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084B1 - 차량 측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측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084B1
KR101969084B1 KR1020170115285A KR20170115285A KR101969084B1 KR 101969084 B1 KR101969084 B1 KR 101969084B1 KR 1020170115285 A KR1020170115285 A KR 1020170115285A KR 20170115285 A KR20170115285 A KR 20170115285A KR 101969084 B1 KR101969084 B1 KR 10196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main body
body housing
gu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168A (ko
Inventor
정광철
Original Assignee
정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철 filed Critical 정광철
Priority to KR102017011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0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는,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상기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하우징을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측면 보호장치{GUARD DEVICE FOR AUTOMOBILE PANEL}
본 발명은 차량 측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아파트, 상가, 사무빌딩 등)에는 다수의 차량을 다열로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선을 구획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렇게 확보된 주차공간 상에는 차량들 간에 각각 좌,우로 일정 이격 거리를 갖도록 주차를 하게 된다.
이때 다열로 구획된 주차선 내에 차량을 주차한 뒤에 차량으로부터 하차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게 될 경우, 개방되는 도어의 이동 반경에 비해 주차된 차량들 간의 이격거리가 짧은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개방되는 좌,우측 차량 도어의 모서리면에 의해 앞서 주차된 이웃 차량의 측면을 긁거나 또는 찍어서 파손을 입히거나, 또는 반대로 이웃 차량에 의해 파손을 입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기존에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지며 차량 도어 일단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펀지형 완충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완충 패드는 차량의 표면에 부착되므로 교체가 번거로우며, 탈착시 부착되는 차량 표면상의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한 표면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도난에 대해서도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이 손쉽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탈착시 차량 표면의 이물질로 인한 차량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차량 및 차종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넓은 차량 면적에 대해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는,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상기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하우징을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차량 측면에 자력에 의해 탈착되도록 하는 자석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 유닛은, 일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지며, 어느 한 단부는 폴딩이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다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 유닛은, 상기 가드 유닛에 결합되어, 차량 표면에 대해 자력에 의해 탈착되고, 상기 차량 표면으로부터 상기 가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프; 및 상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내장시키는 체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는, 제1 자력에 의해 차량의 도어에 탈착되는 어댑터 하우징; 제2 자력에 의해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 표면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복수의 가드 유닛; 및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마련되고, 어댑터 하우징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 하우징은, 그 일면에 본체 하우징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함몰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자력을 제공하는 막대자석을 내장한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어댑터 하우징으로부터의 제2 자력 감지에 따라 구동하는 도킹 스위치;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걸림 고정/해제되도록 구동하는 도킹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도킹 스위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배터리;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도킹 스위치를 리모트 컨트롤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 유닛을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하는 이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측면 보호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가드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보행자 감지 센서; 및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는, 충격 감지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결합홈에 대면하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은, 그 둘레면에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클립형태로 차량 측면에 해당하는 차량 도어 엣지에 걸림고정되는 클램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그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차량 도어가 닫힐 경우, 상기 차량 도어 엣지와 그에 인접하는 차량 필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어댑터 하우징이 차량 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상기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 및 상기 고정 클립이 돌출되게 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부착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버튼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적어도 2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 버튼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던 고정 클립이 부착 버튼이 원호형으로 돌출되어서 차량의 프레임 엣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측면 보호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된 클립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패드 및 고정부에 의해 탈착이 손쉽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탈착시 차량 표면의 이물질로 인한 차량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 유닛이 다양한 차량 및 차종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넓은 차량 면적에 대해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장착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 중, 가드 유닛의 전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가 차량 측면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본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어댑터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본체 하우징과, 어탭터 하우징의 탈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가 차량 측면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가드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1 사시도이고,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장착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 중, 가드 유닛의 전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1)는, 탈착이 손쉽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탈착시 차량 표면의 이물질로 인한 차량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 하우징(10), 가드 유닛(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량 측면은 차량의 도어가 위치되는 차량의 측면부를 의미하고, 필러(Pillar)는,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루프를 받치고 있는 기둥 프레임을 의미한다. (일예로, 차량 전단부측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A필러, 차량의 앞/뒷좌석 도어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을 B필러, 차량 후단부측 글래스의 좌/우에 위치한 프레임을 C필러 라고 함.)
본체 하우징(10)은 차량 측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자석 패드(11)를 구비함에 따라 자석 패드(11)의 자력에 의해 차량 측면에 1차로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은, 적어도 어느 일면에 차량 측면으로부터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은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가드 유닛(20)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하는 이격 수단(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 수단(16)은, 가드 유닛(20)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즉 도어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가드 유닛(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격 수단(16)은 샤프트 형태로 가드 유닛(20)과 연결되도록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가드 유닛(20)을 일정 간격 이동시키는 공지의 구동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격 수단(16)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별도의 조작 수단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 가능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이격 수단(16)으로는 스프링 구조나 레버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격 수단은 본체 하우징(10)이나 가드 유닛(20)에 설치되는 보행자 감지 센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 또는 충격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보행자 감지 센서에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이격 수단(16)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서 도어측으으로 축이동함으로써 보행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석 패드(11)는 본체 하우징(10)의 일면에 결합되고, 예를 들면 고무 자석 또는 공지된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측면으로부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자성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석 패드(11)에는 차량 측면 즉, 차량의 표면상에 탈착에 따른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 표면에 접촉하는 자석 패드(11)의 일면에 실리콘과 같은 연질 재질로 실링 처리될 수 있다.
가드 유닛(20)은, 다양한 차량 및 차종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넓은 차량 면적에 대해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가드 유닛(20)은, 본체 하우징(10)에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신장/신축되어 전개됨에 따라,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가드 유닛(20)은, 일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201)에 의해 연속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가드 유닛(20)은 양방향으로 전개되는 스타일 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으로 전개되는 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방향 및 경사 방향으로 동시에 전개되는 스타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가드 유닛(20)은 가드 유닛(20)의 어느 한 단부의 폴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프레임(201)로 다단하게 연결되되, 이 복수의 프레임들(201) 각각은 힌지(202)에 의해 연결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차량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가드 유닛(20)을 유기적으로 폴딩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양한 차량의 굴곡에 대응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즉, 힌지는 축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어서 X, Y, Z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가드 유닛(20)은, 가드 유닛(20)의 일면에 결합되어, 차량 표면에 대해 자력에 의해 탈착되고, 차량 표면으로부터 상기 가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2)에 의해 차량 측면을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부재의 전체 무게가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충격분산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부(30)는, 차량 측면에 대해 본체 하우징(10)의 탈착을 손쉽고 간편하게 하면서도 본체 하우징(10)이 차량 측면으로부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부(30)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따라 본체 하우징(10)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걸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30)는, 클램프(31) 및 체결 스위치(32)를 포함한다.
클램프(31)는, 본체 하우징(10)에 내장 설치되고, 차량 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것으로, 차량 측면부 즉, 차량 도어의 엣지(외곽)면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클램프(31)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즉, 후술하는 체결 스위치(32)의 동작에 따라 본체 하우징(10)에서 내장 또는 돌출되게 구성된다.
체결 스위치(32)의 개폐 동작에 클램프(31)는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내장된다. 즉, 체결 스위치(32)를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회전시키면 클램프(31)가 연동하여 본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체결 스위치(32)와 클램프(31) 간의 유기적인 구동에 의해 클램프(31)가 차량 도어 엣지를 가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본체 하우징(10)이 차량 측면에 대해 더욱 긴밀한 걸림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가 차량 측면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 측면 보호장치(1)는 차량 주차시, 본체 하우징(10)을 차량 측면 즉, 차량 필러에 인접하는 차량 도어에 부착시킨다. 그 다음, 그다음, 본체 하우징(10)에 부착되는 가드 유닛(20)이 양쪽 방향으로 전개 된후,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전개되어서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가드 유닛(20)은 수평 가드 유닛(201)과 경사 가드 유닛(2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들 중 하나만 가질 수 있다. 수평 가드 유닛(201)과 경사 가드 유닛(202)으로 구성하는 경우, 차량의 형태(예컨대 펜더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등)가 특이한 경우에도 차량 측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측면 보호 장치(1)가 도어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은 자석 패드(11)를 구비하고 있어서, 자석 패드(11)의 자력에 의해 차량 측면에 부착되어 1차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고정부(30)의 체결 스위치(32)를 수동 조작하면, 체결 스위치(32)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31)가 연동하여 본체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다가 본체 하우징(10)의 바깥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클램프(31)를 차량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차량 도어(D)의 엣지면(외곽)에 끼워서 고정시킴에 따라 2차로 본체 하우징(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클램프(31)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져서 차량 도어(D)의 끝단부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스위치(32)의 수동 조작시, 클램프(31)의 인출/내장 동작에 의해 클램프(31)가 차량 도어(D)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측면 패널(P)에 대해 본체 하우징(10)이 더욱 긴밀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차량에 부착되는 어댑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차량에 자동으로 부착되는 방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본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어댑터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 중 본체 하우징과, 어탭터 하우징의 탈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가 차량 측면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발명의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10)는, 어댑터 하우징(40), 본체 하우징(10), 가드 유닛(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어댑터 하우징(40)은, 차량의 도어에 탈착된다. 어댑터 하우징(40)은 일면에 자석패드(11)를 구비함에 따라, 이 자석패드(11)로부터 발생하는 제1 자력에 의해 차량 도어 즉, 차량의 측면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어댑터 하우징(40)은, 결합홈(41), 칼럼(4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41)은, 본체 하우징(10)이 탈착되기 위해 어댑터 하우징(40)의 일단부에 함몰형성된 것이다.
칼럼(43)은 기둥형태로 결합홈(41)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으로, 결합홈(4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이다. 칼럼(43)은, 걸림턱(42) 및 막대자석(44)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42)은, 칼럼(43)의 끝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것이다.
막대자석(44)은, 제2 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네오디뮴과 같은 영구자석일 수 있다.
본체 하우징(10)은, 상기 제2 자력에 의해 어댑터 하우징(40)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체 하우징(10)은, 도킹 스위치(미도시) 및 클램프 홈(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위치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어댑터 하우징(40)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제2 자력 감지에 따라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클램프 홈(13)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고, 도킹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물리적으로 구동하여 어댑터 하우징(40)에 걸림 고정/해제되도록 구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클램프 홈(13)는 그 끝단부가 칼럼(43)의 걸림턱(42)에 걸림되는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본체 하우징(10)의 상기 제2 자력의 감지에 따라, 컬림턱(42)에 걸림 고정/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동은 통상 물리적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은 배터리(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4)는 도킹 스위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제어부(15)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킹 스위치를 리모트 컨트롤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51) 및 통신모듈(151)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도킹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킹 스위치를 리모트하기 위한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 뿐 아니라 별도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지문센서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은, 이격 수단(16)을 더 포함한다. 이격 수단(16)은,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어, 가드 유닛(20)을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격 수단(16)은 가드 유닛(20)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지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은 고무패킹(17)을 더 포함한다.
고무패킹(17)은, 본체 하우징(10)과 어댑터 하우징(40)의 결합시 결합홈(41)에 대면하는 본체 하우징(10)의 일면에 결합될 수가 있다. 고무패킹(17)은,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패킹(17)은, 경사면(17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71)은, 고무패킹(17)의 둘레면에 결합홈(41)의 내주면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한 것이다.
가드 유닛(20)은 본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 표면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복수로 구성된 것이다.
고정부(30)는, 어댑터 하우징(40)에 마련되고, 어댑터 하우징(40)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고정부(30)는 클립형태로 차량 측면에 해당하는 차량 도어 엣지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프(31)인 것이다.
또한, 클램프(31)는, 그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차량 도어가 닫힐 경우, 상기 차량 도어 엣지와 그에 인접하는 차량 필러 사이에 위치하며 어댑터 하우징(40)이 차량 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탈방지 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1)의 사용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장치(1)는, 차량 주차 후, 차량의 측면 즉, 차량 도어에 어댑터 하우징(40)을 자석 패드(11)로부터 발생하는 제1 자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제1 자력에 의해 어댑터 하우징(40)을 차량 도어측에 1차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0)의 클램프(31)를 차량 도어 엣지 즉, 차량의 필러에 접촉되는 도어의 끝단부에 걸어서 고정시킴에 따라, 어댑터 하우징(40)을 차량 도어측에 2차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량 도어를 닫으면 이탈 방지핀(311)이 차량 도어와 차량 필러 사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어댑터 하우징(40)이 차량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가 있다.
따라서, 어댑터 하우징(4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강제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어댑터 하우징(40)의 결합홈(41)을 통해 본체 하우징(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하우징(10)의 클램프 홈(13)가 어댑터 하우징(40)의 결합홈(41)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본체 하우징(10)과 어댑터 하우징(40)이 일정 거리만큼 근접하게 될 경우, 칼럼(43)에 내장된 막대자석(44)으로부터 발생하는 제2 자력을 어댑터 하우징(40)의 도킹 스위치가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킹 스위치는 감지된 제2 자력에 따라, 클램프 홈(13)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 구동에 따라, 클램프 홈(13)가 물리적으로 작동하여, 칼럼(43)의 걸림턱(42)에 걸림 고정될 수가 있다.
이때, 본체 하우징(10)을 어댑터 하우징(40)에 결합시, 고무패킹(17)에 의해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경사면(171)에 의해 결합위치가 안내되어 간편하고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0) 및 어댑터 하우징(40)의 결합에 따른 상기 도킹 스위치의 구동은 제어부(15)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모듈(151) 간의 네트워크 통신에 따른 제어모듈(152)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이 제어될 수가 있으며, 차량의 구동에 따른 각종 신호(일예로, 차량 시동 on/off)에 대해 연동하여 도킹 스위치 또는 가드 유닛(20)의 작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체 하우징(10)과 어댑터 하우징(40)의 결합고정이 자동으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신속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 하우징(10)이 어댑터 하우징(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드 유닛(20)을 본체 하우징(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드 유닛(20)은 본체 하우징(10)에 대해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됨에 따라,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드 유닛(20)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연장/축소될 수가 있다.
그러면 가드 유닛(20)에 의해 차량의 측면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드 유닛(20)은 가드 유닛(20)을 연결시키는 힌지(21)에 의해 차량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폴딩됨에 따라 다양한 차량의 측면에 대해 보호를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2)가 가드 유닛(20)과 차량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가드 유닛(20)을 지지하게 됨에 따라, 가드 유닛(20)의 무게를 분산시키게 되고, 따라서 외부 충격에 대한 가드 유닛(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도어측에 보다 편리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제 3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은 부착버튼(32')과 고정 클립(13-1)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클립 가이드부(13-2)가 형성되고, 클립 가이드부(13-2)에 의해 장착이 가이드된 상태에서 부착 버튼(32')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원호형으로 돌출되어서, 차량의 도어에 걸림 고정 기능을 하는 고정 클립(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부착 버튼(32')은 본체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다.
클립 가이드부(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립(13-1)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ㄷ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고정 클립(13-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가 도어 엣지에 부착이 되게 되면, 부착 버튼(32')은 자연스럽게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클립(13-1)가이드부(13-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의 본체 하우징(10)에 내장된 고정 클립(13-1)이 원호형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부의 엣지에 고정된다. 이 때, 내장된 금속 감지 센서(미도시)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즉, 금속 감지 센서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어와 밀착되는지를 확인한다. 이 금속 감지 신호와 더불어서, 상기 부착 버튼(32')의 눌림 신호가 함께 발생되면, 내장된 모터(미도시)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 클립(13-1)이 돌출되면서 나오게 된다. 이 때 부착 버튼(32')은 하우징(10)의 저면에 2개이상의 버튼(3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버튼(32') 모두에서 눌림 신호가 발생될 때 고정 클립(13-1)이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드 유닛(20)의 회절 동작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보호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가드 유닛(2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드 유닛(20)이 본체 하우징(10)에서 회전하여 수평으로 전개되는 경우, 차량의 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가드 유닛(20)을 3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1)과 프레임(201) 사이에 힌지축(202,203)이 설치된다. 연속되는 힌지축(202,203)이 설치되고, 각 힌지축(202,203)은 서로 수직인 관계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X, Y, Z 3축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탈착이 손쉽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탈착시 차량 표면의 이물질로 인한 차량 표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량 및 차종의 측면 굴곡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넓은 차량 면적에 대해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측면 보호장치. 10. 본체 하우징
11. 자석 패드
13. 클램프 홈 14. 배터리
15. 제어부 16. 이격 수단
17. 고무패킹 20. 가드 유닛
21. 힌지 22. 지지부재
30. 고정부 31. 클램프
32. 체결 스위치 40. 어댑터 하우징
41. 결합홈 42. 걸림턱
43. 칼럼 44. 막대자석
151. 통신모듈 152. 제어모듈
171. 경사면 311. 이탈방지 핀

Claims (22)

  1.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상기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프와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내장시키는 체결 스위치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차량 측면에 자력에 의해 탈착되도록 하는 자석 패드가 구비된 것인, 차량 측면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유닛은,
    일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지며, 어느 한 단부는 폴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힌지에 의해 연속 연결된 것인, 차량 측면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유닛은,
    상기 가드 유닛에 결합되어, 차량 표면에 대해 자력에 의해 탈착되고, 상기 차량 표면으로부터 상기 가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진 것인, 차량 측면 보호장치.
  7. 제1 자력에 의해 차량의 도어에 탈착되는 어댑터 하우징;
    제2 자력에 의해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 표면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복수의 가드 유닛; 및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마련되고, 어댑터 하우징을 차량 측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하우징은,
    그 일면에 본체 하우징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함몰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자력을 제공하는 막대자석을 내장한 칼럼;을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어댑터 하우징으로부터의 제2 자력 감지에 따라 구동하는 도킹 스위치;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걸림 고정/해제되도록 구동하는 클램프 홈;을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도킹 스위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배터리;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도킹 스위치를 리모트 컨트롤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 유닛을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하는 이격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가드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보행자 감지 센서; 및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는,
    충격 감지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결합홈에 대면하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그 둘레면에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인, 차량 측면 보호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스마트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클립형태로 차량 측면에 해당하는 차량 도어 엣지에 걸림고정되는 클램프인 것인, 차량 측면 보호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그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차량 도어가 닫힐 경우, 상기 차량 도어 엣지와 그에 인접하는 차량 필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어댑터 하우징이 차량 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핀;을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19. 차량 측면에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전개되어, 상기 차량 측면을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가드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차량 측면으로부터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 및
    상기 고정 클립이 돌출되게 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부착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버튼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적어도 2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차량 측면 보호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버튼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던 고정 클립이 부착 버튼이 원호형으로 돌출되어서 차량의 프레임 엣지에 고정되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된 클립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측면 보호 장치.
KR1020170115285A 2017-09-08 2017-09-08 차량 측면 보호장치 KR10196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85A KR101969084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 측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85A KR101969084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 측면 보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93A Division KR101979798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 측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8A KR20190028168A (ko) 2019-03-18
KR101969084B1 true KR101969084B1 (ko) 2019-04-15

Family

ID=6594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85A KR101969084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 측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0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6435B1 (en) * 2002-01-31 2004-05-18 Phouphanomketh Ditthavong Ding and dent prevention system
US6971693B1 (en) * 2004-04-12 2005-12-06 Richardson Rodney L Removable vehicle door protector
KR100682117B1 (ko) * 2005-11-04 2007-02-12 주식회사 세정실업 차량의 측면 보호용 가드
KR20110136581A (ko) * 2010-06-15 2011-12-21 정종열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8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798B1 (ko) 차량 측면 보호장치
US20160280156A1 (en) License plate frame vehicle protector
KR101626720B1 (ko)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KR101590924B1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KR101371019B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969084B1 (ko) 차량 측면 보호장치
KR101629606B1 (ko)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US11458916B2 (en) Sid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US6719339B1 (en)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20220112970A (ko) 차량용 타프 거치대
KR101662599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차량 필러용 복원클램핑 장치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JP3125636U (ja) 自動車の車体損傷防止保護用具
KR101962295B1 (ko) 차량 측면 보호구
KR20030029298A (ko) 다기능 차량용 커버장치
KR200472353Y1 (ko) 차량 도어 보호 장치
KR20120004172U (ko) 원터치 차량덮개
KR102385343B1 (ko) 차량용 자석부착식 햇빛차단장치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CN211406568U (zh) 一种手持式gps
CN107139707B (zh) 车轮保护装置及车辆
KR101261557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장착장치
KR101734248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KR20080006334A (ko) 자동차 표면의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