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947B1 - 의료용 처치 용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처치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947B1
KR101967947B1 KR1020147023204A KR20147023204A KR101967947B1 KR 101967947 B1 KR101967947 B1 KR 101967947B1 KR 1020147023204 A KR1020147023204 A KR 1020147023204A KR 20147023204 A KR20147023204 A KR 20147023204A KR 101967947 B1 KR101967947 B1 KR 10196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main body
port
angle
ope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86A (ko
Inventor
에이지 가네히라
에츠로 야마베
미노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61B2017/3449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whereby the instrument channels merge into one single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6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for simultaneous sealing of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Abstract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개창기 본체(30)와 컨버터(20)를 구비한다. 개창기 본체(30)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절개창에 유치된다. 컨버터(20)는, 개창기 본체(30)의 개구 단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 개구 단부(32)를 덮개 폐쇄한다. 컨버터(20)의 복수 개소에, 처치구를 개창기 본체(30)의 내부에 각각 삽입하는 포트(22a∼22d)가 설치되어 있다. 컨버터(20)는 복수 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설치 각도로 개구 단부(32)에 장착 가능하다. 각각의 설치 각도로 컨버터(20)를 개구 단부(32)에 장착한 경우의,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는,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의료용 처치 용구{MEDICA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절개창에 유치하여 사용되는 의료용 처치 용구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하 수술에 있어서는, 하나의 절개창으로부터 겸자나 광학 장치 등의 복수의 처치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행하는, 이른바 단공식 수술이 행해지고 있다. 이 수술 방식은 환자의 체표에 남는 절개창이 1개가 되므로 미용적 장점이 높다. 수술 후에 절개창이 눈에 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창을 배꼽에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1개의 절개창에 복수의 처치구를 넣기 위한 전용의 기구도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2를 참조). 이들 기구는, 절개창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는 통 형상의 개창기 본체와, 처치구를 각각 삽입하는 복수의 작은 구멍(포트)을 갖는 덮개 형상의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복강경하 수술에서는, 절제된 장기(절제 조직)를 체외로 취출할 필요가 있다. 포트의 내경보다도 큰 절제 조직을 취출하는 경우는, 절제 조직이 포트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절제 조직을 파지하고 있는 겸자를 개창기 본체와 함께 절개창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장기에 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암의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제 조직을 복강 내에서 회수 주머니에 수용한 후, 개창기 본체째 회수 주머니를 절개창으로부터 빼내어 취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개창기 본체를 절개창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은 환자에의 부담이 크다. 특히, 복수 개소의 환부의 절제 및 조직의 취출을 반복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개창기 본체를 절개창에 대해 몇 번이나 장착 및 제거할 필요가 있어, 환자에의 부담이 컸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구는, 컨버터가 개창기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절제 조직을 취출할 때에는, 개창기 본체를 절개창에 유치한 채 컨버터를 개창기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개창기 본체의 대직경 개구를 통해 겸자나 회수 주머니를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큰 절제 조직이나 회수 주머니를 체외로 취출하는 경우에도, 개창기 본체를 복벽에 반복하여 탈착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환자에의 부담이 적고, 또한 신속한 절제술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구는, 그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버터(밸브 플레이트)를 개창기 본체(유지구 본체)에 대해 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돌기와 결합 홈이 걸려 컨버터가 장착된다. 또한, 이 기구는, 특허문헌 1의 도 5의 (b)나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와 포트가 모두 동등한 각도 간격(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컨버터의 장착 각도를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배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구는, 그 도 10(Fig11)이나 도 16(Fig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25∼28)가 설치된 컨버터(20)를 임의의 각도로 개창기 본체(2)에 밀어 넣음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2의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 돌기(91)가 주위에 형성된 커넥터 베이스(80)를 링(6)에 스냅식으로 장착하는 형태와, 그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O링(53)을 결합 고리(54)에 삽입하는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163호 공보 국제 공개2008/149332호 팸플릿
배꼽 등에 절개창을 형성하는 단공식 수술에 있어서 기복하 조작으로 위, 담낭, 대장 등 각종 장기에 액세스하여 환부를 절제하는 경우, 대상 환부에 가장 가까운 복수의 포트를 그때마다 선택하여, 파지용 겸자나 절제용 메스를 삽입한다. 다른 포트에는 보조용 겸자나 광학 장치 등이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절개창에 유치된 개창기 본체에 컨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때에는, 처치 중인 특정 장기에 반복하여 액세스하는 경우의 조작의 안정성과, 각종 복수의 장기에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한 조작의 다양성의 실현이라고 하는, 상반되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구는,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배치 위치가 항상 동일한 정삼각형 상에 재현되어 버리므로, 환부의 위치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2개의 포트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환부 등에는, 액세스가 곤란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구는, 컨버터를 임의의 각도로 개창기 본체에 장착하는 구성이므로, 개창기 본체에 대한 컨버터의 장착 각도에 재현성이 없다. 이로 인해, 개창기 본체로부터 컨버터를 몇 번이나 제거하여 절제 조직을 취출한 경우에, 장기와 포트의 위치 관계가 매회 변동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처치 중인 장기에 포트를 통해 반복하여 액세스하는 경우의 처치 조작의 안정성과, 각종 장기에 대한 다양한 액세스의 실현을 모두 실현하는 의료용 처치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의료용 처치 용구는, 절개창에 유치되는 통 형상의 개창기 본체와, 상기 개창기 본체의 개구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 단부를 덮개 폐쇄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처치구를 상기 개창기 본체의 내부에 각각 삽입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는, 복수 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설치 각도로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설치 각도로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한 경우의 상기 개창기 본체에 대한 상기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개창기 본체에 대한 복수의 포트의 위치 관계가 동일하다고 하는 것은, 복수의 포트가 회전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컨버터의 설치 각도를 변경해도 포트의 겉보기의 배치 위치가 불변인 것을 말한다. 반대로,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다고 하는 것은, 개창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포트의 겉보기의 배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컨버터의 설치 각도가 선택적임으로써 개창기 본체와 포트의 상대 위치의 미소한 변동이 방지되므로,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배치 위치가 재현된다. 또한, 컨버터의 설치 각도의 선택을 변경함으로써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므로, 포트의 배치 위치가 다양화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처치 용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서, (2) 상기 개창기 본체는, 상기 절개창을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넓힌 상태에서 유지하는 확장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 종류의 상기 설치 각도에 있어서, 상기 절개창의 개방 방향에 대한 상기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달라도 된다. (3)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설치 각도로 상기 컨버터가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된 경우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잇는 선분의 수직 이등분선과 상기 개방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15도±20도여도 된다. (4) 대략 정삼각형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상기 포트를 적어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설치 각도가 4종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어도 된다. (5) 상기 처치구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밸브 부재가 상기 포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 컨버터는, 상기 개구 단부를 덮개 폐쇄하는 가요성의 천장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장판부에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천장판부보다도 경질인 재료로 이루어져도 된다. (7) 상기 제1 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수직 이등분선에 평행한 직선 상에 상기 밸브 부재의 형성 높이가 상기 제1 포트와 상이한 다른 상기 포트를 더 가져도 된다. (8)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구 단부에 접촉시킨 비걸림 상태로부터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창기 본체에 대해 축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창기 본체에 걸림 상태로 로크하는 걸림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9) 상기 수직 이등분선보다도 상기 소정 각도만큼 상기 축 회전 방향의 전방에, 상기 걸림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수직 이등분선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절개창의 개방 방향에 대한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다고 하는 것은, 확장 수단의 작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포트의 겉보기의 배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각종 구성 요소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1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치 중인 장기에 포트를 통해 반복하여 액세스하는 경우에,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배치 위치가 재현되어 있으므로 처치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의 설치 각도의 선택을 변경함으로써 개창기 본체에 대한 포트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므로, 각종 장기에 대한 다양한 액세스가 실현된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a는 컨버터를 개창기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컨버터를 개창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절개창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절개창에 의료용 처치 용구가 유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의료용 처치 용구를 이용하여 절개창을 직경 확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컨버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화살표도이다.
도 3c는 컨버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의료용 처치 용구의 유치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장착 각도로 의료용 처치 용구가 유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장착 각도로 의료용 처치 용구가 유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컨버터를 개구 단부에 접촉시킨 비걸림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컨버터가 개창기 본체에 로크된 걸림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컨버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a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를 절개창(INC)에 유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배꼽(BT)(도 2a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5를 참조)을 통과하도록 하여 환자의 정중선(ML)을 따라 형성한 절개창(INC)의 평면도이다.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해 절개창(INC)을 직경 확장하는 개방 방향(OD)을, 도 2a에서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2b는, 절개창(INC)에 의료용 처치 용구(10)가 유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확장 수단[인장 벨트(34)]을 이용하여 절개창(INC)을 사방(화살표 방향)으로 방사 방향으로 견인하고, 이것을 개방 방향(OD)(백색 화살표)을 향해 대략 원형으로 직경 확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c에 도시하는 인장 벨트(34)의 견인시에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장착해 두어도 된다. 또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개창기 본체(30)의 인장 벨트(34)를 견인해도 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개창기 본체(30)와 컨버터(20)를 구비한다. 개창기 본체(30)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절개창(INC)에 유치된다. 컨버터(20)는 개창기 본체(30)의 개구 단부(32)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이 개구 단부(32)를 덮개 폐쇄한다. 또한, 컨버터(20)의 복수 개소에, 처치구(도시하지 않음)를 개창기 본체(30)의 내부에 각각 삽입하는 포트(22a∼22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있어서, 컨버터(20)는 복수 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설치 각도로 개구 단부(32)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각각의 설치 각도로 컨버터(20)를 개구 단부(32)에 장착한 경우의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절개창(INC)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 및 보호하여, 복강 내의 관찰, 세정, 절제, 기구의 유치 및 회수 등의 각종 처치를 보조하기 위한 기구이다.
개창기 본체(30)는, 복벽의 표면과 이면을 끼움 지지하도록 하여 절개창(INC)에 장착됨과 함께, 절개창(INC)에 대해 직경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이것을 직경 확장하는 부재이다. 개창기 본체(30)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개창기 본체(30)는 기밀성, 또한 가요성을 갖는 통 형상 부재(33)와, 이 통 형상 부재(33)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 고정 부재(37) 및 제2 고정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창기 본체(30)에는, 양 고정 부재에 걸친 복수개의 인장 벨트(34)가 설치되어 있다. 인장 벨트(34)는, 통 형상 부재(33)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37) 및 제2 고정 부재(38)는, 모두 평판 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고정 부재(37)는 절개창(INC)을 통해 복강의 내부에 삽입되어, 개구 단부(35)를 구성하는 부재로, 복벽의 이면에 밀착되어 사용된다. 제2 고정 부재(38)는 개구 단부(32)를 구성하는 부재로, 복벽의 표면(체표면)에 밀착되어 사용된다. 개창기 본체(30)는, 통 형상 부재(33)와, 모두 환 형상인 제1 고정 부재(37)[개구 단부(35)] 및 제2 고정 부재(38)[개구 단부(32)]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통 형상은 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각통 형상이어도 된다.
인장 벨트(34)의 선단부(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의 하단부)는 제1 고정 부재(37)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장 벨트(34)의 기단부(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의 상단부)는, 제2 고정 부재(38)에 대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관통하여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인장 벨트(34)와 제2 고정 부재(38)에는, 인장 벨트(34)의 기단부를 제2 고정 부재(3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빼내는 방향의 슬라이드를 허용하고, 반대로 인장 벨트(34)의 기단부가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복귀되는 방향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래칫 구조(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 벨트(34)의 기단부를 제2 고정 부재(38)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견인함으로써, 제1 고정 부재(37)가 끌어 올려져 제2 고정 부재(38)와의 간격이 단축된다. 이때, 인장 벨트(34)의 외측에서 통 형상 부재(33)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절첩된다. 4개의 인장 벨트(34)의 기단부를,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동일한 길이만큼 견인하면, 제1 고정 부재(37)는 제2 고정 부재(38)에 대향한 상태에서 제2 고정 부재(38)에 근접해 간다.
여기서, 제1 고정 부재(37)를 절개창(INC)에 삽입하고, 제1 고정 부재(37)와 제2 고정 부재(38)로 복벽을 느슨하게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인장 벨트(34)를 견인함으로써, 제1 고정 부재(37) 및 제2 고정 부재(38)가 복벽의 이면과 표면에 밀착된다. 이 결과, 환 형상의 제1 고정 부재(37) 및 제2 고정 부재(38)의 개구 단부(35, 32)를 양단부로 하는 관통 구멍이 절개창(INC)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구멍을 통해 절제 조직은 체내로부터 체외로 취출된다.
제1 고정 부재(37) 및 제2 고정 부재(38)에는, 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ABS) 수지,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EBS)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수지 재료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료가 사용된다.
통 형상 부재(33)는 두께 0.05㎜ 이상 3㎜ 이하의 막으로 이루어진다. 통 형상 부재(33)의 재질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SEBS 수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등의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컨버터(20)는, 개창기 본체(30)의 개구 단부(32)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이것을 덮개 폐쇄함으로써 절개창(INC)을 기밀하게 덮는 부재이다. 여기서, 컨버터(20)가 개구 단부(32)를 덮개 폐쇄한다고 하는 것은, 컨버터(20)가 통 형상 부재(33)보다도 개구 단부(32)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컨버터(20)가 착탈 자유롭다고 하는 것은, 개창기 본체(30)가 복벽에 유치된 상태에서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장착 및 제거 가능한 것을 말한다.
도 3a는 컨버터(20)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화살표도이다. 도 3c는 컨버터(20)의 하방 사시도이다.
컨버터(20)는, 천장판부(21)와, 천장판부(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의 포트(22a∼22d)와, 천장판부(21)에 주위 설치된 복수의 걸림 볼록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컨버터(2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을 이루고, 걸림 볼록부(26)는 90도 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26)는, 컨버터(20)에 대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돌기이다.
천장판부(21)는, 개창기 본체(30)의 상단부(근위)측의 개구 단부(32)를 덮개 폐쇄하는 부재이다. 포트(22a∼22d)는 천장판부(21)에 설치되어 있다. 포트(22a∼22d)는, 각각 통 형상부(23)와 밸브 부재(24와 25)로 이루어진다. 통 형상부(23)는 천장판부(2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부(23)의 하단부는 포트(22a∼22d)에 연접하고 있다. 통 형상부(23)의 상단부로부터 겸자나 메스 등의 처치구가 삽입된다. 밸브 부재(24와 25)는, 통 형상부(2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24 또는 25) 중 한쪽 또는 양쪽은, 통 형상부(23)에 삽입된 처치구의 주위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복강 내에 충전된 가스가 처치구의 핸들링 중에 포트(22a∼22d)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개창기 본체(30)의 환 형상의 제2 고정 부재(38)의 주위에는, 컨버터(20)의 걸림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36)는, 걸림편(36a), 절결 오목부(36b) 및 슬로프부(36c)로 이루어진다. 걸림편(36a)은, 제2 고정 부재(38)의 주위면에 부분적으로 절결 형성된 절결 오목부(36b)에 인접하는 돌기이며, 걸림 볼록부(26)에 대해 주위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컨버터(20)를 로크하는 부위이다. 절결 오목부(36b)에 관하여 걸림편(36a)의 반대측에는 슬로프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슬로프부(36c)는, 제2 고정 부재(38)의 주위면에 형성된 돌기이며, 또한 축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슬로프부(36c)의 최하 위치에는, 불연속적인 단차를 통해 절결 오목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6)[걸림편(36a)]는 걸림 볼록부(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 부재(38)의 주위에 90도 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 오목부(36b)에는, 보강용 리브(36d)가 직경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서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우나사 방향[컨버터(20)를 상면에서 본 경우의 시계 방향]으로 나사 결합시킨 경우에, 걸림 볼록부(26)가 걸림편(36a)에 접촉하여 로크된다. 구체적으로는,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축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선 걸림 볼록부(26)가 슬로프부(36c)에 의해 서서히 내리눌려, 컨버터(20)는 개창기 본체(30)[제2 고정 부재(38)]에 대해 체결되어 간다. 컨버터(20)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걸림 볼록부(26)는 슬로프부(36c)를 타고 넘어 절결 오목부(36b)에 이른다. 여기서, 절결 오목부(36b)의 주위 길이는 걸림 볼록부(26)의 주위 길이(폭 치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걸림 볼록부(26)는 절결 오목부(36b)에 끼움 삽입된다. 그리고 컨버터(20)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걸림 볼록부(26)는 절결 오목부(36b)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편(36a)에 걸려 로크된다(도 1b를 참조). 리브(36d)에 의해 제2 고정 부재(38)는 전체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보강되어 있고, 컨버터(20)의 걸림 볼록부(26)는 절결 오목부(36b)에 확실하게 끼움 삽입되어 걸림편(36a)에 걸려 로크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버터(20)가 체결되는 감촉을 느끼면서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로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버터(20)의 장착시에 그 장착 각도를 확인할 수 있어, 바꾸어 말하면 포트(22a∼22d)가 상정하지 않은 배치 위치로 되는 컨버터(20)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축 회전의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 볼록부(26)가 절결 오목부(36b)를 통과하여 걸림은 해제되어, 컨버터(20)가 개창기 본체(30)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도 1a를 참조). 걸림 볼록부(26) 및 걸림편(36a)이 90도 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컨버터(20)는 복수 종류(4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설치 각도로 개창기 본체(30)의 개구 단부(32)[제2 고정 부재(38)]에 대해 장착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22a∼22d)에는, 처치구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밸브 부재(24, 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24, 25)는, 포트(22a∼22d)의 상부 테두리측과 하부 테두리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포트에 있어서, 밸브 부재(24와 2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24)는, 밸브 부재(25)보다도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24, 25)는, 처치구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과, 자연 상태에서 이 삽입 관통 구멍을 폐지하는 플랩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부재(24)는 삽입 관통 구멍이 개방되어 있는 시트 밸브이고, 밸브 부재(25)는 덕빌 밸브나 십자 밸브이다. 밸브 부재(24)의 삽입 관통 구멍은 둥근 구멍이며, 직경 방향으로 등방적으로 수축 또는 신장된다. 밸브 부재(25)는, 덕빌 밸브나 십자 밸브이므로, 특정한 1방향 또는 2방향으로 수축 또는 신장된다. 즉, 밸브 부재(24와 25)는 개폐 방향이 서로 다르다(동일하지 않다). 이에 의해, 처치구의 주위에 밸브 부재(24 및 25)가 밀착된 상태로부터, 양쪽의 밸브 부재가 동시에 처치구로부터 이격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기복하에서 각종 처치를 행할 때, 처치구의 주위로부터의 탈기가 적합하게 방지된다. 또한, 밸브 부재(24, 25)는 처치구를 지지하여, 핸들링시의 지지점으로 된다. 특히, 천장판부(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높은 위치의 밸브 부재(24)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술 중의 처치구는 핸들링된다.
천장판부(21)는, 가요성을 갖는 평탄한 막 형상의 부재이다. 천장판부(21)가 유연하게 변형됨으로써, 포트(22a∼22d)는 변위된다. 이로 인해, 단공식 수술에 있어서, 포트(22a∼22d)에 삽입된 처치구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천장판부(21) 및 밸브 부재(24, 25)의 재질은, 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등의 경질 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의 합성 고무로 할 수 있다. 밸브 부재(24, 25)의 재료는, 천장판부(21)의 재료보다도 경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통 형상부(23)에 삽입한 처치구를 핸들링할 때, 밸브 부재(24, 25)가 처치구의 주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채, 천장판부(21)가 휘어 포트(22a∼22d)의 변위를 허용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하면, 환자의 기복 상태를 유지하면서, 처치구의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다. 밸브 부재(24, 25)의 재료가 천장판부(21)의 재료보다도 경질인 것의 지표로서, 밸브 부재(24, 25)의 듀로미터 A 경도가 천장판부(21)의 듀로미터 A 경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부재(24, 25)의 듀로미터 A 경도가 40 이상 또한 70 이하, 천장판부(21)의 듀로미터 A 경도가 30 이상 또한 60 이하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밸브 부재(24, 25)의 듀로미터 A 경도가 천장판부(21)의 듀로미터 A 경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부재(24, 25) 및 천장판부(21)의 듀로미터 A 경도는, JIS K6253 및 ISO761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처치구로서는, 파지용 겸자, 절제용 메스, 보조용 겸자, 광학 장치 또는 이들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투관침(카뉼라)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포트(22a∼22d)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유치 상태의 평면도로, 도 2c에 대응한다. 단, 절개창(INC)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배치된 포트(22a∼22d)를, 차례로 제1 내지 제4 포트라 호칭한다.
컨버터(20)는, 대략 정삼각형 상에 배치된 제1 포트(22a) 내지 제3 포트(22c)를 적어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컨버터(20)의 설치 각도는 4종류 이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4종류)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로 인해, 컨버터(20)의 설치 각도를 4종류로 바꿈으로써, 제1 포트(22a), 제2 포트(22b) 및 제3 포트(22c)로 그려지는 삼각형의 방향은 4종류로 변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복수 종류(최대 4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각각의 설치 각도에 있어서,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다. 최대 4종류 중, 어느 2종류에 관하여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 종류(4종류)의 전부에 있어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포트(22a) 내지 제3 포트(22c)가 대략 정삼각형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도 4에 도시하는 컨버터(20)의 평면에서 보아, 그 중 임의의 2개의 포트의 중심끼리를 잇는 선분(LS)을 1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제3 꼭지점이, 다른 포트의 내측에 있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포트(22a)의 중심을 제1 꼭지점으로 하고, 제2 포트(22b)의 중심을 제2 꼭지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제3 꼭지점이, 제3 포트(22c)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제3 꼭지점이 밸브 부재(24 또는 25)의 내측에 위치하면 된다(도 4를 참조).
컨버터(20)의 평면에서 보아,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은 제3 포트(22c)를 통과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포트(22c)는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 상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컨버터(20)는 제1 포트(22a)를 통과하여 수직 이등분선(PB)에 평행한 직선[평행선(PL)] 상에 제4 포트(22d)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컨버터(20)의 평면에서 보아 평행선(PL)은 제4 포트(22d)를 통과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개창기 본체(30)는, 절개창(INC)을 소정의 개방 방향(OD)으로 넓힌 상태에서 유지하는 확장 수단[인장 벨트(3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 종류의 설치 각도에 있어서, 절개창(INC)의 개방 방향(OD)에 대한 포트(22a∼22d)의 위치 관계는 서로 다르다. 바꾸어 말하면, 절개창(INC)에 고정된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어느 설치 각도로 컨버터(20)를 걸리게 한 경우에 포트(22a∼22d)의 각 중심을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과, 이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다른 설치 각도로 컨버터(20)를 걸리게 한 경우의 상기 사각형과는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컨버터(20)와 개창기 본체(30)는 4종류의 설치 각도에서 서로 걸린다. 이들 4종류의 설치 각도에 있어서의 상기 사각형은, 서로 모두 다르다. 이에 의해, 처치 대상 환부에 가장 적합한 포트 배치를 복수 종류, 본 실시 형태에서는 4종류 중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포트(22a∼22d)의 상기 배치가 바람직한 이유를 설명한다.
단공식 수술에 있어서는, 처치 대상 장기(환부)에 대해 동등하게 정면으로 대향하는 2개의 포트 중 한쪽에 파지용 겸자, 다른 쪽에 절제용 메스를 삽입하면 된다. 대상 장기를 겸자로 파지하여 끌어올림으로써, 당해 장기에 텐션이 부여되어 메스에 의한 절제가 적합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 상에 처치 대상 환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당해 환부의 처치가 적합하게 행해진다. 또한, 환부를 절제하는 경우 외에, 이것을 의료용 클립 등의 기구를 환부에 유치하거나, 환부를 봉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쪽의 포트로부터 파지용 겸자를 삽입하고, 이 포트와 나란히 장기에 정면으로 대향하는 다른 포트로부터 각각의 처치구를 삽입하면 된다.
한편, 단공식 수술에서는, 이 2개의 포트로부터 각각 삽입된 처치구에 의해 시계가 차단되지 않는 위치에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의 광학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서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 상에 제3 포트(22c)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포트(22a, 22b)로부터 대략 동등하게 이격된 위치에 광학 장치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4 포트(22d)를 제1 포트(22a)와 제3 포트(22c)로부터 모두 이격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처치구끼리의 간섭을 억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4 포트(22d)는 제1 포트(22a)와 제3 포트(22c) 사이, 바꾸어 말하면 수직 이등분선(PB)를 따라 제1 포트(22a)의 배후, 즉 평행선(PL) 위이며, 선분(LS)에 관하여 제3 포트(22c)와 동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개창(INC)은, 그 절개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환자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이것을 충분히 직경 확장하여 처치구의 가동 영역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창(INC)을 일자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개창기 본체(30)에 의해 방사 형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창(INC)을 십자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이 십자의 4개의 단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정사각 형상으로 절개창(INC)은 직경 확장되게 된다.
개창기 본체(30)는 절개창(INC)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장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정중선(ML)을 따라 일자 형상의 절개창(INC)(도시하지 않음)을 복벽에 형성하고,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축심(C)이 절개창(INC)의 중앙에 일치하도록 개창기 본체(30)를 절개창(INC)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4개의 인장 벨트(34)가, 정중선(ML)을 대칭축으로 하는 거울상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는 각도로 개창기 본체(30)를 절개창(INC)에 고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정중선(ML)에 대해 인장 벨트(34)의 인장 방향이 거울상 대칭으로 되도록 의료용 처치 용구(10)를 복벽에 고정한다.
그리고, 절개창(INC)에 개창기 본체(30)를 고정한 상태에서 4개의 인장 벨트(34)를 동시 또는 순차 견인함으로써, 절개창(INC)은 정중선(ML)에 직교하는 방향을 개방 방향(OD)으로 하여 직경 확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절개창(INC)에 고정된 개창기 본체(30)의 개구 단부(32)에 대해, 복수 종류(본 실시 형태에서는 4종류)로부터 선택된 장착 각도로 컨버터(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 이상의 설치 각도로 컨버터(20)가 개구 단부(32)에 장착된 경우(도 4를 참조)의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과, 절개창(INC)의 개방 방향(OD)이 이루는 각도 θ1은 115도±20도, 즉, 95도 이상 또한 13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과, 정중선(ML)이 이루는 각도 θ2는 115도±20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 θ1 및 각도 θ2는, 115도±10도, 즉, 105도 이상 또한 12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개방 방향(OD)과 정중선(ML)은 직교하고, 수직 이등분선(PB)과 선분(LS)은 직교하므로, 각도 θ1과 각도 θ2는 동등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각도 θ1 및 각도 θ2는 유향(有向) 각도이다. 각도 θ1은, 환자의 몸통체(BOD)에 대한 우측 방향을 기준(0도)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수직 이등분선(PB)까지의 각도이다. 각도 θ2는, 정중선(ML) 중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축심(C)(배꼽)으로부터 머리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0도)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선분(LS)까지의 각도이다.
각도 θ1 및 각도 θ2가 115도±20도임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담낭(GB)의 처치에 특히 적합하다. 그 이유를,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환자의 몸통체(BOD)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담낭(GB) 및 위(ST)를 도 5에서는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절개창(INC)은 몸통체(BOD)의 정중선(ML) 상에 형성되고, 개창기 본체(30)는 도 2c 및 도 4와 마찬가지의 장착 각도로 절개창(INC)에 유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개창(INC)의 개방 방향(OD)은 정중선(ML)의 직교 방향[몸통체(BOD)의 좌우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컨버터(20)의 장착 각도도 도 2c 및 도 4와 마찬가지(이하, 제1 장착 각도)이다.
도 6은, 개창기 본체(30)를 절개창(INC)에 고정한 채, 다른 장착 각도(이하, 제2 장착 각도)를 선택하여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제2 장착 각도는, 도 5에 도시한 제1 장착 각도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전진시킨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하는 제1 장착 각도에 있어서,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를 잇는 선분(LS)의 수직 이등분선(PB)과, 인장 벨트(34)에 의한 절개창(INC)의 개방 방향(OD)이 이루는 각도 θ1은 115도±20도이다. 그러면, 도 5에 도시하는 의료용 처치 용구(10)의 대표적인 사용 형태에 있어서, 컨버터(20)를 제1 장착 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수직 이등분선(PB)의 연장 방향이 담낭(GB)을 향한다. 도 5에서는, 배꼽(BT)을 중심으로 하여 정중선(ML)을 따라 형성한 절개창(INC)에 대해, 인장 벨트(34)에 의한 개방 방향(OD)을 정중선(ML)의 직교 방향에 일치시켜 개창기 본체(30)를 유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제1 장착 각도로 컨버터(20)가 설치된 의료용 처치 용구(10)는, 담낭(GB)에 대해 동등하게 대향하는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로부터, 겸자와 메스를 각각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담낭(GB)의 처치에 적합하다. 즉, 제1 장착 각도에 있어서, 제1 포트(22a)로부터 파지용 겸자를 삽입하여 담낭(GB)을 들어올리고, 제2 포트(22b)로부터 메스를 삽입하여 담낭(GB)의 담낭관을 적절하게 절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장착 각도로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장착한 경우의 수직 이등분선(PB)의 연장 방향은, 위(ST)의 대만(GC)을 향한다. 이로 인해, 제2 장착 각도로 컨버터(20)가 설치된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하면, 제1 포트(22a)와 제2 포트(22b)로부터 삽입한 겸자와 메스에 의해, 위(ST)의 유문(PY)으로부터 대만(GC)에 걸쳐 적합하게 처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장착 각도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더 전진시킨 제3 장착 각도에서는 수직 이등분선(PB)이 직장 근방을 향하므로, 제1 포트(22a) 및 제2 포트(22b)로부터 삽입한 처치구에 의해 직장의 처치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장착 각도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더 전진시킨 제4 장착 각도에서는 수직 이등분선(PB)이 대장을 향하므로, 제1 포트(22a) 및 제2 포트(22b)로부터 삽입한 처치구에 의해 대장의 처치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하면, 개창기 본체(30)에 대한 컨버터(20)의 장착 각도를 복수 종류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상술에 예시되는 담낭(GB) 및 위(ST) 등, 복수의 장기를 처치 대상으로 하여 단공식 수술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20)는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착탈 가능하므로, 장기의 절제 후에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대직경의 개구 단부(32)를 통해 절제 조직을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 의하면, 컨버터(20)를 장착한 기복하 조작으로부터, 컨버터(20)를 제거한 직시하 조작으로 전환하여, 다시 장기를 취출한다고 하는 조작을 일련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단 제거한 컨버터(20)를 다시 개창기 본체(30)에 장착하였을 때, 장착 각도의 선택을 공통으로 하는 한에 있어서, 포트(22a∼22d)와 장기의 위치 관계가 재현된다. 컨버터(20)는 걸림 볼록부(26) 및 걸림부(36)[걸림편(36a)]에 의해 동일 위치에서 개창기 본체(30)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반복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 각도의 선택을 실수로 변화시켜 버리지 않도록,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는 지표부(29)가 설치되어 있다(도 4를 참조).
도 7a 및 도 7b는, 지표부(29)를 이용하여 행하는 컨버터(20)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컨버터(20)를 개구 단부(32)에 접촉시킨 비걸림 상태를 도시한다. 도 7b는 컨버터(20)가 개창기 본체(30)에 로크된 걸림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의 비걸림 상태로부터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축 회전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φ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컨버터(20)는 도 7b에 도시하는 걸림 상태로 된다. 걸림 상태에서는, 걸림 수단[걸림 볼록부(26) 및 걸림부(36)]이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로크한다.
비걸림 상태는, 걸림 수단[걸림 볼록부(26) 및 걸림부(36)]끼리가 미결합 상태이며,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대해 가장착한 상태이다. 구체적인 비걸림 상태는 여러가지를 채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처치 용구(10)에서는, 컨버터(20)의 걸림 볼록부(26)와 개창기 본체(30)의 걸림부(36)가 최대한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를 비걸림 상태로 하여 도 7a에 도시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7a에 도시하는 비걸림 상태는, 걸림 볼록부(26)와 걸림부(36)가 45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이며, 상기한 소정 각도 φ는 45도이다.
여기서, 지표부(29)는 도 7b에 도시하는 걸림 상태에 있어서의 수직 이등분선(PB)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지표부(29)는, 수직 이등분선(PB)보다도 소정 각도 φ만큼 축 회전 방향(시계 방향)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가장착한 도 7a에 있어서 지표부(29)가 나타내는 방향은,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본장착한 도 7b에 있어서 수직 이등분선(PB)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반복 탈착하여 절제 조직[담낭(GB)]을 절개창(INC)으로부터 취출하는 경우 등에, 컨버터(20)를 개창기 본체(30)에 본장착하였을 때의 포트(22a∼22d)의 배치 위치를, 장착 전에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버터(20)의 장착 각도에 관한 오선택을 방지하여, 장착의 재시도에 의한 환자에의 부담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표부(29)는 컨버터(20)의 천장판부(21)의 외주 근방에 설치한 방향 지시용 마크인데, 이것은 일례이다. 지표부(29)의 다른 예로서는, 색채나 문자 표시 등에 의해 컨버터(20)의 각도 방향을 식별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형, 개량 등의 형태도 포함한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컨버터(20)의 상방 사시도이다. 제1 포트(22a)를 통과하여 수직 이등분선(PB)에 평행한 직선[평행선(PL)] 상에 다른 포트[제4 포트(22d)]를 더 갖고 있다. 그리고, 제4 포트(22d)의 밸브 부재(24)의 형성 높이는, 제1 포트(22a)의 밸브 부재(24)의 형성 높이와 다르다. 바꾸어 말하면, 이 컨버터(20)는 천장판부(21)에 대해 높은 위치에 있는 밸브 부재(24)의 형성 높이가, 제1 포트(22a)와 제4 포트(22d)에서 다르다. 여기서, 밸브 부재(24)는 포트(22a∼22d)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지지점으로 된다. 따라서, 수직 이등분선(PB)의 연장 방향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1 포트(22a)와 제4 포트(22d)에 있어서 지지점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처치구끼리의 간섭이 적합하게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장판부(21)로부터의 제1 포트(22a)의 돌출 높이는, 제2 내지 제4 포트(22b∼22d)의 돌출 높이 보다도 낮다. 이에 의해, 제1 포트(22a)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가동 영역이 확대된다.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제1 포트(22a)를 제4 포트(22d)보다도 대직경으로 하여 처치구의 기단부의 가동 영역을 더욱 크게 해도 된다.

Claims (9)

  1. 절개창에 유치 가능한 통 형상의 개창기 본체와,
    상기 개창기 본체의 개구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 단부를 덮개 폐쇄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처치구를 상기 개창기 본체의 내부에 각각 삽입하는 포트와,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구 단부에 접촉시킨 비걸림 상태로부터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창기 본체에 대해 축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창기 본체에 걸림 상태로 로크하는 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는, 복수 종류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설치 각도로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설치 각도로 상기 컨버터를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한 경우의 상기 개창기 본체에 대한 상기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고,
    상기 개창기 본체는, 상기 절개창을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넓힌 상태에서 유지 가능한 확장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 종류의 상기 설치 각도에 있어서, 상기 절개창의 개방 방향에 대한 상기 포트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르고,
    상기 걸림 수단은,
    제1 설치 각도로 걸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개창기 본체에 상기 컨버터를 로크하고,
    상기 제1 설치 각도가 제1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진행한 각도인 제2 설치 각도로 걸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개창기 본체에 상기 컨버터를 로크하고,
    상기 제1 설치 각도로 상기 컨버터가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된 경우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잇는 선분의 수직 이등분선과 상기 개방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15도±20도인, 의료용 처치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정삼각형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상기 포트를 적어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설치 각도가 4종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처치 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밸브 부재가 상기 포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처치 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개구 단부를 덮개 폐쇄하는 가요성의 천장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장판부에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천장판부보다도 경질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처치 용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의 형성 높이가 상기 제1 포트와 상이한 다른 포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른 포트는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상기 수직 이등분선에 평행한 직선 상에 배치되는, 의료용 처치 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등분선보다도 상기 소정 각도만큼 상기 축 회전 방향의 전방에, 상기 걸림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수직 이등분선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부가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처치 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90도인, 의료용 처치 용구.
  8. 삭제
  9. 삭제
KR1020147023204A 2012-01-25 2012-01-25 의료용 처치 용구 KR101967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0448 WO2013111183A1 (ja) 2012-01-25 2012-01-25 医療用処置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86A KR20140114886A (ko) 2014-09-29
KR101967947B1 true KR101967947B1 (ko) 2019-04-10

Family

ID=4887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204A KR101967947B1 (ko) 2012-01-25 2012-01-25 의료용 처치 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39639B2 (ko)
EP (1) EP2807980B1 (ko)
JP (1) JP5794319B2 (ko)
KR (1) KR101967947B1 (ko)
CN (1) CN104066386B (ko)
ES (1) ES2613871T3 (ko)
WO (1) WO2013111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406B2 (en) * 2009-03-06 2015-02-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movement regions
WO2018021174A1 (ja) * 2016-07-25 2018-02-01 公立大学法人大阪市立大学 小切開鏡視下手術用開創器
US11883066B2 (en) * 2020-02-19 2024-01-3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ultip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CN111839623B (zh) * 2020-07-29 2021-05-04 张鹏举 一种小儿肛肠外科医疗器械和器械扩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537A1 (en) * 1998-12-01 2005-09-08 Frank Bonadio Wound retra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163A (ja) 2000-07-17 2002-01-29 Hakko Medical:Kk 切開創保持具
JP2002325769A (ja) * 2000-07-18 2002-11-12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用処置用具
US6958037B2 (en) * 2001-10-20 2005-10-2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EP2301455A1 (en) 2001-10-20 2011-03-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US8251900B2 (en) 2009-03-06 2012-08-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paths
US8821391B2 (en) * 2009-03-06 2014-09-02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20100228096A1 (en) * 2009-03-06 2010-09-09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961406B2 (en) 2009-03-06 2015-02-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movement regions
US8485970B2 (en) * 2008-09-30 2013-07-1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US8926506B2 (en) 2009-03-06 2015-01-06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JP2008149332A (ja) 2006-12-14 2008-07-03 Kasatani:Kk 雄型プレス金型、プレス方法、及び当該プレス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た集光型球状シリコン太陽電池用集光板
WO2008149332A1 (en) * 2007-06-05 2008-12-11 Atropos Limited An instrument access device
US20090227843A1 (en) 2007-09-12 2009-09-10 Smith Jeffrey A Multi-instrument access devices and systems
US9737334B2 (en) 2009-03-06 2017-08-22 Ethicon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US9078695B2 (en) 2009-06-05 2015-07-14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using a surgical access device with modular seal components
TWI383774B (zh) 2009-07-02 2013-02-01 Wound protector
US20110028794A1 (en) * 2009-07-30 2011-02-03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409086B2 (en) * 2009-12-18 2013-04-02 Covidien Lp Surgical portal with rotating seal
CN102018568B (zh) 2010-12-03 2013-05-08 南京明基医院有限公司 腹腔镜套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537A1 (en) * 1998-12-01 2005-09-08 Frank Bonadio Wound retra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7980B1 (en) 2016-11-23
EP2807980A4 (en) 2015-09-30
ES2613871T3 (es) 2017-05-26
EP2807980A1 (en) 2014-12-03
CN104066386A (zh) 2014-09-24
WO2013111183A1 (ja) 2013-08-01
JP5794319B2 (ja) 2015-10-14
US20150238179A1 (en) 2015-08-27
KR20140114886A (ko) 2014-09-29
JPWO2013111183A1 (ja) 2015-05-11
CN104066386B (zh) 2017-02-22
US9439639B2 (en)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824B2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KR100813755B1 (ko) 의료용 처치 용구
US20060161050A1 (en) A surgical sealing device
JP2011092745A (ja) 外科手術用ハンドアクセス装置
US20050148823A1 (en) Surgical sealing device
JP2010207577A (ja) 体腔内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2010207576A (ja) 体腔内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101967947B1 (ko) 의료용 처치 용구
JP2010240437A (ja) 取り外し可能かつ交換可能な部品を有する外科的アクセスデバイス
JP2011092755A (ja) 手術器具アクセス装置
JP4623067B2 (ja) 医療用処置用具
EP1816968B1 (en) A surgical sealing device
TWI531350B (zh) 醫療用處置用具
JP5625653B2 (ja) 医療用処置用具
JP4082952B2 (ja) 医療用処置用具
AU2011239219B2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JP2013202075A (ja) 蓋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開創器
IE20050798A1 (en) A surgical sealing device
IE20040696A1 (en) A surgical sea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