정 기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순수 및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증기세정과정이 증기세정밸브의 개폐로 단순화되어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과정이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도록 표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관류보일러는 최초 생산 및 조립되어 시운전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기세정과정을 거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130 내지 150회의 증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출하여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SSV에 일정 수위의 보일러가 인입된 후에는, BCP 및 보일러 버너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급격한 SSV 수위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오버플로우 또는 BCP 트립을 통제하지 못하여 결국 보일러 버너가 소화되어 증기세정과정이 BCP 및 보일러 버너의 가동 중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결국, 다음 회의 증기세정과정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새롭게 보일러수를 인입하여 다시 BCP 및 보일러 버너를 재가동하는 과정을 필연적으로 거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증기세정과정의 간격은 0.5 내지 1시간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하루에 10 내지 15회 증기세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를 시운전하기 위하여 거치는 전체 증기세정공정은 약 30 내지 35일로 장기화되고,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총 순수는 35,000 내지 40,000m3이고, 총 연료는 경유 3,000 내지 4,000ton으로서 낭비가 상당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1)에 대하여 개선된 증기세정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관류보일러(1)는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를 인입시키는 보일러 급수밸브(10),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10)를 통하여 인입된 보일러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도록 보일러 버너(21)를 경유하는 수냉벽관(20), 상기 수냉벽관(20)을 통과한 보일러수의 일부가 일정 범위의 수위를 형성하는 SSV(30), 상기 SSV(30)에 도달한 보일러수를 상기 수냉벽관(20) 및 보일러 급수밸브(10) 사이로 재순환시키는 BCP(40) 및 상기 수냉벽관(20)을 통과한 증기 상태의 보일러수가 과열기(50)를 경유하여 관류보일러의 타단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증기세정밸브(60)를 포함한다.
여기서, SSV(30)라 함은 Separator Storage Vessel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증기 상태로 수냉벽관(20)을 통과한 보일러수의 일부가 포화되어 일정 범위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BCP(40)라 함은 Boiler Circulation Pump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SSV(30)에 도달하여 포화된 보일러수가 상기 수냉벽관(20) 및 보일러 급수밸브(10) 사이로 인입되도록 인위적인 펌핑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BCP 트립이란 SSV(30)의 포화 보일러수가 일정 기준 수위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BCP(40)의 비상정지되는 현상을 포함하면 족하다. 또한, 오버플로우란 SSV(30)의 포화 보일러수가 일정 기준 수위를 초과하여 BCP(40)가 비상정지되는 현상을 포함하면 족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관류보일러(1)의 세정방법은, 먼저 상기 관류보일러(1)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10)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S10), 상기 SSV(30)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는 단계(S20), 보일러 버너(21) 및 BCP(40)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1)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S30, S40),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60)를 개방하여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는 단계(S50) 및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60)를 닫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SSV(30)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고, 상기 보일러 버너(21) 및 BCP(40)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60)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고, 상기 관류보일러(1)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60)가 닫히도록 구비함으로써, 보일러 버너의 소화 및 BCP의 비상정지 없이도 연속적인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는 시점은, 상기 BCP 트립이 발생하는 SSV(30)의 제1 기준수위 이하로 SSV(30)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시점은, 상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SSV(30)의 제2 기준수위 이상으로 SSV(30)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또는 자동제어시스템)는 상기 SSV(30)의 수위를 인디게이터(Indicater)로 삼아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고 닫는 조작행위(또는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한 명령)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순 반복함으로써, 증기세정과정의 단순화 및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증기세정과정의 간격은 4 내지 6분으로 짧아지고, 이에 따라 하루에 150 내지 200회 증기세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체 증기세정공정은 약 5 내지 7일로 단축되고,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총 순수는 8,000 내지 12,000m3으로 감소하고, 마찬가지로 투입되는 총 연료는 경유 800 내지 1,200ton으로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보일러 버너(21) 및 BCP(40)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는, BCP가 가동된 후(S30), 보일러 버너가 가동될 수 있다(S40).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류보일러(1)는 상기 BCP(40)를 통과한 보일러수가 상기 수냉벽관(20) 및 급수밸브(10) 사이로 재순환되기 전에 BCP 재순환 밸브(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BCP 재순환 밸브(41)에서는, 상기 증기세정밸브(60)를 개방한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41)를 개방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60)를 닫은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41)를 닫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SV(30)의 수위를 더욱 정밀하게 인지하고 반복적이고 단순한 패턴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도 2의 S55 단계 참조).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류보일러(1)의 일단에는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10) 이전에 보일러 급수펌프(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류보일러(1)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10)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이전에, 보일러수가 보일러 급수펌프(11)에서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공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냉벽관(20) 및 SSV(30) 사이에는 워터 세퍼레이터(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세퍼레이터(31)에 의해 포화된 보일러수는 상기 SSV(30)에 포집되고, 증기는 상기 과열기(50)로 인입되어 과열증기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60)는 직렬로 이중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세정밸브(60)는 증기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밸브(61) 및 제2 밸브(6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밸브(61) 및 제2 밸브(62) 사이에는 타겟 플레이트(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세정밸브(60)는 고온에 노출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가동되므로 단수의 밸브만으로 구성된 경우, 디스크, 시트 또는 모터 등 밸브의 기계적 손상에 의해 증기세정과정이 중단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특히 손상된 밸브에서 나온 이물질에 의해 타겟 플레이트(Target Plate)가 손상되어 정확한 검측(Inspection)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거나 닫는 단계에서(S50, S60), 상기 관류보일러의 세정시에는 제1 밸브(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밸브(62)만 개폐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밸브가 손상되는 경우 나머지 밸브로 개폐가 지속되어 연속적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타겟 플레이트(63)를 이용하여 세정 검측(Inspection)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61)가 개폐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후단에 위치한 타겟 플레이트가 검측 직전까지는 온전하게 보전되어 보다 정밀한 세정 검측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증기세정밸브(6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제어시스템(7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제어시스템(70)은 상기 관류보일러(1)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60)의 개방 시점 및 개방 유지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단순화 및 표준화된 증기세정과정을 자동화하여 관류보일러 증기세정과정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하고, 세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인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그 세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일러 버너의 소화 및 BCP의 비상정지 없이도 연속적인 증기세정과정이 구현될 수 있어 증기세정 기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순수 및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증기세정과정이 증기세정밸브의 개폐로 단순화되어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과정이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도록 표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 : 관류보일러 10 : 보일러 급수밸브
11 : 보일러 급수펌프 20 : 수냉벽관
21 : 보일러 버너 30 : SSV
31 : 워터 세퍼레이터 40 : BCP
41 : BCP 재순환 펌프 50 : 과열기
60 : 증기세정밸브 61 : 제1 밸브
62 : 제2 밸브 63 : 타겟 플레이트

Claims (20)

  1. 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SSV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는 단계;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여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는 시점은, BCP 트립이 발생하는 SSV의 제1 기준수위 이하로 SSV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한 후에는,
    BCP 재순환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시점은,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SSV의 제2 기준수위 이상으로 SSV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은 후에는,
    BCP 재순환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된 보일러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가 인입되는 단계 이전에,
    보일러수가 보일러 급수펌프에서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공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단계는,
    BCP가 가동된 후, 보일러 버너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직렬로 이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증기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사이에는 타겟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거나 닫는 단계에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세정시에는 제1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밸브만 개폐되고, 상기 타겟 플레이트 세정시에는 제1 밸브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거나 닫는 단계가,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 시점 및 개방 유지시간이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세정방법.
  12. 보일러수를 일단에 인입하여 그 타단에 증기를 인출하는 관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 구비되어 관류보일러로 보일러수를 인입시키는 보일러 급수밸브;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를 통하여 인입된 보일러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도록 보일러 버너를 경유하는 수냉벽관;
    상기 수냉벽관을 통과한 보일러수의 일부가 일정 범위의 수위를 형성하는 SSV;
    상기 SSV에 도달한 보일러수를 상기 수냉벽관 및 급수밸브 사이로 재순환시키는 BCP; 및
    상기 수냉벽관을 통과한 증기 상태의 보일러수가 과열기를 경유하여 관류보일러의 타단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증기세정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SSV의 수위가 일정 범위까지 상승하고, 상기 보일러 버너 및 BCP가 가동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가 개방되어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을 하강시키고,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회복하면 상기 증기세정밸브가 닫히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하는 시점은, BCP 트립이 발생하는 SSV의 제1 기준수위 이하로 SSV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는 시점은,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SSV의 제2 기준수위 이상으로 SSV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CP를 통과한 보일러수가 상기 수냉벽관 및 급수밸브 사이로 재순환되기 전에 BCP 재순환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개방한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증기세정밸브를 닫은 후에는 상기 BCP 재순환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보일러의 일단에는 상기 보일러 급수밸브 이전에 보일러 급수펌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벽관 및 SSV 사이에는 워터 세퍼레이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직렬로 이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는 증기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사이에는 타겟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세정밸브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제어시스템이 구비되되,
    상기 자동제어시스템은 상기 관류보일러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관류보일러의 증기세정밸브의 개방 시점 및 개방 유지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KR1020170145364A 2017-11-02 2017-11-02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KR10196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64A KR101969510B1 (ko) 2017-11-02 2017-11-02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64A KR101969510B1 (ko) 2017-11-02 2017-11-02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510B1 true KR101969510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364A KR101969510B1 (ko) 2017-11-02 2017-11-02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161A (zh) * 2019-09-23 2019-11-29 天脊煤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合成氨生产中汽轮机启动时转子的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05A (ja) * 1994-06-02 1995-12-22 Miura Co Ltd ボイラの満水防止方法
JPH10331607A (ja) * 1997-06-03 1998-12-15 Babcock Hitachi Kk 排熱回収ボイラブローイング装置とボイラブローイングアウト方法
KR101635916B1 (ko) * 2015-04-13 2016-07-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속증기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05A (ja) * 1994-06-02 1995-12-22 Miura Co Ltd ボイラの満水防止方法
JPH10331607A (ja) * 1997-06-03 1998-12-15 Babcock Hitachi Kk 排熱回収ボイラブローイング装置とボイラブローイングアウト方法
KR101635916B1 (ko) * 2015-04-13 2016-07-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속증기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161A (zh) * 2019-09-23 2019-11-29 天脊煤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合成氨生产中汽轮机启动时转子的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quilibrating an organic rankine cycle
JP5916431B2 (ja) 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20160125965A1 (en) Power Plant
KR101969510B1 (ko) 증기터빈용 관류보일러 및 세정방법
CN105352361A (zh) 用于超超临界无炉水泵直流锅炉的蒸汽吹管方法
CN103305239A (zh) 在线清洗焦炉煤气管道方法
CN107084011B (zh) 一种核电汽轮机快速冷却方法
CN104791023A (zh) 一种燃气-蒸汽联合循环机组的蒸汽轮机的清洗方法
CN108952842A (zh) 一种汽轮机停机后快速冷却方法
Stefanova et al. Analytical validation of operator actions based on SAMG for VVER 1000 with ASTECv2r3 computer code
CN112393219B (zh) 一种采用过热蒸汽保养锅炉的干保养方法
WO2016037861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werksanlage
KR20130023964A (ko) 응축수 혼합 저장탱크를 갖는 열충격 방지장치
JP5425002B2 (ja) 原子力発電所の隔離時冷却設備
JP7228477B2 (ja) 残留熱除去設備、その運転方法及び残留熱除去方法
JP4131914B2 (ja) 原子炉圧力容器頂部ベント設備
CN112280928B (zh) 一种转炉汽化冷却系统管道启动前的净化方法
US20140000277A1 (en) Method to start up and manage a combined cycle thermal plant for energy production and relative plant
Liese et al. A Dynamic Process Model of a Natural Gas Combined Cycle: Model Development With Startup and Shutdown Simulations
CN113492144B (zh) 核电站疏水箱冲洗系统、方法及设备
CN220417756U (zh) 一种锅炉取样冷却回收装置
CN109443081B (zh) 一种热泵驱动蒸汽凝结水系统及其清洗方法
CN102817644B (zh) 汽轮发电机组高压加热器汽侧的冲洗系统及其冲洗方法
US201101857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quilibrating an organic rankine cycle
JP5348883B2 (ja) 高圧給水加熱器の漏洩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