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635B1 -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635B1
KR101301635B1 KR1020120011956A KR20120011956A KR101301635B1 KR 101301635 B1 KR101301635 B1 KR 101301635B1 KR 1020120011956 A KR1020120011956 A KR 1020120011956A KR 20120011956 A KR20120011956 A KR 20120011956A KR 101301635 B1 KR101301635 B1 KR 10130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cellulose
fabric
knitted fabric
wa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661A (ko
Inventor
이인열
김승호
이정호
김문정
황덕열
Original Assignee
황덕열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덕열,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filed Critical 황덕열
Priority to KR102012001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6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combined with squeezing, e.g. in pad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의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시 Nylon 섬유의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의 본연의 색상을 시현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특히 원단 표면에 나일론 자체로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편물의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고가의 모(Wool)나 헤어(Hair)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부가가치의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Dyeing method of cold pad batch(CPB) for the knitted fabric manufacturing the Cellulose/Nylon composite yarn}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의 셀룰로오스 섬유(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의 반응성염료를 이용한 염색시 Nylon 섬유의 반응성 염료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의 본연의 색상을 시현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특히 원단 표면에 나일론 자체로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편물의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고가의 모(Wool)나 헤어(Hair)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부가가치의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 원단의 반응성염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시 Nylon 섬유에 반응성염료로 인한 오염으로 목표한 Color Matching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 원단의 경우 반응성 염료에 의한 오염으로 Nylon 섬유 원사 자체의 색상이 구현되지 않고 있으며 오염으로 인한 견뢰도 저하 및 Color 재현성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부분만 염색을 하고, Nylon 섬유는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원사 그대로의 컬러를 유지하여 완성된 편물 원단의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를 시현해야만 한다 .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3697호 "모드 직물의 염색 및 마무리 가공방법"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0901호 "섬유제품의 염색 전처리 방법과 전처리제, 염색방법 및 전처리된 섬유제품" 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66049호 "스웨드조 부직포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4.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62538호 "직물의 주름염색 가공방법" 5.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8978호 "양모와 폴리유산섬유의 합연사의 염색방법"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 제품의 연속정련, Cold Pad Batch를 이용한 염색 및 연속수세공정시 반응성 염료에 의한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만 진행하고 Nylon 섬유는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 고유의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나 헤어의 효과를 극대화한 편물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은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원단의 편직유 및 잡물을 제거하는 연속정련(Continuous Scouring) 단계:
상기 연속 정련 단계 후, 원단을 텐터(Tenter)로 180±5℃의 온도 조건하에서 텐터링(Tentering)하는 단계;
반응성염료(A)와 알칼리(B)를 4:1의 중량비로 혼합 교반하여 염액을 준비하고, 상기 염액을 정압펌프를 이용하여 트러프(Trough)에 투입, 상기 원단을 트러프내의 염액에 침지하여 망글로 균일하게 처리 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20~25℃의 온도를 유지하여 회전모터가 달려있는 대차를 이용하여 분당 15회 정도로 8~24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패딩 및 숙성단계;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완료 후, 잔류 실리카 및 pH를 다운 조정하고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는 연속수세 단계; 및
상기 연속수세 단계 후, 텐터(Tenter)에서 180±5℃의 온도 조건으로 텐터링 공정에 의한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속정련 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이온봉쇄제와 정련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를 준비하고, 미니릴렉서에 상기 조제와 원단을 투입하고, 50±5℃에서 2~4분간 유지 및 수세 처리 하는 공정;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수산화나트륨(50% NaOH)과 정련제를 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로 30±5℃의 온도조건하에 수세 처리 하는 공정;
상기 조제로 수세 처리된 원단을 스티머로 90±5℃의 온도조건으로 20±5분간 스팀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스팀건조 공정 후,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2차 세척 후,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3차 세척하여 pH5로 다운 조정하는 공정.
여기서,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후의 수세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니릴렉서에 원단을 투입하고, 조제로 소핑제와 이염방지제를 1:1의 중량비로 투입 후, 50±5℃의 온도조건하에 3±1분간 조제처리하는 공정;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된 원단을 95±5℃의 온도조건하에 20±5분간 소핑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소핑처리된 원단을 95±5℃에서 1차 세척하고, 70±5℃에서 2차 세척한 다음 40±5℃에서 3차 세척하는 공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시되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의하여 완성(完成)된 환편직물(丸編織物=Circular Knit Fabrics)과 경편직물(經編織物=Tricot Fabrics)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반응성염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시 Nylon 섬유의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의 본연의 색상을 표현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편물의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기존 침염 염색법과 본 발명의 CPB염색방법에 따라 얻어진 제품의 나일론 섬유 오염을 영상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염색 후 수세방법에 따라 소핑공정시 나일론의 이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멀티포를 이용하여 반응성 염료의 나일론 섬유 이염성을 확인하기 위한 비교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로 제조된 편물의 반응성 염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시 Nylon 섬유의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의 본연의 색상을 표현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되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은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원단의 편직유 및 잡물을 제거하는 연속정련단계;와
상기 연속정련 단계 후, 원단을 텐터(Tenter)로 180±5℃의 온도 조건하에서 텐터링(Tentering)하는 단계;와
반응성염료(A)와 알칼리(B)를 4:1의 중량비로 혼합 교반하여 염액을 준비하고, 상기 염액을 정압펌프를 이용하여 트러프(Trough)투입, 상기 원단을 트러프 내의 염액에 침지하여 망글로 균일하게 처리 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20~25℃의 온도를 유지하여 회전모터가 달려있는 대차를 이용하여 분당 15회 정도로 8~24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패딩 및 숙성단계;와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완료 후, 잔류 실리카 및 pH를 다운 조정하고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는 연속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 단계 후, 텐터(Tenter)에서 180±5℃의 온도 조건으로 텐터링 공정에 의한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염액을 구성하는 반응성염료로는 비닐설폰(Vinyl Sulfone)계, 이관능형(Bifunctional)계 등 상용성이 우수한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는 NaOH 또는 Na2Si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CPB 염색은 고농도의 알칼리(100g/L정도)가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알칼리는 염료의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염액과 분리하여 트러프(Trough)로 투입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속정련 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정련 공정]
금속이온봉쇄제와 정련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를 준비하고, 미니릴렉서에 상기 조제와 원단을 투입하고, 50±5℃에서 2~4분간 수세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수산화나트륨(50% NaOH)과 정련제를 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로 30±5℃의 온도조건하에 수세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조제로 수세된 원단을 스티머로 90±5℃의 온도조건으로 20±5분간 스팀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스팀건조 공정 후,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2차 세척 후,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3차 세척하여 pH5로 다운 조정하는 공정으로 수행된다.
상기의 모든 일련의 공정은 연속수세장치로 처리되며, 수세조의 갯수에 따라서 생산속도 및 수세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잔류약품 및 오염의 제거, 원단pH조정을 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와 정련제는 연속정련에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로는 킬레이트제(Chelate)를 사용하였으며, 정련제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로 킬레이트제외에 글루코닉에씨드, 디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디소듐살리실포스페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디암모늄시트레이트, 디포타슘이디티에이, 사이클로덱스트린, 소듐글루코네이트, 고듐메타실리케이트, 고듐메타포스페이트, 소듐시트레이트, 시트릭에씨드, 에티드로닉애씨드, 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에티드로네이트,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포타슘에티드로네이트, 테트라포타슘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칠렌디, 트리소듐에이치이디티에이, 트리소듐이디티에이, 트리소듐포스페이트, 트리소듐프룩토오스디포스페이트, 파이틱애씨드,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펜타소듐펜테테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텍스트린, 휴믹애씨드, 트리소듐에칠렌디아민디석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로는 라우레스 설포욱시네이트(Laureth sulfouccinate), 소듐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Sodium laurylether sulfate),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Cocoamphodeacetate), 지방산나트륨, 모노알킬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후의 연속수세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수세단계]
미니릴렉서에 원단을 투입하고, 조제로 소핑제와 이염방지제를 1:1의 중량비로 투입 후, 50±5℃의 온도조건하에 3±1분간 수세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수세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세척된 원단을 95±5℃의 온도조건하에 20±5분간 소핑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소핑처리된 원단을 95±5℃에서 1차 세척하고, 70±5℃에서 2차 세척한 다음 40±5℃에서 3차 세척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소핑제는 폴리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를 사용하였으며, 이염방지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를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이루어진 편물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원단의 편직유 및 잡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연속정련(Continuous Scouring)한다. 상기 연속정련 공정의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낸바 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No 투입과정 정련 및 Presetting
1 원단투입 소재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
2 케미컬 탱크 조제 금속이온봉쇄제 4ml/kg
정련제 4ml/kg
3 미니릴렉서 처리온도 50
처리시간 3min
4 워셔1 조제 NaOH50% 10g/Kg
정련제 3ml/kg
처리온도 30
5 스티머 처리온도 90
시간 20min
6 워셔1 처리온도 90
7 워셔2 처리온도 90
8 워셔3 처리온도 50
산중화 pH 5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금속이온봉쇄제는 킬레이트제(Chelate)를 사용하였고, 정련제로는 음이온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Sodium layrylether sulfate)를 사용하였다.
상기 연속정련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텐터에서 180℃의 온도조건하에 13m/min의 속도로 텐터링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 원단을 반응성 염료로 이관능형(Bifunctional)염료 제품을 사용하고, 알칼리는 NaOH 또는 Na2SiO3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성염료와 알칼리를 4:1의 중량비로 교반 혼합하여 염액을 준비하고, 상기 염액을 정압펌프를 이용하여 염액통(Trough)에 투입하고, 원단을 염액통 내의 염액에 침지하여 망글로 균일하게 처리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20~25℃의 온도를 유지하여 회전모터가 달려있는 대차를 이용하여 분당 15회 정도로 8~24시간 동안 회전시켜 원단을 패딩 및 숙성시켰다.
상기 패딩 및 숙성이 완료된 원단을 잔류 실리카 및 pH를 다운시키고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하였다. 상기 수세공정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수세하였다.
No 투입과정 수세공정
1 원단투입 소재 Cotton 또는 Rayon/Nylon 의모복합사
2 케미컬 탱크 조제 소핑제 + 이염방지제
3 미니릴렉서 처리온도 50
처리시간 3min
4 워셔1 처리온도 50
5 소핑 처리온도 95
시간 20min
6 워셔1 처리온도 95
7 워셔2 처리온도 70
8 워셔3 처리온도 40
상기 표 2에서 사용된 소핑제 성분은 폴리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이고, 이염방지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이다. 이들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수세가 완료된 원단은 텐터에서 180℃의 온도로 13m/min의 속도로 텐터링하여 건조하여 염색을 완료하였다.
상기 염색이 완료된 원단은 도 1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침염염색방법으로 원단을 염색하여 실시예에 따라 염색된 원단과 수세시 미고착 반응성염료의 Nylon 섬유 이염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의 (A)는 기존 침염 염색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품이고 (B)는 CPB염색에 의해 얻어진 제품으로, (B)의 CPB염색 제품이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 편물 제품의 모나 Hair 부분인 Nylon이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소핑공정시 미고착 반응성염료에 의한 나일론의 이염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멀티포를 이용하여 Nylon 섬유의 이염을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A)는 본 발명에서처럼 수세공정중 소핑처리시 나이론 오염 이염방지제를 투입한 것이고, (B)는 소핑처리시 나이론 오염 이염방지제를 미투입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핑공정시 미고착 반응성염료에 의한 나일론 섬유의 이염을 방지하고 최소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은 셀룰로오스(Cotton, Rayon, Tencel, Modal 등)섬유 염색시 Nylon섬유의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 및 오염을 방지하여 Nylon원사의 본연의 색상을 표현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모나 헤어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편물의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성된 제품은 환편직물(丸編織物=Circular Knit Fabrics) 또는 경편직물(經編織物=Tricot Fabric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은 고가의 모(Wool)나 헤어(Hair)의 원단을 대체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에 과도하게 범람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T/R 헤어사 의 편직물을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된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 복합사의 난해한 염색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인 편직물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침염염색방법으로 염색할 때에는 Cotton 이나 Rayon 등 셀룰로오스 섬유 염색시 나일론 섬유의 오염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은 CPB 저온염색의 장점과 수세시 미고착 반응성염료의 나일론 오염을 방지하고 나일론 원사의 본연의 White Color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한 편물에 럭셔리(Luxury)한 모(Wool)나 헤어(Hair)의 효과를 시현할 수 있는 고급화된 편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편직유 및 잡물을 제거하는 연속정련(Countinuous Scouring )단계:
    상기 연속정련 단계 후, 원단을 텐터(Tenter)로 180±5℃의 온도 조건하에서 텐터링(Tentering)하는 단계;
    반응성염료(A)와 알칼리(B)를 4:1의 중량비로 혼합 교반하여 염액을 준비하고, 상기 염액을 정압펌프를 이용하여 트러프(Trough)에 투입, 상기 원단을 트러프내의 염액에 침지하여 망글로 균일하게 처리 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20~25℃의 온도를 유지하여 회전모터가 달려있는 대차를 이용하여 분당 15회 정도로 8~24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패딩 및 숙성단계;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완료 후, 잔류 실리카 및 pH를 다운 조정하고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는 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 단계 후, 텐터(Tenter)에서 180±5℃의 온도 조건으로 텐터링 공정에 의한 건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정련 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금속이온봉쇄제와 정련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를 준비하고, 미니릴렉서에 상기 조제와 원단을 투입하고, 50±5℃에서 2~4분간 조제처리하는 공정;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수산화나트륨(50% NaOH)과 정련제를 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제로 30±5℃의 온도조건하에 수세하는 공정;
    상기 조제로 수세된 원단을 스티머로 90±5℃의 온도조건으로 20±5분간 스팀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스팀건조 공정 후,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원단을 90±5℃의 온도조건하에 2차 세척 후,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3차 세척하여 pH5로 다운 조정하는 공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및 숙성단계 후의 연속수세단계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미니릴렉서에 원단을 투입하고, 조제로 소핑제와 이염방지제를 1:1의 중량비로 투입 후, 50±5℃의 온도조건하에 3±1분간 조제처리하는 공정;
    상기 조제처리된 원단을 50±5℃의 온도조건하에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된 원단을 95±5℃의 온도조건하에 20±5분간 소핑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소핑처리된 원단을 95±5℃에서 1차 세척하고, 70±5℃에서 2차 세척한 다음 40±5℃에서 3차 세척하는 공정.
  4.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환편직물.
  5.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셀룰로오스/나일론(Cellulose/Nylon)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경편직물.
KR1020120011956A 2012-02-06 2012-02-06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KR10130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56A KR101301635B1 (ko) 2012-02-06 2012-02-06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56A KR101301635B1 (ko) 2012-02-06 2012-02-06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61A KR20130090661A (ko) 2013-08-14
KR101301635B1 true KR101301635B1 (ko) 2013-09-10

Family

ID=4921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956A KR101301635B1 (ko) 2012-02-06 2012-02-06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6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374B1 (ko) 2013-11-01 2014-04-10 주식회사 우성염직 Cpb 공정을 활용한 천연 염료의 염색 방법
KR101591906B1 (ko) 2015-08-31 2016-02-04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KR101591907B1 (ko) * 2015-08-31 2016-02-18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CN105970698A (zh) * 2016-05-30 2016-09-28 山东黄河三角洲纺织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活性染料冷轧堆印花方法
KR20220150540A (ko) 2021-05-04 2022-11-11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면사로 편직된 쮸리 원단의 cpb염색 방법
KR20230059223A (ko) 2021-10-26 2023-05-03 한국섬유소재연구원 Cpb공정을 이용한 천연염료의 염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75B1 (ko) * 2016-09-23 2016-12-07 박정수 상온날염 조성물
KR101883078B1 (ko) * 2016-12-14 2018-07-27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면니트의 형태안정성 향상 가공방법
KR101936337B1 (ko) 2017-07-06 2019-03-04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니트 셀룰로오스 섬유의 스노우 화이트 방법
CN110258059B (zh) * 2019-07-15 2021-08-10 新乡市新星特种织物有限公司 阻燃针织布冷堆染色提升上染率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82A (ko) * 2001-11-20 2003-05-27 (주)경인양행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혼방섬유의 염색 방법
KR100531742B1 (ko) * 2004-05-19 2005-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효소를 이용한 Cold-Pad-Batch(CPB)에서의동시 바이오 호발-정련
KR20070052529A (ko) * 2005-11-17 2007-05-22 김재훈 반응성 염료에 의한 천연 섬유소재의 콜드 패드 배치 수날염 및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공정에 의한 염색및 날염 방법
KR20110032087A (ko) * 2009-09-22 2011-03-30 박연우 반응성 염료와 셀룰로오스섬유의 염색에 첨가하는 알칼리 완충 용액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82A (ko) * 2001-11-20 2003-05-27 (주)경인양행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혼방섬유의 염색 방법
KR100531742B1 (ko) * 2004-05-19 2005-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효소를 이용한 Cold-Pad-Batch(CPB)에서의동시 바이오 호발-정련
KR20070052529A (ko) * 2005-11-17 2007-05-22 김재훈 반응성 염료에 의한 천연 섬유소재의 콜드 패드 배치 수날염 및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공정에 의한 염색및 날염 방법
KR20110032087A (ko) * 2009-09-22 2011-03-30 박연우 반응성 염료와 셀룰로오스섬유의 염색에 첨가하는 알칼리 완충 용액 및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374B1 (ko) 2013-11-01 2014-04-10 주식회사 우성염직 Cpb 공정을 활용한 천연 염료의 염색 방법
KR101591906B1 (ko) 2015-08-31 2016-02-04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KR101591907B1 (ko) * 2015-08-31 2016-02-18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CN105970698A (zh) * 2016-05-30 2016-09-28 山东黄河三角洲纺织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活性染料冷轧堆印花方法
KR20220150540A (ko) 2021-05-04 2022-11-11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면사로 편직된 쮸리 원단의 cpb염색 방법
KR20230059223A (ko) 2021-10-26 2023-05-03 한국섬유소재연구원 Cpb공정을 이용한 천연염료의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61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35B1 (ko) 셀룰로오스/나일론 복합사로 제조된 편물의 cpb염색방법
US10711397B1 (en) Yarn material with a white center
CN102943362B (zh) 一种具有花灰怀旧风格的针织成衣的加工方法
KR20170115433A (ko) 의마 면의 고수축사 원단의 염색 및 날염 가공 방법
CN110904668A (zh) 持久耐黄变高白棉型面料连续加工方法
DE19502514A1 (de) Textilveredlungsmittel
CN101942773A (zh) 一种腈/涤/棉/氨纶四种组分不影响牢度、色光、纤维强力的染整加工方法
CN108193405A (zh) 针织物的染色丝光方法及丝光针织物
CN107747209B (zh) 纺织材料清洗液及其应用和纺织产品
CN110644261A (zh) 一种棉布料的染色方法
KR101591906B1 (ko)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KR100696403B1 (ko)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한 후염 타월의 가공방법
CN109162042B (zh) 一种麂皮绒面料的加工方法
CN1025964C (zh) 棉花散纤维加工方法
KR101936337B1 (ko) 니트 셀룰로오스 섬유의 스노우 화이트 방법
CN107675380A (zh) 一种牛仔面料的洗水工艺
KR102527499B1 (ko) 면사로 편직된 쮸리 원단의 cpb염색 방법
CN112458668A (zh) 牛仔面料的清洁整理工艺
CN109653006A (zh) 一种用于羊绒制品的吊染、扎染的工艺制作方法
GB2233352A (en) Denim production
KR20100084084A (ko) 나일론/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사를 이용한 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US20230010719A1 (en) Sustainable fabric preparation process for dyeing with botanical (plant) dyes
CN115058788B (zh) 一种用于生产服装的耐油污布料以及加工工艺
CN114673018B (zh) 一种洗旧效果的成衣及其制作方法
JPH04257379A (ja) 後練り抜染可能織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