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259B1 -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59B1
KR101969259B1 KR1020180002664A KR20180002664A KR101969259B1 KR 101969259 B1 KR101969259 B1 KR 101969259B1 KR 1020180002664 A KR1020180002664 A KR 1020180002664A KR 20180002664 A KR20180002664 A KR 20180002664A KR 101969259 B1 KR101969259 B1 KR 10196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ater
tank
wash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우진
Original Assignee
엄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우진 filed Critical 엄우진
Priority to KR102018000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증착표면에 대해 언더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표면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 물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조 및 상기 외부조 내측의 내부조로 구성되는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 수용된 물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염료를 투입하여 물과 염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2);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3);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의 물에 상기 제품을 침지하는 침지단계(S4); 상기 침지된 제품을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된 상태로 두어서 상기 제품의 증착표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착색단계(S5);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6); 및 세척된 상기 제품의 상기 언더코팅층에 대해 탑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Heating Type Of Colour Colouring Method For Product Deposition Surface}
본 발명은 제품의 증착표면에 대해 언더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표면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 물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조 및 상기 외부조 내측의 내부조로 구성되는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 수용된 물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염료를 투입하여 물과 염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2);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3);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의 물에 상기 제품을 침지하는 침지단계(S4); 상기 침지된 제품을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된 상태로 두어서 상기 제품의 증착표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착색단계(S5);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6); 및 세척된 상기 제품의 상기 언더코팅층에 대해 탑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제품에 컬러착색을 하기 위해 제품의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에 착색 시 상기한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 형성 후 전류를 흘려 착색을 수행하는 전착공정을 널리 이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전착공정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760호(2007.06.25.)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는, "메탈안경구조물(20)의 표면에 1차 코팅(10) 후 건조가 완료되면, 다양한 무늬를 수반하고, 다색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색무늬금형틀(30)을 메탈안경구조물(20)에 밀착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밀착고정이 완료되면, 통상의 샌딩전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다색무늬금형틀(30)의 다색무늬형성부(40)와 동일한 샌딩홈(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1차 코팅층(10)을 제거하는 샌딩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샌딩작업에 의해 샌딩홈(50)이 형성되면, 통상의 전용 전착코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1차 코팅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2차 코팅층(6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안경구조물의 다색무늬 전착코팅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는 위에서 언급된 메탈 안경구조물의 다색무늬 전착코팅방법에 의하여 안경다리 및 안경테에 2가지 이상의 색상과 무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2가지 이상의 색상과 무늬가 형성된 고품질의 메탈안경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동종업체간 경쟁력 우위는 물론, 부가가치 증대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효과는 가진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착공정을 이용하여 컬러착색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전착공정을 이용한 컬러착색 방식에서는 박막인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이 들뜨게 되어 제품에 대한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의 부착도나 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서는 제품에 대한 1차 코팅층이나 2차 코팅층에 대해 세척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어 1, 2차 코팅층에 대한 컬러착색 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얼룩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그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금 전에 안경테를 흐르는 물에 씻어내는 유수수세 공정들을 언급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유수수세 공정들만으로는 복잡한 형태의 물체 및 좁은 공간에서의 정밀한 침투후 세척을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언더코팅층과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코팅층 중 탑코팅제 형성 시에 우레탄 베이스의 도료로 탑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우레탄 베이스의 도료로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형성되는 탑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그에 따라 제품(예, 안경다리)을 상대물(예, 안경몸체)에 조립 시에 조립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1998-0002306호(1998.03.30.)
본 발명에 의한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코팅층에 대한 컬러착색 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얼룩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형태의 물체 및 좁은 공간에서의 정밀한 침투후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료로 탑코팅층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탑코팅층의 두께가 종래기술보다 상대적으로 얇아지며 그에 따라 제품을 상대물에 조립 시에 조립이 잘되게 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품의 증착표면에 대해 언더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표면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 물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조 및 상기 외부조 내측의 내부조로 구성되는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 수용된 물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염료를 투입하여 물과 염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2);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3);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의 물에 상기 제품을 침지하는 침지단계(S4); 상기 침지된 제품을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된 상태로 두어서 상기 제품의 증착표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착색단계(S5);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6); 및 세척된 상기 제품의 상기 언더코팅층에 대해 탑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단계(S3)에서의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에 대한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중탕조 외부조의 물이 가진 열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로 전달되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의 온도가 9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단계(S6)는,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품을 실온의 수도물로 20초 동안 1차 세척하는 1차 수도물 세척단계(S6-1); 상기 1차 세척된 상기 제품을 초음파 세척조에 넣어 40℃∼50℃의 수도물로 1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단계(S6-2); 초음파 세척된 상기 제품을 수도물로 두 번 세척하는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 수도물로 두 번 세척된 상기 제품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증류수 세척단계(S6-4); 및 증류수로 세척된 상기 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언더코팅층이나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코팅층에 대한 컬러착색 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얼룩이 발생될 우려가 없고, 복잡한 형태의 물체 및 좁은 공간에서의 정밀한 침투후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료로 탑코팅층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탑코팅층의 두께가 종래기술보다 상대적으로 얇아지며 그에 따라 제품을 상대물에 조립 시에 조립이 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계들 중 혼합단계 내지 착색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탕조의 외부조 및 내부조의 결합전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중탕조의 외부조 및 내부조가 결합된 상태로 외부의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열 및 침지방식에 의한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의해 제품에 증착된 증착층의 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 사용되던 전착 도장에 의한 제품 증착표면의 컬러착색방법과의 현저한 차별화가 가능하게 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은,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 혼합단계(S2), 가열단계(S3), 침지단계(S4), 착색단계(S5), 세척단계(S6), 및 탑코팅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는 제품의 증착표면에 대해 언더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표면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제품 증착표면에 염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계들 중 혼합단계 내지 착색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탕조의 외부조 및 내부조의 결합전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중탕조의 외부조 및 내부조가 결합된 상태로 외부의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혼합단계(S2)는 물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조(10) 및 상기 외부조(10) 내측의 내부조(20)로 구성되는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20)에 수용된 물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염료를 투입하여 물과 염료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물에 염료를 투입하는 양은 요구되는 컬러색상의 농담의 정도에 따라 그램(g)수로 계량하여 염료를 투입하며, 이와 같이 투입되는 염료의 양에 따라 제품에 구현되는 컬러 색상은 진하게도 되고 연하게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증착표면에 브라운 색상이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가 브라운(brown) 색상의 염료 50g만을 물에 투입할 수도 있고, 또는 적브라운색이 요구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브라운 색상의 염료 50g과 함께 빨간 색인 적색(red) 색상의 염료 10g을 물에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조(10)는 외부의 가열원(30)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스텐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부조(20)는 상기 외부조(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조(10) 내부의 가열된 물의 열에 의해 상기 내부조(20)에 수용된 물이 간접적으로 데워지는 것이므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외부조(10)는 상부에 내측플랜지부(1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부조(20)는 상부에 외측플랜지부(21)를 구비하고 있어서 외부조(10)와 내부조(20)이 조립 또는 결합될 때에 상기 외부조(10)의 내측플랜지부(11)의 위에 상기 내부조(20)의 외측플랜지부(21)가 놓이게 되어 중탕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조(10)가 상부에 내측플랜지부(11)를 형성하지 않고 하측 내부에 형성된 그물망 형태의 구멍들을 가지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내부조(20)는 상부에 외측플랜지부(2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의 위에 놓이는 구성도 가능하고, 외부조(10)가 하측부에 그물망 형태의 구멍들을 가지는 내측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조(20)는 상부에 외측플랜지부(2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외부조(10) 하측부에 형성된 상기 내측플랜지의 위에 놓이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가열단계(S3)는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10)를 가열하는 단계인데, 중탕조의 외부조(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의 가열원(30)(예, 가스레인지의 불)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중탕조의 외부조(10)의 물을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단계(S3)에서의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에 대한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중탕조 외부조의 물이 가진 열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로 전달되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의 온도가 90℃로 유지된다.
상기 침지단계(S4)는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20)의 물에 상기 제품을 침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착색단계(S5)는 상기 침지된 제품을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2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된 상태로 두어서 상기 제품의 증착표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단계인데, 상기 일정 시간은 10∼2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세척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단계(S6)는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세척하는 단계로, 1차 수도물 세척단계(S6-1), 초음파 세척단계(S6-2),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 증류수 세척단계(S6-4), 및 건조단계(S6-5)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수도물 세척단계(S6-1)는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품을 실온의 수도물로 20초 동안 1차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초음파 세척단계(S6-2)는 상기 1차 세척된 상기 제품을 초음파 세척조에 넣어 40℃∼50℃의 수도물로 1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인데, 상기 초음파로 인해 발생되는 음압 효과와 캐비테이션 효과로 물 분자를 이온화하여 짧은 시간에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는 초음파 세척된 상기 제품을 수도물로 두 번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증류수 세척단계(S6-4)는 수도물로 두 번 세척된 상기 제품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로, 이와 같이 상기 제품이 증류수로 세척되게 되는 경우 수도물로 세척할 때 수도물에 포함된 잡다한 이온에 의해 발생되는 제품 외면에 대한 얼룩 발생을 방지하고 정밀한 세척 작업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류수 세척단계(S6-4)는 상기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의 다음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수도물 세척단계(S6-1)와 상기 초음파 세척단계(S6-2)의 사이에 수행되어도 좋고, 또는 상기 초음파 세척단계(S6-2)와 상기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의 사이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건조단계(S6-5)는 증류수로 세척된 상기 제품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건조방식은 자연건조 방식이어도 상관없고 열풍 등에 의한 강제건조방식이어도 좋다.
상기 탑코팅층 형성단계(S7)는 세척된 상기 제품의 상기 언더코팅층에 대해 탑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 베이스의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레탄 베이스의 코팅제를 사용함으로써 도막이 두꺼워짐으로써 제품, 예컨대 안경다리를 안경몸체에 조립 시에 조립이 잘되지 않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아크릴 베이스의 코팅제 사용에 의해 상대물과의 조립 시에 조립성과 작동이 용이해진다.
또한, 아크릴 베이스의 코팅제인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 70중량%∼80중량%, 및 우레탄 20중량%∼30중량%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을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에 의해 생성된 언더코팅층 및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컬러착색 코팅층의 부착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의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법에 따라 염료를 계량 및 혼합하여 컬러착색을 수행한 실험구 1과, 제품 증착표면의 컬러착색을 종래 사용되던 전착 도장에 의해 수행하되 전착 시간을 30초 동안 수행한 대조구 1과, 제품 증착표면의 컬러착색을 종래 사용되던 전착 도장에 의해 수행하되 전착 시간을 1분 동안 수행한 대조구 2를 구성하여 제품에 대한 육안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들뜸부위 육안검사(들뜸 개소) 비고
실험구 1
(본 발명)
언더코팅층 0 부착도 양호
탑코팅층 0 부착도 양호
대조구 1
언더코팅층 2 부착도 일부 불량
탑코팅층 1 부착도 일부 불량
대조구 2
언더코팅층 3 부착도 일부 불량
탑코팅층 2 부착도 일부 불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구 1이 육안검사에서 대조구 1 내지 2에 비해 언더코팅층과 탑코팅층에서 들뜸 개소가 없다는 점에서 언더코팅층과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코팅층들의 비교적 우수한 부착도 또는 부착력의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조구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착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언더코팅층과 탑코팅층을 포함하는 코팅층들의 부착도 또는 부착력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예 2를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아크릴 베이스의 코팅제로 형성한 탑코팅층을 구비한 본 발명의 제품과 우레탄 베이스의 코팅제로 형성한 탑코팅층을 구비한 종래의 제품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제품(예, 안경다리)의 착색된 언더코팅층을 본 발명의 세척단계(S6)에 따라 세척한 실험구 2와, 제품의 착색된 언더코팅층을 종래의 세척방법에 따라 세척한 종래의 대조구 3의 언더코팅층을 육안으로 검사한 후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얼룩 개소 비고
실험구 2
(본 발명)
0 얼룩 미형성.
외관 양호
대조구 3 2 얼룩 형성.
외관 불량.
상기 검사 실시결과 대조구 3이 실험구 2에 비해 언더코팅층에서의 얼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소에서 형성되었는데 비해 본 발명인 실험구 2에서는 얼룩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품, 예컨대 안경다리의 언더코팅층에 얼룩이 생겨서 외관DL 불량한 종래의 세척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인 실험구 2는 언더코팅층에서 형성된 얼룩을 전혀 가지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외부조
11 : 내측플랜지부
20 : 내부조
21 : 외측플랜지부
S1 : 언더코팅층 형성단계
S2 : 혼합단계
S3 : 가열단계
S4 : 침지단계
S5 : 착색단계
S6 : 세척단계
S7 : 탑코팅층 형성단계
S6-1 : 1차 수도물 세척단계
S6-2 : 초음파 세척단계
S6-3 : 2차 수도물 세척단계
S6-4 : 증류수 세척단계
S6-5 : 건조단계

Claims (3)

  1. 제품의 증착표면에 대해 언더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표면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
    물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조 및 상기 외부조 내측의 내부조로 구성되는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 수용된 물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염료를 투입하여 물과 염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2);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3);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의 물에 상기 제품을 침지하는 침지단계(S4);
    상기 침지된 제품을 상기 중탕조의 상기 내부조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된 상태로 두어서 상기 제품의 증착표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착색단계(S5);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6); 및
    세척된 상기 제품의 상기 언더코팅층에 대해 탑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단계(S6)는,
    염색된 증착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품을 실온의 수도물로 20초 동안 1차 세척하는 1차 수도물 세척단계(S6-1);
    상기 1차 세척된 상기 제품을 초음파 세척조에 넣어 40℃∼50℃의 수도물로 1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단계(S6-2);
    초음파 세척된 상기 제품을 수도물로 두 번 세척하는 2차 수도물 세척단계(S6-3);
    수도물로 두 번 세척된 상기 제품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증류수 세척단계(S6-4); 및
    증류수로 세척된 상기 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5)를 포함하며,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 베이스의 코팅제를 사용하고,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 70중량%∼80중량%, 및 우레탄 20중량%∼30중량%이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3)에서의 상기 중탕조의 외부조에 대한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중탕조 외부조의 물이 가진 열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로 전달되어 상기 중탕조의 내부조의 물의 온도가 9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3. 삭제
KR1020180002664A 2018-01-09 2018-01-09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KR10196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64A KR101969259B1 (ko) 2018-01-09 2018-01-09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64A KR101969259B1 (ko) 2018-01-09 2018-01-09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59B1 true KR101969259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64A KR101969259B1 (ko) 2018-01-09 2018-01-09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2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275B1 (ko) * 1986-10-27 1990-04-07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숀 직물의 염색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물의 처리
KR980002306A (ko) 1997-11-01 1998-03-30 이수덕 알루미늄 안경테에 다양하게 복합색상을 형성하는 방법
KR20090089898A (ko) * 2006-12-08 2009-08-24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컬러 플러스-클리어 복합 코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275B1 (ko) * 1986-10-27 1990-04-07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숀 직물의 염색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물의 처리
KR980002306A (ko) 1997-11-01 1998-03-30 이수덕 알루미늄 안경테에 다양하게 복합색상을 형성하는 방법
KR20090089898A (ko) * 2006-12-08 2009-08-24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컬러 플러스-클리어 복합 코팅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키캡 염색하기, https://blog.naver.com/korovo/221079889205, 2017, 전문 참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35B1 (ko)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KR101969259B1 (ko) 제품 증착표면의 가열식 컬러착색방법
CN104963215B (zh) 一种布面艺术染色方法
CN102781592A (zh) 塑料片同时水基清洗、涂漆及浸渍之产品及方法
CN107034703A (zh) 一种尼龙地毯高清数码印花免水洗工艺
JPS6316516B2 (ko)
CN109295762A (zh) 锦纶/阳离子可染涤纶织物一浴两步染色方法
PL168681B1 (pl) Sposób farbowania poliamidu PL PL PL PL PL
Liu et 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induced decolorisation of cotton knitted fabric dyed with reactive dye
CN106320011A (zh) 涤纶面料的染色方法
Ozcan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repellent finishes on woven fabric properties
US2868668A (en) Method of finishing a glass fiber textile cloth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CA2104921C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nim fabric and the fabric produced thereby
CN107675400A (zh) 一种醋酯丝绒织物的染整方法
KR101582616B1 (ko) 조리용기 코팅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기
KR20060128264A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6148595A (zh) 家具表面皮革修复方法
KR20100084204A (ko)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재 표면의 다색 착색방법
Lever Exhaust dyeing with pigments on cotton piece and garments
CN109082907A (zh) 一种锦棉一浴法染色方法
JPH01239179A (ja) 繊維構造物の深色加工法
KR20150088572A (ko) 스프레이를 이용한 배트 염색방법
JPH06240587A (ja) 染着性合成樹脂成形体の多層状染色方法
EP0640157A1 (en) WOOL DYE PROCESS WITH CONTROLLED DYE ADDITIVE.
KR101492787B1 (ko) 에나멜 가죽의 염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