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111B1 -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111B1
KR101969111B1 KR1020170100453A KR20170100453A KR101969111B1 KR 101969111 B1 KR101969111 B1 KR 101969111B1 KR 1020170100453 A KR1020170100453 A KR 1020170100453A KR 20170100453 A KR20170100453 A KR 20170100453A KR 101969111 B1 KR101969111 B1 KR 10196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flow rate
molten steel
casting
iner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345A (ko
Inventor
김성줄
김욱
이영주
김용환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0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111B1/ko
Priority to JP2020507054A priority patent/JP2020530399A/ja
Priority to CN201780094835.XA priority patent/CN111107953A/zh
Priority to EP17920988.7A priority patent/EP3666416A4/en
Priority to PCT/KR2017/015035 priority patent/WO2019031661A1/ko
Publication of KR2019001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7Refining the metal by treat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22D1/005Injection assembl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편 주조 방법은 턴디시 상측 및 상기 턴디시 외측 각각에 용강이 수용된 래들을 위치시키는 과정, 턴디시 상측의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의 용강을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하는 과정 및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들이 터렛 장치 상에서 대기 위치에 있을 때와,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시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개재물을 저감시킬수 있고,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래들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래들 개공 후 미세 버블링을 실시함으로써, 대기 중 개재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조 중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함으로써, 주조 중 래들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이 있다.

Description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Cas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의 용강 내에는 제강 처리 과정에서 알루미늄(Al)과 산소(O2) 간의 반응으로 인해 알루미나(Al2O3)와 같은 개재물이 생성된다. 개재물은 주편 주조 시에 용강과 함께 응고되어, 압연시 제품 결함 발생에 원인이 된다.
래들 내 용강의 알루미나(Al2O3)와 같은 개재물의 발생 또는 제거를 위해, 진공 탈가스 설비(Reinstahl Huten Werke Heraus, RH), 래들 퍼니스(Ladle Furnace; LF), 주조 조업 중에 턴디시 공정에서 용강으로 불활성 가스 예컨대, Ar 가스를 취입하여 개재물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진공 탈가스 설비(Reinstahl Huten Werke Heraus, RH)를 이용한 정련 또는 래들 퍼니스(Ladle Furnace; LF)를 이용한 승온이 종료된 용강을 수용한 래들은 래들 터렛(turret)에 의해 지지되어 턴디시 상부로 위치된다. 즉, 래들 터렛은 스윙 타워의 양 측에 래들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각 지지부에 래들이 안착 지지된다. 그리고, 스윙 타워의 회전 동작에 의해 2개의 래들이 교대로 턴디시 상부로 이송된다. 여기서, 2개의 래들 중 턴디시 상측에 위치되는 래들은 주조에 참여하는 래들이고, 턴디시 외측에 위치되는 래들은 다음 주조를 위해 대기중인 래들이다.
그런데, 진공 탈가스 설비(Reinstahl Huten Werke Heraus, RH)를 이용한 정련, 래들 퍼니스(Ladle Furnace; LF)를 이용한 승온 조업 또는 턴디시에서 Ar 가스를 취입하더라도, 래들이 래들 터렛에 대기 또는 주조 중일 때에 개재물이 발생되고 있어, 개재물에 의한 결함 문제가 여전히 발생된다.
이를 위해,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33102에서는 대기중인 또는 주조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래들에 Ar 가스를 취입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용강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분리 부상을 촉진할 수는 있으나, 용강 탕면에서 나탕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서 재산화성 개재물의 발생이 촉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조 중에는 Ar 가스를 취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주조에 참여중인 래들 내 용강에 개재물이 여전히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KR0332894Y1
본 발명은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렛에 대기 중 또는 주조 중인 래들에 가스를 취입하여 개재물 발생을 저감시키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탕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편 주조 방법 턴디시 상측 및 상기 턴디시 외측 각각에 용강이 수용된 래들을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턴디시 상측의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의 용강을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하는 과정; 및 상기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은, 상기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을 개공시키는 과정;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가 개시되면,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을 버블링 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 래들 내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기 전의 최초 용강 높이(L0)에 대한 현시점 용강 높이(L1) 비율과 상기 주조 위치 래들로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기 시작할 때의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을 이용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유량(m1)으로 공급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76468889-pat00001
상기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량은 1 LPM 이상, 20 L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디시 외측의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은, 상기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을 개공시키는 과정;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가 개시되면,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량은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이고, 상기 제 2 유량은 1 LPM 이상, 20 L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설비는 용강을 일시 저장하는 턴디시; 용강이 수용된 한 쌍의 래들을 각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기 턴디시의 상측의 주조 위치와 및 상기 턴디시의 외측의 대기 위치에 교대로 위치시키는 터렛 장치; 상기 턴디시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턴디시로부터 제공된 용강을 응고시키는 몰드; 상기 터렛 장치 상에서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된 래들 및 상기 주조 위치에 지지된 래들 각각에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도록,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 및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과 각기 연결 가능한 가스 취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취입 장치는,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과 연결 가능한 제 1 취입 라인; 상기 주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과 연결 가능한 제 2 취입 라인; 및 상기 제 1 취입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취입 라인에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의 개공을 위한 제 1 유량 및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작은 제 2 유량으로 선택적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 상기 제 2 취입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취입 라인에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의 개공을 위한 제 1 유량 및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작은 유량으로 선택적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가 개공되도록, 상기 제 1 취입 라인으로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상기 제 1 취입 라인으로 1 LPM 이상, 20 LPM 이하의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을 버블링 시킨다.
상기 제 2 공급부는,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가 개공되도록, 상기 제 2 취입 라인으로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이 상기 턴디시로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취입 라인으로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 범위에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들이 터렛 장치 상에서 대기 위치에 있을 때와,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시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개재물을 저감시킬수 있고,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래들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래들 개공 후 미세 버블링을 실시함으로써, 대기 중 개재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조 중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함으로써, 주조 중 래들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이 있다.
그리고, 주조 중에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적정량으로 버블링 시킬 수 있어, 불활성 가스에 따라 나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용강량 또는 용강 높이 대비 과도하게 큰 유량으로 가스가 취입되면, 가스 취입에 따른 와류 발생으로 탕면의 슬래그 중 빈 공간이 생기는 나탕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조 중 래들(L) 내 용강 높이 감소에 따라 대응하도록 가스 취입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취입에 의한 나탕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취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4는 대기 중인 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스를 취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5는 주조 중인 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스를 취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6은 주조 중인 래들을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버블링 시 나탕이 발생된 결과를 나타낸 그림
도 7은 각 조업 단계에서의 개재물량을 개재물 인덱스(Inclusion index)로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렛 장치에 대기 중 및 주조 중인 래들에 가스를 취입하여 개재물 및 나탕 발생을 저감 또는 억제시키는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주조 방법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취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대기 중인 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스를 취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주조 중인 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스를 취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주조 설비는 용강이 수용된 한 쌍의 래들(L)의 지지가 가능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래들(L)을 이동시키는 터렛 장치(100), 상측으로 이동된 래들(L)로부터 용강을 공급받고, 이를 일시 저장하는 턴디시(tundish)(T), 턴디시(T)에 일시 저장된 용강을 전달받아 1차 냉각시켜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키는 몰드(M) 및 몰드(M)의 하부에 구비되어 1차 냉각된 주편을 2차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20), 턴디시(T) 상측에 대응 위치된 래들(L) 및 턴디시(T) 외측에 대기중인 래들(L) 각각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가스 취입 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는 쉬라우드 노즐(SN), 래들(L)과 쉬라우드 노즐(SN) 간의 연통을 제어하는 게이트, 턴디시(T)의 일측에 위치되어 탑노즐과 쉬라우드 노즐 간을 연결하는 노즐 장착 유닛(30)을 포함한다.
상술한 래들(L), 터렛 장치(100), 턴디시(T), 몰드(M) 및 세그먼트(20)는 일반적인 연속 주조 설비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터렛 장치(100)는 회전 구동되는 스윙 타워(110)와, 스윙 타워(110)를 중심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스윙 타워(110)를 중심으로하여 양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에 래들(L)이 지지 또는 안착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렛 장치(100)에 의하면, 스윙 타워(11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지지부(120)가 교대로 턴디시 상측으로 이동된다. 즉, 스윙 타워(11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지지부(120) 중 하나의 지지부(120) 및 해당 지지부(120)에 지지된 래들(L)이 턴디시(T) 상측에 위치되고, 이때 다른 하나의 지지부(120) 및 해당 지지부(120)에 지지된 래들(L)이 턴디시(T) 외측에 위치된다.
터렛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래들(L)을 지지하고, 이들을 교대로 턴디시(T) 상측 및 대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적용이 가능하다.
래들(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용강의 배출이 가능한 개구(이하, 출강구(321)) 및 가스의 통과가 가능한 개구(이하, 취입구(322)))가 마련된 본체(310), 출강구(321)와 연통가능하도록 본체(310)에 설치되는 탑노즐(TN)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310)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본체(310)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그(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렛 장치(100)에 지지된 한 쌍의 래들(L) 각각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나탕 및 개재물 발생을 종래에 비해 저감 또는 억제시킨다. 즉, 터렛 장치(100)의 한 쌍의 지지부(120) 중, 턴디시(T) 상측에 대응 위치된 지지부(120) 상에 지지된 래들(L) 또는 턴디시(T)로 용강을 공급하여 주조에 참여중인 래들(L) 및 턴디시(T) 외측의 위치된 지지부(120) 상에 지지된 래들(L) 각각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한다. 이를 하나의 래들(L)의 측면에서 설명하면, 일 턴디시(T)가 터렛 장치(100)에 지지되어 턴디시(T)의 외측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상기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고, 이후 이 래들(L)이 턴디시(T) 상측으로 이동하여 턴디시(T)로 용강을 공급할 때(즉, 주조 참여) 상기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대기 중인 래들(L)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래들(L)의 취입구(322)가 개공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나탕 및 개재물 발생을 저감 또는 억제시킨다. 그리고, 주조 중인 래들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 하는데 있어서, 래들(L)이 개공된 이후, 주조가 시작되면 용강 높이 또는 탕면 높이 하락에 따라 불활성 가스 유량을 감소시키면서 취입함으로써, 나탕 및 개재물 발생을 저감 또는 억제시킨다.
이를 위해, 터렛 장치(100)에 안착된 대기중인 래들(L) 및 주조에 참여중인 래들(L)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고, 가스 취입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 취입 장치(200)가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스 취입 장치(200)는 대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L)과 연결 가능한 제 1 취입 라인(210a), 주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L)과 연결 가능한 제 2 취입 라인(210b),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제 1 가스 저장부(220a) 및 저압의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제 2 가스 저장부(220b), 제 1 및 제 2 가스 저장부(220a, 220b)와 제 1 취입 라인(210a)을 연결하여, 제 1 및 제 2 가스 저장부(220a, 220b) 각각의 불활성 가스를 제 1 취입 라인(210a)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부(230a), 제 1 및 제 2 가스 저장부(220a, 220b)와 제 2 취입 라인(210b)을 연결하여, 제 1 및 제 2 가스 저장부(220a, 220b) 각각의 불활성 가스를 제 2 취입 라인(210b)으로 공급하는 제 2 공급부(23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취입 라인(210a)은 턴디시(T) 외측의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L) 취입구(322)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하며, 제 2 취입 라인(210b)은 턴디시(T) 상측의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L) 취입구(322)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취입 라인(210a, 210b) 각각은 불활성 가스의 이동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취입 라인(210a)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된 제 1 취입 밸브(211a)가 설치되고, 제 2 취입 라인(210b)의 연장 경로 상에 제 2 취입 밸브(211b)가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공급부(230a)는 일단이 제 1 가스 저장부(220a)와 연결된 제 1 공급 라인(231a), 일단이 제 2 가스 저장부(220b)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취입 라인(210a)과 연결된 제 2 공급 라인(234a), 제 1 공급 라인(231a)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된 제 1 공급 밸브(232a) 및 제 1 유량 제어부(233a), 제 2 공급 라인(234a)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된 제 2 공급 밸브(235a) 및 제 2 유량 제어부(236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공급 라인(231a)의 타단은 제 2 공급 밸브(235a)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제 2 공급 라인(234a)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공급 라인(231a, 234a) 각각은 불활성 가스의 이동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공급 밸브(232a)는 예컨대 모터 밸브 일 수 있으며, 제 1 유량 제어부(233a)는 제 1 공급 밸브(232a)의 후단에, 제 2 유량 제어부(236a)는 제 2 공급 밸브(235a)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제 2 공급부(230b)는 일단이 제 1 가스 저장부(220a)와 연결된 제 3 공급 라인(231b), 일단이 제 2 가스 저장부(220b)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취입 라인(210b)과 연결된 제 4 공급 라인(234b), 제 3 공급 라인(231b)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된 제 3 공급 밸브(232b) 및 제 3 유량 제어부(233b), 제 4 공급 라인(234b)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된 제 4 공급 밸브(235b) 및 제 4 유량 제어부(236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공급 라인(231b)의 타단은 제 4 공급 밸브(235b)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제 4 공급 라인(234b)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공급 라인(231b, 234b) 각각은 불활성 가스의 이동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 3 공급 밸브(232b)는 예컨대 모터 밸브 일 수 있으며, 제 3 유량 제어부(233b)는 제 3 공급 밸브(232b)의 후단에, 제 4 유량 제어부(236b)는 제 4 공급 밸브(235b)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 취입 장치(200)를 이용하여, 래들(L)이 터렛 장치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 및 주조 위치에 있을 때 모두 불활성 가스 예컨대, Ar 가스를 취입하여, 개재물 및 나탕 발생을 저감 또는 억제한다.
가스 취입 장치(200)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취입 라인(210a. 210b) 각각에 압력 및 유량을 조절하여 불활성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스 취입 장치(200)를 이용하여 터렛 장치 상에서 대기 및 주조 위치에 있는 각 래들(L)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불활성 가스로 Ar 가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각각에 용강이 수용된 래들(L)을 터렛 장치(100)의 한 쌍의 지지부(120) 상에 지지시킨다. 이 중 한 쌍의 지지부(120) 중 턴디시(T) 상측에 대응 위치된 래들(L)은 턴디시(T)로 용강을 공급하여 주조에 참여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120)는 턴디시(T) 외측에서 후속 차지의 주조를 위해 대기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대기중인 래들(L)에 불활성 가스 예컨대, Ar 가스를 취입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기 중인 래들에 Ar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먼저 래들(L)의 개공을 위한 제 1 유량으로 Ar 가스를 취입한다. 여기서, 래들(L) 개공이란, 가스가 래들(L)의 본체(310)또는 플러그(330)를 통과하여 래들 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래들(L)이 개공된 후에는 가스 취입 유량을 낮추더라도 래들(L) 내로 가스의 취입이 가능하다.
래들(L)의 개공은 가스 취입 개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진행되는데, 예컨대, 가스 취입 시점부터 10초 이내일 수 있고, 이 구간을 취입 초기 구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대기 중인 래들(L)에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80 LPM 이상, 200 LMP 이하(5 내지 5 Nm3/h)의 제 1 유량으로 가스를 취입하여, 래들(L)의 취입구(322)를 개공한다.
그리고, 래들(L) 개공시에, 또는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할 대, 가스 압력은 10 bar 초과, 20 bar 이하로 조절하며, 개공 이후 취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 들어 제 1 유량이 80 LPM 미만인 경우, 취입구(322)가 개공되지 않아, 래들(L) 내로 Ar 가스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취입 초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이 200 LPM을 초과하는 경우, 래들(L) 취입구(322)는 개공되나, 래들(L)의 용강 탕면의 불안정을 야기시키고, 이는 조업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나탕 발생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래들(L)이 개공되면, 용강의 개재물 및 나탕 발생 저감을 위한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이때 가스 취입 유량은 래들(L) 개공시의 제 1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이다.
실시예에서는 대기 중인 래들(L)이 개공되면, 1 LPM 이상, 20 LMP 이하의 제2 유량으로 가스를 취입하여, 용강을 미세 버블링 시키면서 개재물을 저감시키고, 나탕 발생을 억제한다.
그리고, 이때 가스의 압력은 래들(L) 개공시에 비해 낮은 압력으로 공급하는데, 실시예에서는 2 bar 이상, 10 bar 이하의 압력으로 공급한다.
한편, 래들(L) 개공 후 취입되는 제 2 유량이 1 LPM 미만인 경우, 불활성 가스 버블링에 의한 개재물 저감 효과가 낮거나,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래들(L) 개공 후 취입되는 제 2 유량이 10 LPM를 초과하는 경우, 용강 탕면에서의 나탕 발생 억제 효과가 없거나, 나탕 면적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나탕 면적이 큰 경우, 나탕을 통해 개재물이 용강으로 혼입되며, 이에 따라 청정강 제조가 어렵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의 래들(L)에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도 3의 가스 취입 장치를(200) 이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래들(L) 개공을 위해, 제 2 공급 밸브(235a)를 닫은 상태에서, 제 1 공급 밸브(예컨대 모터 밸브)(232a) 및 제 1 취입 밸브(211a)를 열면, 제 1 가스 저장부(220a)의 가스가 제 1 공급 라인(231a), 제 2 공급 라인(234a) 및 제 1 취입 라인(210a)을 통해 이동하여, 대기 위치에 있는 래들(L)의 취입구(322)로 취입된다. 이때, 모터 밸브를 열면 순간적으로 10 bar 초과, 20 bar 이하의 고압의 가스가 제 1 공급 라인(231a)을 따라 흐르며, 제 1 유량 제어부(233a)를 조절하여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가스가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대기 중인 래들(L)로 압력이 10 bar 초과, 20 bar 이하이며,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유량의 Ar 가스가 취입되어 래들(L)이 개공된다.
래들(L)이 개공되면 제 1 공급 밸브(232a)를 닫고, 제 1 유량 제어부(233a)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 2 공급 밸브(235a)를 열고, 제 2 유량 제어부(236a)를 동작시켜, 압력이 2 bar 이상, 10 bar 이하이며, 1 LPM 이상, 20 LPM 이하의 유량의 Ar 가스를 제 2 공급 라인(234a) 및 제 1 취입 라인(210a)으로 공급하여, 대기 중인 래들(L)에 Ar 가스를 취입한다. 이러한 Ar 가스의 취입에 의해 대기 중인 래들(L) 내 용강이 미세 버블링되며, 이에 따라 대기 중인 래들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탕 발생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대기 위치의 래들(L) 내 용강을 버블링 하는 동안, 주조 위치의 래들(L)은 턴디시(T)로 용강을 연속 공급하여 주조에 참여한다.
그리고, 주조 위치에서 주조가 종료되면, 터렛 장치(100)의 스윙 타워(110)를 회전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에서 버블링되고 있던 래들을 턴디시(T) 상측 즉,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래들(L)의 탑노즐(TN)과 쉬라우드 노즐(SN)을 상호 체결하고, 게이트의 동작을 통해 탑노즐(TN)과 쉬라우드 노즐(SN) 간을 연통시킨다. 이에 래들(L) 내 용강이 쉬라우드 노즐(SN)을 통해 턴디시로 공급되며, 턴디시(T)의 노즐(침지 노즐(40))은 몰드(M)로 이송되어 응고됨에 따라 소정 형상의 주편이 주조된다.
이렇게, 턴디시(T) 상측에 위치된 래들(L) 내 용강을 턴디시(T)로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할 때, 주조에 참여 중인 래들(L) 즉,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L)에 Ar 가스를 취입하여 용강을 버블링시킨다.
이를 위해, 주조 위치로 이동된 래들(L)의 취입구에 제 2 취입 라인(210b)을 연결한다. 이후, 래들(L)의 개공을 위한 제 1 유량으로 Ar 가스를 공급한다. 래들(L)의 개공은 가스 취입 개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진행되는데, 예컨대, 가스 취입 시점부터 10초 이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주조 위치의 래들(L)에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제 1 유량은 80 LPM 이상, 200 LMP 이하(5 내지 5 Nm3/h) 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래들(L)의 취입구(322)를 개공한다.
그리고, 제 1 유량으로 가스를 취입할 때, 가스 압력은 10 bar 초과, 20 bar 이하로서, 개공 이후 취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 들어 주조 위치에 있는 래들(L)로 취입되는 제 1 유량이 80 LPM 미만인 경우, 취입구(322)가 개공되지 않아, 래들(L) 내로 Ar 가스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제 1 유량이 200 LPM을 초과하는 경우, 래들(L) 취입구(322)는 개공되나, 래들(L)의 용강 탕면의 불안정을 야기시키고, 이는 조업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나탕 발생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주조 위치 래들(L)이 개공되면, 용강의 개재물 및 나탕 발생 저감을 위해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이때 가스 취입 유량은 래들(L) 개공시의 제 1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이다.
실시예에서는 주조 위치의 래들(L)이 개공되면, 개공 시의 취입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으로 가스를 취입하여, 용강을 미세 버블링 시키면서 개재물을 저감시키고, 나탕 발생을 억제한다.
그리고, 이때 가스의 압력은 래들(L) 개공시에 비해 낮은 압력으로 공급하는데, 실시예에서는 2 bar 이상, 10 bar 이하의 압력으로 공급한다.
한편, 주조 위치의 래들(L) 내 용강을 턴디시(T)로 공급을 개시하여 주조가 실시되면, 래들(L) 내 용강이 연속적으로 턴디시에 공급되므로, 주요에 참여중인 래들(L) 내 용강은 주조 시간 경과에 따라 그 높이가 감소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주조 개시부터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래들(L) 내 용강의 높이 또는 용강 탕면의 높이 감소에 따라 Ar 가스 취입 유량을 가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조 위치의 래들(L)이 개공된 후, 래들(L) 내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기 시작할 때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이때의 가스 유량을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이라고 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주조 진행에 따른 용강 높이 감소에 따라 초기 가스 취입 유량초기 가스 취입 유량(m0) 대비 낮은 유량(m1)으로 감소시키면서 가스를 취입한다. 즉, 주조 개시시에 용강 높이(이하, 최초 용강 높이(L0))를 기준으로 실시간 현재 용강 높이 또는 현시점의 용강 높이(L1) 따라,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 대비 낮은 유량(m1)으로 가스를 취입하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 수학식 1과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예컨대 도 5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76468889-pat00002
여기서, 래들 내 현시점의 용강 높이(L1)는 용강 토출 전 용강 높이 즉, 최초 용강 높이(L0)와, 용강 토출 속도를 통해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기 시작할 때, 상기 래들로 공급되는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은 1LPM 이상, 20 LPM 이하일 수 있으며, 래들(L) 내 압력은 2 bar 이상 내지 10 bar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이 20 LPM을 초과하면, 주조 개시시에 래들 내 용강에 나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주조 중 용강 높이 하락에 관계없이 일정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할 때, 개재물 저감 효과가 없거나, 나탕 발생이 억제되지 않거나, 나탕이 크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래들(L) 내 용강량 즉, 현시점의 용강 높이(L1) 대비 적은 유량으로 Ar 가스가 취입되면, 불활성 가스에 의한 개재물 저감 효과가 없으며, 이에 따라 청정강을 제조할 수 없다. 반대로, 현시점의 용강 높이(L1) 대비 큰 유량으로 Ar 가스가 취입되면, 취입되는 다량의 가스에 의해 용강 탕면에 나탕이 발생되거나, 나탕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조 위치의 래들(L)에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도 3의 가스 취입 장치(200)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주조 위치의 래들(L) 개공을 위해, 제 4 공급 밸브(235b)를 닫은 상태에서, 제 3 공급 밸브(예컨대 모터 밸브)(232b) 및 제 2 취입 밸브(211b)를 열면, 제 1 가스 저장부(220a)의 가스가 제 3 공급 라인(231b), 제 4 공급 라인(234b) 및 제 2 취입 라인(210b)을 통해 이동하여, 주조 위치에 있는 래들(L)의 취입구(322)로 취입된다. 이때, 모터 밸브를 열면 순간적으로 10 bar 초과, 20 bar 이하의 고압의 가스가 제 3 공급 라인(231b)을 따라 흐르며, 제 3 유량 제어부(233b)를 조절하여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가스가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주조 위치의 래들(L)로 압력이 10 bar 초과, 20 bar 이하이며,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의 유량의 Ar 가스가 취입되어 래들(L)이 개공된다.
래들(L)이 개공되면, 주조 위치의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T)로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 3 공급 밸브(232b)를 닫고, 제 3 유량 제어부(233b)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 4 공급 밸브(235b)를 열고, 제 4 유량 제어부(236b)를 동작시켜, 압력이 2 bar 이상, 10 bar 이하이며, 20 LPM 이하의 유량의 Ar 가스를 제 4 공급 라인(234b) 및 제 2 취입 라인(210b)으로 공급하여, 주조 위치의 래들(L)에 Ar 가스를 취입한다.
이때, 제 4 유량 제어부(236b)를 이용하여 주조 개시부터 주조 종료까지 래들(L) 내 용강의 높이 변화에 따라 래들(L)로 공급하는 가스 유량을 조절한다. 즉, 수학식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주조 개시시에 용강 높이를 기준으로 실시간 현재 용강 높이에 따라, 초기 가스 취입 유량 대비 유량을 감소시키면서 가스를 취입한다.
이러한 Ar 가스의 취입에 의해 대기 중인 래들(L) 내 용강이 미세 버블링되며, 이에 따라 대기 중인 래들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탕 발생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방법을 이용한 래들 내 용강 처리시 결과를 설명한다.
도 6은 주조 중인 래들을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버블링 시 나탕이 발생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에 도시된 래들의 경우, 1개의 취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2개의 출강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래들이 턴디시 상측에 대응 위치되면, 2개의 출강구로부터 용강을 턴디시로 배출시키면서, 1개의 플러그로 Ar 가스를 취입하였다. 이때, 도 6의 비교예의 경우, 용강 높이 하락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Ar 가스를 공급하였으며, 도 6a는 10 Nm3/h 유량으로, 도 6b는 10 Nm3/h 유량으로 취입한 결과로서, 슬래그 농도를 통해 나탕 발생 및 나탕 발생 정도가 나타낸 그림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용강 탕면의 슬래그 사이가 분리된 나탕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조에 참여중인 또는 주조 위치에 있는 래들에 Ar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적정량의 Ar 가스를 취입하였다. 이에, 나탕 발생이 종래에 비해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도 7은 각 조업 단계에서의 개재물량을 개재물 인덱스(Inclusion index)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개재물량은 용강 내 산소 총 함량으로 산출하고, 이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 7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방법에 따른 용강 처리 시에 용강 중 개재물 인덱스(Inclusion Index)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는 진공 탈가스 설비에서 탈산하는 단계, 탈산 종료 후 래들 퍼니스에서 용강을 승온시키면서 래들로 Ar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하는 단계, 용강이 수용된 래들을 터렛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대기시키는 단계, 대기 중이었던 래들을 턴디시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여 주조를 시작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때, 주조 중에 침지 노즐로 Ar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면서 턴디시 내 용강을 몰드로 공급하면서 단계를 거쳤으며, 몰드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측정하였다.
실시예는 진공 탈가스 설비에서 탈산하는 단계, 탈산 종료 후 래들 퍼니스에서 용강을 승온시키면서 래들로 Ar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하는 단계, 용강이 수용된 래들을 터렛 장치에 지지시킨 후,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래들로 Ar 가스를 취입하는 버블링 단계, 대기 위치에 있던 래들을 턴디시 상측으로 위치시키고, 턴디시로 용강을 이동시켜 주조를 시작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때, 주조 중에 침지 노즐로 Ar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면서 턴디시 내 용강을 몰드로 공급하면서 단계를 거쳤으며, 몰드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조업 중에서 각 단계에서 용강 중 개재물량을 측정하였다. 이 중 도 7의 '턴디시'는 별도의 버블링을 실시하지 않는 턴디시에서의 용강 중 개재물량이다.
그리고 각 조업 단계에서의 개재물량은 용강 중 총 산소 함량으로 산출하였다. 그리고, 개재물 인덱스(Inclusion Index)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진공 탈가스 설비에서의 용강 중 개재물량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경우, 제 1 및 제 2 비교예에 비해 개재물 인덱스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몰드 내 용강 중 개재물량을 비교하면,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중 개재물량이 30% 감소하였다. 즉, 비교예와 실시예의 경우 동일하게 래들 퍼니스를 이용한 승온 중 버블링, 침지 노즐에서 버블링을 실시하였으나, 터렛 장치에서 대기 중 및 주조 중에 래들 버블링을 실시한 실시예의 경우, 이를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개재물량이 적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주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비교예에 비해 개재물에 의한 크랙 발생이 적은 즉, 청정강을 주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의 경우, 래들(L)이 터렛 장치(100) 상에서 대기 위치에 있을 때와, 턴디시(T)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시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개재물을 저감시킬수 있고,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래들(L)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미세 버블링을 실시함으로써, 대기 중 개재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조 중 래들(L)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함으로써, 주조 중 래들(L) 내 용강 중 개재물을 저감시킬 수 이 있다.
그리고, 주조 중에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적정량으로 버블링 시킬 수 있어, 불활성 가스에 따라 나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용강량 또는 용강 높이 대비 과도하게 큰 유량으로 가스가 취입되면, 가스 취입에 따른 와류 발생으로 탕면의 슬래그 중 빈 공간이 생기는 나탕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조 중 래들(L) 내 용강 높이 감소에 따라 대응하도록 가스 취입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취입에 의한 나탕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100: 터렛 장치 L : 래들

Claims (12)

  1. 턴디시 상측 및 상기 턴디시 외측 각각에 용강이 수용된 래들을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턴디시 외측의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상기 턴디시 상측의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의 용강을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하는 과정; 및
    상기 주조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고 있는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래들의 용강을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기 래들의 하부에 마련된 출강구로 용강을 배출시켜, 상기 용강을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며,
    상기 대기 위치 및 상기 주조 위치에 배치된 래들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래들의 하부에서 상기 출강구와 별도로 마련된 취입구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상기 주조 위치 및 대기 위치 각각에 배치된 래들의 취입구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은,
    상기 주조 위치 및 대기 위치에 배치된 래들의 취입구로 제 1 유량의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주조 위치 및 대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를 개공시키는 과정; 및
    상기 주조 위치 및 대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가 개공된 후,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래들의 취입구로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주조 위치 및 대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를 개공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취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유량을 80 LPM 이상, 200 LPM 이하로 조절하고, 10 bar 초과, 20 bar 이하의 압력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주편 주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을 버블링 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키는 주편 주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주조 위치 래들 내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기 전의 최초 용강 높이(L0)에 대한 현시점 용강 높이(L1) 비율과 상기 주조 위치 래들로 상기 턴디시로 공급하기 시작할 때의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을 이용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유량(m1)으로 공급하는 주편 주조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7076468889-pat00003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초기 가스 취입 유량(m0)은 1 LPM 이상, 20 LPM 이하인 주편 주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의 취입구가 개공된 후,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래들의 취입구로 취입하여 버블링 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 주조가 개시되면,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상기 제 2 유량은 1 LPM 이상, 20 LPM 이하인 주편 주조 방법.
  9. 용강을 일시 저장하는 턴디시;
    용강이 수용된 한 쌍의 래들을 각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상기 턴디시의 상측의 주조 위치 및 상기 턴디시의 외측의 대기 위치에 교대로 위치시키는 터렛 장치;
    상기 턴디시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턴디시로부터 제공된 용강을 응고시키는 몰드;
    상기 터렛 장치 상에서,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된 래들 및 상기 주조 위치에 지지되어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고 있는 래들 각각에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도록,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 및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과 각기 연결 가능한 가스 취입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취입 장치는,
    상기 대기 위치 및 주조 위치 각각에 위치된 래들의 하부에서 상기 용강을 출강하는 출강구와 별도로 마련된 취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 및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각각의 취입구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상기 가스 취입 장치는,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의 취입구와 연결 가능한 제 1 취입 라인;
    상기 주조 위치에 지지되는 래들의 취입구와 연결 가능한 제 2 취입 라인;
    상기 제 1 취입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대기 위치 래들의 취입구를 개공시키기 위한 제 1 유량 및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작은 제 2 유량의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취입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부;
    상기 제 2 취입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주조 위치 래들의 취입구를 개공시키기 위한 제 1 유량 및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작은 유량의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취입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 2 공급부;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 각각으로 10 bar 초과, 20 bar 이하 압력의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제 1 가스 저장부;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 각각으로 상기 제 1 가스 저장부에 비해 낮은 압력의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제 2 가스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 각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취입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 1 유량은 80 LPM 이상, 200 LPM 이하인 주조 설비.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부는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상기 제 1 취입 라인으로 1 LPM 이상, 20 LPM 이하의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대기 위치의 래들을 버블링 시키는 주조 설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급부는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이 개공된 후,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이 상기 턴디시로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취입 라인으로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낮은 유량 범위에서, 상기 주조 위치의 래들 내 용강 높이 하락에 따라 상기 불활성 가스 취입 유량을 감소시키는 주조 설비.
KR1020170100453A 2017-08-08 2017-08-08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196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53A KR101969111B1 (ko) 2017-08-08 2017-08-08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JP2020507054A JP2020530399A (ja) 2017-08-08 2017-12-19 鋳造設備及び鋳造方法
CN201780094835.XA CN111107953A (zh) 2017-08-08 2017-12-19 铸造设备和铸造方法
EP17920988.7A EP3666416A4 (en) 2017-08-08 2017-12-19 CASTING EQUIPMENT AND CASTING METHOD
PCT/KR2017/015035 WO2019031661A1 (ko) 2017-08-08 2017-12-19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53A KR101969111B1 (ko) 2017-08-08 2017-08-08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45A KR20190016345A (ko) 2019-02-18
KR101969111B1 true KR101969111B1 (ko) 2019-04-15

Family

ID=6527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53A KR101969111B1 (ko) 2017-08-08 2017-08-08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66416A4 (ko)
JP (1) JP2020530399A (ko)
KR (1) KR101969111B1 (ko)
CN (1) CN111107953A (ko)
WO (1) WO2019031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915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 장치
CN111644584B (zh) * 2020-07-25 2022-04-22 莱芜钢铁集团银山型钢有限公司 一种用于连铸钢包回转台底吹氩的软吹方法及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6000A (zh) * 2010-01-13 2011-07-20 鞍钢股份有限公司 连铸机钢水罐吹氩自动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8691B (it) * 1981-10-02 1986-09-17 Innocenti Santeustacchio Spa Torretta girasiviera per impianti di colata continua
JP2962245B2 (ja) 1996-10-23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階調表示方法
KR20050006882A (ko) * 2003-07-10 2005-01-17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보온 기능을 갖는 래들 터렛
KR200332894Y1 (ko) 2003-08-27 2003-11-10 조선내화 주식회사 래들의 가스 취입용 버블링 플러그
JP2005103552A (ja) * 2003-09-26 2005-04-21 Daido Steel Co Ltd 連続鋳造方法
JP4357343B2 (ja) * 2004-04-12 2009-11-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鋼攪拌方法
CN1974795A (zh) * 2006-12-22 2007-06-06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精炼中吊转钢包方法及其精炼钢包回转台装置
CN101307374B (zh) * 2007-05-15 2010-09-0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钢液中非金属夹杂去除方法
KR20090059928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용강탕면 응고 층 용해방법
KR101018148B1 (ko) * 2008-06-04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유동 유도형 턴디쉬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CN103184315A (zh) * 2011-12-30 2013-07-03 斗山重工业株式会社 多孔塞、利用该多孔塞的高氮钢制造装置及方法
WO2013190799A1 (ja) * 2012-06-18 2013-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清浄度鋼鋳片の製造方法及びタンディッシュ
CN103302260A (zh) * 2013-06-14 2013-09-18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炼钢连铸工位钢水吹氩的方法
CN104630418B (zh) * 2015-01-15 2016-08-24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洁净度管线钢冶炼工艺
CN105215307A (zh) * 2015-11-10 2016-01-06 张侃 一种双层复合板的生产工艺及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6000A (zh) * 2010-01-13 2011-07-20 鞍钢股份有限公司 连铸机钢水罐吹氩自动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6416A1 (en) 2020-06-17
CN111107953A (zh) 2020-05-05
KR20190016345A (ko) 2019-02-18
WO2019031661A1 (ko) 2019-02-14
JP2020530399A (ja) 2020-10-22
EP3666416A4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4134A (en) Apparatus for treating metal melts with a purging gas during continuous casting
KR101324899B1 (ko) 연속 용융 도금 및 연속 어닐링의 겸용 설비
US33108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gassing and casting metals in a vacuum
KR101969111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JPH0857599A (ja) タンディッシュ内スラグ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連続鋳造装置
TWI617377B (zh) 連續鑄造方法
JP3388661B2 (ja) 溶鋼注入開始時の取鍋砂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965186B2 (ja) 連続鋳造方法
KR20140129895A (ko) 연속주조용 턴디쉬
KR101277707B1 (ko) 연주공정에서의 핀홀결함 저감 방법
JP6841386B2 (ja) 鋼の連続鋳造開始方法
JP3093890B2 (ja) 非金属介在物の混入を抑制した連続注湯方法及び装置
CN106755731B (zh) 一种双联工艺生产低碳焊丝钢的方法
JP4494550B2 (ja) 鋳型内の溶鋼流動制御方法
KR101260059B1 (ko) 불활성 가스 퍼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JPH09122852A (ja) 開閉可能な堰を備えたタンディッシュを使用した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914089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JP4884261B2 (ja) 下注造塊用の注入管
KR20180094236A (ko) 용강 이송 장치
KR20180094235A (ko) 용강 처리 방법
JPS6332539B2 (ko)
JPH08276254A (ja) 開閉可能な堰を備えたタンディッシュを使用した高清浄度鋼の連鋳方法
JPH0494850A (ja) 浸漬ノズル
JPS62279059A (ja) 浸漬ノズル
RU2460606C1 (ru) Сталькомбайн "комкоб" кобзарь-дерновског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ковшевой металлург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