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322B1 -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322B1
KR101968322B1 KR1020130023829A KR20130023829A KR101968322B1 KR 101968322 B1 KR101968322 B1 KR 101968322B1 KR 1020130023829 A KR1020130023829 A KR 1020130023829A KR 20130023829 A KR20130023829 A KR 20130023829A KR 101968322 B1 KR101968322 B1 KR 10196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lubricating oil
composition
mass
viscosity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388A (ko
Inventor
안도 히로키
모리쿠니 나카자토
Original Assignee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0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4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6Mixtures of thickener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2Specified values of viscosity or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10M2203/1025Aliphat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6Paraffin waxes; Petrolatum, e.g. slack wax
    • C10M2205/163Paraffin waxes; Petrolatum, e.g. slack wax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7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 C10M2205/173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8Overbase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8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2Sulfur-containing compounds obtained by sulfurisation with sulfur 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 C10M2219/022Sulfur-containing compounds obtained by sulfurisation with sulfur 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of hydrocarbons, e.g. 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4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sulfur-to-oxygen bonds, i.e. sulfones, sulfoxides
    • C10M2219/046Overbasedsulfonic aci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5Metal containing 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12Groups 6 or 16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54Fuel econom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68Shear st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4Noack Volat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2Diesel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5Gasoline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높은 연료 효율성과 높은 마모 저항성을 갖고, 특히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 또는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자동차의 윤활에 적합한 윤활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5W20의 SAE 점도 등급을 갖고, 기유 및 미리 정해진 양의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며, 첨가제 성분은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 알칼리 토 금속 함유 세제, 인 함유 항마모제, 항산화제 및 점도지수 향상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점도지수는 140 내지 230이고, 150℃에서의 고전단 점도는 1.9 mPa·s 이상이고, NOACK 증발 손실은 13% 이하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automibile engine lubrication}
본 발명은 우수한 연료 효율 및 낮은 점도의 자동차 엔진용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연료 효율성, 낮은 점도의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이면서도 높은 마모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 또는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윤활에 특히 적합한 저점도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연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솔린 엔진 자동차 또는 디젤 엔진 자동차의 엔진을 윤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유 조성물(엔진 오일)로서 우수한 연료 효율 및 낮은 점도의 엔진 오일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5W20의 SAE 점도 등급 및 2.6 mPa·s의 고온 고전단 점도(전단 점도 또는 전단율이 106 s-1일때 150℃에서 측정된 값)를 갖는 엔진 오일이 이미 4축 구동 자동차에서 가솔린 엔진용 연료 효율성 윤활유 조성물로서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중에 있다.
그러나, 모터사이클용 4 행정 가솔린 엔진을 수단으로 하여, 엔진 오일이 전송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엔진 오일의 점도 저하에 따라 전송 기어와 같은 에너지 전송 장치의 마모가 증가하는(마모 저항성이 감소하는) 기회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JASO T903-2006은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용 엔진 오일이 2.9 mPa·s 이상의 고온, 고전단(106 s-1) 점도를 갖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고온 고전단 점도는 오늘날 알려진 SAE5W20 엔진 오일에서도 기대하기 힘들며,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엔진 오일들은 모두 SAEI 점도 등급 10W30, 5W30 또는 0W30의 저점도 엔진오일들이다.
한편, 엔진 오일의 마모 저항성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디젤 특이적 필터를 갖는 디젤 엔진 자동차들의 윤활을 위해 적합한 엔진 오일에 대한 유럽 표준인 ACEA C1-08 및 C2-08은 엔진 오일의 증발 손실을 한정하기 위하여 엔진오일의 고온 고전단단(106 s-1) 점도의 하한을 2.9 mPa·s으로 설정하고, NOACK 증발 손실의 상한을 13%로 설정한다.
JP 6-306384(코카이)는 기설정된 양의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이 3 내지 5 cSt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 135 이상의 점도 지수 및 90% 이상의 파라핀 대 총 탄소 비율(%Cp)를 갖는 미네랄 오일 기유에 첨가되는 내연 엔진용 연료 효율 윤활유를 기술하고 있다.
JP 2003-505533(코효)는 15 중량% 이하의 NOACK 휘발성을 갖는 몰리브덴 첨가제 부재의, 연료 효율성 저 휘발성 윤활유 조성물로서, 기설정된 양의 칼슘 세제 및 기설정된 양의 오일 용해성 유기 마모 향상제를 포함할 뿐만아니라, 적어도 50 중량%의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기유로서, 4.0 내지 5.5 mm2/s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를 갖고; 95 중량% 이상의 포화 생성물 및 25 중량% 이하의 나프텐을 포함하며; 적어도 120의 점도 지수를 갖고; 15.5 중량% 이하의 NOACK 휘발성을 갖는 윤활유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JP 2000-87070(코카이)은 3 내지 10 mm2/s의 100℃에서의 동적점도 및 120 이상의 점도 지수를 갖는 탄화수소 윤활유 기유, 또는 적어도 15 질량%의 이와 같은 기유,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alkyl dithiophosphate), 금속 세제, 무회분 분산제, 마모 조절제 및 이와 같은 조성물의 100℃에서의 동적점도를 9.3 내지 16.5 mm2/s로 유도하는 점도지수 향상제를 포함하는 혼합 기유를 포함하는, 오일 소비 저감 효과를 갖는 우수한 연료 효율성의 모터사이클 4 행정 엔진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JP 2000-87070(코카이)은 10W30 또는 10W40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모터사이클 4 행정 엔진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연료 효율성과 낮은 점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마모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 또는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윤활에 특히 적합한 저점도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엔진 구조를 향상시키는 것은 자동차 엔진의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물론 중요하지만, 윤활유의 점도를 낮추는 것이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5W20의 SAE 점도 등급 및 2.6 mPa·s의 고온, 고전단(106 s-1) 점도를 갖는 엔진 오일이 4축 구동 자동차를 위한 연료 효율성 가솔린 엔진 오일로서 이미 사용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W20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4축 구동 자동차용 연료 효율성 가솔린 엔진 오일이 2.6 mPa·s 만큼 높은 고온, 고전단 점도를 갖는다는 것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전송 시스템의 윤활용 엔진 오일을 사용하는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의 엔진오일로 사용시에 문제가 있으며, 마모 저항성이 불충분한 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까지 시장에 공급되어 왔던 겉과 같이 주로 이소파라핀인 기유를 사용함으로써 5W20의 SAE 점도 등급 및 140 내지 230 범위의 점도지수, 2.9 mPa·s 이상의 150℃에서의 고전단(106 s-1) 점도, 13% 이하의 NOACK 증발 손실, 및 우수한 마모 저항성을 가지며, 점도지수가 대략 133 내지 160 범위내에 존재하는 초고점도 지수를 갖고,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랙왁스 또는 합성 왁스의 수소첨가반응 및 이성질화 반응 및 이후의 증류 및 탈랍 처리, 및 기유에 첨가된 첨가제 성분의 조합과 각 윤활 성분의 양을 최적화하여 수득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5W20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기유(Base oil)와 하기의 첨가제 성분을 함유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에 있어서,
점도 지수는 140 내지 230 범위이고, 150℃에서의 고전단 점도는 2.9 mPa·s 이상이며, NOACK 증발 손실은 13% 이하이며,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첨가제 성분으로서
a) 질소 함량 기준으로 0.01 내지 0.3 질량%의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
b) 알칼라인 토금속 함량 기준으로 0.08 내지 0.4 질량%의 알칼라인 토금속 함유 세제,
c) 인 함량 기준으로 0.05 내지 0.12 중량%의 인 함유 항마모제,
d) 아민 화합물, 페놀 화합물 및 몰리브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항산화제 0.1 내지 7 질량%,
e)점도 지수 향상제 0.5 내지 20 질량%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각 첨가제 성분의 양은 윤활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질량%로 표시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5W20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윤활유 조성물" 문구는 미국 석유 연구소의 "엔진오일용 SAE 점도 등급"(2007년 개정판)에 기술된 "5W20"의 점도 특성을 만족시키는 윤활유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고전단 점도" 문구는 전단 스피드 또는 전단 속도가 106s- 1일때 측정된 값(전단 점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 또는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의 윤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은 5W20의 낮은 SAE 점도 등급을 갖는 반면에 2.9 mPa·s 이상의 고온, 고전단 점도를 갖고 있으며, 우수한 연료 효율성 및 마모 저항성을 나타내는 윤활유 조성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 또는 배출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의 윤활에 특히 적합한 우수한 연료 효율성, 마모 저항성 윤활유이다.
하기 내용은 본 발명의 자동자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의 바람직한 예들이다.
(1) 100℃에서의 동적 점도는 8.5 mm2/s 이상 내지 9.3 mm2/s 이하의 범위이다.
(2) 상기 기유는 기유 성분으로 2 내지 9 mm2/s(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 mm2/s,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 mm2/s)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와 133 내지 160의 점도 지수를 갖는다.
(3) 상기 기유는 2 내지 9 mm2/s(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 mm2/s,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 mm2/s)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와 133 내지 160의 점도 지수를 갖는 미네랄 오일이다.
(4) 상기 기유는 피셔-트롭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슬랙 왁스 또는 합성 왁스의 수소첨가반응 및 이성질화 반응 및 이후의 증류 및 탈납 처리에 의해 수득된 133 내지 160의 점도지수를 갖는 기유이다.
(5) 상기 윤활유는 상이한 점도를 갖지만 둘 모두 130 이상의 점도 지수를 갖는 2개 이상의 기유 성분을 포함한다.
(6) 상기 점도 지수 향상제는 30 이하의 전단 안정성 지수(SSI, ASTM D6022에 의해 규정됨)를 갖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이다.
(7) 첨가제 성분으로서 유기 황 화합물이 추가로 첨가된다.
(8) 상기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는 bis 구조를 갖는 숙신이미드 화합물이다.
(9) 상기 알칼라인 토 금속 함유 성분은 퍼베이직 칼슘 설포네이트(perbasic calcium sulfonate) 및 퍼베이직 칼슘 페네이트(perbasic calcium phe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퍼베이직 칼슘 함유 화합물이다.
(10) 상기 인 함유 항마모제는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dithiophosphate) 및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phosphate)에서 선택되는 인 함유 화합물이다.
(11) 상기 점도지수 향상제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점도 지수 향상제이다.
(12)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을 윤활하기 위해 사용된다.
(13)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자동차의 엔진을 윤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기유 및 첨가제 성분들은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기유( base oil )
경제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의 기유는 바람직하게 미네랄 오일이다. 이는 또한 상대적으로 다량(적어도 50 질량%)의 미네랄 오일과 상대적으로 소량(50 질량% 미만)의 합성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유는 주로 이소파라핀이고 100℃에서 2 내지 9 mm2/s의 동적 점도, 95 질량% 이상(특히 98 질량% 이상)의 포화 성분 함량, 및 133 이상의 점도 지수(특히 135 이상, 나아가 145 이상)를 갖는다. 상기한 특성 및 조성을 갖는 기유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둘 이상 종류(type)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특성 및 조성을 갖는 기유와 다른 특성 및 조성을 갖는 상대적으로 소량의 기유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혼합 후 상기 기유 조성물은 여전히 상기 언급된 특성과 조성을 가질 것이다.
상기 언급된 특성과 조성을 갖는 기유는 바람직하게 16% 이하(특히 15% 이하, 나아가 13% 이하)의 증발 손실(ASTM D5800)을 갖는다. 상기 기유의 증발 손실이 크면, 고온 하에서 이 기유(윤활유 조성물)를 사용하는 엔진 오일의 장기 사용시 오일 소비가 증가하고, 점도 상승이 증가한다. 이는 연료 효율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 언급된 특성 및 조성을 나타내는 기유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상기 기유가 미네랄 오일일 때, 주요 성분이 이소파라핀이고, 기유를 매끄럽게하는(lubricating) 미네랄 오일을 생산하는 중 탈납의 부산물인 슬랙 왁스, 또는 출발물질로서 천연 가스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합성 왁스(피셔 트롭쉬 방법에 의해)를 수소첨가 반응과 이성질화 반응 및 이후에 증류 및 탈납하여 수득되는 고점도 지수 기유(133 내지 160의 점도 지수를 갖는 기유)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고점도 지수 기유는 10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동적 점도를 갖지만, 우수한 저온 점도 특성을 가져, 감소된 증발 손실을 갖고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의 기유로 이상적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미네랄 오일은 고점도 지수 기유이고 합성 오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합성 오일은 상기 언급된 특성 및 조성을 갖는다. 상기 바람직한 합성 오일은 여러가지 전형적 합성 오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그러한 합성 오일의 예들은 다양한 에스테르, 알킬벤젠, 및 폴리알파올레핀(PAO)이다. 특히 폴리-알파-올레핀들(PAOs)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무회분 ( ash - free ) 분산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질소 함량 기준으로 0.01 내지 0.3 질량% 범위 량의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성분 (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4,500 내지 20,000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질량-평균 분자량"은 표준 물질로서 폴리스티렌으로 GPC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분자량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의 전형적 예들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유래된 알케닐 및 알킬 석신이미드(succinimides) 및 이 석신이미드의 유도체들이다. 첨가되는 량은 윤활유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반을 둔 질소 함량 기준으로 0.01 내지 0.3 질량%의 범위이다. 전형적인 석신이미드는 알케닐 또는 알킬 그룹들로 치환되고 고분자량을 갖는 석시닉 앤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와 분자 당 평균 4 내지 10(바람직하게 5 내지 7)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알케닐 또는 알킬 그룹들로 치환되고 고분자량을 갖는 석신이미드 앤하이드라이드는 바람직하게 약 9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 폴리부텐이다.
많은 경우, 폴리부텐과 말레익 앤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를 반응시켜 폴리부테닐 석신이미드를 얻는 단계 동안 염소에 의한 염소화반응(chlorination)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반응성은 좋으나, 석신이미드 최종 산물 내에 다량의 염소(예를 들면, 약 2,000 ppm)가 남는다. 반면에, 염소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응(thermal reaction)이 적용되면, 최종 산물에 함유되는 잔여 염소는 매우 낮은 레벨(예를 들면, 30 ppm 이하)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 폴리부텐(구조상 주로 β-올레핀)과 비교하여 고반응성을 갖는 폴리부텐(적어도 약 50%는 메틸비닐리덴(methylvinylidene) 구조)이 사용되면, 열반응 방법이라도, 반응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분산제 내 미반응(unreacted) 폴리부텐 양은 반응성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그러므로, 고효율 성분(석신이미드) 농도를 갖는 분산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석신이미드가 고반응성 부텐을 사용하여 열반응에 의해 폴리부테닐 석신이미드 앤하이드라이드를 얻고 이후 이 폴리부테닐 석시닉 앤하이드라이드를 평균 4 내지 10 질소 원자(하나의 분자 당)를 갖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이 석신이미드는 붕산 또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알킬 페놀, 고리형 카보네이트, 유기산 등과 추가로 반응되어 소위 변형된 석신이미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붕산 또는 붕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얻어진 붕산 함유 알케닐(또는 알킬) 석신이미드가 열 및 산화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석신이미드의 예들은 분자 당 이미드 구조의 수에 따라 모노(mono)-타입, 비스(bis)-타입, 및 폴리(poly)-타입이지만, 비스-타입 또는 폴리-타입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석신이미드로서 바람직하다.
다른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의 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예들 들어, 1,000 내지 15,000의 분자량을 갖는) 유래 중합 석신이미드 분산제 및 알케닐 벤질아민 무회분 분산제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따르면, 질소 함유 분산형 점도 지수 향상제(improver)가 또한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90,000 이상의 질량-평균 분자량(GPC 분석에 의해 폴리스티렌 분자량 기준으로)을 갖는 질소 함유 올레핀 중합체 또는 질소 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가 질소 함유 분산형 점도 지수 향상제로서 사용된다. 열 안정성을 고려하여, 전자의 질소 함유 올레핀 공중합체가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 및/또는 질소 함유 분산형 점도 지수 향상제를 함유한다. 이들은 또한 알케닐 석시닉 엑시드 에스터(alkenyl succinic acid ester) 무회분 분산제와 같은 또다른 무회분 분산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금속 함유 세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금속 함유 세제로서, 0.08 내지 0.4 질량% 범위 양의 알칼라인 토금속 함유 세제(성분 (b))를 함유한다. 알칼라인 토금속의 예로는 칼슘, 바륨 및 마그네슘이 있으나, 칼슘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바람직하게 알칼라인 토금속의 설포네이트(sulfonate) 또는 페네이트(phenate)가 금속 함유 세제로서 사용된다. 알칼라인 토금속의 설포네이트 및 알칼라인 토금속의 페네이트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 함유 세제와 알칼라인 토금속(바람직하게 칼슘)의 알킬 살리실레이트(alkyl salicylate) 및/또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alkyl carboxylate)와 같은 금속 함유 세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칼슘 설포네이트의 예는 150 내지 500 mgKOH/g의 총 염기값(base value)을 갖는 퍼베이직 칼슘 설포네이트(perbasic calcium sulfonate)와 5 내지 60 mgKOH/g의 총 염기값을 갖는 저염기 칼슘 설포네이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퍼베이직 칼슘 설포네이트는 10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그룹들(보통 퍼베이직 전환 정도는 5 내지 25 범위이다)을 갖는 퍼베이직 알킬화 칼슘 벤젠 설포네이트 또는 알킬화 칼슘 톨루엔 설포네이트이다. 반면에, 바람직하게 저염기 칼슘 설포네이트는 10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그룹들을 갖는 알킬화 칼슘 벤젠 설포네이트 또는 알킬화 칼슘 톨루엔 설포네이트이고 보통 사실상 퍼베이직 전환(바람직하게 퍼베이직 전환 정도는 0.1 내지 1.5 범위이다)이 없는 거의 중성염의 하나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퍼베이직 칼슘 설포네이트와 저염기 칼슘 설포네이트의 조합이 사용된다. 상기 설포네이트는 상기 기재된 대로 합성 설포네이트일 수 있고, 또는 미네랄 오일의 윤활유 분획을 칼슘염으로 술폰화하여 얻어지는 석유(petroleum) 설포네이트일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에 기재된 것과 같이 석유 저염기 칼슘 설포네이트/퍼베이직 칼슘 설포네이트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120 내지 350 mgKOH/g의 총 염기값을 갖는 퍼베이직 황화 칼슘 페네이트(perbasic sulfurized calcium phenate)가 칼슘 페네이트로 알려져 있다. 10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그룹들을 갖는 퍼베이직 황화 알킬 페놀 칼슘이 바람직하다.
인 함유 항마모제( phosphorus - containing anti - wear agent )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인이 0.05 - 0.12 질량% 범위 내로 함유된 인 함유 항마모제(구성성분 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인 함유 항마모제는 윤활유 첨가제로 알려진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dithiophosphate),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모노티오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monothiophosphate), 및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phosphat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항산화 및 항마모성을 갖는 다기능성 물질이다.
1차 또는 2차 알킬 그룹형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primary or secondary alkyl group-type zinc dialkyl dithiophosphate)는 주로 징크 디하이드로카빌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hydrocarbyl dithiophosphate)로 사용된다. C3 -18 2차 알콜로부터 유래한 2차 알킬 그룹을 포함하는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alkyl dithiophosphate)는 항마모성이 우수하다. 이에 반해, C3 -18 1차 알콜로부터 유래한 1차 알킬 그룹을 포함하는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alkyl dithiophosphate)는 상대적으로 내열성(heat resistance) 및 마모감소성(wear-reducing activity)이 우수하다. 또한, 2차 알킬 그룹형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secondary alkyl group-type zinc dialkyl dithiophosphate) 및 1차 알킬 그룹형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primary alkyl group-type zinc dialkyl dithiophosphate)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및 2차 알콜의 혼합 알콜로부터 유래하는 1차 및 2차 알킬 그룹의 혼합형 징크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데실 페놀(dodecyl phenol)로부터 유래한 징크 디알킬아릴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alkylaryl dithiophosphate)와 같은 징크 디알킬아릴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alkylaryl dithiophosphate) 역시 본 발명의 인 함유 항마모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 함유 항마모제로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acid ester), 아인산 에스테르(phosphorus acid ester), 또는 티오인산 에스테르(thiophosphoric acid ester)가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추가로, 0.1 - 7 질량%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구성성분 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페놀 화합물(페놀 항산화제), 아민 화합물(아민 항산화제), 및 몰리브덴(molybdenum) 화합물(몰리브덴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장애 구조의 페놀 화합물(hindered phenol compound)이 페놀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디아릴 아민 화합물(diaryl amine compound)이 아민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입체장애 구조의 페놀 항산화제 및 디아릴 아민 항산화제는 모두 고온 세정력(high-temperature detergency)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디아릴 아민 항산화제는 질소로부터 유래한 염기 가(base value)를 가지며, 고온 세정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반면에, 입체장애 구조의 페놀 항산화제는 NOx 에 의한 산화분해(oxidative degradation)를 막는데 효과적이다.
입체장애 구조의 페놀 항산화제들의 예로는, 2,6-디-t-부틸-p-크레졸 (2,6-di-t-butyl-p-cresol),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methylenebis(2,6-di-t-butylphenol)), 4,4'-메틸렌비스(6-t-부틸-o-크레졸) (4,4'-methylenebis(6-t-butyl-o-cresol)), 4,4'-이소로필리덴비스(2,6-디-t-부틸페놀) (4,4'-isoropylidenebis(2,6-di-t-butylphenol)), 4,4'-비스(2,6-디-t-부틸페놀) (4,4'-bis(2,6-di-t-butylphenol)),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methylenebis(4-methyl-6-t-butylphenol)), 4,4'-티오비스(2-메틸-6-t-부틸페놀) (4,4'-thiobis(2-methyl-6-t-butylphenol)),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thiodiethylenebis[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옥틸 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octyl 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옥타데실 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 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및 옥틸 3-(5-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octyl 3-(5-t-butyl-4-hydroxy-3-methylphenyl)propionate)등이 있다.
아민 항산화제들의 예로는 C4 -9 혼합 알킬 디페닐 아민(C4 -9 mixed alkyl diphenyl amines), p,p'-디옥틸디페닐아민(p,p'-dioctyldiphenylamine), 페닐-알파-나프틸아민(phenyl-α-naphthylamine), 및 알킬레이티드-페닐-알파-나프틸아민(alkylated-phenyl-α-naphthylamine) 등이 있다.
몰리브덴 항산화제의 예로는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oxymolybdenum complexes)들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의 예는 숙신이미드(succinimide)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 및 카본아마이드(carbonamide)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이다. 상기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는, 예컨대, 산성 몰리브덴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염기성 질소 화합물과 120℃ 이하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예로는 숙신이미드(succinimide), 카본아마이드(carbonamide), 하이드로카본 모노아민(hydrocarbon monoamine), 하이드로카본 폴리아민(hydrocarbon polyamine), 만니치 하이드로클로릭 액시드(Mannich hydrochloric acid), 포스폰아마이드(phosphonamide), 티오포스폰아마이드(thiophosphonamide), 포스포릭 아마이드(phosphoric amide), 분산형 점도지수 향상제(dispersion-type viscosity index-improving agent) (또는 그것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와 다른 몰리브덴 함유 화합물을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를 대신하여 또는 그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함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몰리브덴 함유 화합물들의 예로는 황화 옥시몰리브덴 디티오카바메이트(sulfurized oxymolybdenum dithiocarbamates) 및 황화 옥시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sulfurized oxymolybdenum dithiophosphates)가 있다.
상기 페놀 항산화제 (특히, 입체장애 구조의 페놀 항산화제들), 아민 항산화제 (특히, 디아릴 아민 항산화제), 및 몰리브덴 항산화제 (특히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옥시몰리브덴 복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 간의 임의적 조합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지용성 항산화제와의 조합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점도지수 향상제( viscosity index - improving agent )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추가로 점도지수 향상제(viscosity index-improving agent) (구성성분 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지수 향상제는 0.5 - 20 질량%의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도지수 향상제의 예로는,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polyalkylmethacrylate)와 같은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점도지수 향상제,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copolyme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및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과 같은 올레핀 공중합체(olefin copolymers)를 기초로 하는 점도지수 향상제가 있다. 상기 점도지수 향상제들 중에서, 올레핀 공중합체 점도지수 향상제는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30 이하의 전단 안정성 지수(shear stability index, SSI), 특히 25 이하의 전단 안정성 지수를 가진 것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polymer) 화합물에 분산 특성(dispersion performance)을 부여하는 분산형 점도지수 향상제(dispersion-type viscosity index-improving agent) 또는 다기능성 점도지수 향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도지수 향상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어느 둘 이상의 점도지수 향상제들의 임의적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황 화합물( organic sulfur compound )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추가로 마모 저항성(wear resistance) 및 산화 저항성(oxidation resistance)이 우수한 유기 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황 화합물의 예로는 황화 올레핀(sulfurized olefins), 황화 에스테르(sulfurized esters), 황화 오일 및 지방(sulfurized oils and fats), 폴리설파이드 화합물(polysulfide compound), 다이머캡토티아디아졸(dimercaptothiadiazoles), 디티오포스포릭 액시드 에스테르(dithiophosphoric acid esters), 및 디티오카바메이트(dithiocarbamates) 등이 있다.
기타 첨가제( other additives )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알칼리 메탈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alkali metal borate hydrate)를 첨가하면 고온 세정력(high-temperature detergency)이 향상되며, 염기 가(base value)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메탈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는 5 중량% 이하, 특히 0.01 - 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메탈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는 종종 회분(ash) 성분, 황 성분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칼리 메탈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다양한 보조 첨가제(auxiliary additives)를 소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첨가제들의 예로는, 항산화 또는 항마모제로 기능하는 징크 디티오카바메이트 (zinc dithiocarbamate) 및 메틸렌 비스(디부틸 디티오카바메이트) (methylene bis(dibutyl dithiocarbamate)), 지용성 구리 화합물 (oil-soluble copper compounds), 및 올릴 아마이드(oleyl amide)와 같은 유기 아마이드 화합물(organic amide compounds) 등이 있다. 또한, 금속 불활성화제(metal deactivators)로 기능하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화합물 및 티아디아졸(thiadiazole)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녹방지제(anti-rust agents) 및 항유화제(demulsifier)로 기능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s), 및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프로필렌 옥사이드(propylene oxide)의 공중합체(copolymers)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olyoxyalkylene nonionic surfactants)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모조절제(wear adjusters)로 기능하는 다양한 아마이드(amides), 폴리하이드릭 알콜 알리파틱 액시드 에스테르(polyhydric alcohol aliphatic acid esters), 또는 그 유도체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포제(antifoaming agent) 및 유동점 강하제(pour point depressants)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첨가제들은 각각 윤활유 조성물의 3 중량% 이하, 특히 0.001 - 3 중량%의 범위 내로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작업 실시예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 실시예 1 및 2, 비교 실시예, 및 참고 실시예]
(1) 윤활유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SAE 점도 등급: 5W20, 고온, 고전단 점도: 2.9mPa·s 이상) 하기 기유와 첨가제를(하기 양으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실시예 1 및 2). 게다가, 5W20의 SAE 점도 등급(고온, 고전단 점착성: 2.6 mPa·s)을 가지는 윤활유 조성물은 비교 실시예로서 제조되었고, 10W30의 SAE 점도 등급을(고온, 고전단 점착성: 2.9 mPa·s 또는 그 이상) 가지는 윤활유 조성물은 참고 실시예로서 제조되었다.
(2) 기유
기유 1: 수소첨가반응, 이성질화, 분획화, 이후 개시 물질(starting material)로서 슬랙 왁스를 사용하여 탈랍하여 수득된 미네랄 오일 기유 a(점도지수 137, 100℃에서 동적 점도 4.1㎟/s, NOACK 증발손실 13.6%를 가짐)와 수소첨가반응, 이성질화, 분획화 이후 개시 물질(starting material)로서 슬랙 왁스를 사용하여 탈랍하여 수득된 미네랄 오일 기유 b(점도지수 148, 100℃에서 동적 점도 6.6㎟/s, NOACK 증발손실 5.0%)가 60:40의 중량비(기유 a : 기유 b)로 혼합된 혼합물(점도지수 142, 100℃에서 동적 점도 4.9㎟/s, NOACK 증발손실 10.1%을 가짐).
기유 2: 수소화분해된 미네랄 오일(점도지수 128, 100℃에서 동적 점도 4.2㎟/s, NOACK 증발손실 14.2%을 가짐).
기유 3: 수소화분해된 미네랄 오일 a(점도지수 122, 100℃에서 동적 점도 5.6㎟/s, NOACK 증발손실 12.4%을 가짐)와 수소화분해된 미네랄 오일 b(점도지수 99, 100℃에서 동적점도 10.7㎟/s, NOACK 증발손실 6.0%을 가짐)를 73:27의 중량비로(미네랄 오일 a: 미네랄 오일 b) 혼합된 혼합물(점도지수 115, 100℃에서 동적 점도 6.7㎟/s, NOACK 증발손실 10.8%을 가짐).
주석: 하기 첨가제의 총량과 함께 윤활유의 양은 총 100 질량%이 된다.
(3) 첨가제
[질소-함유 무회분 분산제]
1) 무회분 분산제 1 (질량-평균 분자량: 5,100(GPC 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기준; 하기는 동일함), 질소 함량: 1.95 질량%, 붕소 함량: 0.63 질량%, 염소 함량: 질량의 5ppm 이하; 약 1,300의 수-평균 분자량(적어도 약 50%가 메틸 비닐리덴 구조를 가짐)를 가지는 높은 반응성 폴리이소부텐과 말레산 무수물을 열반응을 통해 반응시키고, 생성된 폴리이소부테닐 숙신 무수물을 6.5의 질소원자 평균수(한 분자당)를 가진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반응시켜 bis 형태의 숙신이미드를 수득하고, 이후 이 bis 형태의 숙신이미드를 붕산과 반응시켜 수득됨.)
첨가량: 0.06 질량%(질소 기준)
2) 무회분 분산제 2(질량-평균 분자량: 12,800, 질소 함량: 1.0 질량%, 염소 함량: 질량의 30ppm; 수- 평균 분자량이 약 2,300(적어도 약 50%가 메틸 비닐리덴 구조를 가짐)를 가지는 높은 반응성 폴리이소부텐과 말레산 무수물을 열반응을 통해 반응시키고, 생성된 폴리이소부테닐 숙신 무수물을 6.5의 질소원자 평균수(한 분자당)를 가진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반응시켜 bis 형태의 숙신이미드를 수득하고, 이후 이 bis 형태의 숙신이미드를 에틸렌 탄산염과 반응시켜 수득됨.)
첨가량: 0.01 질량%(질소 기준)
[알칼라인 토금속 함유 세제]
1) 과염기(perbasic) 칼슘 석탄산염(C12 가지형의 알킬기를 가진 황화된 석탄산염, 칼슘: 9.6 질량%, 황: 3.4 질량%, TBN: 264 ㎎KOH/g)
첨가량: 0.15 질량%(칼슘 기준)
2) 과염기(perbasic) 칼슘 술폰산염(C20 -24 알킬기를 가진 알킬 톨루엔 술폰산염, 칼슘: 16.0 질량%, 황: 1.6 질량%, TBN: 425 ㎎KOH/g, 과염기(perbasic) 전환 지수:19)
첨가량: 0.07 질량%(칼슘 기준)
3) 저염기(low-basic) 칼슘 술폰산염(C14 -24 알킬기를 가진 알킬 벤젠 술폰산염, 칼슘: 2.4 질량%, 황: 2.9 질량%, TBN: 17 ㎎KOH/g, 과염기(perbasic) 전환 지수: 0.34)
첨가량: 0.01 질량%(칼슘 기준)
[징크 디티오포스페이트]
징크 디(이차-알킬) 티오포스페이트(인: 7.2 질량%<아연: 7.8 질량%, 황: 14 질량%, C3 -8 이차-알킬로부터 유래되어 제조됨)
첨가량: 0.06 질량%(인 기준)
징크 디(일차-알킬) 티오포스페이트(인: 7.3 질량%<아연: 8.4 질량%, 황: 14 질량%, 일차-알킬로부터 유래되어 제조됨)
첨가량: 0.03 질량%(인 기준)
[항산화제]
디알킬 디페닐 아민(알킬기: C4와 C8 의 혼합, 질소: 4.6 질량)
첨가량: 0.45 질량%
[유기 황 화합물] (실험예 2에만 사용)
황화 이소부틸렌(황: 42 질량%)
첨가량: 0.3 질량%
[점도 지수 향상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점도 지수 향상제(SSI=18, 질량-평균 분자량: 200,000)는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첨가량: 5.1 질량%(실시예 1), 5.0 질량%(실시예 2), 5.1 질량%(비교 실시예)
에틸렌 프로필렌 혼성중합체 점도 지수 향상제(SSI=24)는 참고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첨가량: 4.6 질량%
[유동점 저하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유동점 저하제: 0.3 질량%.
[다른 첨가물]
항마모제, 녹 방지제, 변형제 및 이와 같은것을 각각 소량으로 혼합
첨가량: 0.6 질량%
윤활유 조성물의 평가
(1) 윤활유 조성물의 점도 성질(고온, 고전단 점도, 동적 점도(100℃ 및 40℃), 점도 지수, 균열 점도(-25℃ 또는 -30℃) 및 펌프 온도(-35℃)는 하기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2) 게다가, 윤활유 조성물의 250℃에서 NOACK 증발손실(%)은 ASTM D5800, 방법 B에 따라 측정하였다.
(3) 또한, Shell사의 4 스피어 시험(Shell four spheres test)은 마모 저항성(wear resistance)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실시하였다. Shell사의 4 스피어 시험에 따라, 견본 오일을 75℃로 가열했고, 실험은 1분당 1,200 회전하면서 40kgf 하중하에 60분 동안 수행하였다. 실험 스피어(sphere) 표면에 남은 마모 흠집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표 1은 각 윤활유 조성물의 성질과 실시예 1 내지 2, 비교 실시예 및 참고 실시예의 Shell사의 4 스피어 시험(Shell four spheres test)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참고 실시예
점도 등급 5W20 5W20 5W20 10W30
기유 기유 1 기유 1 기유 2 기유 3
고온, 고전단 점도 2.93 2.91 2.62 3.15
동적 점도(100℃) 9.15 9.05 8.02 10.1
동적 점도(40℃) 44.1 43.7 36.3 65.7
점도 지수 196 195 203 139
균열 점도(-25℃) - - - 5815
균열 점도(-30℃) 3630 3590 2800 -
-35℃에서 펌프 점도 통과 통과 통과 통과*
NOACK 증발손실 9.7 9.8 14.0 11.5
Shell사 4 스피어 시험
평균 마모 지름(㎜)
0.47 0.47 0.54 0.48
주석: 고온, 고전단 점도는 106s-1의 전단 속도 및 150℃에서의 점도이다(구성 단위 mPa·s). 동적 점도 단위는 ㎟/s이고 균열 점도 단위는 mPa·s이다. 게다가, 펌프 점도의 "통과(passed)"는 펌프 점도가 SAE 점도 등급 5W20 및 펌프 점도(-35℃의 측정 온도에서)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측정 온도는 10W30에 의해 요구되는 펌프 점도에 대해 -30℃이고, "통과*(passed*)"는 측정이 -30℃에서 펌프 점도에 대한 규정을 통과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에 보여진 실시예 1 및 2, 비교 실시예 및 참고 실시예의 각 윤활유 조성물의 성질 및 결과로부터 다음 사항들이 명확해진다.
(1) 실시예 1 및 2의 윤활유 조성물은 훌륭한 연료-효율적인 SAE 등급 5W20 윤활유 조성물이지만, 비교적 불량한 연료 효율성을 갖는 참조 실시예의 SAE 등급 10W30 윤활유 조성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모 저항성을 갖는다.
(2) 반면, 비교 실시예의 윤활유 조성물은 높은 NOACK 증발손실, 낮은 고온(low high-temperature), 고전단 점도 및 불량한 마모 저항성을 가진다.

Claims (11)

  1. 5W20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기유(Base oil)를 함유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의 점도 지수는 140 내지 230 범위이고, 150℃에서의 고전단 점도는 2.9 mPa·s 이상이며, NOACK 증발 손실은 13중량% 이하이고,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첨가제 성분으로서
    a) 질소 함량 기준으로 0.01 내지 0.3 질량%의 질소 함유 무회분 분산제,
    b) 알칼라인 토금속 함량 기준으로 0.08 내지 0.4 질량%의 알칼라인 토금속 함유 세제,
    c) 인 함량 기준으로 0.05 내지 0.12 중량%의 인 함유 항마모제,
    d) 아민 화합물, 페놀 화합물 및 몰리브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항산화제 0.1 내지 7 질량%,
    e) 점도 지수 향상제 0.5 내지 20 질량%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각 첨가제 성분의 양은 윤활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질량%로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기유는,
    2 내지 9 mm2/s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와 133 내지 160의 점도 지수를 갖는 미네랄 오일 기유를 기유 성분으로서 적어도 80 질량%로 포함하는 기유인 것이거나 또는;
    피셔-트롭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슬랙 왁스 또는 합성 왁스의 수소첨가반응 및 이성질화 반응 및 이후의 증류 및 탈납 처리에 의해 수득된 133 내지 160의 점도지수를 갖는 기유인 것인,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유는 2 내지 9 mm2/s의 100℃에서의 동적 점도와 133 내지 160의 점도 지수를 갖는 미네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지수 향상제는 30 이하의 전단 안정성 지수를 갖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 성분으로서 유기 황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의 윤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자동차의 엔진 윤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7. 제 1항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모터사이클 4 행정 가솔린 엔진을 윤활하는 방법.
  8. 제 1항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출 가스 후처리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 자동차의 엔진을 윤활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23829A 2012-03-08 2013-03-06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KR10196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1849A JP5902005B2 (ja) 2012-03-08 2012-03-08 自動車エンジン潤滑用潤滑油組成物
JPJP-P-2012-051849 2012-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388A KR20130103388A (ko) 2013-09-23
KR101968322B1 true KR101968322B1 (ko) 2019-08-13

Family

ID=4784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829A KR101968322B1 (ko) 2012-03-08 2013-03-06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30237465A1 (ko)
EP (1) EP2636725B1 (ko)
JP (1) JP5902005B2 (ko)
KR (1) KR101968322B1 (ko)
CN (1) CN103305318A (ko)
CA (1) CA2808765A1 (ko)
PH (1) PH12013000076A1 (ko)
SG (2) SG10201507189W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8212B (zh) * 2013-11-16 2015-12-30 平湖市永光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粘度机的玛瑙座
WO2015138088A1 (en) * 2014-03-11 2015-09-17 The Lubrizol Corporation Method of lubric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729866B2 (ja) * 2014-03-31 2020-07-29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CN104031729B (zh) * 2014-07-02 2015-12-09 宝捷润滑油镇江有限公司 一种摩托车引擎专用润滑油及其制备方法
US10597599B2 (en) * 2015-12-18 2020-03-24 The Lubrizol Corporation Nitrogen-functionalized olefin polymers for engine lubricants
JP6927488B2 (ja) 2017-03-30 2021-09-01 出光興産株式会社 二輪車用潤滑油組成物、該潤滑油組成物を用いた二輪車の燃費向上方法、及び該潤滑油組成物の製造方法
JP6936041B2 (ja) * 2017-04-25 2021-09-15 シェルルブリカンツジャパン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US20180371347A1 (en) * 2017-06-27 2018-12-27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6744047B2 (ja) 2018-03-30 2020-08-19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潤滑油組成物の使用方法
JP2019206644A (ja) 2018-05-29 2019-12-05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41571A1 (ja) * 2019-01-04 2020-07-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4ストロークエンジンユニット、及び同エンジンユニットを備えた鞍乗型車両
WO2023162819A1 (ja) * 2022-02-28 2023-08-31 出光興産株式会社 二輪自動車用潤滑油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266A1 (en) * 2002-05-07 2003-11-20 Satoshi Hirano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0090163393A1 (en) * 2007-12-21 2009-06-25 Boffa Alexander B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698B2 (ja) 1993-04-22 1997-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省燃費型潤滑油
GB9624441D0 (en) * 1996-11-25 1997-01-1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Fuel economy engine oil composition
US5863873A (en) * 1997-04-08 1999-01-26 Exxon Chemical Patents Inc Fuel economy additive and lubrican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4076634B2 (ja) 1998-09-09 2008-04-16 新日本石油株式会社 二輪車用4サイクルエンジン油組成物
US6333298B1 (en) 1999-07-16 2001-12-25 Infineum International Limited Molybdenum-free low volatility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5565999B2 (ja) * 2007-01-31 2014-08-06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US7871966B2 (en) * 2007-03-19 2011-01-18 Nippon Oi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5406433B2 (ja) * 2007-04-27 2014-02-05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US8530397B2 (en) * 2007-12-12 2013-09-10 Infineum International Limited Additive compositions
EP2343357B1 (en) * 2008-10-07 2019-12-04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lubricant composition
JP5727713B2 (ja) * 2010-03-19 2015-06-03 出光興産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266A1 (en) * 2002-05-07 2003-11-20 Satoshi Hirano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0090163393A1 (en) * 2007-12-21 2009-06-25 Boffa Alexander B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5929A1 (en) 2015-06-25
JP5902005B2 (ja) 2016-04-13
CN103305318A (zh) 2013-09-18
SG10201507189WA (en) 2015-10-29
KR20130103388A (ko) 2013-09-23
JP2013185087A (ja) 2013-09-19
PH12013000076B1 (en) 2014-11-24
EP2636725A1 (en) 2013-09-11
PH12013000076A1 (en) 2014-11-24
US20130237465A1 (en) 2013-09-12
EP2636725B1 (en) 2019-05-08
CA2808765A1 (en) 2013-09-08
SG193720A1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322B1 (ko) 자동차 엔진 윤활용 윤활유 조성물
JP5740291B2 (ja) 自動車エンジン潤滑用潤滑油組成物
JP5565999B2 (ja) 潤滑油組成物
US8580719B2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773365B2 (ja) 省燃費性の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5465938B2 (ja)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2000319682A (ja)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5796869B2 (ja) 潤滑油組成物
JP5563832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US20110077183A1 (en) Lubricant composition
JP6551727B2 (ja) 潤滑油組成物
WO2015122525A1 (ja) 潤滑油組成物
JP2021515070A (ja) 低粘度で摩耗防止を提供する潤滑油組成物
JP2003336089A (ja) 潤滑油組成物
WO2007052826A1 (ja) 潤滑油組成物
KR102517043B1 (ko) 선박용 디젤 실린더 윤활유 조성물
JP2007217596A (ja) 無段変速機油組成物
EP2457985B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lubricating automotive engines
JP5198719B2 (ja) 潤滑油組成物
KR20240102949A (ko) 고효율 엔진 오일 조성물
JP2023534529A (ja) 防食特性を向上させた自動車の変速機用の潤滑油組成物
JPH1143684A (ja) 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