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183B1 -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183B1
KR101969183B1 KR1020140175787A KR20140175787A KR101969183B1 KR 101969183 B1 KR101969183 B1 KR 101969183B1 KR 1020140175787 A KR1020140175787 A KR 1020140175787A KR 20140175787 A KR20140175787 A KR 20140175787A KR 101969183 B1 KR101969183 B1 KR 10196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lange
rotating shaft
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767A (ko
Inventor
박환
서신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183B1/ko
Priority to CN201521013619.2U priority patent/CN205320579U/zh
Publication of KR2016006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5Condition respons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경지의 경사 또는 두둑의 간격 및 형태에 따라 예취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예취부는 곡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의 버켓 후단면을 관통해 위치하며 버켓 내부에 예취된 곡물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덕트 둘레를 감싼 상태로 버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대 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대와, 공급부의 덕트를 감싸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버켓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예취부의 버켓이 공급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COMBINE CUTTING PART WITH TILTING DEVIC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경지의 경사 또는 두둑의 간격 및 형태에 따라 예취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농작물을 수확할 때 사용되는 농업용 기계로서, 농작물을 예취하여 탈곡은 물론 짚의 컷팅 작업까지 수행하는 다목적용 기계이다.
기존 콤바인은 예취부가 수평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농경지가 평탄할 경우 및 두둑이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 콤바인이 진행함에 있어 예취부가 곡물의 줄기의 일정한 부분을 예취하게 되어 예취가 용이하며, 손실량도 최소화 된다.
하지만, 경사지 또는 두둑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예취부로 곡물을 예취하는 부위가 다르게 된다. 즉 지면의 레벨이 높은 지역에서 식생한 곡물의 경우에는 예취 지점이 낮고, 반대로 지면의 레벨이 낮은 지역에서 식생한 곡물의 경우에는 예취 지점이 높게 된다.
예취 지점이 낮을 경우에는 곡물의 손실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많은 양의 줄기가 예취부로 유입되어 막힘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선별 작업에 정밀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예취 지점이 높을 경우에는 곡물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4822호(공개일 2001.07.11)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농경지의 기울기 및 두둑의 높이에 따라 예취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곡물의 예취 지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고장 발생을 줄이며 또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콤바인 예취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예취부는 곡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의 버켓 후단면을 관통해 위치하며 버켓 내부에 예취된 곡물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덕트 둘레를 감싼 상태로 버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대 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대와, 공급부의 덕트를 감싸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버켓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예취부의 버켓이 공급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는, 버켓의 바깥면에 위치하며 관통한 공급부의 덕트를 결속하는 제1플랜지와, 버켓의 안쪽면에 위치하며 관통한 공급부의 덕트를 결속하는 제2플랜지와, 버켓을 관통하여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제1플랜지와 회전축과 제2플랜지에는 덕트의 단면과 같은 다각 구조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급부의 덕트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의 둘레에는 볼트 홀들이 형성되고,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는 회전축의 볼트 홀과 대응하는 볼트 홀들이 형성되며, 제1플랜지와 회전축과 제2플랜지의 볼트 홀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가 관통해 나사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의 둘레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베어링은 버켓의 관통공 내주면에 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유압시스템으로서, 유압시스템의 선단은 지지대의 제2플랜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버켓의 후단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압시스템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 버켓이 공급부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모터로서, 모터의 회전축에 브래킷이 고정되고, 지지대의 제2플랜지와 브래킷에 링크의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모터로서, 제2플랜지의 둘레에는 원호 형상의 제1평기어가 고정되고, 버켓의 후단면에 고정된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2평기어가 장착되어 제1평기어와 기어물림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예취부는 농경지의 경사 또는 두둑의 높이에 따라 예취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곡물의 예취 지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곡물의 수확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예취부는 주행하는 중에 지면에 위치한 돌과 같은 사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예취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예취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예취부의 버켓과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예취부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예취부의 버켓과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선단에 예취부(20)가 위치하며, 예취부(20)에서 예취된 곡물은 예취부(20)의 버켓(21)으로 연장된 공급부(30)를 통해 탈곡부(40)로 이송된다.
예취부(20)의 버켓(21) 안쪽에는 오거(23)가 회전하면서 예취된 곡물을 공급부(30) 쪽으로 이송하는데, 오거(23)에 의해 이송된 곡물을 탈곡부(40)로 이송하기 위해 공급부(30)의 컨베이어(33)는 버켓(21)의 후단면을 관통해 버켓(21)의 안쪽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공급부(30)의 컨베이어(33)는 덕트(31)에 의해 감싸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0)은 공급부(30)를 중심으로 예취부(20)의 버켓(21)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공급부(30)는 예취부(20)의 버켓(21) 일측에 위치하며, 이와 같은 공급부(30)를 기준으로 예취부(20)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며 회전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예취부(20)와 공급부(30)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부(20)의 버켓(21) 후단면에는 관통공(25)이 형성되고, 관통공(25)에는 지지대(110)가 장착된다.
지지대(110)는 버켓(21)의 바깥면에 관통공(25)과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1플랜지(111)와, 버켓(21)의 안쪽면에 관통공(25)과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2플랜지(115)와,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5)를 연결하는 회전축(113)으로 크게 구분되며,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5)의 사이에 버켓(21)이 끼워진 상태로 회전축(113)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회전축(113)의 둘레에는 니들 베어링(도 3b의 117)이 장착되어 버켓(21)의 관통공(25) 내주면과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버켓(2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버켓(21)의 바깥면에 위치한 제1플랜지(111)와 버켓(21)의 안쪽면에 위치한 제2플랜지(115)를 체결하기 위해서,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를 관통한 볼트 홀(119)들이 회전축(113)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플랜지(111)에도 볼트 홀(119)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플랜지(111)를 버켓(21)의 관통공(25)과 대응시킨 상태에서, 회전축(113)을 버켓(21)의 관통공(25)에 삽입하고 제1플랜지(111)에 형성된 볼트 홀(119)과 회전축(113)에 형성된 볼트 홀(119)들을 상호 대응하게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볼트 홀(119)에 볼트(118)를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하여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를 고정한다. 이때 회전축(113)의 둘레에 형성된 니들 베어링(117)은 버켓(21)의 관통공(25) 내주면과 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를 볼트(118)로 체결하여 구성한 지지대(110)는 버켓(21)의 관통공(25)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대(110)를 기준으로 예취부(20)의 버켓(21)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지지대(110)의 중심은 사각공이 형성된다. 즉,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의 중심에 사각공(111H, 113H, 115H)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공(111H, 113H, 115H)에 공급부(30)의 덕트(3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공급부(30)의 덕트(31)는 콤바인의 탈곡부(4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대(110)를 기준으로 예취부(20)의 버켓(21)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취부(20)의 버켓(21)이 회전하도록 구동부인 유압시스템(120)이 버켓(21)의 후단면에 장착되는데, 유압시스템(120)의 실린더(121) 끝단이 버켓(21)의 후단면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시스템(120)의 피스톤(123) 끝단이 지지대(11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21)에 장착된 지지대(110)는 유압시스템(120)의 스트로크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그 길이차에 의해 버켓(21)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버켓(21)의 관통공(25)에 지지대(110)를 장착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제2플랜지(115)와 회전축(113)이 용접 고정된 상태이며, 회전축(113)이 버켓(21)의 관통공(25)을 관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113)에 상대 플랜지인 제1플랜지(111)를 위치하고 볼트 홀(119)을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의 각 볼트 홀(119)에 볼트(118)를 삽입한 후 볼트(118)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호 고정한다. 그러면, 버켓(21)의 바깥면과 안쪽면에 각각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5)가 위치하며 회전축(113)이 버켓(21)의 관통공(25)을 관통하여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버켓(2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볼트 체결 방식 외에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플랜지를 회전축에 용접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볼트 홀 및 볼트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유압시스템(120)의 제어패널은 콤바인의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캐빈(50) 내에 장착되며, 운전자는 콤바인(10)을 주행하는 중에 농경지의 기울기, 두둑의 높이차 또는 돌과 같은 사물을 확인하고 유압시스템(120)의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그러면, 유압시스템(120)의 스트로크의 제어에 의해 예취부(20)의 버켓(21)이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버켓(21)의 각도를 제어하게 된다.
[제2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예취부의 각도를 유압시스템에 의해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통해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예취부의 버켓, 지지대 및 공급부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면에서,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의 제1플랜지(111)에는 링크(1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예취부(20)의 버켓(21)에는 모터(140)가 고정되며, 모터(140)의 회전축(141)에는 브래킷(145)이 고정되고, 브래킷(145)의 단부에 링크(13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모터(14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브래킷(145)이 모터(140)의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브래킷(145)의 회전에 따라 링크(130)가 이동하면서 지지대(110)를 회전 이동시키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지지대(110)가 공급부(30)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은 예취부(20)의 버켓(21)이 회전으로 전환되어 버켓(21)이 회전하게 된다.
[제3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예취부의 각도를 유압시스템에 의해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3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통해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예취부의 버켓, 지지대 및 공급부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취부와 공급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예취부의 각도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의 제1플랜지(111)에는 원호 형태의 제1평기어(151)가 고정된다.
그리고 예취부(20)의 버켓(21)에는 모터(140)가 고정되며, 모터(140)의 회전축(141)에는 제2평기어(152)가 고정되며, 제2평기어(152)는 제1평기어(151)와 기어 물림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모터(14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제2평기어(152)가 회전하게 되고, 제2평기어(152)에 기어물림된 제1평기어(151)가 지지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지지대(110)가 공급부(30)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은 예취부(20)의 버켓(21)의 회전으로 전환된다.
10 : 콤바인
20 : 예취부
21 : 버켓
30 : 공급부
40 : 탈곡부
110 : 지지대
111, 115 : 플랜지
113 : 회전축
120 : 유압시스템
130 : 링크
140 : 모터
151, 152 : 평기어

Claims (7)

  1. 삭제
  2. 곡물을 예취하는 예취부(20)의 버켓(21) 후단면을 관통해 위치하며 버켓(21) 내부에 예취된 곡물을 탈곡부(40)로 이송하는 공급부(30)와,
    공급부(30)의 덕트(31) 둘레를 감싼 상태로 버켓(21)에 형성된 관통공(25)에 상대 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대(110)와,
    공급부(30)의 덕트(31)를 감싸는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버켓(21)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예취부(20)의 버켓(21)이 공급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지지대(110)는, 버켓(21)의 바깥면에 위치하며 관통한 공급부(30)의 덕트(31)를 결속하는 제1플랜지(111)와, 버켓(21)의 안쪽면에 위치하며 관통한 공급부(30)의 덕트(31)를 결속하는 제2플랜지(115)와, 버켓(21)을 관통하여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5)에 연결된 회전축(113)을 포함하며,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에는 덕트(31)의 단면과 같은 다각 구조의 관통공(111H, 113H, 115H)이 형성되고, 공급부(30)의 덕트(31)가 관통공(111H, 113H, 115H)을 관통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축(113)의 둘레에는 볼트 홀(119)들이 형성되고,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5)에는 회전축(113)의 볼트 홀(119)과 대응하는 볼트 홀(119)들이 형성되며, 제1플랜지(111)와 회전축(113)과 제2플랜지(115)의 볼트 홀(119)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118)가 관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축(113)의 둘레에는 베어링(117)이 장착되며, 베어링(117)은 버켓(21)의 관통공(25) 내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유압시스템(120)으로서, 유압시스템(120)의 선단은 지지대(110)의 제1플랜지(111)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버켓(21)의 후단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압시스템(120)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 버켓(21)이 공급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모터(140)로서, 모터(140)의 회전축에 브래킷(145)이 고정되고, 지지대(110)의 제1플랜지(111)와 브래킷(145)에 링크(130)의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모터(140)로서, 제2플랜지(115)의 둘레에는 원호 형상의 제1평기어(151)가 고정되고, 버켓(21)의 후단면에 고정된 모터(140)의 회전축에는 제2평기어(152)가 장착되어 제1평기어(115)와 기어물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
KR1020140175787A 2014-12-09 2014-12-09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KR10196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87A KR101969183B1 (ko) 2014-12-09 2014-12-09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CN201521013619.2U CN205320579U (zh) 2014-12-09 2015-12-09 联合收割机的切割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87A KR101969183B1 (ko) 2014-12-09 2014-12-09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67A KR20160069767A (ko) 2016-06-17
KR101969183B1 true KR101969183B1 (ko) 2019-04-15

Family

ID=5621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87A KR101969183B1 (ko) 2014-12-09 2014-12-09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9183B1 (ko)
CN (1) CN20532057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6364B (zh) * 2018-12-18 2022-04-05 重庆鑫源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输送槽与割台安装的收割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54Y1 (ko) * 1999-11-16 2000-04-15 김상석 콤바인의 곡물송출장치
JP2000166354A (ja) 1998-12-08 2000-06-2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7311A (ja) * 1987-02-23 1988-08-2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昇降構造
KR20010064822A (ko) 1999-12-20 2001-07-11 모영환 콤바인의 예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354A (ja) 1998-12-08 2000-06-2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部
KR200178054Y1 (ko) * 1999-11-16 2000-04-15 김상석 콤바인의 곡물송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67A (ko) 2016-06-17
CN205320579U (zh)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821A (en) Tillage implement with on-the-go angle and depth controlled discs
US5378852A (en) Tree and shrub-clearing equipment mounted on tractor
US20200084968A1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height and/or incline of a combine header for harvesting thin-stemmed crops
US4283905A (en) Mowing machine
KR101969183B1 (ko)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CN104012203B (zh) 深根茎作物整地机
US20050235623A1 (en) Harves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assembly
US2501424A (en) Push-type full vision swather
CN2101359U (zh) 多功能分体组合式农机具
CN211931316U (zh) 一种农业机械取土送土装置
US2871804A (en) Combined tree cultivator and fertilizer distributor
CN210868638U (zh) 一种旋耕机
JP5069169B2 (ja) 移植機
JP7100873B2 (ja) 農作業機
DE102004024234A1 (de) Haspelzusammenbau
JP7421701B2 (ja) コンバイン
JP6874986B2 (ja) 農作業機
JP6901758B2 (ja) 農作業機
KR101973217B1 (ko) 콤바인의 디바이더
JP6901760B2 (ja) 農作業機
JP6901759B2 (ja) 農作業機
JP2018186757A (ja) コンバイン
KR101869467B1 (ko) 수평 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JP6935083B2 (ja) 農作業機
US89968A (en) Improvement in corn-harve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