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14B1 -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14B1
KR101969414B1 KR1020180124272A KR20180124272A KR101969414B1 KR 101969414 B1 KR101969414 B1 KR 101969414B1 KR 1020180124272 A KR1020180124272 A KR 1020180124272A KR 20180124272 A KR20180124272 A KR 20180124272A KR 101969414 B1 KR101969414 B1 KR 10196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magnet member
wall
resin sheet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군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8012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제1자석부재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와, 상기 각각의 하부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제1자석부재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부재와, 상기 제2자석부재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Plastic sheet fixing structure for lining 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물탱크 등의 물 저장시설에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 및 벽면에 설치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경우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인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로 된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은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의 우려가 크며, 콘크리트의 강 알칼리성 때문에 음용수를 직접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 내벽에 에폭시 도장이 수행되지만 장기간 사용시 벽체 부식에 의한 파손과 에폭시 박리현상으로 수질저하 및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내측면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패널로 라이닝하는 시공이 행해지고 있으나, 수압이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곳에는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콘크리트 벽체와 스테인리스 패널의 온도차로 인해 그 사이에 수분이 발생하여 장시간 방치시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부면을 PE(Polyethylene)시트로 라이닝하는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1은 이러한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부면에 PE시트로 라이닝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E시트 라이닝 구조는 피스(3)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다수 개의 고정원판(2)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설치한 다음, PE시트(5)을 고정원판(2) 위에 대고 고주파 유도 발생기(미도시)를 이용하여 PE시트(5)를 고주파 융착하고, 이 때 PE시트(5)가 융착되면서 고정원판(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공(2a)으로 침투해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고주파 유도 발생기를 제거하면 PE시트(5)가 경화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원판(2)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PE시트 결합구조에서는 고정원판(2)에 밀착되는 각각의 PE시트(5) 부분에 고주파 유도 발생기를 수 분 동안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공완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시공 완료 후에도 일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PE시트(5)가 고정원판(2)으로부터 떨어져서 정기적으로 다시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기간을 줄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기간 경과 후에도 벽체와의 부착력이 유지되는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제1자석부재(21)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22)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각각의 하부 결합부재(20)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과, 상기 고정원판(30)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의 합성수지코팅부(22)는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22a)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22a) 및 제2코팅부(2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원판(30)은 피스(40)에 의해 상기 벽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원판(30)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10)의 벽면에 지지되는 환형 평판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 평판부(35)의 내측에는 벽체(10)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상기 하부 결합부재(20)가 삽입되는 굴곡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결합부재(60)의 합성수지코팅부(62)는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62a)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62a) 및 제2코팅부(6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6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보호원판(7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의 중앙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부 결합부재(60)가 안착되는 안착홈(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에는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합성수지코팅부(75) 사이에는 용융된 합성수지로 용접하여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합성수지코팅부(75)를 접합하는 합성수지용접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저장시설은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제1자석부재(21)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으로 구성되며 그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31)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34)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합성수지코팅부(31)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32)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32) 및 제2코팅부(33)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물 저장시설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부(30d)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에는 피스(40)가 결합되는 결합공(30c)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40)에 의해 상기 고정원판(30)이 상기 벽체(10)에 고정되고, 상기 피스(40)의 헤드부(41)가 상기 환형 평판부(30a)의 측벽부(30d)와 굴곡부(3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을 줄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기간 경과 후에도 벽체와의 부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PE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 도시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제1자석부재(21)와, 제1자석부재(2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22)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각각의 하부 결합부재(20)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과, 상기 고정원판(30)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와,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6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결합부재(20)는 제1자석부재(21)와, 제1자석부재(2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2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하부 결합부재(20)가 고정원판(30)에 의해 물 저장시설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된다.
원형의 제1자석부재(21)는 각각의 고정원판(30)에 결합되어 벽체에 고정되며 자기력에 의해 제2자석부재(61)와 결합되어 제2자석부재(61)를 고정하게 되고, 합성수지코팅부(62)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자석부재(21)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제1자석부재(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1코팅부(22a)와, 제1자석부재(2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2코팅부(22b)로 이루어지고, 제1코팅부(22a) 및 제2코팅부(2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으로 서로 접합되어 제1자석부재(21)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고정원판(30)은 직육면체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물탱크 등의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벽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벽체(10)의 벽면에 배치되며 각각의 고정원판(30)에는 하부 결합부재(20)가 결합되어 피스(40)로 벽체(10)의 벽면에 결합된다.
고정원판(3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물 저장시설 벽체(10)의 벽면에 지지되는 환형 평판부(35)가 형성되고, 환형 평판부(35)의 내측에는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벽체(10)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굴곡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굴곡부(36)와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하부 결합부재(20)가 삽입된다.
또한, 고정원판(30)에는 다수 개의 통공(35b)이 형성되고 환형 평판부(35)에는 상하로 피스(40)가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공(35a)이 형성되어 각각의 피스(40)가 이 결합공(35a)을 통해 벽체(10)에 결합되고, 피스(40)의 헤드부(41)가 결합공(35a)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원판(30)의 굴곡부(36)와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하부 결합부재(20)가 배치된 상태로 각각의 고정원판(30)이 피스(40)에 의해 벽체(10)에 고정된다.
상기 합성수지시트(5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원판(30) 위에 배치되고 일정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합성수지시트(50)가 전체 벽체(10)의 벽면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의 벽체(10)를 라이닝하게 되며, 각각의 합성수지시트(50)는 인접한 합성수지시트(50)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60)는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자석부재(61)와,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된다.
원형의 제2자석부재(61)는 자기력(인력)에 의해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하게 되고, 제2자석부재(61)의 외부를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제2자석부재(61)를 물 저장시설 내에 저장되는 물로부터 보호하고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제2자석부재(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1코팅부(62a)와, 제2자석부재(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2코팅부(62b)로 이루어지고, 제1코팅부(62a) 및 제2코팅부(6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으로 서로 접합되어 제2자석부재(61)를 둘러싸게 된다.
따라서, 상부 결합부재(60)의 제2자석부재(61)가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하부 결합부재(20)의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됨으로써 합성수지시트(50)가 벽체(1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는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6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결합부재(60)를 보호하고, 물 저장시설에서 급수 또는 배수시에 물의 흐름에 의해 상부 결합부재(60)가 합성수지시트(50)로부터 탈락되는 만일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보호원판(71)과 상부 보호원판(7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75)로 이루어진다.
상부 보호원판(7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가장자리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부 결합부재(60)가 안착되는 안착홈(72)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코팅부(75)가 상부 보호원판(71)의 외부를 둘러싸게 되는데, 상부 보호원판(71)에는 다수 개의 통공(71a)이 형성되고 이 통공(71a)을 통해 상부 보호원판(71) 양측면의 합성수지코팅부(71)가 서로 연결되어 상부 보호원판(71)과의 부착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상부 보호원판(71)의 안착홈(72)에 상부 결합부재(60)가 안착되고 상부 결합부재(60)가 자기력으로 하부 결합부재(20)와 결합되어 상부 보호원판(71)이 함께 합성수지시트(50)상에 고정된다.
또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는 합성수지용접부(80)에 의해 추가적으로 결합된다. 합성수지용접부(80)는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를 용접건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의 합성수지코팅부(75) 사이로 용접하여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의 가장자리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합성수지용접부(80)는 합성수지시트(50)와 마주보는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의 상하측에 형성되고, 상부 보호원판(71)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45도 각도 범위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물 저장시설을 라이닝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하부 결합부재(20)를 고정원판(30)의 굴곡부(36) 내측에 끼운 다음, 고정원판(30)의 두 개의 결합공(33)을 통해 피스(40)로 고정원판(30)을 물 저장시설 벽체(10)의 벽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시킨다.
그 다음, 콘크리트 물 저장시설의 벽체(10)를 라이닝하기 위한 일정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시트(50)를 고정원판(30) 위에서 배치하고, 고정원판(30)이 내측에 위치하는 합성수지시트(50) 부위에 상부 결합부재(60)가 안착된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를 갖다 대면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하부 결합부재(20)의 제1자석부재(21)와 상부 결합부재(60)의 제2자석부재(61)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어 합성수지시트(50)가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를 용접건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 보호부(70)의 합성수지코팅부(75) 사이로 용접하여 합성수지용접부(80)를 형성한 다음 각 합성수지시트(50)의 인접한 부분은 서로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라이닝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첫째,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유도 발생기에 의해 합성수지시트(5)를 고정원판(2)에 융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합성수지시트(50) 위에 상부 결합부재(60)만 갖다 대어 부착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시공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 고주파 유도 발생기에 의해 합성수지시트를 고정원판에 융착하는 방식에서는 합성수지시트를 녹여서 고정함으로써 합성수지시트가 일부 변형되나, 본 발명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합성수지시트를 고주파 유도 발생기로 녹여서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합성수지시트의 변형이 적고 따라서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에서 상부 결합부재(60)에는 제2자석부재(61)가 포함되어 물탱크에 저장되는 물에 섞여있는 금속성 이물질이 제2자석부재(61)에 의해 합성수지코팅부(62)의 외측면에 달라붙게 되고 물 저장시설의 청소시에 합성수지코팅부(62)에 부착된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저장되는 물의 수질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는 제1자석부재(21)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으로 구성되며 그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31)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34)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결합부재(34)는 제1자석부재(21)와, 제1자석부재(21)가 결합되는 고정원판(30)으로 구성되고, 하부 결합부재(34)의 외부에는 그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31)가 형성되어 각각의 제1자석부재(21)가 고정원판(30)에 의해 물 저장시설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된다.
원형의 제1자석부재(21)는 자기력에 의해 제2자석부재(61)와 결합되어 제2자석부재(61)를 고정하게 되고, 상기 고정원판(30)은 직육면체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물탱크 등의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벽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고정원판(30)에는 제1자석부재(21)가 결합되어 피스(40)로 벽체(10)의 벽면에 결합된다.
고정원판(3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물 저장시설 벽체(10)의 벽면에 지지되는 환형 평판부(30a)가 형성되고, 환형 평판부(30a)의 내측에는 벽체(10)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굴곡부(30b)가 형성되어 이 굴곡부(30b)와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제1자석부재(21)가 삽입된다.
또한,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물 저장시설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부(30d)가 형성되고,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에는 피스(40)가 결합되는 결합공(30c)이 상하로 형성되며 피스(40)의 헤드부(41)가 상기 환형 평판부(30a)의 측벽부(30d)와 굴곡부(30b)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원판(30)의 굴곡부(30b)와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제1자석부재(21)가 배치된 상태로 각각의 고정원판(30)이 피스(40)에 의해 벽체(10)에 고정된다.
합성수지코팅부(31)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자석부재(21)를 포함하여 하부 결합부재(34)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하부 결합부재(34)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1코팅부(32)와, 하부 결합부재(34)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PE재질의 제2코팅부(33)로 이루어지고, 제1코팅부(32) 및 제2코팅부(33)의 가장자리가 열융착으로 서로 접합되어 하부 결합부재(34)를 둘러싸게 된다. 그리고, 제1코팅부(32)는 고정원판(30)의 일측면과 동일하게 환형 평판부(32a)와 그 내측에 굴곡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합성수지시트(5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원판(30) 위에 배치되고 일정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합성수지시트(50)가 전체 벽체(10)의 벽면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의 벽체(10)를 라이닝하게 되며, 각각의 합성수지시트(50)는 인접한 합성수지시트(50)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60)는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자석부재(61)와,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된다.
원형의 제2자석부재(61)는 자기력(인력)에 의해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합성수지시트(50)를 벽체(10)에 고정하게 되고, 제2자석부재(61)의 외부를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제2자석부재(61)를 물 저장시설 내에 저장되는 물로부터 보호하고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제2자석부재(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코팅부(62a)와, 제2자석부재(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코팅부(62b)로 이루어지고, 제1코팅부(62a) 및 제2코팅부(6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으로 서로 접합되어 제2자석부재(61)를 둘러싸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결합부재(34)가 제1자석부재(21) 및 고정원판(30)이 결합된 상태로 그 외부면에 합성수지코팅부(31)가 형성되어 제1자석부재(21) 및 고정원판(30)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부식 등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경과시에도 합성수지시트(50)의 부착력을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벽체 20 : 하부 결합부재
21 : 제1자석부재 22 : 합성수지코팅부
30 : 고정원판 40 : 피스
50 : 합성수지시트 60 : 상부 결합부재
61 : 제2자석부재 62 : 합성수지코팅부

Claims (14)

  1. 제1자석부재(21)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22)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각각의 하부 결합부재(20)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과,
    상기 고정원판(30)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부 결합부재(6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보호원판(7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의 중앙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부 결합부재(60)가 안착되는 안착홈(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의 합성수지코팅부(22)는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22a)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22a) 및 제2코팅부(2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판(30)은 피스(40)에 의해 상기 벽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판(30)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10)의 벽면에 지지되는 환형 평판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 평판부(35)의 내측에는 벽체(10)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상기 하부 결합부재(20)가 삽입되는 굴곡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재(60)의 합성수지코팅부(62)는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62a)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62a) 및 제2코팅부(6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에는 상기 상부 보호원판(7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합성수지코팅부(75) 사이에는 용융된 합성수지로 용접하여 상기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합성수지코팅부(75)를 접합하는 합성수지용접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9. 제1자석부재(21)와,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0)으로 구성되며 그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31)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결합부재(34)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 위에 배치되어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의 벽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합성수지시트(50)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제1자석부재(21)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제2자석부재(61)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외면을 둘러싸는 합성수지코팅부(62)로 이루어져서 상기 합성수지시트(50)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1)가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재(21)와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시트(50)를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벽체(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원판(30)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10)의 벽면에 지지되는 환형 평판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 평판부(30a)의 내측에는 벽체(10)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벽체(10)의 벽면 사이 공간에 상기 제1자석부재(21)가 삽입되는 굴곡부(30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물 저장시설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부(30d)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30)의 환형 평판부(30a)에는 피스(40)가 결합되는 결합공(30c)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40)에 의해 상기 고정원판(30)이 상기 벽체(10)에 고정되고, 상기 피스(40)의 헤드부(41)가 상기 환형 평판부(30a)의 측벽부(30d)와 굴곡부(3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합성수지코팅부(31)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32)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34)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32) 및 제2코팅부(33)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재(60)의 합성수지코팅부(62)는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부(62a)와, 상기 제2자석부재(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부(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팅부(62a) 및 제2코팅부(62b)의 가장자리가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시설은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KR1020180124272A 2018-10-18 2018-10-18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KR10196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72A KR101969414B1 (ko) 2018-10-18 2018-10-18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72A KR101969414B1 (ko) 2018-10-18 2018-10-18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414B1 true KR101969414B1 (ko) 2019-04-17

Family

ID=6628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272A KR101969414B1 (ko) 2018-10-18 2018-10-18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78B1 (ko) * 2019-05-23 2020-01-20 (주)아쿠아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저수조의 라이닝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578U (ja) * 1999-10-28 2000-05-12 壮二 後藤 シ―ト類挟持用具
KR100837053B1 (ko) * 2007-11-20 2008-06-11 최기석 전자기유도가열을 이용한 시트 접합구조
KR100927316B1 (ko) *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20160084696A (ko) * 2015-01-06 2016-07-14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578U (ja) * 1999-10-28 2000-05-12 壮二 後藤 シ―ト類挟持用具
KR100837053B1 (ko) * 2007-11-20 2008-06-11 최기석 전자기유도가열을 이용한 시트 접합구조
KR100927316B1 (ko) *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20160084696A (ko) * 2015-01-06 2016-07-14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78B1 (ko) * 2019-05-23 2020-01-20 (주)아쿠아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저수조의 라이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998B1 (ko)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KR101969414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KR100757331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7775B1 (ko) 폴리에틸렌수지시트가 금속판에 접합된 방수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구조 및 방법
KR101969412B1 (ko)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합성수지시트 고정구조
KR101238813B1 (ko) 열융착 히터
CN206145121U (zh) 一种封头及其具有该封头的容器
KR20190053918A (ko) 콘크리트 캐스크
KR102547486B1 (ko) 방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브릿지 고정구
JP5345504B2 (ja) 水路のシート施工方法及び水路の補修構造
KR101890088B1 (ko) 합성수지 시트의 접합용 구조체
JP7384621B2 (ja) グラスライニング製品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方法
KR20120134841A (ko) 알루미늄 보온커버가 설치된 smc 물탱크 제작방법
JP2010052739A (ja) 金属ライナーを内面に備えた繊維強化樹脂補強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76777A (ja) 水中溶接補修方法
KR101952233B1 (ko) 수압에 종속하는 다층구조의 숨쉬는 콘크리트 물탱크용 pe패널
KR101171011B1 (ko)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투명 폴리에틸렌 시트와 탄성커버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라이닝 시공방법 및 그 라이닝 시공된 저수조
JP6640598B2 (ja) 温度調節パネル
KR101777589B1 (ko) 세라믹 백킹재를 이용한 구조용 파이프 용접방법
JPH05263983A (ja) 電気融着部材
KR101664309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1890056B1 (ko) 합성수지 시트의 접합용 구조체
KR101483265B1 (ko) Peds 패널을 이용한 물탱크용 벽체 시공방법
KR0134008Y1 (ko) 관이음용 연결관
JP2016036939A (ja) 熱可塑性樹脂製プレートの積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