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144B1 -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144B1
KR101969144B1 KR1020180089623A KR20180089623A KR101969144B1 KR 101969144 B1 KR101969144 B1 KR 101969144B1 KR 1020180089623 A KR1020180089623 A KR 1020180089623A KR 20180089623 A KR20180089623 A KR 20180089623A KR 101969144 B1 KR101969144 B1 KR 10196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indow
frame
door frame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톱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톱샤시 filed Critical (주)톱샤시
Priority to KR102018008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외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축물의 내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문틀; 상기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재 및 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문; 및 상기 창문을 상기 문틀 일측에 거치시키고, 상기 창문의 하단과 상기 문틀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창문의 상부 및 상기 창문의 양측면을 이루는 상단블록; 상기 상단블록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블록; 상기 제1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배면을 이루는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창문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는 제3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 내지 상기 제3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창문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블록을 이루어 상기 상단블록의 양측면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ONE-TOUCH WINDOW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창문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고, 창문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롤러를 교체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연결부위를 통해 바람이나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사용되는 복합창호는 2중 이상의 유리창으로 이루어지는 복층창호 구조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외측패널과, 외측패널에 아존(A-Zon) 단열재로 연결 설치되어 열기 또는 냉기와 직접 접촉되는 외측패널과의 열교환 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외부면이 감싸지도록 단열패널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복층창호 구조물의 실내를 단열하는 내측패널로 구성된다.
복합창호는 외측패널의 외측프레임과 내측패널의 내측프레임이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재로 압출성형되며, 외측프레임에는 외관을 마무리하는 비철금속재의 덮개가 록킹방식으로 탄성결합되어 있고, 내측프레임의 연결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레일 형상의 단열재 충진홈에 열전도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아존(A-Zon) 단열재를 충진시키고, 충진된 아존 단열재가 건조되어 경화되면, 아존 단열재 바닥면 부분의 단열재 충진홈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내측프레임의 연결부 일부분이 분리되는 상태로 되어 외측프레임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고,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철금속재의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사이가 이격되어 열전도성이 낮은 아존 단열재로만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외측패널과 내측패널 간의 열흐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내측패널의 내측프레임에는 좌,우측부를 통하여 외부면이 감싸지도록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이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압출성형되는 두 개의 합성수지재 "ㄷ"자형 단열패널이 대응되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내측프레임의 톱니형 이탈방지돌기에 내면의 양단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단열패널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측프레임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복합창호는 외측프레임과 연결되는 내측프레임의 연결부를 아존 단열재를 충진시키기 위하여 내측프레임에 일체로 압출성형함으로써, 외측패널과 내측패널 사이에 위치되어 복층창호가 설치되는 내측프레임의 연결부 길이에 대하여 복층창호 구조물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각각 달리하는 내측프레임의 대형 압출성형 금형을 각각 구비해야 하고, 또한 고층건물의 특성상 구조적인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두께를 달리하는 외측 및 내측프레임으로 복합창호를 시공하게 되어 각 두께별로 압출성형 금형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 종류의 다양함으로 인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 부담감을 갖게 되고, 내측프레임의 단열재 충진홈에 아존 단열재의 충진작업과 단열재 충진홈의 절단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 후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으며, 내측프레임의 연결부 길이 및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각각 두께별로 보관 및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내측프레임의 외부면, 즉 전면과 양측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단열패널은 합성수지재인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스티렌으로 압출성형되므로 압출성형 후 수축현상에 의한 변형 발생에 의해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내측프레임에 단열패널을 결합한 후, 내측프레임로부터 단열패널이 폭이 넓은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외관유지 및 단열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8351호(2012년 06월 27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유리부재를 창틀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 및 실링부재가 요구되고, 체결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창호 시고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창틀프레임과 마찰되는 창문프레임의 하단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창문 전체를 창틀로부터 분리시켜 창문프레임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므로 창문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유리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창문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고, 창문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롤러를 교체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연결부위를 통해 바람이나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외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축물의 내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문틀; 상기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재 및 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문; 및 상기 창문을 상기 문틀 일측에 거치시키고, 상기 창문의 하단과 상기 문틀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창문의 상부 및 상기 창문의 양측면을 이루는 상단블록; 상기 상단블록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블록; 상기 제1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배면을 이루는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창문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는 제3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 내지 상기 제3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창문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블록을 이루어 상기 상단블록의 양측면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문틀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창문을 거치할 수 있도록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이 상기 창문 측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거치블록을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상기 창문 측 또는 반대 측으로 출몰시키는 출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몰부는,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발생되기 쉬운 간격을 마감하여 바람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1프레임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1프레임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제1프레임을 통과하여 거치블록이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블록 및 출몰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2프레임을 시공하고, 상기 출몰부를 커버하도록 시공하는 단계; (e) 상단블록과,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을 조립하여 프레임부재를 완성하는 단계; (f) 상기 프레임부재에 유리부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유리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테두리에 마감부재를 걸림결합시켜 창문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 (g) 상기 창문을 상기 문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은, 창문에 설치되는 유리부재의 테두리를 가압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므로 유리부재 설치 시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공정에 의해 유리부재를 결합시키므로 창호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은, 창문이 문틀의 바닥면에 닿지 않고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가 구비되므로 창문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가 파손되면 창문을 문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창문을 거치부에 거치시킨 후에 바퀴가 설치되는 창문의 하단블록의 일부분을 분리시켜 바퀴만을 창문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바퀴의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행할 수 있어 창문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은, 창문을 이루는 프레임부재의 하단블록이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창문을 거치시킨 후에 하단블록 중 일부분을 분리하면 프레임부재 내측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를 창문의 측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창문을 문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바퀴만을 분리시켜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상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하단블록이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거치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실링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상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하단블록이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거치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실링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외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2), 건축물의 내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14), 및 제1프레임(12)과 제2프레임(14) 사이에 개재되고, 제1프레임(12)과 제2프레임(14)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개재되며, 단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6)로 이루어지는 문틀(10)과, 문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재(50) 및 유리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문(30)과, 창문(30)을 문틀(10) 일측에 거치시키고, 창문(30)의 하단과 문틀(10)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거치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창문(3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가 파손되는 경우에 창문(30)을 문틀(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거치부(70)를 구동시켜 창문(30)을 거치부(70) 거치시킴으로써, 프레임부재(50)의 저면과 문틀(10) 바닥면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고, 이때, 작업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하단블록 중 어느 한 개를 하단블록으로부터 분리시켜 창문(30)을 문틀(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바퀴에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재(50)는, 창문(30)의 상부 및 창문(30)의 양측면을 이루는 상단블록(52a)과, 상단블록(52a)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블록(52b)과, 제1블록(52b)의 상면에 위치되고, 프레임부재(50)의 배면을 이루는 제2블록(52c)과, 제1블록(52b)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창문(30)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는 제3블록(52d)을 포함하고, 제1블록(52b) 내지 제3블록(52d)이 결합되어 창문(3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블록을 이루어 상단블록(52a) 양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제1블록(52b), 제2블록(52c) 및 제3블록(52d)은 조립되어 하단블록을 이루게 되고, 상단블록(52a), 제1블록(52b), 제2블록(52c) 및 제3블록(52d)은 외벽을 감싸는 외피(54)에 의해 감싸지면서 창호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게 된다.
외피(54)는, 상단블록(52a)의 외벽을 감싸는 제1외피(54a)와, 상단블록(52a)의 내벽을 감싸는 제2외피(54b)와, 하단블곡의 외벽을 이루는 제1블록(52b)을 감싸는 제3외피(54c)와, 제2블록(52c)의 외벽을 감싸는 제4외피(54d)와, 제3블록(52d)의 외벽을 감싸는 제5외피(54e)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피(54)는 창호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함과 동시에 단열성능을 제공하도록 단열재질의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바퀴는 제3블록(52d)의 저면에 설치되므로 바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거치부(70)를 조작하여 창문(30)을 문틀(10)로부터 상측으로 상승시켜 바퀴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작업자가 제5외피(54e) 및 제3블록(52d)을 분리시켜 제3블록(52d)의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거치부(70)는, 문틀(10)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창문(30)을 거치할 수 있도록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블록(72)과, 거치블록(72)이 창문(30) 측으로 돌출될 때에 프레임부재(5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부재(50)에 형성되는 삽입홈부(74)와, 거치블록(72)을 프레임부재(50)로부터 창문(30) 측 또는 반대 측으로 출몰시키는 출몰부(76)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레버부재(76a)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거치블록(72)을 문틀(10)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창문(30)을 열고 닫을 때에 거치블록(72)과 창문(3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에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몰부(76)를 조작하여 거치블록(72)을 문틀(10)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창문(30)을 문틀(10) 측으로 이동시키면 거치블록(72)이 삽입홈부(74)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창문(30)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거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출몰부(76)는, 문틀(10)에 설치되는 레버부재(76a)와, 레버부재(76a)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76b)와, 제1기어(76b)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76c)와, 제2기어(76c)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76d)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76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레버부재(76a)의 동력이 제1기어(76b), 제2기어(76c) 및 피니언(76d)에 전달되고, 피니언(76d)의 회전운동이 랙부(76e)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거치블록(72)이 문틀(10)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되는 작동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문틀(10) 또는 프레임부재(50)에 발생되기 쉬운 간격을 마감하여 바람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80)를 더 포함하므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바람 또는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부(80)는,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위에 개재되는 실링패드(82)와, 실링패드(82)를 가압하는 고정패널(84)과, 고정패널(84) 및 실링패드(82)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부재(86)가 결합되도록 프레임에 구비되는 고정홀부(8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1프레임(12)을 시공하는 단계와, 제1프레임(12)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6)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1프레임(12)을 통과하여 거치블록(72)이 출몰 가능하도록 거치블록(72) 및 출몰부(76)를 설치하는 단계와, 연결부재(16)가 삽입되도록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2프레임(14)을 시공하고, 출몰부(76)를 커버하도록 시공하는 단계와, 상단블록(52a)과, 제1블록(52b), 제2블록(52c) 및 제3블록(52d)을 조립하여 프레임부재(50)를 완성하는 단계와, 프레임부재(50)에 유리부재(32)를 안착시키고, 마감부재(58)가 유리부재(32)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프레임부재(50)의 테두리에 마감부재(58)를 걸림결합시켜 창문(30)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와, 창문(30)을 문틀(1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문틀(10)의 제1프레임(12) 및 제2프레임(14)을 제작할 때에 프레임들 사이의 간격에는 실링패드(82)가 개재되도록 조립하고, 창문(30)을 이루는 프레임부재(50)를 조립할 때에도 프레임들 사이에 실링패드(82)가 개재되도록 조립한다.
이후에, 건축물 개구부에 제1프레임(12)을 시공하고, 작동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시공하여 출몰부(76)를 설치하고, 제2프레임(14)을 시공한다.
창문(30)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프레임부재(50)에 유리부재(32)를 안착시키고, 유리부재(32)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마감부재(58)를 결합시켜 원터치 방식으로 유리부재(32)를 조립하여 창문(3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 창문(30)을 문틀(10)에 조립하여 창호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로써, 유리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창문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고, 창문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롤러를 교체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연결부위를 통해 바람이나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문틀 12 : 제1프레임
14 : 제2프레임 16 : 연결부재
30 : 창문 32 : 유리부재
50 : 프레임부재 54 : 외피
58 : 마감부재 70 : 거치부
72 : 거치블록 74 : 삽입홈부
76 : 출몰부 80 : 실링부
82 : 실링패드 84 : 고정패널
86 : 볼트부재 88 : 고정홀부

Claims (5)

  1.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외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축물의 내벽 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문틀;
    상기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재 및 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문; 및
    상기 창문을 상기 문틀 일측에 거치시키고, 상기 창문의 하단과 상기 문틀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창문의 상부 및 상기 창문의 양측면을 이루는 상단블록;
    상기 상단블록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블록;
    상기 제1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배면을 이루는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창문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는 제3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 내지 상기 제3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창문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블록을 이루어 상기 상단블록의 양측면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문틀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창문을 거치할 수 있도록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이 상기 창문 측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거치블록을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상기 창문 측 또는 반대 측으로 출몰시키는 출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몰부는,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발생되기 쉬운 간격을 마감하여 바람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
  5. (a)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1프레임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1프레임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제1프레임을 통과하여 거치블록이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블록 및 출몰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건축물의 개구부에 제2프레임을 시공하고, 상기 출몰부를 커버하도록 시공하는 단계;
    (e) 상단블록과,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을 조립하여 프레임부재를 완성하는 단계;
    (f) 상기 프레임부재에 유리부재를 안착시키고, 마감부재가 상기 유리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테두리에 마감부재를 걸림결합시켜 창문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
    (g) 상기 창문을 문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창문의 상부 및 상기 창문의 양측면을 이루는 상기 상단블록;
    상기 상단블록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기 제1블록;
    상기 제1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배면을 이루는 상기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창문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 내지 상기 제3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창문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블록을 이루어 상기 상단블록의 양측면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문틀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창문을 거치할 수 있도록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이 상기 창문 측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거치블록을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상기 창문 측 또는 반대 측으로 출몰시키는 상기 출몰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출몰부는,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식 창호의 시공방법.
KR1020180089623A 2018-07-31 2018-07-31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23A KR101969144B1 (ko) 2018-07-31 2018-07-31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23A KR101969144B1 (ko) 2018-07-31 2018-07-31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144B1 true KR101969144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623A KR101969144B1 (ko) 2018-07-31 2018-07-31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82B1 (ko) * 2014-08-28 2015-01-08 (주) 점보알텍 창문의 이탈 방지장치
KR20150006589A (ko) * 2013-07-09 2015-01-19 한승관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160133582A (ko) * 2015-05-12 2016-11-2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발코니 개보수용 창호
KR20170112501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고층 건물용 슈퍼 단열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589A (ko) * 2013-07-09 2015-01-19 한승관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101480482B1 (ko) * 2014-08-28 2015-01-08 (주) 점보알텍 창문의 이탈 방지장치
KR20160133582A (ko) * 2015-05-12 2016-11-2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발코니 개보수용 창호
KR20170112501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고층 건물용 슈퍼 단열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6575B2 (ja) 窓ガラス取付け要素
JP2006036191A (ja) 自動車バック・ドア
JP2006527115A (ja) 車両ドア用のドアモジュール
JP2784456B2 (ja) 自動車用ドアの防水構造
JP2008528828A (ja) ガラス窓を外壁構造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969144B1 (ko) 원터치 결합식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10138713A1 (en) Insulated attic door
CN201081513Y (zh) 一种多温区冰箱酒柜
KR101347972B1 (ko) 캠핑카용 복층 유리 창틀
CN110741132A (zh) 用于制造框架的型材组件
JP2002047865A (ja) 車両用の窓ガラス固定方法とこれによる窓構造
KR20090007452U (ko) 단열 여닫이 창호
KR20120006909U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 프레임
JP3333487B2 (ja) 段 窓
JP7351743B2 (ja) 車両用ドア
JP3232047B2 (ja) 断熱サッシ
CN220436756U (zh) 制冷设备用外部围覆安装用组合式保护套
CN220711418U (zh) 用于太阳能电池组件的复合材料边框
EP2488004B1 (en) Waterproof machine cabinet
JP3278773B2 (ja) サッシ付き壁組及びサッシ付き壁組の製作方法
CN111547142B (zh) 一种涉水设备舱及其防水方法
CN211735819U (zh) 一种模块化隔音房
CN221053043U (zh) 一种无须安装龙骨的外墙装饰板
JPH03114924A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H09184364A (ja) 断熱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